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습 지원 전략으로서 국어과 과정중심평가 방안

        박창균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2 No.-

        This study considers the core mechanism of process-based assessment as learning, and seeks a process-based assessment plan to support students' Korean language learning. Therefore, through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the change in the status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reviewed, and the direction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in the Korean language was sought.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of the Korean language process-based assessment eventually resulted in ‘learning’.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learning support was defined as a strategic process that encompassed both the ‘how to help learning through assessment’ and ‘the way that assessment is learning'. And the method of Korean language process-based assessment for learning support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equence of assess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Second, assessment should be made i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Third, the self-assessment of the learning subject must be actively utilized. Fourth, formative assessment that focuses on the learning process should be strengthened. Fifth, it is necessary to be flexible in recording assessment results. Six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feedback for subsequent learning. 이 연구는 과정중심평가의 핵심 기제를 학습으로 보고, 학생들의 국어 학습을 지원하기 위 한 과정중심평가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먼저 과정중심평가는 기존의 수행평가와 어떻게 다른 지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서 위상을 검토하고, 2015 교육과정에서 국어과 과정중심평 가의 지향점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과정중심평가는 결국 ‘학습’으로 귀결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 지원은 학습을 위한 평가와 학습으로서 평가를 모두 포괄 하는 전략적인 과정으로 규정하고, 학습 지원을 위한 국어과 과정중심평가의 방안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평가의 계열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교 수․학습 맥락 속에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습 주체의 자기평가를 적극적으로 활 용해야 한다. 넷째, 학습 과정에 초점을 둔 형성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평가 결과 기록 에 유연해야 한다. 여섯째, 후속 학습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및 적용 : 제7차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1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 확장에 따른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는 앞으로 전개될 세계 각국의 지식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지식이 사회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어떤 교육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우리의 절실한 교육 과업이다.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의 가치가 사회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이미 실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기존의 암기와 재생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으로는 더 이상 지식의 구성과 창출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를 바탕으로 한 학생중심 교육과정의 추구를 변화의 핵심으로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교육법규에 의거하여 고시한 국가 수준의 ‘기준’임을 명시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과정,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교원․학생․학부모가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라는 성격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1999). 따라서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 학습력 향상, 특기․적성 교육의 강화, 외국어 교육의 강화, 학교교육의 자율성 확대와 다양화 등을 교육과정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validity of contents selected was examined in the light of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conten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referred to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characteriz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students\ elective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nation\ s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students\ needs. In additio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hould accept some aspects of curricular adopted after liberation. That is, subject-centered curriculum,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humanistic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areas and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contents selection criteria were inferred from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are as follows: First,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consistency). Second, the contents should be within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but the contents should be challengeable in some degree(learning ability). Third, the contents should have relevance for the learners\ needs, interests and real life(reality). Forth, the contents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futurities). Fifth,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knowledge should be facilitated by the contents(creativ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criteria for contents selection, the analy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to performed. As a result of this study, \ the consistency with the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 , \ the learning ability and basic skill knowledge\ , \ the relevance to the learners\ needs and reality\ and \ the appropriateness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re in some degree appli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on of creativity is not fully reflec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 - 특성화 Ⅲ유형 최우수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강인주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구 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체 특성화 전문대학생이며 목표 모집단은 특성화 전 문대학육성사업(Ⅲ유형)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은 2개의 전문대학 재학생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목표 모집단을 대상으로 1주일 간 진행하였으며, 각 대학의 전공 계열별 모집정원 비율을 고려하여 총 300명을 비율표집한 후, 회수된 26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고용가능성(구직능력, 구직 자신감, 노동수요 인식, 취업 기대수준 조정), 현장중심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실용성, 교육과정의 유용 성, 학습전이 기회제공), 학습몰입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 도가 모두 양호하여 변인 간의 인과관계는 타당하게 예측되었다. 둘째, 특성화 전문대학의 현장중심 교 육과정과 학습몰입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과정 운영의 체제이론인 투입-과정-산출의 관점에서 투입 요소인 현장중심 교육과정은 학습몰입을 더욱 더 촉진시키고, 결과적으로 학습의 성과인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특성화 전문대학육성사업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하 는 실용성과 유용성을 갖추고 실무에 활용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스펙보다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제 직무능력의 완성도가 높은 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and learning engagement of specialized college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students of specialized colleges and target population was two best college students in type Ⅲ. With the ratio sampling methods, 300 undergraduates were drawn from this target population. Among the samples, 260 response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learning engage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and learning engagement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Second, field based curriculum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and learning engagement also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based curriculum and employ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learning engagement.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Employability development process was not a simple relationship from the input(field based curriculum) to output(employability), but complicated relationships from input(field based curriculum) to process(learning engagement) and finally to output(employability). Learning engagement was essential in the process from field based curriculum to employability. So specialized colleges must develop the field based curriculum and made the proper intervention for improving learning engagement.

      • KCI등재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평가 - 중학교 가정과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최성연,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lesson plans applying to the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focused on the unit 'Nutrition & Meal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from the 72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gju after implementing the instruction.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objectives of practical problem-based 'Nutrition & Meals'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 strategy wer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and health in an adolescent period and to develop good eating habits. The Practical Problem was 'What should I do for good eating habits?' a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healthy life, the kinds and functions of nutriments, food pyramid and a food guide.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progressed by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luding 8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 strategy.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model. 6 periods of lesson plans and worksheets were developed. Second,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were evaluated to increase students' positive learning attitudes, motivation, and good eating habi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eller의 수업 설계 과정에 따라 수업을 정의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수업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업 정의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목표와 내용 단어를 추출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실천적 문제를 규정하였다. 둘째,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연구를 토대로 하여 12종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12종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다중지능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과정에 개념이해 과정을 추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하였다. 둘째, Armstrong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차시별로 8가지 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과정에 투입하였다. 교수ㆍ학습 과정안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ㆍ학습 자료와 참고자료를 선정하여 총 6차시의 교수ㆍ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4, 5차시의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청주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ㆍ여 2개 학급 72명에게 2시간씩 시연한 후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의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과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식사습관을 실천할 수 있다’이다. 실천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고, 학습 내용은 건강한 생활, 영양소의 종류 및 기능, 청소년의 영양 문제, 식품 구성탑, 식사 구성안이며, 학습 활동은 8가지 다중지능 영역을 골고루 포함한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진행된다. 둘째, 개발한 교수ㆍ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흐름에 따라서 도입(생각열기, 지난 수업 내용 확인, 학습목표 제시), 전개(실천문제 규정, 개념 이해, 사회ㆍ문화적 맥락 이해, 목표 설정 및 대안 탐색, 대안 실행 결과 예측, 수업 내용 정리 및 생각 넓히기), 정리(성취확인학습, 적용 및 일반화 유도,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이 수업 과정에 차시별로 8가지 다중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에 따라 활동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활동은 언어지능 활용 방법 10개, 논리수학지능 활용방법 7개, 시각공간지능 활용 방법 9개, 음악지능 활용 방법 10개, 신체운동지능 활용 방법 6개, 대인관계지능 활용 방법 10개, 개인내적지능 활용 방법 7개, 자연탐구 지능 활용 방법 6개로, 총 65개이다. 셋째,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평가 결과, 적극적 수업 태도를 함양하고, 학습 동기 유발, 학습내용 이해, 학습내용 암기, 실제 생활에 적용, 그리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

      • 보편적 학습설계 분석을 통한 과정중심평가 구현 방안

        조호제(Hoje Jo), 김혜숙(Hyesook Kim)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과정중심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과정중심평가를 계획(수업 전)하고, 실천(수업 중)하며, 평가(수업 후)하는 일련의 구현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기준에서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기준을 살펴보고,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영역별 교수‧학습전략 틀을 바탕으로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 4가지 관점에서 교수‧학습전략을 제시하여 과정중심평가의 구현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표 설정에서 교사는 목표를 학습자 수준에 맞게 설정해야 하고, 목표의 수준별 다양화를 통해 학습자는 차별화된 학습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내용 선정은 목표와의 일관성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선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학습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방법 선정은 학습 내용에 적절한 수업 모형을 적용하되 학습 내용에 대한 수정이나 변경, 개선이 언제든지 가능해야 하고,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평가 선정에서는 다양한 과정중심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적절한 평가를 하고,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며, 교사도 평가결과를 통해 자신의 교수‧학습을 반성하고 교수학습설계를 수정할 수 있다. 보편적 학습설계는 과정중심평가를 계획, 실천, 평가하는 전 과정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기준에는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각 단계별 지침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위해 교사가 고려할 점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시하고 있다. 목표, 내용, 방법, 평가는 상호배타적 개념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 일관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i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planning (before class), practicing (during class) and evaluating (after class). To this end, the standards associated with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 the 2015 revised general guidelines for school curriculum are reviewed, and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terms of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are provided based on the teaching & learning strategy frameworks by domain based on the UDL. Teachers should set the goals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select differentiated learning content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goals by level. Considering 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 and the goal, various levels of learning cont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can reach his/her selected goal. When selecting the method, it should be possible to change, modify or improve the learning content while applying an appropriate teaching model for the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for the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and attaining the goal set by the learner. When selecting the evaluation, the appropriate evaluation for the goal set by the learner is evaluated by utilizing various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s. The learner can have an opportunity to modify and improve the learned content through the teacher’s feedback, and the teacher can reflect on his/her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and modify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The UDL provides many suggestion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2015 revised general guidelines for school curriculum provide what the teacher should consider and how the teacher should do for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 each step of goals,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he goals,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should be consistently established by being closely correlated and not mutually exclusive.

      • KCI등재

        교사 학습 공동체의 과정중심 평가도구 검토 사례 분석

        신보미,이경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광역시 소재 중・고등학교 교사들로 구성된 학습 공동체가 공동체의 일원에 의해 개발된 과정중심 평가도구를 검토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 전문성 제고에 교사 학습 공동체가 갖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관련 선행연구를 확인하여 교사 학습 공동체의 과정중심 평가도구 검토 활동을 분석하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는 준거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분석 준거에 비추어 교사 학습 공동체가 과정중심 평가도구를 검토하는 과정의 논의에서 드러난 특징을 기술하였으며 이로부터 교사들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 개발과 관련하여 교사 학습 공동체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which emerged while secondary teachers consisting of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discussed a instrument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aim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was to deduce implications in terms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as the means which would enhance teachers’ capacity to implement process-focused assessment.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firstl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order to identify essential issues to analyze the teachers’ discussion about the assessment instrument i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probed the discussion process in the light of the framework descriptors from the issues.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discussion while teacher’s examining the instrument in the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s a result. This study raised several suggestion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related to teachers’ implementing mathematics process-focused assessment.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체험학습의 활성화 조건 탐색

        이광우,김수동 한국교육방법학회 2004 교육방법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한 방안으로서 체험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특성 및 체험학습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체험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을 제안하였다. 먼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을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체험학습 관련 이론에서는 1900년대 이전의 실물교육론, 1900년대 전후의 경험이론과 활동중심 교육 및 1980년대 전후의 구성주의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체험학습의 실제에서는 우리나라의 체험학습과 외국의 체험학습을 개관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체험중심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체험학습의 운영,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체험학습의 기회 및 장소의 다양화, 생활중심 체험교육의 활성화, 체험학습 운영을 위한 재정적 지원,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이 전제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conditions activating the experiential learning as a strategy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Such conditions are proposed through discussion on the character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theory and practice of experiential learning. First of all, the characters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re reviewed in diversity. And theory of experiential learning includes real object education theory, experiential theory and activity curricular, and constructiv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to it, in the practice of experiential learning, domestic and foreign experiential learning are search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needed to manage effectively experiential learning: the oper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in relation to curriculum,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positive participation and attention of related persons, diversification of opportunity and place in experiential learning, activating experiential learning in real life, support of public finance, and concept transformation on experiential learning.

      • KCI등재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TQM 적용가능성 논의

        권동택(Kwon, Dongtaik),이주영(Yi, Juyeong),이정표(Lee,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중심교육과정은 목적, 내용, 방법, 평가, 운영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교육 대상인 학습자의 결과 향상과 과정 만족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학교중심교육과정은 그 개발부터 실행과 산출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질 관리(quality management) 를 요구한다. 그러나 지금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결과 차원에서 다루어진 경향이 있다. 학교교육에서의 ‘질 은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성취와 만족을 통해 드러나는데, 이때 TQM은 공급자와 수요자 각각의 ‘질 향상과 만족’이라는 조직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 조직 구성원 모두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한 계속적인 개선 과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물론 TQM을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에 적용하는 문제는 그 가능성뿐만 아니라 한계를 동시에 갖고 있으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시사를 줄 수 있다. TQM의 교육과정 이행의 ‘맥락성’, ‘지속적인 개선’,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지향성’ 등은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철학적 토대로 서 작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availability of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for the quality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a comprehensive plan on objective,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management. It s meaning is given in terms of process satisfaction and result improvement of the learner. Thus,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mands the quality management on the entire process from it s development to implementation and output. But, until now,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ends to treat aspect of result.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reveals learner 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at want to be educated. Thus, The TQM in school organization first must consider student as educative recipient. And this demands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dedication, total involve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members and the effort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etc. An application of TQM to the school-based curriculum has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Nevertheless, It offers a various implications about the quality of school-based curriculum. TQM can operate as a philosophical base for context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tinuous improvement , orient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etc.

      •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분석 및 적용 방안 탐색

        김순남 ( Kim Soonn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이 연구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과정 및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 분석, 현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문제점 분석,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 정립 및 적용 방안 제안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고찰과 현장 방문을 통한 교원 면담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와 수행평가 및 형성평가를 차별화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개념 요소를 설정하였다.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는 학생의 학습 과정을 직접 평가, 수업 내 평가로서 수업에서 학생 활동을 포함한 수업 모델과 연계한 평가, 학생의 학습 성장 정도를 알 수 있는 평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과정 중심 평가를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으로 과정과 결과의 연속선상 적용 방안, 학생 학습 과정, 수업, 평가 연계 방안, 4세대 평가방법 통합적 평가 방안, 과정 중심 평가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which was applying to Korean school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reviews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overall analysis of the 2015 Curriculum,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and core element and application proposal of the assessment. The process-based assessment has the following three core elements. In detail, the assessment has to consider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econd,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hould be tested by class situation, Third, the process should provide the growth process of student learning. Lastly I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is evaluation : continuous application method of process and result, connecting method of student learning process, instruction, evaluation, a new extension assessment model, the integral method which combines the entire previous four generation evaluation model, support system for the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work reduction of teacher.

      •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과정 중심 수업"을 중심으로-

        주서연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6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11 No.-

        目前在中國國內大學里韓語寫作課是以``結果中心敎程``的方法在敎學。這種敎學方法較适用于韓語熟練的學生。然而對于初次接觸韓語的初級學生來講可能會흔難。所以本文的目的在于提出一套适合中國國內大學初級韓語學習者寫作課程的敎學方法。雖然提出的此方法是``過程中心課程``爲基礎,但是此方法幷不與現在韓國國內所使用的``過程中心課程``方法相同。而是考慮了中國國內大學課程實情,從而提出一套适用于初級韓語學習者的寫作敎學模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