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연 입장권 유통 질서 개선을 위한 「공연법」 개정방안 연구

        남기연,박정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아주법학 Vol.18 No.2

        최근 코로나 19의 어둠이 걷히고 서서히 공연 산업이 다시 활기를 띄고 공연을 찾는 수요가 증가하자 매크로 프로그램 등의 불법 수단을 이용하여 공연 입장권을 취득한 뒤 폭리를 취하는 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2024년 6월 28일, 이 문제를 암표의 문제로 보고 “암표 근절방안 공청회”를 진행하며 공연입장권의 공정 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공연 입장권 판매와 구매의 법리는 매매계약에 해당하므로 민법의 기본원칙인 사적 자치의 원칙인 ‘계약 자유의 원칙’ 아래에 있다. 그러므로 「공연법」 제4조의2와 「경범 죄처벌법」 제3조 2항 제4호, 기타 강행 규정이 없는 한 ‘계약자유의 원칙’은 민법의 기본원칙상 지켜져야 할 규범이다. 「공연법」 제4조의2 제2항이 매크로를 통해 티켓을 구매한 자가 이를 재판매했을 때 형사 처벌하는 규정이라고 한다면,「경범죄처벌법」 제3조 2항 제4호는 흥행장, 경기장, 역, 나루터, 정류장, 그 밖에 정하여진 요금을 받고 입장시키거나 승차 또는 승선시키 는 곳에서 웃돈을 받고 암표를 판매한 자를 형사처벌하는 규정이다. 「공연법」 제4조의 2 제2항이 매크로를 통해 티켓을 구매한 자가 이를 재판매했을 때 형사처벌하게 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으며, 「경범죄처벌법」 제3조 2항 제4호를 위반하여 웃돈을 받고 암표를 판매하면 2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의 형으로 처벌한다. 두 규정은 공연티켓판매의 유통질서와 관련한 현행법상 강행법규로서 웃돈을 받고 암표를 판매하는 재판매행위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티켓을 구매한 뒤 재판매 하는 두 행위는 입장권 부정판매행위에 해당한다. 각국도 자신의 공연 산업에 있어 공연기획자와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재판매를 관리하고 암표를 근절하며 온라인상 매크로를 금지하는 등 공연 입장권 유통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해 입법, 사법적 노력을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공연법」과 「경범죄처벌법」은 실제 적용한 예가 거의 없을 정도로 실효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연유통질서에 상당히 미흡한 부분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 공연법상 유통질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으로서 각국의 입법방식인 재판매 입법접근 방식과 매크로 프로그램 금지접근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부디 정부의 관심이 이어져 K 컬처의 위상만큼 공연 유통 제도도 국제적으로 모범적으로 입법화되고 우리 법제가 해외에 모법화되어 부정 예매 없고 성숙한 공연 유통질서 아래 다양한 문화 욕구를 해소시킬 수 있는 고품격 무대가 많이 제작되어 대중과 소통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s the darkness of COVID-19 has lifted and the performance industry has gradually become more active again and the demand for performance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illegal means such as macro programs to obtain performance tickets and make profit is increasing. Accordingly, on June 28, 2024,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making every effort to establish a fair distribution order for performance tickets by viewing this issue as a problem of ticket scalping and holding a “public hearing on measures to eradicate ticket scalping.” Since the legal principle of selling and purchasing performance tickets corresponds to a sales contract, it falls under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which is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which is a basic principle of civil law. Therefore, unless there are Article 4-2 of the Public Performance Act, Article 3, Paragraph 2, Item 4 of the Misdemeanor Punishment Act, and other mandatory provisions,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s a norm that must be observed as a basic principle of civil law. If Article 4-2, Paragraph 2 of the Performance Act provides for criminal punishment when a person who purchased a ticket through a macro resells it, Article 3, Paragraph 2, Subparagraph 4 of the Misdemeanor Punishment Act provides for entertainment venues, stadiums, stations, and ferry terminals. This is a regulation that criminalizes anyone who sells scalped tickets for an additional fee at a bus stop or other place where a fixed fee is paid to enter, board, or board a vehicle. According to Article 4-2, Paragraph 2 of the Performance Act, if a person who purchases a ticket through a macro resells the ticket, he or she may b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imprisonment for up to one year or a fine not exceeding 10 million won. Article 3 of the Misdemeanor Punishment Act Anyone who violates Paragraph 2, Paragraph 4 and sells black tickets for an additional amount of money will be punished by a fine not exceeding 200,000 won, detention, or minor fine. The two regulations are mandatory laws under the current law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rder of performance ticket sales, and the two acts of reselling by selling scalped tickets for an additional amount and reselling after purchasing tickets using a macro program are considered illegal sales of admission tickets. In order to protect performance planners and consumers in their own performance industry, each country is making legislative and judicial efforts to establish a proper order of performance ticket distribution, such as managing resale, eradicating ticket scalping, and banning online macros. Currently, Korea's 「Performance Act」 and 「Misdemeanor Punishment Act」 not only have very low effectiveness to the extent that there are almost no actual cases of application, but also have significant shortcomings in the global performance distribution order.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problems with the distribution order under our performance law and examine each country's legislative approach, the resale legislative approach and the macro program prohibition approach, as ways to improve them. As the government's interest continues, the performance distribution system will be legislated internationally as an example to the status of K Culture, and our legal system will be modeled overseas, producing many high-quality stages that can satisfy various cultural needs under a mature performance distribution order without illegal ticket sales. We look forward to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 KCI등재후보

        충청도 공연장 무대 시스템 분석 및 공연활성화를 위한 방안-

        이장원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09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4 No.2

        이 논문에서는 충청도지역의 주요 문화공간인 공연장을 중심으로 지방 공연장의 운영 실태와 공연장의 규모 및 시설의 형태, 년 간 행사되는 공연물의 공연 실적 등을 통해 지방문화 예술의 문제점을 제시 하고 지방문화의 발전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충청도지역의 공연장의 형태와 시설 및 공연 실적의 비교는 최근에 신설된 공연장을 포함한 비교적 공연활동이 활발한 공연장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공연예술 보다는 일반교양 행사에 주로 대관 되는 지방 공연 장의 특성으로 인해 극히 적은 수의 공연 실적을 토대로 충청도지역의 공연활동을 평가하는 자체가 무리가 있다. 그러나 공연장의 공연 시설및 공연 실적을 통하여 무용을 포함한 각종 공연물이 공연장으로 인해 발생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완함으로서 무대예술의 발전과 나아가 지방문화의 발전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바 상호 비교를 감행하였다. 그러므로 본논문은 충청도지역의 문화공간인 주요공연장을 중심으로 공연장의 운영현황 분석을 통해 충청도지역과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Focusing on major event halls in Chung-cheong province, data of events including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and state of facilities, accomplishment of performance help u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local culture events and make concrete plans for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Through the facilities and actual result of the performance, records of accidents, including dancing, which could happened in stage allow us to protect performer from an unpleasant matter in advance. Because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to make some developments of the art of stage and local culture, we take decisive action with mutual comparison.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suggest alternative method to develop culture and art events in Chung-cheong province by analyzing the president condition of management.

      • KCI등재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과 소비자의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

        진현정(Jin Hyun Joung),오현석다라(Oh Hyunseokdara)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공연장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의 효과를 공연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서비스품질 기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대학원생에게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이 드러나는 가상의 공연장과 그렇지 않은 가상의 일반 공연장을 별도로 제시하여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에 있어서 소비자의 공연관람빈도가 네이밍라이츠 유무와 상호작용하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공연장 명칭에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을 나타내는 문구를 넣는 경우 응답자의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치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관람빈도에 따라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치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람빈도별 차이는 전체 서비스품질, 공연시설 우수성, 부대시설 편의성, 공연장 매력성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네이밍스폰서쉽이 드러난 공연장과 일반 공연장으로 구분하여 관람빈도별로 서비스품질 기대를 분석한 결과, 네이밍라이츠가 드러난 경우 공연장의 공연시설 우수성, 부대시설 편의성, 공연장 편리성, 전체 서비스품질 항목에서 기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에, 네이밍라이츠가 드러나지 않은 공연장에서는 모든 항목에 걸쳐 기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naming-rights sponsorship on consumer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in performing arts theaters.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collage/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given different questionnaires regarding hypothetical performing arts theater. Here, a type of questionnaires shows name of a firm in the title of the imaginary theater so one can easily notice that it has a naming-rights sponsorship and the other type does not. In addition, we analyze the interaction toward the expectation between naming-rights sponsorship and frequency of respondents' visit to watch perform arts products such as musicals, music concerts, theater performances, and etc. The results show that respondents'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in the imaginary performing arts theater becomes higher when we show them the name of the sponsor company in the title of the theater. Moreover,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on the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frequency of visit. Th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um of all terms measuring service quality, performance facilities, subsidiary facilities, and attractiveness of performing arts theater. Lastly, when we measure the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with distinct two samples that were differentiated depending upon the level of frequency of visi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ctation in terms of performance facilities, subsidiary facilities, convenience of the theater, and the sum of all terms for service quality factors in the case that exposes the name of sponsor compan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term in the case that does not show the name of sponsor company.

      • KCI등재

        일반논문 : 동시대 공연에 나타나는 "관객 참여"방식 연구 - 런던 펀치드렁크(Punchdrunk)극단의 <Sleep No More>를 중심으로

        전윤경 ( Yunkyung Je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21세기 동시대공연의 화두는 단연 ‘관객의 참여’이다. 런던은 2000년대부터 관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립극장에서부터 먼저나서서 공연을 라이브로 상영하는 획기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관객 찾기를 시도하고 있다. 또 극장의 경계를 넘어서 ‘버추얼 시대’에 맞는 극장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런 국립극장의 변화는 다른 극장과 공연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장르에 관심 있는 적극적인 ‘관객찾기’에 열중하고 있다. 이런 노력은 관객이 직접 이동하며 창의적으로 내러티브를 구성해 가는 ‘관객참여’형 공연의 등장을 만들어 낸다. 즉, 기존 공연의 관습적인 관람방식에서 탈피하여 일상의 모든 공간을 무대로 사용하는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re)이나 전통적인 무대에서 벗어나 그 공간의 ‘장소성’을 기반으로 하는 장소특정적 공연(site-specitic performance) 등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그에 따라 많은 실험적인 극단들이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기존 공연의 관습적인 관람방식에서 탈피하면서 동시에 기존 공연의 관객성을 유지하며 ‘새로운 관객참여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펀치드렁크(Punchdrunk)극단에 주목한다. 이들의 시작은 런던의 무용학교 졸업생들이 방학기간 동안 운영되지 않는 학교를 무대로 공연한 작은 실험극에서부터이다. 그런데 초기 3명의 관람객이 7년 만에 런던의 ‘주류극단’이 되고 10년 만에 미국에 진출, 6년 동안현재 뉴욕에서 장기 공연을 하며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지금까지도 전석매진을 기록하고 있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펀치드렁크 극단이 이처럼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관객이 경험을 만들어가는 수행주체로 전환시킴으로써 공연의 극적요소를 극대화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펀치드렁크 극단의 극적요소의 특성이 어떻게 관객을 참여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이 극단을 대표하고 있으며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는 <Sleep No More>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관객을 총 3단계‘narrative visitor’, ‘걸어 다니는 관객’, ‘가면을 쓴 관객’으로 구분하고 그들이 펀치드렁크극단의 공연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변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인 ‘narrative visitor’에서는 Louis Marin의 디즈니테마파크의 3단계 진입론을 적용하여 분석했고 두 번째 단계인 ‘걸어 다니는 관객’에서는 질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인 ‘가면을 쓴 관객’에서는 관음자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The keyword of contemporary art in 21st is audience participation. London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udience participation since 2000. The National Theater of London is trying a new method, which is live performance to search new audiences. Also, they are trying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stage’ and ‘spectator’. This leads the other theaters to search new audiences and try new genre of performance. Therefore, they establish a new form of performance, which is that audience actively moves and find a new story in a theater. For example, “environmental theater” is the one. This theater escapes from the traditional stage, but it is based on “site-specific performance.” Lots of new forms of theater have emerged. In this study, I focused on one of these new forms of theater, which is “Punchdrunk.” “Punchdrunk” was founded by few students graduated from London University’s Laban Center in 1999. They started at an empty stage in small school with only three audiences. 7 years after, it became one of major theaters in London. 10 years after, it showed their performances in the United state. Since then, their performances in New York have never been stopped. More strikingly, for last decades, this theater has been always full. In this study, I reasoned that the key of “Punchdrunk” success is audience participation.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Punchdrunk theater and how they engage their audience in this performance. In this study, I focused on one of their performances, <Sleep No More>. Also, I categorized the audiences in three different ways: narrative visitor, walking visitor, and engaging visitor with mask. Three-part transition of Disney Theme Park from Louis Marin was applied to study “narrative visitor.” For “walking visitor”, Normadism from Gilles Deleuze was applied. For “engaging visitor with mask”, Voyeurism was applied.

      • KCI등재

        공연예술아카이브의 존재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호신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3 No.-

        이 연구는 공연예술아카이브의 근본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공연예술은 현장 성을 기반으로 하는 순간의 예술이라는 점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서구의 공연학 이론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공연의 특성이 아카이브와 관련을 맺으면서 발생하는 여러 복잡한 문제들을 공연예술아카이브의 존재론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공연과 기록의 관계를 진본성과 신뢰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고유의 특성이 공연예술아카이브에 남겨 놓는 특수한 문제들로 인해서 공 연예술아카이브는 새로운 정의와 접근이 필요함을 밝혔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rchives. To do this, I first consider that performance is the arts of ephemerality which is based on the liveness through western postmodern performance study theory which is based on postmodern aspects. And then I analyze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archiv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rchives. And I consider the authentic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cords of performing arts. At last, I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redefining of performing arts archives.

      • KCI등재

        온라인 공연·영상화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철남(LEE chulna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31 No.4

        공연 문화는 현장성과 일회성이라는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시장의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공간적 시간적 제약 요소로 작동하게 된다. 최근 새로운 기술을 통하여 공연문화의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려는 움직임의 하나로 온라인 공연·영상화 작업이 시도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법적 쟁점들은 새로운 제도나 법리에 관한 사항들이 라기보다는 대부분 새로운 기술 환경에서 시장 참여자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공연시장에서는 공연 기획/제작사를 중심으로 원작자, 창작자, 실연자 등이 복잡한 이해관계를 맺고 있다. 온라인 공연·영상화의 법적 쟁점에 관한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공연시장의 현황과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공연시장에서 온라인 공연·영상화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이와 관련된 이해관계는 아직까지 계약에 적절히 반영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공연 기획/제작사가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용허락의 범위나 그에 대한 대가 등 다른 당사자들의 이해관계를 적절히 반영한 계약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 표준계약서의 개정도 필요하다. 공연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온라인 공연·영상화의 의미와 그 가능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서로의 이해관계를 적절히 반영한 형태의 계약을 이루어낸다면, 우리 사회는 그러한 변화로 인한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당사자들 사이에 충분한 협의나 합의 없이 사업이 진행되어 분쟁이 발생할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한 판단 기준을 찾을 필요가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거나 논의되고 있는 온라인 공연·영상화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므로 통일적인 기준을 찾기는 쉽지 않겠지만, 개별적인 사업의 성격을 고려하여 당사자들의 입장, 사회일반의 상식, 경제적 이익의 적절한 안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공연·영상화를 전통적인 무대 공연과는 다른 새로운 매체로 본다면 전통적인 공연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당사자들의 합의나 계약을 확대해석하기는 어렵겠지만, 전통적인 공연을 보완하는 매체로 본다면 기존의 합의나 계약을 온라인 공연·영상화에 유추 적용할 여지도 있다. The performing arts has its own characteristics of presence and one-time. From a market point of view, they act as space-time constraints.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the space-time constraints of the performing arts by using new technologies such as online performance·video production. In the process, various legal issues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resolve these legal issu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erformance market and the stakeholders. In the performance market, performance agency·producers, original authors, creators, and performers have complex interests. Online performance·video production in the domestic market is still in its infancy. Interests related to this have not yet been properly reflected in the contract. Accordingly, when a performance agency·producer wants to conduct an online performance·video production business,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flect the interests of other parties. If online performance·video production is viewed as a new medium different from traditional stage performances, it is difficult to expand and interpret the agreements or contracts made by the parties based on traditional performances. Conversely, if it is viewed as a medium that complements traditional performances, there is room for applying existing agreements or contracts to online performances·video production. However, since the forms of online performance·video production currently in progress are very divers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ositions of the parties, common sense of society, and appropriate arrangement of economic interests, considering the nature of individual projects. If the partie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market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potential of online performance/video production, and form a contract that properly reflects each other’s interests, our society will be able to enjoy the benefits of such changes.

      • KCI등재

        합창공연 서비스품질 요인이 관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지윤,류승완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3

        고급문화로 인식되고 있던 클래식공연은 클래식 축제 혹은 해설이 있는 오케스트라 공연 같이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람들에게 대중화되기 위하여 다가가고 있다. 그 결과 매년 공연횟수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22년에는 코로나 이후 가장 많은 공연을 올린 장르가 되었다. 합창공연은 클래식 공연의 장르 중 하나로, 다른 클래식 공연에 비하여 아직까진 사람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장르이며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합창공연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객이 지각하는 합창공연의 구체적 품질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향상된 품질의 공연서비스를 제공하여 관객의 만족도 향상과 이에 의한 재관람 혹은 재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rady와 Cronin이 제안한 물리적 환경, 상호작용 및 결과로 구성되는 3차원 서비스 품질측정 모형을 기반으로 각 차원을 구성하는 하위차원요소를 확인하고, 이러한 하위차원 요소들이 관객이 지각하는 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합창공연 서비스품질은 물리적환경, 상호작용 및 결과품질 차원에서 각각 공연장과 부대시설, 직원서비스, 합창공연 프로그램과 연주자 실력 등 총 5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하위 품질차원요소 중 공연장, 합창공연 프로그램, 연주자 실력 요인의 3가지가 관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요자라고 할 수 있는 관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여 합창공연의 서비스품질 요소들을 규명하였다는 바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합창공연을 기획 및 구성하거나 운영할 경우 향상된 관객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합창공연의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반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ssic performances, which were recognized as high-end culture, are approaching people in various ways, such as classical festivals or orchestra performances with explanations. As a result, the number of performances steadily increased every year, and in 2022, it became the genre with the most performances since COVID-19. Choral performances are one of the genres of classical performances, and compared to other classical performances, they are not yet familiar to people and have not been activa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oral performance field,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specific quality factors of choral performances perceived by the audience and to provide improved quality performance services to improve audience satisfaction and induce re-view or revisit. In this study, the sub-dimensional elements that make up each dimension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3D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 proposed by Brady and Cronin, and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se sub-dimensional elements on the quality perceived by the audience wa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quality of choral performance service consists of a total of five sub-dimensions, including concert hall, auxiliary facilities, employee services, choral performance programs, and performer’s skills, respectively. In addition, three of these sub-quality dimension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udienc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audience, who can be called consumer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service quality of choral performances. In addition, if a choral performance is planned, organized, or operated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provide improved audience satisfaction, an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measures to revitalize choral performances.

      • KCI등재후보

        한국창작무용공연 저변확대를 위한 댄스드라마 공연형식의 개념적 이해

        최준명 영남춤학회 2019 영남춤학회誌 Vol.7 No.2

        Conceptual Understanding of Dance Drama Performance for Base Expansion of Creative Korean Dance Choi, Jun-Myou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reator of creative Korean dance plays important role in attracting and experiencing esthetic emotion to audiences by providing various form of performances, as well as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Korean dance genre. Reason why audiences find theatre is to obtain enjoyment by escaping from ordinary life and they tend to experience fresh impression.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reality of creative Korean dance stays at it abstract level although of audiences expectation. This distances audience from creative Korean dance. It is pity that there are very few differentiated, distinctive performances. Creators must be concerned on why this distance has happened and how to make performances to get closer to audiences Especially, for base expansion of performance, it is assumed that creators must escape from conception of abstract dance to make audience easy to understand and impressed so that communication and bond of sympathy can be built. Therefore,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o ensur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oretical basics of dance drama for audience, dance drama which combines dance and play for audiences whom seek for various forms of performances. 한국창작무용공연의 창작자는 관객들에게 다양한 공연형식을 선보임으로써 무용공연에 대한 관심과 심미적 감성을 경험하게 하고 한국무용이라는 장르의 영역을 다각도로 확대,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객들이 공연장을 찾는 이유는 이들은 일상에서 벗어난 차원의 즐거움을 얻 고자 하며, 직접 공연현장을 찾아 생생한 감동을 느끼고 싶어 한다. 관객들의 욕 구가 이처럼 요구되고 있으나, 무용공연에 있어 한국창작무용공연의 현실은 아 직도 추상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로 인해 한국창작무용공연이 점차 관객들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보다 쉽게 이해되고, 기존의 무용공연과는 차별화 된 특색 있는 공연이 아쉽다. 한국창작무 용공연이 왜 관객으로부터 멀어질 수밖에 없는지, 관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는 공연을 만드는 창작자들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깊이 고민해야 한다. 특히, 무용공연의 저변확대를 위해서는 무용이 추상적인 표현으로만 인식되 어지는 것에서 탈피하여 작품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인상 깊게 와 닿는 공연으로 관객과 원활한 소통과 공감대를 형성시키는데 의미를 두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 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창작무용공연 창작자 입장에서 다양한 공연형식을 향유 하려는 관객들을 위해 무용과 연극을 융합한 댄스드라마라는 공연형식에 대해 개념적 이해를 돕고, 이론적 기초를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공연장 지지는 어디에서 오는가?: 공연장 서비스 요인이 고객 만족을 통해 공연 지지와 공연장 지지에 미치는 영향

        이준경,김정구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6

        본 연구의 목표는 공연예술 분야의 지지 행동을 만드는 핵심 요인을 살펴보는 것으로, 특히 공연 지지와 공연장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에 있다. 공연예술 분야에서 핵심 요인으로 연구되는 고객 만족을중심으로 조사 하였다. 고객 만족의 선행 변수인 공연장 서비스 요인에서부터 고객 만족의 결과 변수인 지지 행동(Advocacy)까지 전반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큰 차별점은 두 가지이다. 첫째, 고객 만족의 선행변수로 지각된 사회적 경험을 살펴본 것이다. 기존연구를 살펴보면 공연장 서비스 요인은 주로 공연 작품이나 공연장 시설과 관련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다. 그러나공연장은 주변 지인들과 함께 방문하고, 다른 고객들과 함께 박수를 치며 경험을 공유하는 독특한 서비스이다. 이와같은 사회적 경험은 공연장 서비스가 고유하게 가지는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연장 서비스요인으로 지각된 사회적 경험을 추가였다. 지각된 공연 작품 품질과 지각된 공연장 시설 품질을 함께 살펴보아, 세가지의 공연장 서비스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고객 만족의 결과변수로 공연장 지지를 살펴본 것이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공연 그 자체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공연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많다. 반면, 공연장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고객 만족은 지지 행동을 만드는 대표적 변수로, 공연 기획사(공연예술단체), 또는 예술의 전당 같은 공연장 경영자에게 매우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연 지지뿐 아니라, 공연장 지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는 공연 지지에 미치는 영향 구조가 공연장 지지에도 적용되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26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고, 가설 검정 이후,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정을 위하여 직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연장 서비스 요인 중 지각된 공연 작품 품질과 지각된 사회적 경험은 고객 만족에 비슷한 크기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지각된 공연장 시설 품질은 고객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사회적 경험이 작품 품질 만큼 공연장 서비스의 핵심적인 요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공연장 서비스 요인 중 지각된 공연 작품 품질과 지각된 사회적 경험은 공연 지지와 공연장 지지에 고객 만족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나, 고객 만족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된다. 반대로 지각된 공연장 시설 품질은 고객 만족과 공연 지지에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공연장 지지에는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연 지지와 공연장 지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고객 만족은 공연 지지뿐 아니라 공연장 지지에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크기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 분야의 고객 만족과 지지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학문적 공헌점으로는 공연장 서비스 요인에서부터 고객만족, 그리고 공연 지지와 공연장 지지에까지 전반적인 매커니즘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공연장 서비스 요인으로 ...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연예술의 전환적 패러다임

        정우정(Woojung Jung),한정호(JungHo Han) 한국문화경제학회 2020 문화경제연구 Vol.23 No.3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 환경은 전 세계의 모든 부문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현장성을 우선하는 공연예술계도 2010년대 중반부터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는 노력들을 해 오고 있었으나 순수예술 분야에는 여전히 라이브 현장성을 대체할 수 있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찾기 어렵다. 예술가의 직업적 불안정성, 공연의 비용질병 문제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동안 종합예술로서 라이브 현장성과 관객 경험을 본질적 가치로 여겨왔던 공연계의 암묵적 함의는 디지털 환경으로의 전환에 대해 미온적이거나 새로운 가치와 의미에 관한 진지한 논의의 장으로 이어지지 못한 결과를 초래했다. 그러나 2020년 초반 이후 전 세계에 창궐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빠른 전파속도는 신체 뿐 아니라 각 산업과 집단의 취약한 점을 공격하며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구조적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말 태동한 디지털 기술이 지난 30년간 초래한 사회, 문화적 현상의 변화에 비해 수동적으로 대응한 공연예술은 코로나 국면에서 전례없는 과도기적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세계 각국과 국내 공연예술 조직이 자구책으로 내놓은 온라인 중계는 본격적인 수익 모델 논의로 발전하고 있으며, 해외 투어 공연의 제약으로 인해 기획, 제작, 유통 방식의 변화가 요구되는 오프라인 공연은 온라인과 공존하며 지속가능한 방식의 하나로 문화예술의 로컬리티 담론을 제기한다. 온라인 중계와 오프라인공연 병존에 대한 정립된 선행 모델이 대내외적으로 부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공연예술의 위기가 전통적 공연예술 모델 자체에 대한 근본적 인식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일시적인 대체제로서의 온라인 공연 중계나 기술적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 논의를 넘어,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관점에서 공연예술의 정체성과 본질을 재정의하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조망함으로써 공연예술의 전환적 방향과 대안을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pite the professional instability of artists and the cost-disease of performance, the vivid live performance and audience experience tacitly remained as a top priority in the world of performing arts and as a consequence, this failed to lead to the shift to digital transformation. Performing arts have passively responded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riggered by digital technologies for the past 30 years since the late 1990s but are now being called for an unprecedented transition in the time of the Covid 19 pandemic. As the Covid 19 crisis has been prolonged, online streaming as a measurement to survive for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is evolving into the subject of a full-fledged discussion on revenue models. Meanwhile, the loc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as a strategy for sustainability has been raised on top of running parallel with online streaming concerning live performances as the ways of plann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them are expected to change according to restrictions on an international tour. With the absence of established models to run online streaming and live performance in parallel, this study is to assert that the crisis in performing arts in the contactless environment implies the perception transformation in the traditional business model of performing arts. Beyond the discourse on the necessity of online streaming as a temporary alternative, the purpose is to discuss the transformative directions and alternatives of performing arts by redefining its identity and nature and overlooking sustainable business model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