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사회’ 과목 일반사회 영역 교육과정의 불편한 진실

        강운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 system and content component of the 2009 Revised Secondary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and to evaluate how they are appropriate in light of the Social Studies?nature and objectives. I found out that severe changes occurred in the content system and content component of the 2009 Revised Secondary ?ocial Studies?Required Curriculum. The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iculum is organized from middle school 1 year to middle school 3 year according to approach based multi-year learning. Secondly, content component organized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integrated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Thirdly, 2009 National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was less than 2007 National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Fourthly, international political Area and unification were included newly, but overall content element decreased. I evaluated changes of 2009 Revised Secondary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in terms of Social Studies?nature and go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2009 Revised Secondary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has limitation so that learners can not achieve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for social life. Secondly, in a situation that emphasizes global minded person, inclus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s very encouraging phenomenon. Thirdly,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content component could threaten educational content optimization. I suggest that government and curriculum developer reflect whether decrease of ‘Social Studies’ required curriculum and reduction of education content component is educationally desirable, and should switch the direction to minimize problems even now.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한 방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2011년에 고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사회’ 과목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고, 변화 내용이 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등에 비추어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사회’ 과목의 변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군의 방향을 반영하여 교육내용을 중학교 1~3학년으로 편성하였다. 둘째, 공통과정 단축으로 고등학교에 편성되어 있던 내용요소가 중학교 교육과정으로 통합되었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사회’ 과목 성취기준의 개수(69개)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사회’ 과목 성취기준의 개수(42개)가 감소하였다. 넷째, 국제정치 영역과 통일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내용요소가 감소하였다. 사회과교육의 본질과 목표 및 교육내용 적정화 등에 비추어 변화 내용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공통과정 ‘사회’ 과목의 내용만으로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기에 부족하다. 둘째, 국제법이 편성되지 않은 교육과정은 국제적 소양을 가진 시민을 육성하기에 한계가 있다. 셋째, 고등학교 교육내용과 중학교 교육내용의 통합은 교육내용 적정화를 위협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통과정 단축과 교육내용 축소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진지한 성찰이 이루어져야하며, 지금이라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에서 양성 평등 교육의 학습 원리와 실제

        강운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9 사회과교육 Vol.- No.3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양성평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원리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와 같은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전개될 것인가를 구안하고, 그에 터하여 교수-학습 과정의 사례를 고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 등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성평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고려할 원리로서 제안한 것은 다양성의 강화, 의사소통의 강화, 학습 소재를 활용한 귀납적 학습의 강화이다. 이런 원리를 반영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으로서 선택형 심화학습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원리를 기초하여 지위와 역할에 관한 단원을 선정하여 현행 교과서의 서술 방식을 분석하고 대안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지위와 역할에 관한 선택형 심화학습과제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gender-equitable education, and to invent curricular materials based on them. For purpose of this study, I inquire into prior researches related to postmodernism and feminism. Based on prior researches, I propose insentification of diversity, insentification of communucation, and application of inductive learning using concrete materials as teaching-learning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gender-equitable education. Also, I suggest to utilize elective in-depth Study in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social studies to fill up principles which is suitable for gender-equitable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의 잠재적 인식 유형과 다문화 교육경혐에 따른 차이

        강운선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The goal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underlying types of multicultural poli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has effect on underlying types. For these, data were gathered from 495 high secondary school students Daegu.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carried out using PROC LCA for SA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policy: corporat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cultural relativism, and assimilation. Secondly, 55%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liberal multiculturalism class, 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ultural relativism class, and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ssimilation class, Thirdly, the respond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ti-bias educ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minority humman right, education and the experienced. 2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nti-bias education class,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inority human right class, and 36%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inexperienced class. Fourthly,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man right education=1, 0=else), dummy variables 3(anti-bias education=1, 0=else)were strong predictors of latent class membership of multicultural policy(p<.001), but dummy variables 1(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1, 0=else) is not statistically signicant. The most striking finding is that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an right=1, 0=else) were 475 times more likely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than the inexperienced class.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와 기본권을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고, 그들의 인식에 다문화교육경험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방향에 따라 대구 지역 고등학생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의 기본권을 보장해주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그리고 다문화교육경험을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편의표집으로 고등학교 2개교의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다문화 교육경험에 따른 유형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잠재적 집단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다문화정책의 인식 유형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과정에서느 다중로지수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집단분석과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처리하기 위하여 활용한 도구는 PROC LCA이다. 편의표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잠재적 집단분석 방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와 기본권 인정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은 조합적 다문화주의(55%),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34%), 문화 상대주의(7%), 그리고 동화주의(4%)의 네가지 관점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경험에 다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다문화교유경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은 반편견교육(27%), 다문화이해 교육(4%), 소수자 인권교육(34%), 그리고 경험없음(35%)의 네 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험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반편견교육을 받은 집단이나 소수자 인권교육을 받은 집단은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문화인정, 반편견, 인권 존중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인식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 KCI등재후보

        2007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2010 개정 텍사스 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일반사회 내용을 중심으로

        강운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4

        The goals of this research are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Korean 2007 revise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the Texas 2010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to propose a better direction for the Korean 2009 curriculum revi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Korean 2007 revised curriculum, Korean students in 7th grade study sociology, culture, and law and students in 9th grade study politics and economy. Conversely students in Texas from Grade 6 to Grade 8 study sociology, culture, law, politics, economy and social studies skill through their local curriculum. Second, educational contents which both curriculums cover for middle school years turn out to be similar in culture, law, politics, economy and social studies skill to a considerable degree. In sociology, however, the Korean curriculum puts more emphasis on social structure, whereas the Texas curriculum focuses considerably more on the social change. Third, the Korean curriculum has students study their constitution in grade 7 and the principle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form of government in grade 3, whereas the Texas curriculum requires students to study abou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form of government in grade 6,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government in the Texas Constitution in grade 7, and the Federal Constitution in grade 8. Finally, in terms of economics, both curriculums deal with the fundamental concepts of economics and microeconomics, but the grades in which its contents are dealt with are different.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미국 텍사스 주의 교육 내용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2009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과 텍사스 주의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과 편성 체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1학년에 사회, 문화, 법 영역을 3학년에 정치와 경제 영역을 이수하도록 조직되어 있는 반면 텍사스 주의 교육과정은 사회, 문화, 법, 정치, 경제, 사회과 기능 영역에 관련된 내용이 학년별로 편성되어 있다. 둘째, 중학교급에서 학습하도록 권장하는 문화, 법, 정치, 경제 영역의 교육 내용 요소는 공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 영역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사회구조를, 텍사스 주의 교육과정은 사회변동을 주로 다루었다. 셋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헌법이 1학년에, 정치 참여와 정치 과정이 3학년에 편성되어 있으나, 텍사스 주의 교육과정은 1학년에 정치 유형과 정치 참여, 2학년에 주정부의 헌법, 그리고 3학년에 미국 정부의 헌법이 편성되어 있다. 넷째, 2007 개정 교육과정과 텍사스 주의 교육과정 모두 중학교 경제 영역은 경제학 기초 개념과 미시 경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관련 내용을 학습하는 학년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 ARCS전략을 적용한 신문제작 수업방법 개발과 학습동기 유발 효과

        강운선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05 敎育硏究 Vol.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동기 강화를 위한 신문제작의 절차와 방법을 개발하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습동기의 의의와 유발전략 및 미디어제작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관련연구를 고찰하여 분석, 실습, 평가의 3단계 절차로 구성되는 신문제작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의 학습동기 유발 효과를 검증하고자 대구 ○○중학교 1학년 두 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제주도 단원 수업 과정에 개발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수업 이후 학습자 대상의 설문분석에 따른 효과검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신문제작프로그램 활용은 지속동기와 계속동기의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Media production work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media as well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discover their voice by strenthen creative skill.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 production work as an alternative to NIE. It extensively discusses the value and the direction of the production work based on the media literacy paradigm emphasizing democratic media use through critical media evaluation and the production of one's own media. For this study, I use the qualitative method such as analysis on prior researches and quantitative method such as questionnaire analysis together. The objective of media production is to gain media literacy skill through extensive media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are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using skill and improving cooperative spirit. Analysis and practice are balanced through the systematic education procedure: introduction stage for analysis on media, development stage for practice, and completion stage for evaluation stage. Analysis connection with practice is most important in this procedu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based media education through questionnaire. For Analysis of this study, I used frequ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ject(newspaper making strategies) makes learner interest higher and improve information using skill. Generally students had positive attitude to media project method, and in their future lesson they wanted to use media project method more. I could expect the possibility of further development of project based media education, more positive usage in the media education field

      • KCI등재후보

        사회과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에서 학업성취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학습자 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

        강운선 한국열린교육학회 2003 열린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멀티미디어 활용수업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과 멀티미디어 활용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활용수업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환경문제에 관한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수업 이후 학업성취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선수지식과 성취동기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많은 선행연구결과와는 달리 지능은 결정요인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 검사의 실시와 학습 결손을 처치할 수 있는 교육적 처방을 강조하였고,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성취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기법을 충분하게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지능 변인에 대한 연구 결과를 멀티미디어 요소와 기능의 특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특성,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능 검사 도구의 한계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다양한 인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능검사 도구로 지능을 측정한 다음 멀티미디어 활용수업에서 지능과 학업성취도 사이의 관련성을 밝히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봉사 참여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역 D대학교를 대상으로 -

        강운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1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educational service participants’ motivation among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f so, what are the types? 2)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educational service participants’ activities among secondary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f so, what are the types? 3) Have the types of motivation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4) A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motivation and the types of activities on satisfaction? To gather the data, D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area was selected. Latent class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motivation and types of activities, and MANOVA was analysed to investigate the main effect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The research results were following: 1) The motiv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2) The activi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3) Types of motivation are strong variables that predict satisfaction. 4) Interaction effect of the association of types of motivation and types of activities on satisfaction is support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봉사 참여동기와 활동영역을 유형화하고, 참여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주요효과와 두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경북지역의 D대학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잠재적 집단분석과 다변량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봉사 참여동기는 졸업이수충족형(23%), 사회책무성수행형(27%), 교수능력연마형(49%)으로 유형화될 수 있다. 둘째, 교육봉사 활동영역은 학업지도 중심형(29%), 행정중심/학습지도병행형(19%), 학사보조 중심형(19%), 그리고 학업중심/생활지도 병행형(33%)으로 유형화될 수 있다. 셋째, 교육봉사 활동의 참여동기 유형은 만족도에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주요효과 검증). 넷째, 참여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영역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상호작용효과 검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