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국의 학교 인력 구조 및 직무 특성 연구

        김갑성,김도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미국, 영국, 프랑스, 핀란드 등 주요국의 학교 인력 구조 및 직무 특성을 분석․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학교 인력 구조와 직무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주요국의 학교 인력 구조와 직무를 탐색한 결과, 각국의 학교 인력은 크게 관리직 인력, 교수직 인력, 비교수직 인력, 그리고 지원직 인력으로 구분되었다. 관리직 인력에는 교장, 교 감이 있고, 교수직 인력에는 주로 일반교사 및 교과교사와 진로교사와 같은 일부 비교과 교 사가 있으며, 비교수직에는 상담, 사서, 보건, 영양, 심리치료사,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이 있고, 지원직에는 행정 보조, 기술직, 사무직, 비서, 시설관리요원 등이 있다. 각각의 직무 는 달랐다. 이 연구를 통해 주요국에서는 학교 인력을 점차 다양화 하고 있다는 점, 교수직과 비교수직의 개념과 직무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는 점, 비교수직과 지원직의 인력 유형을 다 양화 하고 있다는 점, 수업보조 인력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 학생안전 등과 같은 특수 분야의 전문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는 점 등을 시사점으로 얻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our school manpower structure and tasks, comparing with the cases of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ngland, France and Finland. After reviewing the configuration of school manpower structure and tasks of major countries, we found out school manpower was composed of administrative personnel, teaching personnel, non-teaching personnel, and supporting personnel. Administrative personnel were the principal, the vice-principal, and teaching personnel were the general subject teacher, the classroom teacher and career counseling teacher. Non-teaching personnel were counsellor, librarian, and school nurse, and supporting personnel were administrative assistant, technician, office clerk, secretary and facilities management staff. The study provided us with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diversification of school manpower, the clearing concepts of teaching and non-teaching personnel, the well-divided tasks for teaching and non-teaching personnel, the magnifi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size of non-teaching personnel, the growth of the number of teaching assistants, the employment of highly skilled workers in special areas such as student safety.

      • KCI등재
      • 학문적 사회화에 대한 교수들의 지각 연구

        Susan Mathew,Diane Montgomery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0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faculty toward academic socialization. The samp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y-two faculty with varying ethnic backgrounds, both genders, and all faculty ranks represented six academic colleges from a comprehensive land-grant university. The 47 statements that comprised the Q set were sampled based on Tierney and Rhoad``s (1994) culture-based framework for socialization processes for faculty (culture of nation, profession, disciplin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three factors from the data analyzed according to Q method were: (1) Best Fit; (2) Workhorse; and (3) Staying the Course. Best Fit believes that they are a good fit within the overall socialization scheme existing at the level of the discipline and university culture. Workhorses feel strongly that the profession demands a heavy workload imposing time constraints. As a result, they have little time to socialize personally and getting tenured is the focus. Staying the Course faculty members could be thought of as faculty who work hard at balancing their academic and personal roles.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적 사회화에 대한 대학 교수들의 지각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모두 6개의 주립대학으로부터 인종, 성, 그리고 직급이 다양한 32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Q 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47개의 진술문은 대학 교수들의 사회화 과정을 문화적 틀로서 연구한 Tierrey and Rhoad(1994) 논문에 기초하여 선정되었다. 즉 자국문화, 분야, 원칙, 개인, 그리고 제도라는 기준이 사용되었다. Q 요인분석으로 세 개-(1) Best Fit (2) Workhorse (3) Staying the Course -요인으로 밝혀졌다. Best Fit은 기존의 일정 수준의 원칙과 대학문화의 틀 속에서 최적으로 사회화하고 있다고 믿으며, Workhorse는 교수직이 시간의 압박 속에서 과다한 일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믿는다. Staying the Course는 학문적 역할과 개인적 역할의 조화를 이루며 열심히 일하는 교수라고 할 수 있다. 교직개발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우수등재

        교수노동시장의 변화와 강사법

        임순광 비판사회학회 2019 경제와 사회 Vol.- No.121

        The Higher Education Act was amended in 2018. At that time, a new law for the lecturers (the revised lecturer law) was enacted and will take effect on August 1, 2019. Many lecturers will get some kind of citizenship at the university and expect treatment improvements. However, because of cost reduction, universities are dismissing (removing) a lot of lecturers. In Korea, part-time lecturers are virtually Kleenex workers or toner workers. The university is opposed to the revised lecturer law as extreme. Because universities do not want professors in good working conditions. They want part-time lecturers on bad working conditions like a reserve army of labour. The revised lecturer law became an excuse for dismissal of the lecturers. Korean universities have become the society of dead professors. The number of courses decreased by laying down the lecturers. Labor intensity of full-time professors is increa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deteriorating. Undergraduates' right for learning is being violated. The future of graduate student is gloomy. Because they might even lose the opportunity to become a lecturer. Is it because of the revised lecturer law? I don't think so. The problem lies in the other. Universities that operate like a corporation have been restructuring their lecturers since 2010 to earn good marks in cost reduction and university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mass layoffs of lecturers took place in 2013, 2014 and 2016. From 2010 to 2018, more than 35,000 lecturers were kicked out of university. The structural problem lies in increasing unstable labor in universities. The irregularization of professorship is a key feature of the professor labor marke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properl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background of the part-time lecturer system, invited professor system, adjunct professor system, non-tenure professor system, etc. The details of the enactment procedures and laws of the revised lecturer law and the enforcement ordinance should also be examined in detail. Lecturer law has no sin. The problem is in the corporat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strive for anger and resistance against exploitation and discrimination, joining trade unions for professors and lecturers, establishing the revised lecturer law at universities, seeking better alternatives and working beyond corporate universities. 2018년에 고등교육법이 개정되었다. 그때 강사를 위한 새로운 법(개정 강사법)이 제정되었고 2019년 8월 1일부터 시행된다. 강사들은 대학에서 일종의 시민권을 취득하게 될 것이고 처우 개선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돈’을 이유로 대학들은 강사들을 해고(제거)하고 있다. 한국에서 시간강사는 사실상 일회용 크리넥스 노동자 또는 토너 노동자다. 대학은 개정 강사법에 극력 반대하고 있다. 왜냐하면 대학들은 산업예비군 같은 시간강사를 원하지 좋은 노동조건하에 있는 교수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개정 강사법은 강사 정리해고의 핑계거리가 되었다. 한국의 대학은 죽은 교수의 사회가 되어버렸다. 강사들을 해고하면서 강좌 수가 많이 줄었다. 전임교수들의 노동 강도가 높아지고있다. 교육환경이 나빠지고 있다. 학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당하고 있다. 대학원생들의미래가 암울해 지고 있다. 강사가 될 기회마저 잃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새로운 강사법 때문인가? 그렇지 않다. 문제는 다른 데 있다. 기업처럼 운영되는 대학은 비용절감과 대학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2010년부터 강사에 대한 구조조정을 해 왔다. 특히 강사 대량해고가 2013년, 2014년, 2016년에 일어났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3만 5,000명 이상의 강사가 쫓겨났다. 구조적 문제는 대학에서 불안정 노동이 증가하는 것에 있다. 교수직의 비정규직화는교수노동시장의 핵심 특징이다. 현 사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시간강사, 초빙교수, 겸임교수, 비정년 트랙 전임 교원 제도 등의 등장 배경과 실태를 함께 봐야 한다. 개정 강사법과 시행령의 제정 과정과 법령의 내용도 상세하게 살펴야 한다. 강사법에는 죄가없다. 문제는 기업형 대학에 있다. 착취와 차별에 맞서 분노하고 저항하는 것, 교수와강사를 위한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것, 개정 강사법을 대학에 정착시키는 것, 더 나은 대안을 모색하면서 기업형 대학을 넘어서기 위해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

      • KCI등재

        J대학교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

        임명희(Im Myo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이 연구는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교수자 교육요구에 대한 분석으로 교수자 역량 강화를 통한 대학교육의 질 향상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J대학교 교수 249명의 설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대응표본 t-검정하였다. 그리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교수직급별 교수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직급별 교육요구도 순위를 바탕으로 교수역량의 순위를 알 수 있다. 교육요구 분석 결과 교수역량 1순위는 학생의 동기부여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교수 직급별로 요구하는 역량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교수자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공통적인 교육역량 지원뿐만 아니라 교수자 특성을 고려한 지원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대학특성을 고려한 교수역량 강화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fessors capac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of 249 professors of J University. For data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y and performance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ackage. And through the analysis of Borich 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the priorities of teaching competency by faculty position were deriv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possible to know the ranking of the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he teaching competency recognized by the instructor, and the education demand by pos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the first priority in teaching competency was student motiv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each professor position. Conclusions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support common educational competencies but also to support effor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s.

      • KCI등재

        대학 외국어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

        김현철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종합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four factors- college, course type, teaching method, and teacher status- on the class evaluation of foreign language courses. The course evaluation data of the classes taught by same lecturers using both foreign languages and Korean separately were used. The result show that college has significant effects for some evaluation items. College of Law students expressed low satisfaction to foreign language courses, but medical school students were the opposite. Course type, teaching method, and teacher status have significant effects for several items, also. Refinements on the foreign language course open policy were suggested.

      • The Japanese Academic Profession

        Hwang, Won-gill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8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4 No.1

        일본의 대학은 국가의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메이지유신 이후에 새로운 정부는 젊은이들을 서양문물에 동화시키고, 국가관료로서 훈련시킬 필요가 있었다. 동경대학이나 교토대학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차 세계 대전이후 난립되어 있던 다양한 고등교육기관이 대학으로 승격되면서 대학의 수와 교수들의 수는 급증하였다. 사립대학의 경우에도 자율적인 등록금 결정이나, 기부금이 허용되지 않았으므로 대부분의 대학들은 국가의 재정지원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대학과 교수들은 정부의 간섭을 벗어날 수 없었다. 일본의 대학교수들은 채용과 동시에 종신고용이 된다. 또한 학생들의 대학간 이동은 극히 드물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까지를 받는 것이 관례화 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대학의 역사와 대학과 정부와의 관계, 그리고 대학 기관의 특성에 대해 개관해 보려고 한다. The Japanese university was built by the state to meet certain national aim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e new government had to recruit youth from all over the country assimilate then into western civilization and train them for positions in the bureaucracy. Tokyo University was established to fulfill this function. In modern day Japan, a high level of education has become common among members of the elite. After the-war, all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then became either universities(daigaku) or junior colleges(tanki-daigaku). The universities have graduate schools which are the instruments for research and for training future memb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State remain close. Japanese universities have been controlled and supported by the State directly and indi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