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쟁법상 과징금 부과체계의 원칙과 그 적용 ― 하도급법상 과징금 부과기준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조혜신 ( Hye-shin Cho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울법학 Vol.30 No.4

        본 연구는 경쟁법상 과징금 부과체계의 원칙과 공정거래법 관련 법률들의 비교에 비추어 하도급법상 과징금 부과체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광의의 경쟁법에 있어서 과징금 제도의 완성도를 전반적으로 높여가는 시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법률에서 정하는 과징금 제도간에는 상당한 유사성이 있으며, 보다 정치한 방향으로 수렴되는 경향도 있어 보인다. 동시에 각 법률이 규율하는 대상이 갖는 특수성도 면밀하게 살피면서 전체적으로 다듬어 나가는 과정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 주로 살펴본 하도급법의 경우에도 고유한 성격과 문제의식이 존재하는데, 특히 제12조의3 기술자료 유용행위는 기존의 과징금 산정·부과체계에 따라 그 불법성에 상응하는 제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도급법상 과징금 부과체계가 갖는 두 가지 주요 한계, 즉 (1) 하도급법상 과징금 부과 대상이 되는 법위반행위 31개 중에서 위반금액 기반 정률방식으로 과징금 산정이 가능한 것은 9개에 불과하다는 점, (2) 정액과징금 부과대상인 행위유형들은 유형상 그 불법성이 중대함에도 불구하고 현행 정액과징금의 상한인 10억원 이내에서만 과징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당해 행위의 불법성에 상응할 만큼 충분한 제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행 위반금액 비율을 바탕으로 하는 정률의 방식은 하도급 과징금 부과기준의 원칙이 되기 어려워 보인다. 이를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해 볼 수 있다. 하도급 과징금 산정에 있어서 법위반행위의 실질을 ‘금액’이라는 지표로 환산하기 어려운 행위유형의 경우에도, 정액과징금 방식이 아닌 정률과징금 방식으로 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산정기준이 필요하다. 그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초 개념은 하도급거래에 적합하게 고안된 ‘관련 매출액’ 개념이 될 것이다. 하도급거래의 경우에는 당해 위반행위와 관련된 ‘하도급대금’ 그 자체가 관련 매출액 개념에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12조의3에 대해서 살펴보자면, 제1항, 제2항, 제3항의 경우에는 여전히 정액방식의 과징금이 적절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제4항 위반행위의 경우에는 거래금액 기반의 정률과징금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부당이득 환수의 관점에서 다양한 사정들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다만, 기술자료 유용행위의 중대성과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과 함께 하도급법상 과징금 부과체계 전체의 간명성과 체계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First of all, the primary principle in imposing fines under the Competition Law is that at least unfair profits or more from violations of the law should be imposed. This is a principle derived from the premise that the essence of fines as economic sanctions lies in the recovery of unfair profits. Of course, the recovery of unfair gains is made to some extent through fines, damages, and fines. However, it would be desirable for damages to be mainly focused on remedy, fines to be mainly focused on penalty, and to have a supplementary relationship with fines in terms of recovering unfair gains, in that it is possible for fines to achieve general and special prevention of violations through rapid and effective recovery of unfair gain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necessary to emphasize that fines should be related to violative conduct. This means that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fines and the variables used therein should be reasonably related to the conduct. In other words, the formula itself and the variables that make up the formula should be selected to indicate the illegality of violations of the law as accurately as possible. This second principle can function as a limitation, that 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variables that are less related to the conduct may be selected in order to emphasize sanctions by imposing fines far exceeding unfair profits. The two main limitations of the fines system under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1) Of the 31 violations subject to the fines under the Act, only 9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ixed rate method. (2) Despite the seriousness of the penalty, it is difficult to impose the penalty above 1 billion won. Considering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In the calculation of subcontract fines, even in the case of types of acts that are difficult to convert the substance of violations into an indicator of ‘amount’, a new calculation standard that can needed. The basic concept tha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will be the concept of ‘relevant sales’ designed appropriately for subcontracting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mount of subcontract transactions’ themselves seem to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relevant sales. In particular, looking at Article 12-3, in the case of paragraphs 1, 2, and 3, it will be said that a flat-rate fines is still appropriate. In the case of violation of paragraph 4, even if a fixed rate fines based on the transaction amount are applied, various circumstances must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recovery of unfair gains. However, both aspects need to be kept in mind because it is important to fully consider the importance and specificity of the law and to maintain the simplicity of the entire fines imposition system under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 KCI등재

        과징금의 법적 성격에 대한 시론적 고찰

        조성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8 행정법연구 Vol.- No.55

        Penalty surcharge in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law are new means of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Nevertheless, under the present law,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is ambiguous as monetary sanction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other monetary sanctions is unclear and there are legal problems such as double punishment. In addition, as the mainstream of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is shifted to the modified penalty surcharge that replaces the suspension of business,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tend to change as a means of reducing the disposition of sanctions rather than a means of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For that reason, the penal system will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ans of securing effectiveness.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as monetary sanctions, it should be suggested that so – called punitive damages compensation function should be given to the penalty surcharge.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easy to introduce the punitive damages system in that it is a clash with the traditional damages compensation system despite its functional usefulness. In contrast, if the function of the penalty surcharge is not merely the recapture of unjust enrichment but the function of punitive damages compensation, it can be enhanced as well as the function of modern sanctions against the public interest caused by violation of administrative law. Consequ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penalty surcharg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to enhance its function.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plan is to incorporate the penalty surcharge as a sanction against simply violating administrative laws are integrated into fines. In contrast, it is desirable to institutionalize penalty surcharge as punitive damages for violations of administrative laws that cause harm to the public interest, while in the case of so-called modified fines, it would be desirable to institutionalize them as a means of reducing the suspension of a business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rather than simply replacing a business suspension.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is not a matter of terms and systems, but a need to approach it from a functional perspective that will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실효적이지 못한 행정은 그 자체로 공허한 것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행정에 있어 실효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법적 문제이다. 특히 현대 국가에 있어 법적ㆍ사실적 상황의 복잡성, 이해관계인의 다양성 등은 행정의 실효성 확보를 매우 어렵게 하는바, 종래의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을 대체하고 보완하는 새로운 실효성 확보수단의 등장은 행정법의 새로운 경향 중의 하나이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과징금 제도이다. 그러나 과징금 제도는 비교법적으로 보기 드문 제도인 동시에 그 법적 성격 또한 명확하지 않은 점에서 여러 가지 법적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특히 과징금은 금전적 제재를 본질로 하는 점에서 벌금, 과태료 등과 실질적 유사성을 갖는 점에서 이중처벌의 문제 등의 문제가 제기되는 한편, 과징금의 본래적 기능과 달리 과징금 제도의 주류가 영업정지에 갈음하는 과징금으로 옮겨가면서 과징금은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이라기 보다는 제재처분의 감경 수단으로 변질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문제점들은 과징금의 본래적 제도적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바, 따라서 과징금에 대한 법적 성격 및 기능을 명확히 하여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으로서의 그 본질적 의의와 기능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제도적 개선의 방향성으로 본 고에서는 다른 전통적인 실효성 확보수단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는 한편, 금전적 제재로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과징금에 소위 징벌적 손해배상적 기능을 부여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그 기능적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손해배상체계와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도입이 쉽지 않은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이에 비해 공법상의 제도인 과징금에는 그러한 제한이 없을뿐더러, 과징금의 본질과 기능을 단순히 불법적인 경제적 이익의 환수를 넘어 징벌적 손해배상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경우, 행정법규 위반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익상의 피해에 대한 전보적 기능과 더불어 현대형 제재수단으로서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과징금 제도의 개선에 있어서는 과징금의 유형에 따른 제도적 기능의 고려가 필요한바, 일반적인 과징금으로서 단순히 행정법규 위반에 대한 제재인 경우 과태료로 통합하여 제도화하고, 이에 비해 공익상 피해를 수반하는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징벌적 손해배상으로서의 과징금을 제도화하는 한편, 소위 변형된 과징금의 경우에는 단순히 영업정지에 갈음하는 형태가 아니라, 영업정지처분을 감경하는 형태로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법제도의 개선은 용어와 체계의 문제가 아니라 제도의 실효성을 위한 기능적 개선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행정상 과징금제도에 관한 연구 - 환경법상 과징금을 중심으로 -

        최철호 한국토지공법학회 2022 土地公法硏究 Vol.99 No.-

        Abstract In Korea, the penalty system was first stipulated i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Monopoly Prohibition Act) in December 1980, but the definition of penalty is not immediately defined. Penalties have been stipulated as necessary in individual laws such as the Antimonopoly Act, but the concept was stipulated as a general provision 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which takes effect on March 23, 2021. Penalties are imposed as sanctions on persons who violate their obligations under laws and regulations (Article 28, Paragraph 1 of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which is a monetary san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Article 28 (1) of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and Article 8 of the Antimonopoly Act and the aforementioned theory, fines are imposed as "administrative sanctions" to deprive illegal profits acquired due to violations of obligations under economic laws, not the type of punish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bine fines and punishment. Penalty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mainly in the field of economic law, but recently, legislation using the penalty system is expand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law. In other words, if it violates the laws of the environmental law, it should be suspended, but instead of continuing the business without suspending the business due to the public interest of the business, the penalty system is used. In this paper, the general theory of the penalty system as administrative sanctions is reviewed, and based on this, the contents, types,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of the penalty prescribed in the environmental law ar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intend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fines stipulated in individual laws in the environment sector by type, subject to imposition, imposition and collection procedures,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fines, and establish a system dedicated to fines and civil servants. 국문초록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 12월에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독점금지법)에 과징금제도가 최초로 규정되었지만 과징금의 정의를 바로 규정한 것은 아니다. 과징금은 독점금지법 등 개별법령에서 필요에 따라 규정되어 오다가 2021년 3월 23일부터 시행되는 행정기본법에 일반조항으로서 그 개념이 규정되었다. 과징금은 법령 등에 따른 의무를 위반한 자에게 그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로서 부과하는 것(행정기본법 제28조 제1항)으로서 금전상의 제재금에 해당한다. 행정기본법 제28조 제1항과 독점금지법 제8조에 따르면 과징금은 경제법령상 의무위반행위로 인하여 취득한 불법적 이익을 박탈하기 위하여 그 이익의 일정한 금액을 ‘행정적 제재금’으로서 부과하는 것이지 형벌의 종류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징금과 형벌의 병과는 가능하다. 과징금이 경제법에서 비롯하여 주로 경제법 분야에서 도입되어 시행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환경법 등의 분야에서도 과징금제도를 활용하는 입법례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환경법상의 법규를 위반하였을 때 영업정지처분을 내려야 하지만 해당 사업의 공익성을 이유로 영업정지처분을 하지 않고 사업을 계속하게 하는 대신 사업을 계속함으로써 얻는 경제적 이익을 박탈 내지 환수하는 제도로서 과징금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제재금으로서의 과징금제도의 일반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관련법에 규정된 과징금의 내용과 종류 및 입법적 개선사항을 고찰한다. 즉 환경분야 개별법률에서 규정된 과징금을 유형별, 부과대상별, 부과기준, 부과절차 등에 관하여 조사 및 분석하여 과징금 상한액 규모, 부과징수절차, 과징금부과징수의 실효성 확보수단, 과징금부과징수 전담기관 및 공무원제도 신설 검토 등과 관련하여 환경분야 과징금 제도의 운영상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EC 경쟁법상 과징금 산정 기준 검토

        이한영,차성민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과기업연구 Vol.9 No.1

        The fine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the Fair Trade Act for the first time. Such fines are a means of ensuring the fulfilment of duties prescribed by law. The calculation of fines under the Fair Trade Act shall take into account the contents, degree, duration, and number of violations, as well as the profits acquired as breaches. However, since it is not easy to calculate a fine in theory or practice,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related to this. However,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reviewed the way the EC Commission and EC courts calculate fines through case studies. The EC Commission shall determine the fine on the basis of its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EC Court has the right to calculate the fine independently, apart from determining the fine by the EC Commission. In addition, the EC Court's ruling indicated that: ① In accordance with the stipulations that a fine or performance levy may be revoked, reduced, or increased, the EC Court may not only attribute the fine, but may also increase the amount of the fine. ② It is also possible to double the amount underlying the calculation of fines, taking into account the size of the entity's sales. ③ The objective of curbing off illegal activities by imposing fines should not be determin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of the operator to which the penalty is imposed. ④ A repeat of a breach is not limited to a repeat of the breach in the same goods market. 과징금은 공정거래법을 통해 우리나라에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법에서 규정한 의무이행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공정거래법상 과징금을 산정함에는 위반행위로 취득한 이익뿐만 아니라, 위반 행위의 내용, 정도, 기간, 횟수 등을 참작하여야한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나 과징금 산정은 쉽지 않기 때문에, 그 동안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이 글은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사례 연구를 통해 EC위원회와 EC법원의 과징금 산정 방식에 대해 검토했다. EC위원회는 EC이사회 규칙 제17호와 동 규칙 제1/2003 호, 과징금의 산정방식에 관한 가이드라인 및 카르텔 사안에서의 과징금의 감면에 관한고시 등을 근거로 과징금을 산정한다. 그리고 EC법원은 EC위원회가 결정한 과징금액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과징금을 재산정할 권한을 가진다. 또한 EC법원의 판결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① EC법원은 부과된과징금 또는 이행 강제금을 파기하고, 감액하고, 또는 증액할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EC위원회가 부과한 과징금을 재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징금액을 증액할 수도있다. ② 위법행위의 충분한 억제효과라는 관점에서 해당 사업자의 매출에 의한 기업규모를 고려하여, 과징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금액을 2배로 상향하는 것도 가능하다. ③ 과징금 부과에 의해 위법행위를 억제한다는 목적은 EC나 EEA에서 사업자에게 경쟁법을준수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과징금의 위법행위의 억제효과를 가져올지 아닐지를 과징금이 부과되는 사업자의 개별적인 상황만을 기준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④ 위반행위의 반복은 위반행위가 동일한 상품시장에서 반복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 과징금제도의 공법적 검토

        강주영 한국재정법학회 2021 재정법연구 Vol.4 No.-

        과징금은, 법규위반행위로 인한 경제적 이익의 환수를 내용으로 하는 행정적 제재에 해당한다는 것이 과징금을 주 연구대상으로 삼는 공법학계와 경제법학계의 입장으로 파악된다. 즉, 과징금은 대체로 경제적 이익 환수(부당이득 환수)의 성격과 행정제재적 성격 모두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입법실무에 있어서는 과징금의 도입취지와 효과에 따라 경제적 이익환수형 과징금과 영업정지 대체 과징금 그리고 순수한 금전적 제재로서의 과징금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경제적 이익환수형 과징금을 부당이득 환수형 과징금 또는 전형적 과징금으로 부르기도 하며, 영업정지 대체 과징금은 비전형적 과징금으로 부르기도 한다. 또한 과징금 부과의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총매출액을 대상으로 하는 유형과 위반행위 관련 매출액을 대상으로 하는 유형 그리고 순수한 부당이득 환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유형의 과징금에 있어서도, 과징금 제도 자체가 내재적으로 가지는 함의는 법령위반 사업자가 취득한 부당한 이득을 환수함과 동시에 금전 제재로서의 역할을 통한 법령위반행위의 억제에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징금의 법제도적 취지를 잘 살리기 위해서는 규율하고자 하는 관련 사업의 특성과 위반 행위 및 사업자의 성격을 면밀히 분석할 것이 선제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understood from the positions of public and economic law circles that the penalty surcharges are subject to major research that they correspond to administrative sanctions that include the recovery of economic profits from violations of the law. In other words, fines are generally understood to have both the nature of recovering economic benefits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However, in legislative practice, the penalty surcharge may be classified as a economic profit-recovery penalty surcharge, an alternative business suspension penalty and a pure monetary san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effect of introducing the penalty. Economic profit-recovery penalty surcharge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unjust profitrecovery penalty surcharges or typical penalty surcharge, and alternative penalty surcharges for business suspension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non-typical penalty surcharges. However, in any type of penalty surcharge, the implication of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itself is that it recovers the unjust enrichment acquired by the violator of the law and suppresses the violation of the law through the role of monetary sanctions.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e legal purpose of the penalty surcharges, it would be necessary to carefully analyze the nature of the relevant businesses and the nature of the operators to be disciplined.

      • KCI등재

        부동산실명법상 과징금에 관한 판례 분석

        이윤정(Yoon Jung, Lee)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江原法學 Vol.46 No.-

        부동산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이 1995년 제정되어 시행된 지 약 10년이 되었다. 이 법의 제정 이전에는 우리 대법원의 판례를 통해 부동산 명의신탁의 유효성이 인정되었고, 일련의 판례를 통해 ‘대내적 소유권과 대외적 소유권의 분리’라는 명의신탁의 법리가 정립되어 왔다. 경제호황과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타고 조세를 포탈하거나 토지에 관한 각종 공법적 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탈법적 수단으로 부동산명의신탁이 악용되어 그 폐단이 극에 달하자 부동산 명의신탁을 실효적으로 규제하기 위하여 위 법이 제정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제정된 부동산실명법은 부동산에 관한 명의신탁등기를 원칙적으로 전면 금지하고, 실명등기 의무를 위반한 자에 대한 제재로 행정제재인 과징금, 이행강제금에 더하여 형사제재인 벌금 등도 규정하고 있고 나아가 부동산 명의신탁을 실효적으로 근절하기 위해 명의신탁약정 및 이에 따라 행하여진 등기에 의한 부동산의 물권변동의 사법상의 효력까지도 부인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부동산실명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지 10년이 지나면서 경제상황에 큰 변화가 있었다. 경기가 나빠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차갑게 얼어붙은 것이다. 한편 적지 않은 액수의 과징금에 대하여 이처럼 강력하게 부동산 명의신탁을 억제하고 있는 부동산실명법이 벌써 10년 가량 시행되어 왔음에도 종래에 오랫동안 명의신탁을 유효한 것으로 인식하고 쉽게 접하여 온 일반인들의 법의식이 바뀌기는 쉽지 않았는지 부동산실명법 위반자의 적발 건수는 줄지 않았다. 이와 함께 이 법의 시행에 따라 부동산 명의신탁행위에 대한 고액의 과징금이 부과되어 오고 이에 대한 행정쟁송이 제기되면서 행정법 영역에서도 부동산실명법과 관련된 많은 판례가 쌓여 왔다. 특히 부동산 명의신탁행위에 대해 형사제재와 별도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것이 이중처벌인지가 문제되어 이에 대해 이중처벌이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결이 있었고, 그 외에도 과징금의 부과대상이나 감액여부, 과징금 부과의 제척기간, 과징금의 상속 등 여러 쟁점에 관한 판례가 나왔으나 여전히 이 법 상의 과징금의 성격과 부과 요건 및 절차에 대하여서는 명쾌하게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부동산실명법에 따라 부과된 과징금과 관련한 판례들을 분석하여 문제가 되었던 쟁점들을 부동산실명법상 과징금의 성격을 어떻게 볼 것인지의 문제와 함께 검토하고 이를 통해 현 경제상황에 맞으면서도 부동산실명법의 입법취지를 살릴 수 있는 과징금 제도의 정립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The Real Estate Real Name Registration Act has been enforced for about 10 years. Before the law was to be enacted, Supreme Court had taken recognition for validity of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through a series of Judicial precedents and established the legal principles- ‘Separate Internally Ownership from External Ownership’. However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was wrongfully used as a evasion of taxes or a way to avoid the various legal regulations on land in accordance with overheating of the economy and real estate market boom and consequently this law was enacted in order to regulate the harmful effects of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The Real Estate Real Name Registration Act bans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totally and imposed a penalty as Fines criminal penalties and surcharge as administrative sanctions. Also it denies a effect of a agreement of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and a registration on by that agreement to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in order to effectively eradicate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But after then, economic situation was getting worse and the real estate market was freezing.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consciousness of the prohibition on Title Trust upon a Real Estate does not change easilly. So cases have been piled up and precedents on administrative law on this issue accumulated. Especiall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surcharge of this law did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double jeopardy prohibition and many judicial precedents on issue of the surcharge"s targets, adjustment by the reduction of amount, expiration date of surcharge came out. e out. Still, the nature and requirements of the surcharge are not established clearly. Through the analysis of judicial precedents on penalty surcharge in the real estate real name registration act, It is expected that surcharge Suited to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and letting out the legislative intent of this law can be established.

      • KCI등재

        소비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관리법의 과징금 제도 개선 논의

        홍선기,이경애 유럽헌법학회 2023 유럽헌법연구 Vol.- No.43

        자동차관리법상의 과징금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피해를 원인으로 하여 발생한 국가의 수입이다. 따라서 과징금은 피해자인 소비자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과징금을 일반회계로 편입하면 국고로 귀속되어 특정용도 목적으로 지출될 수 없다. 그래서 과징금을 특별회계나 특정기금으로 편입시켜 소비자 피해보상이라는 특정용도 목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과징금을 미국의 페어펀드처럼 기금으로 편성하는 방안은 소비자 보호 방안으로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로는 첫째, 과징금을 기금으로 편성하는 위해서는 국가재정법상 별표 1 혹은 별표 2의 개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금으로 편성할 경우에 재원이 불투명하게 사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셋째, 기금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자금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오히려 과도한 과징금 징수가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과징금을 기금으로 귀속시키기 보다는 아예 특별회계를 편성하여 자동차관리법에서 과징금의 용도를 제안하는 방법이 과징금을 법의 근본적 취지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과징금을 일반회계로 편입시켜 피해자와 무관한 곳에 사용하기보다는 과징금의 용도를 소비자 보호로 제한하는 입법의 방식이 과징금을 더욱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법일 것이다. Fines under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are ultimately the government's revenue generated due to damage to consumers.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fines be used for the benefit of consumers who are victims. However, if the fine is transferred to the general account, it is transferred to the national treasury and cannot be spent for a specific purpo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plan to transfer the fine to a special account or a specific fund and use it for a specific purpose, such as compensating for consumer damage.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ransferring fines to a fund like the Fair Fund in the United States will be difficult as a consumer protection measure. The reason is that, first, in order to revert the fine to the fund, amendments to Schedule 1 or Schedule 2 of the National Finance Act must be made. Second, the possibility that the financial resources will be used in an opaque way cannot be ruled out if they are transferred to the fund. Third, since a certain level of funds must be maintained in order to operate the fund, excessive fines may be collected for this purpose. For this reason, restricting the use of fines in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by organizing a special account rather than transferring the fines to the fund could be a good way to utilize the fines in accordance with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law. A more appropriate way to use fines would be to legislate to limit the use of fines to consumer protection rather than transferring fines to general accounting and using them for purposes unrelated to the victim.

      • KCI등재후보

        공정거래법상 과징금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보현(Kim Bo-Hyun),신영근(Sin Young-Geu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16 No.2

        현재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많은 사업자들의 부당한 공동행위 및 불공정한 거래행위 등을 적발하여 과징금을 부과하고 있지만, 과징금의 부과 산정기준, 징수절차, 불복절차 등이 명확하게 마련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행 과징금제도의 운용실태를 파악하고 외국의 입법례를 비교ㆍ검토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실효성 있는 제도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나라 과징금제도의 현황을 파악한 결과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법한 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처분과 형사처벌을 부과한다는 이중처벌의 문제이다. 둘째, 과징금 부과여부 판단과 과징금 산정에 있어 재량의 문제이다. 셋째, 과징금 부과여부 결정기준에 관한 추상성과 산정기준이 미비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과징금 제도의 효율화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처벌 문제는 과징금과 형벌의 병과가 가능한 법 위반행위에 대해 두 제재의 병과를 금지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공정거래위원회의 재량권 남용을 통제하기 위하여 과징금 부과여부와 관련한 실질적인 요건을 재정비하고 사법심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정거래위원회는 사건별로 유형화된 명확한 기준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하여야 하며, 과징금제도와 관련한 시행령 및 과징금 고시를 보다 신중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과징금제도는 국민들의 편의를 위해 있는 것이므로 국민과 사업자의 입장을 우선 고려하여 변화시켜야 하고, 무분별한 남용은 지양하고 보다 신중한 운용이 필요할 것이다. Korea introduced surcharges system as regulatory means for taking away the fraudulent pains from those who violated obligation i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However, the current surcharges system has characteristic of the sanction of law violators and guarantee of oblig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sanction, not means for depriving the fraudulent pains. Also it is a real situation that the surcharges system is currently introduced thoughtlessly without critical review and is abused. This study considered the actual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surcharges system, and reviewed the improvement for developing as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system by comparing and reviewing case in the foreign countries. First of all, the significance and legal character of the surcharges system i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was understood,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surcharges system and the actual operation state of our current surcharges system were examined. The improvement of the surcharges system was sought by reviewing the system of Japan, European Union similar to our current surcharges system. Our system of surcharges system i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was considered through the substantial and procedural approaches, and the problems accompanied with this were examined. It is clear that the surcharges system i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is effective, but indiscreet extension causes a lot of problems. The improvement was sought to be settled down as the most desired system for both the fellow countrymen and businessmen by operating the surcharges system where it is needed.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의 활용에 관한 연구

        노윤경,오병철 한국정보법학회 2020 정보법학 Vol.24 No.3

        The penalty surcharges that are impos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set at higher amounts,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ly enforced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of the EU. However the government acquires revenue that is generated from damages caused to data subjects, it is questionable whether penalty surcharges are being put to appropriate use, as intend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is is because they belong to national funds and are used in matters that are unrelated to the redress of victims 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uilding on such critical awareness,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plan that utilizes the collected penalty surcharges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suit the legal purpose. Penalty surcharges are designed to retrieve the disgorgement of unlawful profits that occurred through violations therefore the funds collected should be spent on behalf of those data subjects who were victimized or they should be us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s intended by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law. As its research, this paper first surveys the system of penalty surcharges in South Korea. Thereafter, it examines the system of penalty surcharge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penalty surcharges imposed thus far on viola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South Korea, and the relevant instances of regulation for viola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Japan and in the GDPR of the EU. By exploring how the appropriate use of the penalty surcharges are conducted, this study examines special accounts or special funds in which penalty surcharges are imputed, and the uses of examples that are limited to particular purposes by law. Thereafter, the study analyzes legal characteristics of penalty surcharge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find the appropriate use for penalty surcharges of this law. Based on such research, it is drawn that the most appropriate way forward is to specify the specific uses of the penalty surcharge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gislature insert in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 provision that limits the use of the penalty surcharges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subsidize the redress for damage, the victim’s litigation over breache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education and promo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o finance the training of personnel and the expansion of faciliti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은 최근 시행된 EU의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의 기준에 맞추어 보다 높은 수준으로 그 액수를 상향하여 위반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징금이 정보주체의 피해를 원인으로 하여 얻어지는 수익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국고로 귀속되어 피해자의 구제나 개인정보보호와 무관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과징금이 개인정보보호법의 근본 취지에 알맞은 용도로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이 법의 취지에적합한 용도로 활용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징금이 위반행위에 대한부당이득환수의 성격을 갖는다면 그렇게 환수된 자금은 국가가 아니라 피해자인 정보주체를 위하여 활용되거나 법의 취지에 맞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과징금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고,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 제도, 개인정보보호 위반에 대한 국내의 과징금 부과현황, 그리고해외의 개인정보보호 위반에 대한 규제의 예로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 및 EU의GDPR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 후 과징금의 적절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과징금이 특별회계 혹은 기금으로 귀속되는 활용사례와 법률에 용도를 제한하는 규정을두고 활용하는 사례들을 살펴본 후, 개인정보보호법상 과징금의 법적 성격을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앞선 활용 유형에 대입하여 검토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개인정보보호법에 과징금의 용도를 한정하여 규정하는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한바, 피해구제를 위한 손해 지원금,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자의 소송 지원금,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교육 및 홍보 자금,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인력의 육성 및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업 등에 한정하여 과징금이 사용되도록 하는 규정을 개인정보보호법에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김상태,조영기 한국법정책학회 2017 법과 정책연구 Vol.17 No.4

        Under the current Game Industry Promotion Act (the “Act”), there are provisions with regard to the penalty surcharge, and detailed standards for imposition of the penalty surcharge are prescribed under the foregoing provisions. However, as illegal acts, subject to the imposition of the penalty surcharge, are limited and the maximum amount of the penalty surcharge is KRW 20 million, such provisions have failed to fully function as sanctions corresponding to the liability for the illegal acts.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it is required to (i) identify the problems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prescribed under the Act has and (ii) seek measures to improve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in order to make it reflect the reality and promote its appli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following key matters. At first, the fact that the penalty surcharge specified under the Act is the one substituting the business suspension disposition, i.e. the modified penalty surcharge, has significant meaning in discussing the standards for the imposition. Since the general penalty surcharge is imposed separately from other administrative disposition,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purpose of suppressing the illegal acts. Meanwhile, through the business suspension disposition, the modified penalty surcharge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the suppression of the illegal acts because it is an alternative to supplement disadvantages of the business suspension disposition while maintaining advantages thereof.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the modified penalty surcharge were clearly defined prior to the presentation of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under the Act. Second,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under the Act,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under the current Act. In this regard, the structure of provisions related to the penalty surcharge, and the subjects and imposition standards of the penalty surcharge under the current Act were examined. The examination was performed with a focus on whether the penalty surcharge imposed per violation of liabilities similar to each other under the current Act is reasonable and whether the amount of the penalty surcharge is appropriate given the period of business suspension. Third, based on the clear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purposes and regulation system of the penalty surcharge system prescribed under the Act, issues concerning the penalty surcharge, including the subjects, requirements for imposition, criteria for determination, calculation method, and adjustment of the penalty surcharge under the Act, were analyzed in light of other laws and judicial precedent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also presented. 현행 게임산업법에서는 과징금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고, 동 규정에 의하여 과징금 부과기준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을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과징금 대상이 되는 위법행위가 제한적이며 과징금의 최대 상한이 2천만원으로 제한되어 있는 등 위법 책임에 상응하는 제재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현 시점에서 게임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과징금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과징금제도의 현실화・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게임산업법에서 규정한 과징금이 영업정지처분에 갈음하는 과징금, 변형된 과징금이라는 점은 그 부과기준 제정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형적 과징금은 다른 행정처분과 독립적으로 부과되기 때문에 법위반행위의 억제 목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만, 변형된 과징금은 영업정지처분을 선택할 경우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단점을 보완하는 대체수단이기 때문에 영업정지처분이 지향하는 목적을 통하여 법위반행위의 억제 목적과 간접적으로 관련된다. 따라서 게임산업법상 과징금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변형된 과징금제도의 성격과 취지 등을 명확히 구명하였다. 둘째,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현행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현행 게임산업법령상의 과징금 관련 규정체계, 과징금 대상, 과징금 부과 기준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현행 법령상 유사 의무 위반사항별 과징금 부과금액 간 합리적인지, 영업정지기간 대비 과징금 금액이 적정한지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셋째, 게임산업법에 규정된 과징금 제도의 성격과 취지, 규제체계를 명확히 규명한 바탕 위에서, 게임산업법상 과징금 부과 대상, 과징금 부과 요건, 과징금 부과시 산정기준, 과징금 조정 등 과징금 관련 쟁점을 타법 및 판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향후 행정목적의 실효성 확보 수단으로서 과징금제도가 적절하게 활용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여기서 제시되는 게임산업법상의 과징금제도 개선방안은 과징금 부과 여부를 결정하고 과징금의 수준을 선택하는 데 실질적인 준거 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