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ㆍ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양정실(Yang, Jeong-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을 구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적용상의 쟁점(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실태와 국어 교사의 인식 조사 및 심층 분석을 통해 네 가지의 쟁점을 정선하였다. 그리고 수업 시수 20% 증감, 수준별 수업, 쓰기 태도 및 쓰기 윤리 교육, 어휘 교육 및 어문 규범 지도라는 네 가지 쟁점에 대한 적용 방안으로 적용상의 원칙에 해당하는 ‘방향’과 방향의 구체적인 예시에 해당하는 ‘실제’를 구안하였다. 수업 시수 20% 증감에 대해서는 성취기준 통합 및 교과서 단원 차시의 통합 운영을 통해 시수 감축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준별 수업에 대해서는 학생 선택 활동을 부여하는 방안, 학생 수준에 따른 지원 방식의 차별화 방안, 학생 특수 조건에 따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쓰기 태도 및 쓰기 윤리 교육 방안으로는 이를 글쓰기 과정에서 지도하는 방안과 반성적 성찰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휘 교육과 어문 규범 지도를 위해서는 국어과의 일상적인 활동으로 어휘와 어문 규범을 지도하는 방안과 영역 통합적 연계 지도로 어휘를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methods of implementation concerning the following issues of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adjusting the number of class hours for korean within a range of 80~120% of its time allotment , the differentiate and individualized korean teaching system , the teaching of writing attitude and ethics , the teaching of vocabulary and korean language grammar . For providing for the case of reducting class hours for korean, this study suggests the reduction of class hour by integrating of content standards or integrative teaching of textbook unit. For practicing differentiate and individualized teaching,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way to manage the differentiate students in the class. For teaching writing attitude and ethics,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them during writing process and giving chance of reflective self-examination. For vocabulary and grammar teaching,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teaching in regular korean instruction and area-intergative instruction.

      • KCI등재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가은아(Ka EunA),이주연(Lee JooYoun),이근호(Lee KeunHo),이병천(Lee ByeongCh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3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단위 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과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에 대한 시사점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과 관련 문헌 및 자료들을 검토하고 각 국가의 교육과정 담당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 주제로 분석되었다. 첫째, 호주와 영국에서는 국가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공개하고 교육 당사자 간에 활발하고 적극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는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보급 전파 하는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호주와 영국은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워크숍 형태의 교사연수나 특화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수, 교과별 교사 네트워크나 TS(Teaching School)을 활용한 교사 전문성 신 장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다. 셋째, 호주와 영국 모두 정부가 발행하는 교과서는 없었으나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과 관련된 자료를 쉽게 찾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사이트들을 서로 연동하여 개발하는 등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o first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will be expand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next year, 2018 school year. As of this year, the way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supporting teachers to better implement the curriculum into their classrooms are crucial.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building curriculum supporting and implementing system by investigating relevant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ustralia and Engla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s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in regards to the curriculum implementing and supporting system, interviews with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and analyzes their web-sites of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shows that active communication is essential among curriculum developers and curriculum implementers including school teachers and other stake-holders, and this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by building systematic ways;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should be recommended by supporting integrated and systematic teaching-learning process; third, the principal agent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school teachers, should have the autonomy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e detailed ways for realizing the three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이주연(Lee Joo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질 관 리 방안’이라는 총괄 연구 가운데 하나로, 2013년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 연차적으로 적용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정착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마련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 해설서 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오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구체적인 대안 마련을 목적으로 실시한 초등학교 교사 및 중학교 미 술교사 대상 설문조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교육과정 적용 방안에 중점을 두어 논의하였다. 첫째, 공통 교육과정의 축소에 따라 초등학교 5, 6학년 수준으로 내려온 기존의 중학교 ‘활용 중심의 학습 경험’을 위한 적용 방안, 둘째, 중학교 수준 으로 내려온 기존의 고등학교 ‘비판적 사고 중심의 학습 경험’을 위한 적용 방안, 마 지막으로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에 새롭게 도입된 ‘미술비평’ 및 ‘미술사’을 위한 적용 방안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2009 개정 교 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독려하기 위하 여 다양한 예시 제공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part of the main research of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2009 rev.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by KICE(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1) to help the new Korean National Curriculum be established firmly in school setting, and 2) to suggest practical alternatives. 2009 rev. Korean National Curriculum covers G1 through G9 instead of G10, thu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which was developed in the stage of G10 should be reinforced at the last stage of the curriculum of G9. Although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re important in each of curriculum content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class activities in ‘Art Appreciation’ were presented. ‘Sensory property-based’ → ‘basic concepts-based’ → ‘application-based’ → ‘value-based’ curriculum contents organization vs. ‘sensory property-focused’ → ‘basic concepts and skill-focused’ → ‘application skill and methods-focused’ → ‘critical thinking-focused’ learning experiences were compared. Especially application skill and methods-focused learning experiences in G5 & G6 stage were discussed. Finally application methods on the new sub concepts of ‘art history’ and ‘art criticism’ in ‘Art Appreciation’ area of 2009 rev.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suggested. To strengthen learner-centered National curriculum, on-going quality management and control should be reinforced and maintained. For its successful settlement and activation, more detailed and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entoring system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改定 敎育課程 ‘漢文’의 現場 適用 方案 硏究

        원용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The core of the state of affairs of school lesson is always on 'what and how to teach?' and the curriculum must satisfy thi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on Sino-Korean subj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7th curriculum, the school field is in a situation of having to accept many changes.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what' is the 'Sino-Korean' that is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curriculum and 'how' is the 'a secondary school field application'. The revised curriculum changed into the major area system of 'Sino-Korean & Sino-Korean knowledge'. Accordingly, the possibility in the aspect of linguistics was examined first for the school field application for only the 'Sino-Korean' except for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in the revised curriculum has been categorized and structured into the three mid area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culture', and the contents according to each mid area have been presented. In addition,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years have been presented. Such contents are in fact a presentation of a series of courses that progress to 'understanding' from 'reading' and to 'culture' from 'understanding'. This is a literary embellishment course that must be dealt with in the Sino-Korean curriculum through which the 'cultivation of Sino-Korean skill' is being sought. Therefore, the 'contents system' and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were examined, analyzed and schematized to understand their implicit flow.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literary embellishment process of 'reading out aloud → punctuation → correct interpretation →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subject →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special expression methods'. In addition, actual 'sentences' were applied to this and the process of literary embellishment flow was traced in order to integrate the intend of revised curriculum which is the 'cultivation of Sino-Korean skill'. In addition, it has been elaborated that the curriculum itself must be respected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textbooks in ord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al by apply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will end up being correctly applied in the school field when the teachers become those who practice the curriculum and the recomposition of textbooks. 敎育課程에 대한 관심은 그 교과에 종사하는 사람에 국한하여 의미를 가진다. 학교 수업 사태의 核心은 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이며 敎科 敎育課程은 이를 充足해야 한다. 그러므로 ‘무엇을’은 교육과정의 目標와 內容을 包括하며, ‘어떻게’는 敎授-學習 方法과 교수 학습 방법에 기여하는 技法과 資料까지를 그 범위로 한다.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과는 그 근본을 달리하기 때문에 학교 현장은 많은 變化를 受容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무엇을’은 개정 제7차 교육과정 대영역인 ‘한문’이며 ‘어떻게’는 ‘중등학교 현장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漢文․漢文知識’이라는 大領域 體制로 轉換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 개정 교육과정에서 대영역 ‘한문 지식’을 제외한 ‘한문’만을 대상으로 한 학교 현장의 적용하기 위하여 言語學的인 側面의 可能性을 探索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은 ‘읽기’, ‘理解’, ‘文化’라는 세 개의 中領域으로 範疇化하여 構造化되었으며, 또한 각각의 중영역에 대한 領域別 內容이 提示되었다. 또한 그들을 통하여 중학교 學年別 內容을 提示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사실상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읽기’를 통하여 ‘이해’로 나아가며 ‘이해’를 통하여 ‘문화’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어져 있다. 이는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한 한문 교과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文識의 過程이며 이러한 문식의 과정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것은 ’漢文 能力의 伸張‘이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 ‘漢文’의 ‘內容 體系’와 ‘內容’을 檢討․分析하고 圖式化하여 그것들이 갖는 內在的인 흐름을 把握하였다. 그 결과 ‘소리 내어 읽기 → 끊어 읽기 → 바르게 풀이하기 → 내용과 주제 이해 → 특수한 표현 방식 이해 및 감상’이라는 文識의 過程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것에 實際의 ‘文章’을 適用하고, 文識性 흐름의 過程을 追跡하여 ‘漢文 能力의 伸張’이라는 改定 敎育課程의 意圖를 學校 現場에 繼承하려 試圖하였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보다 목표 도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의존하기 보다는 敎育課程 自體가 尊重되어야 한다는 것도 부연하였다. 결국 敎師들이 敎育課程과 敎科書 再構成의 實踐者가 될 때 개정 교육과정은 비로소 學校 現場에 바르게 適用될 것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과정의 간극 요인 및 대응방안 탐색

        김기철(Kim, ki-chul)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5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발생하는 ‘간극’의 실체를 파악함은 물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마련의 여건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제 7차와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경험이 있는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인터뷰와 연구저널의 내용을 바탕으로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과정의 경험과 이러한 과정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간극 요인과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간극에 관한 과정별 요인들은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의 전체과정을 ‘연구⋅개발단계’, ‘보완단계’, ‘보급단계’, '수용단계‘, 실행단계’ 등의 5단계로 나누고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의 요인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나갔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구체적 대응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과정별 요인 분석은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과정을 ‘총체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가운데 순차적 흐름과 체계성 속에서 간극의 문제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is study cover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Physical Education(P.E.) Curriculum and its application in many curricula according to city and province offices of education, and various schools and classes based on a holistic view. In order to analyze and understand this narrative inquiry, qualitative research emphasizing the subjects' experiences is us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process inherent in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E. curriculum. Through this, the ultimate goal is to pinpoint the disharmony caused by the gaps and its countermeasures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E. curriculum following each revis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on 8 participants who have developed and applied the 7th National P.E.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P.E. Curriculum. The purpose was to identify how the P.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causes of the various gaps which occurred between research processes, and to seek a countermeasure as a solutio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generation gaps of the P.E. curriculum can be divided into three process factors. the process factor of the generation gap divides the entire process of curricula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to five stages: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lementation, diffusion, adaptation, and implementation. The potential generation gap factors that may occur in each separate stage are well explained. Such an analysis of the process factor makes it possible to anticipate the problems of the generation gap in the regular sequence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E. curriculum in a holistic way.

      • KCI등재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및 과제

        은지용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의 자전적 관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및 과제를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특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개발 과정 및 절차 측면에서 학교급 및 전공 영역 단위의 다양한 조합을 통한 협의회 운영, 다양한 대상 및 방식을 고려한 의견 수렴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서 체제의 변화 측면에서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등 구성 항목의 주요 내용 및 특징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발 방향 및 내용 측면에서 학습량 적정화, 초·중등 내용 간 계열성 제고, 현장 적합성 및 학생 맞춤형 교육 강화를 위한 내용 및 과목 재구조화,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쟁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개발 과정 및 절차 측면에서 대국민 의견 수렴 방식 및 내용의 문제, 연구진과의 협의가 소략된 교육과정 고시 예정본 수정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서 체제 측면에서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형식성 문제, 교육과정 문서 체제 수정 관련 혼란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발 방향 및 내용 측면에서 초·중학교 진로연계학기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관련 문제, 초등학교 사회의 역사 영역 단원 배치 문제, 중학교 사회의 학습량 적정화 및 교과서 분권화 문제, 고교학점제 관련 신설 과목 적용에 따른 현장 대비 문제, 핵심 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 설정 및 교과 역량 존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상의 주요 쟁점 및 과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식 및 절차 측면에서 교과(각론) 연구진의 입장과 교과의 특성이 존중되는 방식으로 교과 교육과정이 개발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 교육과정 연구 측면에서 차후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유용한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 현장 적용 및 지원 측면에서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와 변화 방향을 고려하여 교사의 수업 실행에 도움이 되는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수업실천:

        이동원(Lee Do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적용 가능한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이의 적용 후 참여 교 사들에게 형성된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함의를 정리하여, 초등현장에 구현 가능한 통합교육과정의 개발과 수업실천의 전제조건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통합교육과정 개발,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본 연 구에 적용될 교육과정 통합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6개의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교육과정을 저․중․고 4개 학년에 적용하고 그 과정을 준비, 개발 및 실천, 실천 후 함의의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후 실천 결과를 바탕으 로 초등 통합교육과정 개발, 수업실천의 전제조건과 함의를 교사차원, 동학년 문화 차원, 학생과 교사의 배움차원, 학년․학급교육과정 차원에서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preconditions and implications for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this purpose, it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six integrated program on grade 1, 4, 5, 6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fter, it described major aspects and characteristics about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program according to process of integrated program, planning, implementation, arrangement. In accordance with aspects and characteristics about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program, it draw a implications from teacher level, culture of colleague teacher level, learning of student and teacher level, curriculum of grade and classroom level.

      • KCI등재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음악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연계성 모색

        승윤희,권덕원,최은식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music curriculums, and to suggest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music curriculum.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relation of the national general guidelines to the music curriculum are the formal connection and the content connection. The formal connection was found in the 6th~2007 revised music curriculums. Second, the application types of each of the 10 core subjects of the common curriculum for th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1) embracing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with little adjustments, (2) selecting the subject-related among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3) blending the genuine subject related competencies with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and (4) presenting the genuine subject competencies. Third,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music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he general guidelines. (2) Independent representation of music subject should be included in the time allocation criteria of the general guidelines. (3) Authentic subject related 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of the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s should be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4) Presentation of comprehensive contents and categories for efficient operation of local curriculum is necessary. (5) Comprehensive reconsid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be done. 본 연구는 1954년에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최초로 제정, 공포된 이후 현재 시행되고 있는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각론인 음악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관계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총론과 각론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연계성을 고찰하였으며, 둘째,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총론의 역량을 공통교육과정의 10개 교과 각론의 성격에서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여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셋째, 지난 시기의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각론의 연계성과, 현행 교육과정 총론의 성격 반영 유형에 근거하여 앞으로 개정공포될 2022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관계 정립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은 형식적인 연계성과 내용적인 연계성으로 구분될수 있으며, 형식적인 연계성은 제6차~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내용적인 연계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역량에 대한 공통교육과정 10개 교과의 각론 적용 유형은 각각 총론 구조 수용형, 총론 중 선택형, 교과 역량 혼합형, 및 독립 교과 역량형으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총론 역량과 교과 역량을 혼합한 유형인 ‘교과 역량 혼합’ 유형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지난 시기와 현행 교육과정의 총론과 음악과 각론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총론과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의 설정은 첫째, 총론에 예술교육의 중요성 포함, 둘째, 총론의시간 배당 기준에 음악 교과 시간의 독립적 제시, 셋째, 총론 역량의 교과 중심 재해석, 넷째, 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포괄적 내용 체계와 범주의 제시, 다섯째, 고교학점제시행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및 교사 인식 조사 - 초등학교급을 중심으로 -

        이지수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0

        The study examined major changes in the newly applied 2022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nvestigate and analyzeteachers’ perceptions of expected difficulties and support requirementsin the educational field. First,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2015 revised Koreanlanguage curriculum. At this time, the analysis of major changes in thecommon school-level “design of the curriculum, “character and goal,”“content syste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was presented, and then the “achievement standard” was analyzed andpresented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ased on the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xpected difficultiesand support requirements in the school field, with 400 schools and 386teachers who respond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stable establishment of a new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fieldduring the curriculum revision period by identifying the expected issueswhen apply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specifying thenecessary support. 본 연구는 새롭게 적용되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예상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 사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교육과정의 설계’,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주요 변화 분석은 학교급 공통으로 제시하고 ‘성취기준’은 초등학교급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예상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 사항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 조사는 400개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고 386명의 교사가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는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 예상되는 쟁점을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구체화함으로써,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새로운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우수등재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한글학교 적용 연구

        이정희(Lee, Jung-hee)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시작하여 총 네 차례의 국가 용역 사업으로 진행 중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개발의 과정 및 결과를 정리하여 교육 시간, 교육 대상 등의 내용을 표준적인 교육과정 운영에서 가장 동떨어져 있는 한글학교 유아반의 교육과정에 실제적으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재외 한글학교용 표준 교육과정에도 제외된 한글학교 유아반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국제 통용 3단계 연구(2016)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글학교 유아반 1급 한국어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요구(need)를 ‘표준’이 담보해 낼 수 없으므로 ‘표준 교육과정’의 적용에 있어 융통성과 탄력성을 가지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일반 성인 학습자와는 다른 재외동포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 수준에 적합한 방법으로 쉽고 재미있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교수요목을 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1급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는 주제, 기능, 문화 등을 유아-아동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핵심 주제 요소에 맞추어 32주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한 주차의 교육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지역이나 기관마다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한국어교육의 형식과 내용도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한국어교육 체계 및 구조를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mmarize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which had proceed in the National Service Business in total of four times since 2010, in addition to apply it practically to the curriculum of the nursery class in Hangul School which is the most distant from the standard curriculum operation such as the education time and the education targe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nursery class in Hangul School structured base on the contents of the third stag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study (2016),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the class management and the teachers were all considered. Since "standard" can not guarantee the various of ‘needs’, this curriculum was tried to having flexibility and resilience in applying "standard curriculum". Furthermor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from overseas Koreans who were different from the research target in adult, it was focused on the constructing the syllabus of lectures for the children who are before the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stage can learn Korean language with fun easily by an appropriate method. Based on these contents, the Level 1of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nursery class in Hangul School was structured. In the Level 1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was intensively covered the topics, functions, cultures and etc, adjust to the core topic elements which were important measurement in the preschooler education, the 32 weeks education content was structured and was presented in detail weekly.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nd structure will be reestablished base on the possible to maintain consistency of the core of contents and also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ere done in different ways by each region or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