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논의 양상과 과제

        이상구 배달말학회 2004 배달말 Vol.34 No.-

        읽기 교육에서 구성주의적 논의는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피아제의 인지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90년대 말부터는 비고츠키의 사회문화 인식론에 근거한 '사회구성주의'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사회구성주의의 관점의 읽기 교육에서는, 인지 구성주의적 읽기에서 제시되었던 스키마 이론·읽기전략·과정 중심 읽기 등의 절차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를 구성하는 협동학습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사회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에 관한 논의는 추상적인 수준에서 방향성을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구체적인 절차나 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으로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구체적인 논의는, 지금까지 이뤄져 온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CIRC'와 '구성주의 문학교육론'에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was attempted in order to Constructive study has been put on a display of no matter how much and to examine a prospect and an assignment in Korean reading education. The discussion based on a Constructive study in Korean reading education began in 1980's. Firstly the study that based on Constructive study in Korean reading education began with 'Cognitive constructivism' of Piaget. and converted to 'social constructivism' of Vygotsky based on a social culture epistemology toward the close of the 1990's. In reading education of a viewpoint based on social constructive, schema theory, reading strategic and reading procedure in cognitive constructivism combined with 'cooperative Learning' that meaning constructing through social interaction. Study about social constructive reading education is still a short deviation. Therefore, so far the rest of assignment may get a discussion about constructive reading education that was achieved in 'CIRC' and Constructive literature education with a base in the future.

      • KCI등재

        기하학적 모델링을 위한 조작적, 사회적, 급진적 구성주의의 비교와 다차원적 적용 방법

        최예은(Ye-eun Choi),서대룡(Dae-ryong Se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구성주의를 통해 나올 수 있는 수치들을 창의적인 기하학적 모델링으로 나타내는데 목 적이 있다. 조작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라는 3가지 유형의 구성주의는 같은 뿌리로부터 시작되었지만 그 안에서 강조하는 부분은 각각 다르다. 이러한 강조점과 차이점에 따라 3 가지 유형의 구성주의를 분류하였고, 평가 기준 표를 제작하였다. 또한, 폴수학학교 웹사이트 상에서 보이는 설립 철학, 교육 목표, 교육과정 특징, 비교과교육과정, 전체교육과정의 내용들을 구문 분석하 여 3가지 구성주의의 평가 기준 표에 적용시켰다. 적용된 부분으로부터 수치를 얻어 낼 수가 있었으 며, 이 수치를 Excel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다양한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데이 터 수치와 그래프 상의 표현을 통하여, 폴수학학교 웹사이트의 내용들이 3가지 구성주의와 얼마나 관 련이 있는지를 알 수가 있었다. 구성주의의 3가지 유형 각각에서 나오는 5가지의 특징들과 폴수학학 교 웹사이트 5개 영역의 조합으로부터 전체 75개의 표본을 얻어낼 수 있었고, 평가 기준표 위에서 폴 수학학교 웹사이트 5가지 영역의 내용에서 추출한 평균들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웠다. 일원분산분석이라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015로 0.05보다 작으므로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되어 평균값이 최소한 한 개는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좀 더 세밀한 통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량, 등분산 검정, 개체·간 효과 검정에 뒤이어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폴수학학교 비교육과정이 교육과정보다 구성주의 성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총합한 데이터들을 x, y, z라는 3가지 변수로 대응시켰고 Wolfram Mahematica 10.4 프로그램으로 시각화하여 베지어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numerical values of constructivism through creative geometrical modeling.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are operational constructivism, social constructivism, and radical constructivism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same root. However, they have different main points. This research classified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according to main points and differences, and an evaluation criteria table was created. In addition, contents of the founding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features, extra curriculum, and the whole curriculum of the Paul Math school web site a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evaluation rubric table related to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was input into the Excel program and was expressed on a variety of graphs. 75 samples from 5 different features from each of the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and from five areas of Paul Math school website were collected. A null hypothesis and an alternative hypothesis were set up in order to compare averages of five 5 areas of Paul Math school web site. One-way ANOVA was used for this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15, which is less than 0.05. Therefore, the alternative hypothesis was accepted and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at least one of averages is different. For more detailed statistical analysis, post-hoc analysis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levene’s test for the equality of variances, and test of between-subjects effec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nstructivist trend of extra curriculum of Paul Math school was stronger than that of core curriculum. Finally, the researcher applied the data to Wolfram Mathematica 10.4 program and expressed geometric objects in Bezier curves.

      • KCI등재

        러시아 구성주의 연극

        천호강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1

        본 논문은 1920년대 러시아 연극 분야에서 구성주의의 발현을 검토한다. 20세기 초반 러시아 문화예술의 지평 위에서 전개된 연극 발전사에서 구성주의의 전개 과정을 추적한다. 종합예술인 연극에서 미적 경향으로서 구성주의가 총체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이론적으로만 가능하다. 그래서 두 가지 측면에서 구성주의 연극의 실현에 접근한다. 첫째, 무대장식의 영역에서 구성주의 화가들이 참여함으로써 얻은 결과에 주목한다. 둘째, 배우의 연기와 공연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연출가에 초점을 맞춘다. 연극은 공연을 전제로 하고 공연을 통해서 실현되기 때문에, 공연된 작품에서 구성주의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본다. 메이예르홀드의 연기법과 연출법이 구성주의 이념에 부합한다. 그의 연출에서 무대디자인과 의상이 생체역학에 근거한 배우 연기와 어우러져 연극을 구성주의적으로 표현한다. 구성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바람난 아내의 관대한 남편>, <타렐킨의 죽음>, <지구가 뒤집히다>를 살펴보면서, 화가 포포바와 스테파노바의 무대장식에서 구성주의 미학이 잘 구현되었다. 비록 메이예르홀드가 전반적인 구성주의 미학을 실현한 것은 아니지만, 동시대의 다양한 화가들이 구성주의적으로 무대를 장식했다. 배우의 연기 스타일이 무대 사실주의와 거리를 두었던 연출가의 공연에서도 연극의 구성주의가 나타났다고 본다. 대표적으로 타이로프는 <목요일이었던 사람>을 연출했고, 여기서 베스닌의 무대 디자인이 구성주의를 드러낸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 이후 연극에서의 구성주의는 무대디자인으로 양식화되면서 오히려 쇠퇴하고, 이후 아방가르드에 대한 공격으로 건축 영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예술 장르에서 구성주의는 사라지게 된다.

      • KCI등재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론적 배경

        곽영순,Kwak, Young-Sun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5

        과학교사들은 과학에 대하여, 학습자의 학습방법에 대하여, 과학을 가르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하여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취하고 있는 교수방법이 배경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rationale)를 이해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글에서는 전통적 교수/학습관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관,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구성주의의 유래를 논의하였다. 과학교육에서 구성주의는 철학적 구성주의, 구성주의 연구 패러다임, 사회학적 구성주의 및 교육학적 구성주의 등 여러 가지 의미로 광범위한 상황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교육학적(또는 심리학적) 구성주의는 각 형태가 취하고 있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신념에 따라 다시 개인적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 및 사회적 구성주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나아가, 각 교육학적 구성주의는 각각이 취하고 있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관점에 바탕하고 다른 교수/학습관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각의 교육학적 구성주의가 채택하고 있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과학교수/학습적 관점을 논의한다. 끝으로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에 대한 두 가지의 주된 비판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 형태의 교육학적 구성주의가 취하고 있는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도 간단히 제시한다. Scien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science is, how students learn, how to teach science effectively, and the rationale for their teaching methods. Along this line, this article discusses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pedagogy and the origin of various versions of constructivism. Constructivism is defined and used in a variety of contexts including philosophical constructivism, constructivist research paradigm, sociological constructivism, and educational constructivism. Educational constructivism (or psychological constructiv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distinct versions (i.e., individual, radical, and social constructivism) depending on uniqu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that underlie each version. Each version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supports different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at are consistent with its specific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In this article, the main tenets of each version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are examined with regard to ontological beliefs, epistemological commitments, and pedagogical beliefs. In addition, two major criticisms on constructivist pedagog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research methods for each version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Christine M. Korsgaard의 구성주의와 도덕적 실재론

        노영란(Roh, Young-Ran)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29 No.-

        동시대의 대표적인 칸트주의자인 코스가드는 구성주의가 도덕적 실재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규범성을 정당화하고 도덕적 회의주의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고 믿는다. 본 연구에서는 코스가드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검토하면서 도덕적 실재론에 대한 그녀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코스가드가 도덕적 실재론의 어떤 점을 비판하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하는지 살펴본다. 코스가드는 도덕적 실재론이 도덕적 개념의 기능을 실재의 묘사로 이해하고 행위에 대해 적용된 지식모델(the model of applied knowledge)을 취함으로써 규범성의 물음에 답을 주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반면에 그녀는 구성주의가 도덕적 개념의 기능을 문제에 대한 해결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고 도덕적 요구가 행위의 실천적 문제에 필연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규범적 물음을 해결한다고 주장한다. 도덕적 실재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채택된 코스가드의 구성주의에는 반실재론적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다. 순수한 절차주의를 추구하는 급진적 구성주의,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요소를 배제하는 구성적 모델(the constitutive model), 그리고 가치의 원천으로서의 인간과 상호주관주의에 근거한 가치의 객관성 설명 등은 그녀의 반실재론적 입장을 잘 드러내준다. 그러나 이러한 반실재론적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코스가드의 구성주의를 간단히 반실재론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먼저 초기 저서인 『규범성의 원천』에서 코스가드는 자신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실재론의 한 유형-구체적으로 절차적 도덕 실재론-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저서들에서 실재론과 구성주의를 직접 대조하여 논의할 때 코스가드는 구성주의의 실천적 의미에 주목하고 존재론적 관련성을 배제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성주의와 실재론이 양립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들은 코스가드가 전형적인 도덕 실재론을 거부하지만 자신이 추구하는 구성주의적 규범윤리이론이 반실재론으로 귀결되길 원치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코스가드가 이해하는 실재론은 실재론으로 수용되기에는 너무 느슨하고 너무 사소하다. 또한 코스가드가 주장하는 것처럼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하면서 실재론을 유지한다면 굳이 구성주의적 접근을 취할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점들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줄 수 있을 때 코스가드의 실재론적 관여는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Christine M. Korsgaard believes that constructivism can respond to moral skepticism without depending upon moral re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Korsgaard's kantian constructivism and her positions on moral realism. According to Korsgaard moral realism cannot answer normative questions in that it sees the function of moral concepts as describing the reality and so accepts the model of applied knowledge for action. In contrast Korsgaard insists that constructivism is better at justifying normativity since it regards moral concepts as representing the solutions to practical problems and so shows that moral principles are necessarily involved in the practical problems of agency. Korsgaard's constructivism has antirealistic elements such as pure proceduralism, the constitutive model to exclude ontological, metaphysical meanings, and the account of human beings as the sources of values. In spite of those antirealistic elements it is difficult to jump to a conclusion that Korsgaard's constructivism is antirealism. Korsgaard, in the early book, The Sources of Normativity, says that kantian constructivism has something to do with a form of realism, or procedural moral realism. And in the following books she argues that constructivism is compatible with realism although she pays attention to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constructivism and then sets aside its ontological relevance. That is, Korsgaard does not want that her constructivism results in antirealism. Korsgaard's realism, however, is too weak to be called as realism. There is, also, a question why one would rather take a constructivist approach if one holds on to realism.

      • KCI등재후보

        Kohlberg 구성주의에서 상대성 문제

        배한동,은종태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도덕 판단이나 원리가 사회적 상호작용의 산물이며, 선험적으로 알려진다거나 경험적 일반화가 아니라고 본다. 따라서 선험론이나 경험론을 모두 반대한다.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은 피아제의 구조주의와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메타 윤리적 가정으로서 구성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콜버그가 단계 발달의 원리로서 채택한 구성주의는 상대주의적 경향이 강한 인식론적 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성주의와 보편주의 사이에 모순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주제는 콜버그 이론에 있어서 매주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주제와 관련된 논의나 연구는 드문 편이다. 본 논문은 콜버그 이론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구성주의적 접근에 따른 문제점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구성주의의 유형을 분석하고 메타 윤리적 가정의 하나로 제시된 콜버그 구성주의의 특성을 밝히려고 한다. 이를 위한 분석틀은 두 가지인데, 인지적 구성주의와 규범적 구성주의이다. 이는 콜버그의 구성주의가 피아제의 인지적 구성주의와 롤스의 규범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두 가지 구성주의를 분석하면서 콜버그의 구성주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구성주의의 상대성 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콜버그의 구성주의를 개인적 구성주의나 사회적 구성주의, 그 어느 것으로 정의하든 상대성 문제는 피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상대성 문제를 콜버그의 체제 속에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ssumption of constructivism implies that moral judgment or principles are human constructions generated in social interaction. They are neither innate propositions known a priori nor empirical generalizations of facts in the world. That is, the constructivism is opposed to either empiricism or apriorism.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was affected by Piaget`s constructivism and structuralism. And he offered the constructivism as one of the meta-ethical assumptions. But constructivism adopted as a principle of stage development have a strong relativistic view in epistemology. Therefore it occurs contradiction between constructivist relativity and universality of developmental stages. This issue is very important to Kohlberg`s theory. Nevertheless, it is rare to find someone studied a systematic researches about this issue and debate.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treat problems of relativity in relation to the Kohlberg`s constructivism. For this purpose, we will analyze various constructivist patterns and examine the features of Kohlberg`s constructivism that suggested as one of the meta-ethical assumptions. There are two forms constructivism. One is epistemological constructivism, the other is normative. Kohlberg`s constructivism based on the constructivism of Piaget and Rawls. In our examination, we will try to clarify their relations between Kohlberg`s two constructivism. And then, we will put the question a interesting point regarding relativity of Kohlberg`s constructivism. He cannot evade this problem, whether his constructivism define as individual or social. Lastly, we suggest some solutions. escape from this dilemma within Kohlberg`s program.

      • KCI등재

        구성주의와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의 접목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구성주의적 사회복지 실천은 아직 생소한 주제로 간주된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정신보건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의학과 심리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까닭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전통적인 사회복지 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밝히고 정신보건 실천 분야와 관련된 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과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모든 이론은 가치와 이념의 영향을 받고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을 실천에 반영하는 자아성찰적인 실천을 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내담자와 실천가의 협동작업으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정의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의미와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생성을 변화의 내용과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21세기를 맞이하여 전 학문 분야에서 일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과 영향력은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을 이루어 인문 사회과학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사업 실천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영향에 힘입어 조심스럽게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논쟁이 시작되고 있으나 아직 정신보건과 관련된 사회사업 실천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매우 미미하다. 그것은 정신보건 분야가 사회사업 실천에서 가장 의학적이며 심리학적인 전통에 입각한 실천을 해왔고 그 학문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점과 정신보건 분야의 뿌리가 과학적이며 객관적이라고 인정받는 경험론적 패러다임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적 논쟁은 모든 경험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학문 분야에 강한 도전을 주었고 실용성과 유용성을 문제 삼아 비판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이때에 정신보건 사회사업도 그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하다. 구성주의의 도전은 이전의 전통과 이론들을 모두 말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인식과 지식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실천에 주는 함의를 새로운 각도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객관적 지식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에 대하여 회의를 가져보고 앎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실천한다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은 무분별한 서구 이론의 수용으로 한국적 상황에 적절한 실천 방법이 아직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가 간과해버리기 쉽고 비판 없이 받아들인 많은 실천 개념과 방법들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구성주의적 논의는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구성주의적 시각이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가 어떻게 정신보건 사회산업과 연관되어 적절하며 대안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지 알아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에 관하여 구성주의가 어떤 점을 시사하며 현재 사용되는 이론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 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대와 내담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실천의 가치와 방향을 구성주의적 실천 원리에 입각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ory and the ways ideology becomes infused into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Social work has been a value-laden practice through out its history. However, the narrowness of our conceptual frameworks does not allow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deology behind the so-called scientifically based theory and knowledg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n mental health suggests to move away from the narrow application of the diagnostic labeling and the upholding of normality. Instead, the reflecting practic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get involved in the client's experience and to create a meaningful narrative that provides a broader choice for the client's life.

      • KCI등재후보

        영유아 이상징후 감지를 위한 표정 인식 알고리즘 개선

        김윤수(Yun-Su Kim),이수인(Su-In Lee),석종원(Jong-Won Seok) 한국전기전자학회 202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5 No.3

        비접촉형 체온 측정 시스템은 광학 및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하여 집단시설의 발열성 질병을 관리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기존 체온 측정 시스템은 딥러닝 기반 얼굴검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 얼굴영역의 단순 체온 측정에는 활용할 수 있지만, 의사표현이 어려운 영유아의 이상 징후를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체온 측정 시스템에서 영유아의 이상징후 감지를 위해 표정인식 알고리즘을 개선한다. 제안된 방법은 객체탐지 모델을 사용하여 영상에서 영유아를 검출한 후 얼굴영역을 추출하고 표정인식의 핵심 요소인 눈, 코, 입의 좌표를 획득한다. 이후 획득된 좌표를 기반으로 선택적 샤프닝 필터를 적용하여 표정인식을 진행한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제안된 알고리즘은 UTK 데이터셋에서 무표정, 웃음, 슬픔 3가지 표정에 대해 각각 2.52%, 1.12%, 2.29%가 향상되었다.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is one of the key factors, which is manage febrile diseases in mass facilities using optical and thermal imaging cameras. Conventional systems can only be used for simpl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in the face area, because it is used only a deep learning-based face detection algorithm. So, there is a limit to detecting abnormal symptoms of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ir opinions.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lgorithm for detecting abnormal symptom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proposed method uses an object detection model to detect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an image, then It acquires the coordinates of the eyes, nose, and mouth, which are key elements of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inally,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a selective sharpening filter based on the obtained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d by 2.52%, 1.12%, and 2.29%, respectively, for the three expressions of neutral, happy, and sad in the UTK dataset.

      • 구성주의 본질에 기초한유아교사와 수업의 지향점 탐색

        조부경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1

        구성주의가 우리나라 유아교육계에서 논의된 지 30여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구성주의’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관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Piaget의 자서전과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구성주의의 본질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구성주의 유아교사와 수업은 어떠해야 하는지 그 지향점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구성주의는 지식의 이론임과 동시에 삶의 기저가 되는 가치로서, 그 핵심은 ‘찾아가는 것’과 그 과정에서 상대적 가치로서의 ‘균형의 의미’ 탐색이다. 이러한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구성주의 교사는 지속적으로 종적, 횡적 균형을 이루며 변화하고,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며, 타자와 협력하면서, 불균형을 즐기며 균형을 추구해간다. 구성주의의 본질에 따르는 수업이란 유아와 함께하고, 지식의 구성이 이루어지는 수업이며, 수업의 본질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을 기본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라는 하나의 고정된 틀 속에 교사와 유아를 갇히게 하는 것의 위험성을 간과하지 말고 구성주의라는 지평을 향해 함께 변화해 가야 함을 시사한다. Although it has been over 30 years since constructivism first arose in the field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view points on the definition of constructivism. This study reviews the essence of constructivism based on Piagent's autobiography and related literature, and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classroom.Constructivism is not only a theory of knowledge but also the basis of life. The core of constructivism is "searching" and discovering the "meaning of equilibrium as a relative value" during the search. Teachers based on these values develop continuously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quilibrium." They also search for their identity, collaborate with others, and pursuit their equilibrium by enjoying the unequilibrium. Teaching following the essence of constructivism constructs knowledge with the children. It also emphasizes continuous reflection on the basis of teaching.This study implies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and teaching towards the horizon of constructivism, while not being confined by the literal definition of constructivism.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교수학습에 관한구성주의 신념과 구성주의 수업 실행의 관련성

        강운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the beliefs of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regarding the nature of teaching and their instructional classroom practices in middle scho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tructivist belief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three types of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The data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2013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conducted by the OECD. The K-mean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distinct clusters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and US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the process of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specific groups: the constructive (20.8%), the traditional (36.5%), the belief-lag (19.0%),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lag (23.8%). Secondly, the survey results was interesting in that 40% of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belonged to the traditional group, and 36% of them belonged to the instructional practice-lag group, whereas 38.6% of US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belonged to the belief-lag, and 31% of them belonged to the traditional group (p < .001). 이 연구는 교수학습에 관한 구성주의 신념과 수업실행의 측면에서 한국과 미국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유형을 도출하고, 한국과 미국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형별 분포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위하여 OECD에서 실시한 2013년 교수학습국제조사(TALIS)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교수학습에 관한 구성주의 신념과 수업방법과 평가방법의 활용실태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변인을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변인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 교사들이 각 유형에 속하는 분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에 관한 구성주의 신념과 수업실행의 측면에서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은 1) 구성주의 유형(20.8%, 구성주의 교육관을 견지하는 집단), 2) 신념지체 유형(19.0%, 구성주의 관점의 수업실행을 하면서도, 구성주의 교수 신념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신념을 갖는 집단), 3) 실행지체 유형(23.8%, 구성주의 교수 신념을 견지하지만, 구성주의 수업실행이 소극적인 집단), 4) 전통주의 유형(36.5%, 교수 신념과 수업실행 모두 구성주의와는 거리가 있는 집단)의 네 유형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한국 교사들의 경우, 전통주의 유형(39.2%), 실행지체 유형(36.0%), 구성주의 유형(17.2%), 그리고 신념지체 유형(7.6%)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미국 교사들은 신념지체 유형(38.6%), 전통주의 유형(31.7%), 구성주의 유형(26.9%), 그리고 실행지체 유형(2.8%)의 순으로 나타났다(p <.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