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公과 共의 사이에서: ‘작은 共’들의 공공성 가능성의 고찰

        최태현 한국행정학회 2019 韓國行政學報 Vol.53 No.3

        In Korea, the concept of publicness is composed of two elements: “public (公)” and “common (共).” While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publicness has focused on critical reflections on neoliberalism and the state, the discussion has paid more attention to public (“公“) and less to common (“共”). This article explores the potential to expand the discussion of publicness by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of small communities. We propose that the two elements of publicness, “public (公)” and “common (共),” can enrich each other by considering publicness of small groups and communities, which enable ordinary people’s lif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s well as individual freedom. We conclude by proposing a definition of publicness that extends beyond the state. 한국 행정학에서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서 등장한 공공성 논의가 확장되어가는 가운데 이런 시대적 맥락상 공공성의 두 개념요소인 ‘公’과 ‘共’ 가운데 국가 및 가치를 중심으로 한 ‘公’에 대한 논의에 비해 사람들의 관계인 ‘共’의 의미에 대한 논의는 미진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사회과학에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사람들의 삶에 착근된 좀더 작은 사회 단위-‘작은 共’-가 구현하는 공공성의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공성의 정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공공성 개념에서 ‘公’과 ‘共’의 상호구성성을 이해할 때 우리는 ‘公’과 ‘共’의 연결이 내포한 풍부한 이론적 가능성들을 확인할 수 있음을 우선 제시하였다. 그리고 ‘작은 共’이 구현하는 공공성의 가능성을 인간의 실존적 삶, 정치적 참여, 그리고 개인의 자유의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공공성에 대한 수정된 정의와 이에 따른 국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전통춤과 창작춤 공연명을 통해 본 인식세계 탐구

        백재화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3

        무대 중심의 개인이나 단체의 공연에 있어서, 공연제목은 일정한 틀과 의식의 규격 이 보여 진다. 그 이유는 단체별 특성을 넘어, 큰 틀에서 조망해 볼 때, 민족적, 문화 적 공통 특성이 의식세계에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상시 공연되어지고 있는 춤계의 공연현황에서 한국춤의 특정영역이 발산해 내는 공연명(공연명: 공연제목)에서 일정한 틀과 형식, 방식 등의 외형적 요건들을 총체적으로 규명하여 한 국춤을 전공하는 전공자들의 인식세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매해 출간하는 문예연감 2000년∼2008년에 실린 무용편람에 제시 되어있는 한국춤(전통과 창작)의 공연제목과 내용을 기본 자료로 하여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요인별 규명을 이루었다. 그 결과 한국전통춤은 전통의 전승과 계승, 문화유지, 창달의 의미가 존재하며, 표현의 영역이 자연주의 사상, 도가사상, 철학성의 내재를 확연히 드러냈다. 본인을 일차적으로 드러내는 것보다, 자연의 이치와 순리로 자신 의 사상과 존재를 드러내고자 하는 은유적 표현법이 한국전통춤의 인식세계에 잠재되어 있었다. 공연명의 짧은 구, 절 또는 복합명사의 표현법은 한국전통의 절제미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에 반해 창작춤은 옛스러움의 한정적 특징을 벗어나 일상적인 행 위와 생활적인 측면, 깊이 있는 자신의 사상적 측면의 자유로운 표출, 자신의 드러내고자 하는 몸짓과 의도가 공연명부터 일차적으로 잘 표현되는 경향을 띄고 있었다. 한국창작춤의 공연명은 춤이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성이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방법 을 과감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기에 공연명은 일상적인 대화의 한구절이 되기도 하고, 생각의 단면을 서술하는 형식이 되기도 하고, 철학적으로 사물과 자연, 자연현상의 의인화가 일어난다. 또한 ‘나’라는 존재를 표현함에 있어 공연명에 ‘○○○의 춤’으로 공연자의 존재적 측면을 강하게 부각시켰다. 공연자의 이름이 나타나는 경향은 춤을 단순한 ‘표현’의 매 체로 인식하던 시대를 지나 자신을 통한, 자신을 거쳐 ‘표현’하고자 하는 현대적 예술 의 발전상의 한 단면이 춤에서도 드러나는 경향이라고 보겠다. 표현의 상영자가 아닌 표현의 유일한 주체자가 되고자 하는 예술의 주체성이 보여 지는 부분이다. 공통적으로 전통과 창작에서는 품사 중에서 명사, 혼합명사의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되었는데, 이는 ‘표현’이 주가 되고, 무언가를 표현하는 것이 춤의 전형이기에 일차적으로 의미화 되어 있는 형용사와 동사, 부사의 사용보다는 명사의 사용으로 소재와 주제의 설정 후, 나머지는 공연자의 표현세계에서 풀어나가고자 하는 의도이다. Is to the individual in the stage center or the public performance of the group, public performance subject the standard of the frame which is fixed and ceremony comes to seem. The reason goes over a group by quality, when trying to have a distant view from the frame which is big, national, is because the cultural common quality reflecting in the ceremony worl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which sees usual specific territory of Korean dance to emit from public performance present condition of the dance orgin which is coming to be performed, the public performance life (public performance life: Public performance subject) from examines closely the external important matters of the frame which is fixed and format and method etc. generally and quality of the recognition world of the military merit people who major a Korean dance under examining closely boil. Research method from Korean cultural artistic commission every the low of publishing to do the liberal arts almanac the Korean dance which is presented in the martial handbook which is recorded at 2000 ~2008 (tradition and creation) did a public performance subject and a contents with basic data and the VIP by close examination which is suitable in goal of research accomplished. The resultant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victory and succession, cultural maintenance of tradition and meaning of window month existed, the territory of expression naturalism ideology, at household duties, year distinguished a philosophic sincerity immanence rapidly. Distinguishing person oneself primarily, displayed the ideology and an existence of oneself with reason and reasonableness of nature and should have been boiled the metaphorical expressive law was latent in the recognition worl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ublic performance name short nine, the expressive law of the paragraph or compound noun was to show control America of Korean tradition. Opposed hereupon and, the creation dance escaped an old being, limited feature, or, the act which is ordinary and the ideological side of oneself who is the side and the depth which are live free manifestation, oneself distinguished, should have been boiled gesturing and the intention were being seen from public performance life the tendency which is well expressed primarily. Public performance life of Korean creation dance dance under aiming boil the method which the directivity manifests directly boldly, was using. So the public performance life does, the Hankou paragraph of the dialogue which is ordinary becoming, the format which describes the section of thought becoming, does, philosophically the print of thing and nature and natural phenomena justice happens. Also expresses the existence which is to be, in public performance life embossed the existence side of the co-star strongly in ○○○ dances. The tendency where the name of the co-star appears will pass and dance the time when recognizes with medium of `expressions which are simple ' oneself, oneself will lead will pass by and `expressive ' lows should have been boiled development of the modern art the section which consults will see dance as the tendency which becomes known. Becomes subjective own house which the expression which is not screening own house of expression is only character is a part where the independence of the art which does comes to seem. Common from tradition and creation from in part of speech the personage, case of the mixture personage made come in contact frequently and but, this will become ' this stock price of `expressions, silence will split and the fact that expresses is model of dance, with the adjective which becomes meaning primarily freezes to death, use of adverb with use of the personage after setting the subject matter and the subject, the remainder from the expressive world of the co-star to release and boil is an intention.

      • KCI등재

        「遊山慕仙詩」의 構想과 表現 -『三敎指歸』와 關係를 中心으로-

        ( Yun Bo Qiu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2

        「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는 공해(空海)의 한시문집『성령집(性靈集)』의 開卷作이며, 『문선(文選)』에 수록된 何초와 郭璞의 「유선시(遊仙詩)」에 대한 비평이다. 이 작품은 공해(空海)의 대표적인 한 수로서 주목 받고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同)작품의 구상과 표현을 공해(空海)작품의 흐름 속에서 고찰하고 있는 연구는 눈에 띄지 않는 것 같다. 그래서 本稿에서는, 「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라고 하는 시가를 공해(空海)문학의 흐름속에 관점을 두고 『삼교지귀(三敎指歸)』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 構想의 表現을 고찰한다. 本稿에 있어서 고찰한 결과 첫째,「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라는 詩歌는 『삼교지귀(三敎指歸)』와 같이 공해(空海)가 眞言密敎思想을 선양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양자는 함께 삼교논쟁(三敎論爭)이라는 사상적배경을 바탕으로 공해(空海)의 포교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는 『삼교지귀(三敎指歸)』의 構想을 근거로 하면서, 거듭 정리한 것이다. 『삼교지귀(三敎指歸)』로 이미 논하고 있던 三敎論을 詩歌라고 하는 형식으로 한번 더 정리 되었다. 그 詩文은 儒敎의 부족함에 대한 批評·道敎의 부족함에 대한 批評·眞言密敎의 우월함의 강조라고 하는 三段式으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詩歌의 표현은『삼교지귀(三敎指歸)』와 같이 많은 중국 고전전적(古典典籍)을 차용하고, 그리고 동물 은유법라고 하는 문학표현을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고전전고(古典典故)의 다량인용은 공해(空海)가 뛰어난 한시문의 교양을 나타내고, 양자의 인용 중복은 공해(空海)작품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동물 은유법은 공해(空海)의 자비심을 드러내는 동시에 종교인으로서의 문학의식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라고 하는 詩歌의 構想이라고 表現을 밝혔다. “Yusan-bosen-shi”, the beginning poem of Kuukai’s Chinese poetry collection “Shoryoshu”, comments and criticizes another poem “A Fairy Poem” by He Shao and Guo Pu stored in a "Selected Literature". As one representative poem of Kuukai, this work attracts attention. Although its previous research was performed variously, it seems that the research considering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the poem in the flow of the Kuukai’s work is not found. Therefore, this paper will view “Yusan-bosen-shi” in the flow of the Kuukai’s literature, examining its concept and expression with relation to “Sang? Shiiki”.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paper draws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Yusan-bosen-shi” confesses Kuukai’s religious mind of esoteric Buddhism, like what he does in “Sang? Shiiki”. And both texts are carried out under the thought background of “Three Religions Concept”. Actually they are only the means of Kuukai’s preaching of his religious thought. Secondly, “Yusan-bosen-shi” further expounds the “Three Religions Concept” discussed in “Sang? Shiiki”, in the form of poem. It consists of three steps: the criticism of the insufficiency of Confucianism, the criticism of the insufficiency of Taoism, and finally the generalization of the superiority of the esoteric Buddhism over them. Thirdly, like “Sang? Shiiki”, the poem of “Yusan-bosen-shi” quotes a lot from Chinese classic works as a way to express , and takes in the figurative expressions called the metaphor of animals. Kuukai’s abundant quotation from the Chinese classic works shows his depth of knowledge of the Chinese literature. And the duplication of quotations in these two texts shows the relevance of the Kuukai’s works. The application of animal metaphors shows Kuukai’s merciful heart towards all living creatures. And all the above shows Kuukai’s literary consciousness as a religionist. Thus,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the poem “Yusan-bosen-shi” is clarified in this paper.

      • 唐五代文獻所見孔目官之若干淺見

        張龍(Zhang Long)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0 아시아연구 Vol.- No.8

        공목관(孔目官)의 기록은 당대에 처음 등장하는데 일종의 서리신분으로 해당 기관의 수장을 도와 문서 및 회계장부와 관련된 사무성 작업을 처리했다. 당오대 시기는 공목관이 출현하고 발전하는 중요한 시기로 공목관의 기구조직이 완성되고 직무의 분배가 명확해져 이후 공목관제도가 유지되는 기초를 마련했다. 지난 세기 이래로 다수의 학자들이 성실한 연구작업을 진행해 왔지만 여전히 계속적으로 탐구해볼 여지가 남아 있다. 본 논문은 현존하는 자료에 대한 비교분석과 당오대 역사의 변천 배경을 결합해 공목관의 설치, 직무 및 그 체계화 문제에 대해 논증을 진행했다. 공목관의 설치 상황을 살펴보면, 우선 당오대 중앙 관서에 줄곧 공목관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중앙 군대 시스템(左右神策軍) 속의 공목관은 신책군 건립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이는 지방 관직 체계가 중앙 관직에 반영된 한 모습이라고 하겠다. 당대 지방의 공목관은 개원 연간에 변강지역의 중요 군진에만 설치되었다가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체제의 전면적 시행에 의해 내지에도 설치되기 시작했다. 공목관의 직무에 대해 살펴보면, 당후기 및 오대 시기에 점차적인계통화를 이루었는데 이는 주로 지방에 설치한 공목관이 종적으로 등급상의 구분과 횡적으로는 부서사이의 직무 분류의 모습을 보이고 공목관관서가 확대화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이외에, 공목관의 직무는 국가 형세의 변화에 따라 복잡해졌다. 당 후기 번진이 오대 정권을 건립한 후 공목관의 지위는 이와 더불어 상승하게 되고 번진에서 공목관을 담당한 적이 있는 많은 관리들이 조정의 요직을 맡게 되었다. 당시 능력있는 관리(吏幹)를 중요시하는 정치적 분위기는 공목관 출신 관원이 중앙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증가시켰다. 공목관의 지위 변화는 번진체제의 중앙화 과정에서 체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Kongmuguan was first recorded in the literature which belonged to Tang Dynasty. Kongmuguan was a title of official, which was established in Tang Dynasty and came into prominence in the administrations on both the central level and various local levels in late Tang Dynasty and Five dynasties. Kongmuguan’s main function was to help the superiors deal wit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events. During Tang Dynasty’s and Five dynasties’ period, the development of Kongmuguan was conspicuous, including its organization and function. From the 20th century, the historiography of Kongmuguan’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but they still leave us some research space of this task. This article tries to comprehend and compare the current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explore more information on Kongmugu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stablishment, the functio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ngmuguan in a systematic manner. Kongmuguan was established in the central level during the Tang Dynasty’s and Five dynasties’ period; but Kongmuguan in the central military system was derived from the Shencejun, an army which lied in the northwest China. This kind of installment of Kongmuguan had reflected that the form of local military system came into the central military. This is a trait of the military system in that period. Kongmuguan was only existed in some important military districts on the boundary in kaiyuan period; after the rebellion of Anshi, Kongmuguan began to be set up in all regions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manage. The function of Kongmuguan had gradually become systematized in late Tang and Five dynasties’ period. The change of Kongmuguan in localities was obvious. Different ranks had come up in this official, and Kongmuguan had been endowed with many different functions. Besides, the number of people who assumed Kongmuguan was also increased strikingly. When Five dynasties were set up one by one, Kongmuguan had changed a powerful official; the person who served as Kongmuguan began to play critical rule in the court. In that period, the rulers need persons who had the experiences about how to administer well which Kongmuguan owned. So many people who had acted as Kongmuguan seized the opportunities to become the important officials in the government. The change of Kongmuguan’s status reflects the fact of the transformation from Tang Dynasty to Song Dynasty, because the notion of administering the country had changed deeply.

      • KCI등재

        주희 공(公) 이론의 민주적 재구성의 가능성

        나종석(Na, Jong-seok)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8 No.-

        이 글에서 추구되는 것은 주희의 公이론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통해 인권과 민주주의의 재규정 내지 재정의의 시도이다. 이 시도는 이중적 성찰의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으로 주희의 사상, 특히 그의 공사(公私) 이론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이념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재전유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가 통념적으로 지니고 있는 서구적인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의 틀과는 다른 방식의 민주주의 및 인권의 재규정과 재정의의 가능성을 추구한다는 말이다.우선 주희의 公이론이 어떤 점에서 '공생적·연계적' 公이론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런 연계적 公이론이 유학사에서 어떤 혁신을 가져왔는가를 설명하면서 주희의 公이론에서 정치사회적 차원에서의 公이론인 公論정치의 의미를 살펴본다. 세 번째로 다루어지는 주제는 주희 公이론의 민주주의적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마지막으로 公이론의 민주적 재정의의 작업을 통해 우리는 재규정된 주희의 公이론이 서구의 자유주의적 및 공화주의적 공사이원론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어떤 함의를 지니는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달리 말하자면 주희의 公이론이 어떤 점에서 신자유주의적 공사이원론 및 아렌트로 대표되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사유에서 등장하는 공화주의적 공사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철학적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입증해볼 것이다. Through this article, the author seeks to redefine human rights and democracy based on critical understanding of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This is a process of dual reflections. First, the author critically re-appropriates Zhu Xi's theory, particularly his Theory of Gong(公, Public) and Si(私, Private), based on the idea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At the same time, the author attempts to redefine and re-signify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a manner that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paradigm of human rights and democracy that we are accustomed to. First, the thesis will explain how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can be understood as a theory of related publicness. Second, the thesis will elaborate on how this theory of related publicness innovate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discuss the meaning of public sphere, which is Zhu Xi's socio-political Theory of Gong(公, Public). Third, the thesis will evaluate the democratic potentials of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Lastly, through a democratic redefinition of Zhu Xi's Theory of Gong(公, Public), the thesis will point out what kind of implications Zhu-Xi's redefined democratic Theory of Gong(公, Public) have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Western liberalism's and republican dualism of the private and public. In other words, the thesis will prove how Zhu-Xi's Theory of Gong(公, Public) provides philosophical clues to how we can overcome the neoliberal dualism of private and public, and republican dualism of private and public that emerges in thoughts regarding 'the political', which is represented by Arendt.

      • KCI등재

        「遊山慕仙詩」の構想と表現-『三教指帰』との関係を中心に-

        仇云波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2

        “Yusan‐bosen‐shi”, the beginning poem of Kuukai’s Chinese poetry collection “Shoryoshu”, comments and criticizes another poem “A Fairy Poem” by He Shao and Guo Pu stored in a "Selected Literature". As one representative poem of Kuukai, this work attracts attention. Although its previous research was performed variously, it seems that the research considering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the poem in the flow of the Kuukai’s work is not found. Therefore, this paper will view “Yusan‐bosen‐shi” in the flow of the Kuukai’s literature, examining its concept and expression with relation to “Sangō Shiiki”.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paper draws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Yusan‐bosen‐shi” confesses Kuukai’s religious mind of esoteric Buddhism, like what he does in “Sangō Shiiki”. And both texts are carried out under the thought background of “Three Religions Concept”. Actually they are only the means of Kuukai’s preaching of his religious thought. Secondly, “Yusan‐bosen‐shi” further expounds the “Three Religions Concept” discussed in “Sangō Shiiki”, in the form of poem. It consists of three steps: the criticism of the insufficiency of Confucianism, the criticism of the insufficiency of Taoism, and finally the generalization of the superiority of the esoteric Buddhism over them. Thirdly, like “Sangō Shiiki”, the poem of “Yusan‐bosen‐shi” quotes a lot from Chinese classic works as a way to express , and takes in the figurative expressions called the metaphor of animals. Kuukai’s abundant quotation from the Chinese classic works shows his depth of knowledge of the Chinese literature. And the duplication of quotations in these two texts shows the relevance of the Kuukai’s works. The application of animal metaphors shows Kuukai’s merciful heart towards all living creatures. And all the above shows Kuukai’s literary consciousness as a religionist. Thus,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the poem “Yusan‐bosen‐shi” is clarified in this paper. 「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는 공해(空海)의 한시문집『성령집(性霊集)』의 開卷作이며, 『문선(文選)』에 수록된 何劭와 郭璞의 「유선시(遊仙詩)」에 대한 비평이다. 이 작품은 공해(空海)의 대표적인 한 수로서 주목 받고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同)작품의 구상과 표현을 공해(空海)작품의 흐름 속에서 고찰하고 있는 연구는 눈에 띄지 않는 것 같다. 그래서 本稿에서는, 「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라고 하는 시가를 공해(空海) 문학의 흐름속에 관점을 두고 『삼교지귀(三教指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 構想의 表現을 고찰한다. 本稿에 있어서 고찰한 결과 첫째,「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라는 詩歌는『삼교지귀(三教指帰)』와 같이 공해(空海)가 真言密教思想을 선양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양자는 함께 삼교논쟁(三教論爭)이라는 사상적배경을 바탕으로 공해(空海)의 포교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는 『삼교지귀(三教指帰)』의 構想을 근거로 하면서, 거듭 정리한 것이다. 『삼교지귀(三教指帰)』로 이미 논하고 있던 三教論을 詩歌라고 하는 형식으로 한번 더 정리 되었다. 그 詩文은 儒教의 부족함에 대한 批評‧道敎의 부족함에 대한 批評‧真言密教의 우월함의 강조라고 하는 三段式으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詩歌의 표현은『삼교지귀(三教指帰)』와 같이 많은 중국 고전전적(古典典籍)을 차용하고, 그리고 동물 은유법라고 하는 문학표현을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고전전고(古典典故)의 다량인용은 공해(空海)가 뛰어난 한시문의 교양을 나타내고, 양자의 인용 중복은 공해(空海)작품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동물 은유법은 공해(空海)의 자비심을 드러내는 동시에 종교인으로서의 문학의식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유산모선시(遊山慕仙詩)」라고 하는 詩歌의 構想이라고 表現을 밝혔다.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기반 공유주택 공간 연구 : 중국 ‘포유(泊寓)’ 공유주택을 중심으로

        마시우,홍창기,안국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 plan to optimize and create a shared housing service strategy for resident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shared housing. The scope of the research site selected the “Puyou", a public house with branches all over China. Boyu shared house is the most advanced brand of public housing in China at present. It has been selected as a demonstration project by the Digital Standardization Technical Committee of China's Intelligent Buildings and Residential Areas, providing places for residents to live, communicate, study and entertain. Based on the analysis matrix of shared housing based on service design, this paper discusses the shared housing in China, and obtains the value of spac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Boyu" shared housing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perts' evaluation indicators. It shows that the excellent housing evaluation index, the highest safety value, the perfect convenience evaluation index, and the outstanding aesthetic evaluation index among the service design features of "Boyu" shared housing. On the contrary, it has common comfort and interactivity evaluation indexes of shared housing without satisfactory information evaluation indexes, which means that the low comfort of shared housing facilities with the interactive services of shared housing workers and residents, as well as the insufficient services of immediate information transmission.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Boyu shared housing, the value of safety was the highest, and the value of convenience and aesthetics was also higher. However, the level of comfort, interactivity, and information is low, there are insufficient rest facilities in the public space, and the interactive facilities of residents in shared housing are insufficient, so information cannot be transmitted in tim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residents. These results prov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lan the space by reflecting the service design components and making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venly distributed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hared housing. This is because when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users (tenants or potential tenants) are balanced with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t can provide a better experience and creates a good brand image for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company. This study only evaluates and analyzes the service design of shared residential spaces and facilities, which has limitations. In order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shared hous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strategy and system construction to improve the service design orientation of shared housing.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meaningful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hared housing in China, space service design and design research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주민들을 위해 공유주택에서의 체험담과 만족도를 목표로 하여, 공유주택 서비스 전략의 최적화와 창조 방안을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장소적 범위는 중국의 각 지역에 지점을 두고 있는 공유주택 ‘포유(泊寓)’를 선정하였다. ‘포유(泊寓)’ 공유주택은 현재 중국에서 가장 발전이 된 공유주택 브랜드로 중국 스마트 건축 및 주거지역의 디지털 표준화 기술 위원회1)로부터 시범적 프로젝트로 선정되었으며 주민들에게 주거, 소통, 학습, 오락 등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연구 방법은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공유주택 분석의 매트릭스를 제안하여 중국 공유주택을 분석하고 전문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심사를 거쳐 ‘포유’ 공유주택의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의 가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포유’ 공유주택의 서비스디자인 특징에서 ‘포유’ 공유주택의 평가지표는 매우 우수하며 안정성 수치가 가장높게 나타났고, 편의성 평가지표 또한 매우 우수하였으며, 심미성 평가지표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유주택의쾌적성과 양방향성 평가지표는 보통으로 나타났고, 정보성 평가지표는 미흡하였는데 이는 공유주택 시설의 쾌적성이 낮고, 공유주택 근로자와 주민들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그리고 정보가 즉시 전달되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다. 이유는 공유주택 시설의 쾌적도와 공공공간 휴게시설이 부족하고 공유주택에서 주민들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며, 주민에 대한 몰이해로 정보 전달이 즉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결과는 공유주택 형성에서 서비스디자인 구성 요소를 반영하여 공간 계획을 진행하고, 서비스 특성을 균일하게 분포하여 만드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서비스 사용자(세입자 혹은 잠재적 세입자)의 욕구 및 특성과 공간의 서비스 특성이 균형을 잡을 때, 더 좋은 체험을선사하고 서비스 제공자 및 기업의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유주택 공간과 시설의 서비스 디자인만을 평가하고 분석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공유주택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공유주택 서비스디자인 방향성을 향상시키는 전략과 시스템 구축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 공유주택의 발전, 공간 서비스디자인 및 관련 영역에서의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공사(公私) 개념의 일본적‘수용문제’ - 서구의 공사 개념과 후쿠자와 유키치 -

        박규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본 논문의 목적은 특히 ‘일본적 수용양식’에 주목하면서 후쿠자와 유키치 사상에 있 어 공-사 개념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외래적인 것에 대한 일본적 수용양식은 일본적 사유와 등치관계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등치관계를 일본적 ‘수용문제’로 이해하면서 이때 일본에 있어 외래적인 것의 수용이 항상 현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자 한다.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라 불리는 후쿠자와 유키치에 있어 서구적 공-사 개념의 수용 또한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이때 현대일본사회에서 공공성 담론 이 문제시되는 맥락으로서 본고는 첫째, 일본문화론적 맥락, 둘째, 학문적 담론의 맥락, 셋째, 우경화 현상과 연동하는 ‘사’의 과잉 및 ‘공’의 쇠퇴에 대한 위기의식 등을 들고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는 서구적 공-사 개념과 일본적 공-사 개념의 특징을 검토한 후 후쿠자와에 있어 공-사 문제를 다루고 있다. 후쿠자와는 나라의 독립을 최우 선시한 국권론자였지만, 공-사 문제에 관한 한 국가(정부)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견지 했다. 예컨대 그의 ‘공-사’ 관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지공덕’론은 개인의 내적 자유 즉 ‘사’의 자율성에 대한 주장과 맞물려 있다. 그러나 이처럼 “일본의 역사를 관통하는 상하관계의 공-사 질서를 벗어나 근대 서구문명을 모델로 하는 공-사의 병립구조로 전 환”할 것을 추구한 후쿠자와의 뜻과는 달리, 근대일본에서는 관료를 상위로 하는 새로 운 상하관계구조가 재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공-사 문제의 해명을 위해 보완 적으로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오늘날 일본에서는 사적 공간만이 계속 확장되면서 공적 의식은 애매한 채로 남아 있다. 본고는 결론부에서 이 런 현대일본사회를 ‘사적 사회’라고 보면서, 그것이 라캉주의자 맥고완이 말하는 ‘주이 상스 사회’와 공통된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 유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notion “public-private” in the thought of Fukuzawa Yukichi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reception in Japan”. In so doing, I will mention the reason why the discourse of “the public” has been questioned in contemporary Japan, in such aspects as not only the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and academism, but also the feeling of crisis about the excess of “the private” and the degeneration of “the public”. Furthermore,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in the notion of “public-private” in both the West and Japan will be summarized. Fukuzawa Yukichi, who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modern Japan, though thinking that there was nothing more important than national independence, show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Meiji government as far as the issue of “public-private” was concerned. For example, his notion of “Kouchikoutoku”(public knowledge and virtue) must be deeply related to the individual inner freedom, that is, the autonomy of “the private”. However, a new vertical structure of Japanese bureaucracy was regenerated despite of Fukuzawa's intention to change the traditional vertical order of “public-private” into a new horizontal order based on the Western model. But nowadays “the private” only tends to be extended probably due to a kind of reaction to “Messi-hoko”(selfless devotion) in Japan. If we can call it a “private society”, it might share the same characteristics with the “society of jouissance” in common, such as the privatization of “the public”, the publicization of “the private”, or the variablenes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 KCI등재

        공화정기 로마군의 공성전 포기 사례 분석

        배은숙 ( Eun-suk Ba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論叢 Vol.58 No.-

        본 연구는 공화정기 로마가 공성전을 포기한 사례와 그 이유를 분석한 것이다. 공화정기 총 167번의 공성전을 분석한 결과 로마군이 공성을 포기한 전투는 28번이었다. 공성 포기 이유를 분석하면 공성 장비나 병사들의 상황이 여의치 않았던 것, 즉 로마군에게 문제가 있는 때도 있었다. 또 방어군이 로마군의 공성 장비를 불태우면서 저항하거나 로마군에게 검으로, 야생 동물로 대응하여 로마군이 공성을 포기하는 때도 있었다. 로마는 단순히 포위망을 구축하고 기다리는 전술이 아니라 직접 공격하는 전술을 선호했다. 로마군이 도시나 요새에 돌입하다 보면 방어군은 생존을 위해 대응할 수밖에 없었고, 방어군의 강력한 저항은 로마군의 공성 포기로 이어졌다. 공성을 포기한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로마군의 공격적인 성향은 방어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히고, 이는 공격하는 측이 공성전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로마군과 방어군의 치열한 공성전은 항복이나 공성 포기라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republican Rome giving up the siege and the reasons for it. Scholars argued that there was no case of the Roman army giving up siege because of its strong aggressive tendencies. However, after analyzing a total of 167 sieges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there were 28 cases where the Romans gave up sieges. Analyzing the reasons for abandoning the siege, there were times when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lack of siege equipment or the situation of the soldiers, that is,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Roman army. There were also times when the defensive force resisted by burning the Roman siege equipment, or gave up by responding to the Romans with swords and wild animals. In other words, the siege was abandoned when the resistance of the defensive force was not enough. Rome preferred a strategy of direct attack rather than simply building a encirclement net and waiting. As the Roman army aggressively entered the city or fortress of the defensive force, the latter had no choice but to respond for survival. The strong resistance of the the defensive force led to the abandonment of the siege. Scholars argued that the Romans never gave up siege because of their aggressive tendencies. However, it was not without the abandonment of the siege because the Roman army had an aggressive tendencies. Because the Roman army showed aggressive tendencies, more than half of them gave up the siege due to strong resistance from the the defensive for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ensive tendency of the Roman army and the abandonment of the siege.

      • KCI등재

        공(共)- 창조적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연구

        김철중 ( Cheoljoong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보다 지능화된 사회로 진입하면서 공(共)-창조성 이론에 근거한 도서관 기능 및 역할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메이커스페이스의 도입과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롬바흐는 창조가 본질적으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개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생성(Genese)’이 이루어지는 공(共)-창조적인 생동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융합적 사고로 지능화되고 있는 현 시대의 중요한 창조의 개념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롬바흐의‘공(共)-창조성’이론의 관점으로 공공도서관에 도입된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분석하여, 창조 활동의 장소로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디자인 특성과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롬바흐의 ‘공(共)-창조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해석하고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도출 된 내용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틀을 만들고, 선도적으로 이루어진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 살펴 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첫째, 정보 습득의 공간, 협업의 공간, 제작 공간, 커뮤니티 공간, 세미나 공간 등 다양한 공간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공(共)-창조적 장소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메이커들의 다양한 창조적 행위가 이루어지고 연결되면서 공간의 구조는 다변화 되고 복합화 된다. 셋째, 이는 공간의 탈 위계성, 공간의 연속성, 공간의 불확정성을 이루어지면서 다 중심화 되면서 창조적 생성(Genese)’이 끊임없이 발생하게 된다. 넷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열림 · 통합 · 분리 · 가변 · 연속 · 침투의 공간구축 원리가 작용하게 되면서 복합적으로 공(共)-창조적 구조가 강화된다. (결론) 본 연구는 의의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의미를 첨단 장비를 통한 제작이라는 단편적인 해석을 벗어나 공(共)-창조성의 개념의 광의적인 해석을 하였다는데 있다. 또한 공(共)-창조성 공간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새로운 의미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향후 공(共)-창조적 특성을 반영하고, 공공적 영역으로서의 커뮤니티 구축과 실천적 모델의 공간디자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ushered by a more intelligent society, changes i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library, based on the theory of co-creativity, are pursued.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makerspace” is highlighted. According to Rombach, “makerspace” is defined as the vivid process of co-creativity in which genesis naturally occurs through the interaction of an entity whose creation is essentially structured. This concept is being reexamin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reation in the current era, where everything is interconnected and becomes intelligent through integrated think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makerspace introduced in public libra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creativity of Rombach and to derive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esign of public library makerspace as a creative activity. (Method) This study sought to shed light on the concept of co-creativity of Rombach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to examin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kerspace currently being hosted.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tended to interpret a public library makerspace and then derive its spatial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case analysis framework focusing on produced results and then conduct an in-depth case analysis of public makerspace. (Results) First, the public library makerspace was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in which various spatial functions are organically connected,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cooperation, production, community, and seminar space. Second, structural space tended to becom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as various creative activities take place in the public library makerspace. Third, centralization and genesis were found to be constantly occurring as a result of de-hierarchy, continuity of space, and uncertainty of space. Fourth, the public library makerspace strengthened the structure of co-creativity as acted upon by the principles of building space, namely, separation, integration, variability, continuity, openness, and penetration.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co-creativity in a broad sense, beyond the fragmentary one that interprets a public library makerspace through high-tech equipment. Through in-depth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 new semantic interpretation of public library makerspace.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a community as a public domain and continue to study the space of practical model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