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초기 중앙정부의 경상도 海島政策을 통한 空島政策 재검토

        신명호(Shin Myung-Ho) 부산경남사학회 2008 역사와 경계 Vol.66 No.-

        Evacuation policy of ocean island inhabitants(空島政策) in early joseon dynasty is now widely regarded as central government's official policy of joseon dynasty. but this terminology was first used by japanese scholars. they used this terminology in order to dilute the aggressin or plunder of japanese pirates. unfortunately, many korea scholars also used this terminology as central government's official policy of joseon dynasty without intellectual examination. General lee sung-ke(李成桂) took power after a troop withdrawal from wi-hwa island(威化島). general lee sung-ke could found joseon dynasty with the help of neo-confucianists. cho joon(趙逡), who was one of neo-confucianists, promoted national reformation with the back of general lee sung-ke. so his reformation ideas or lines were those of general lee sung-ke and other neo-confucianists also. in order to make nation strong and rich, cho joon suggested thatocean islands and maritime regions be developed. to catch those purpose, maritime forc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fishing villages should be supported central government. and to collect the intelligence about ocean islands and maritime regions, central government should make geographical feature books. Actually, central government strengthened maritime forces, supported fishing villages and made geographical feature books in early joseon dynasty. after all, evacuation policy of ocean island inhabitants in early joseon dynasty could not proved by any historical evidences. so, we could conclude that ocean island policy in early joseon dynasty was advancing or developing policy.

      • 조선시대 ‘空島政策’ 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손승철 한국이사부학회 2010 이사부와 동해 Vol.1 No.-

        현재 한국학계에는 언제부터인지 소위 ‘공도정책’이라는 용어가 통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용어는 조선정부가 섬을 포기하는 정책을 실시해왔던 것으로 이해 되어,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가 아니었다는 결론을 유도해 갔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이 논리를 이용하여 독도의 선점논리를 정당화해가고 있다. 이 글은 ‘공도정책’의 허구성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조선전기의 武陵等處安撫使와 茂陵島巡審敬差官의 파견을 검토한 후, 조 선후기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정착된 搜討制의 실체를 규명하여, 조선왕조가 전기간에 걸쳐 울릉도와 독도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가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조선초기 섬을 비워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이유는 왜구의 약탈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처였고, 그 방법으로 거주민 을 육지로 불러들이는 刷出이었지만, 그 이후 섬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정책과 제도를 시행했다. 섬을 지속적으로 관리하 기 위해, 1416년부터 ‘武陵等處按撫使’를 파견했고, 1436년부터는 ‘巡審敬差官’을 파견했다.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1694년에 는 장한상으로 하여금 울릉도를 搜討하게 하고, 1697년부터는 3년에 1번, 삼척영장과 월송포만호가 번갈아 가며 수토를 정 례화 했다. 이후 울릉도 수토는 흉년을 당해 정지하거나 연기하기도 했지만, 1700년대에는 지속적으로 실시했다. 그러나 1800년대에 들면서 三政紊亂으로 정치기강이 해이해졌다. 수토군의 규모나 편성은 대략 80명 정도로 구성했고, 반드시 倭學譯官을 대동했으며, 4척정도의 배가 출항했고, 格軍과 什物 등은 삼척 인근의 강릉, 양양, 평해, 울진 등 5개 마을에서 나누어 부담했다. 또한 수토군의 임무는 왜인탐색과 울릉도 지세 조사가 임무였고, 토산물의 진상이나 인삼채취도 부과되었다. 울릉도 수토제는 1881년 울릉도 개척이 본격화되고 내륙인의 울릉도 거주가 정식으로 허용되면서,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The term of 'Gongdo Policy' is currently in common use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It was said that Chosun Dynasty has had a policy of giving up islands and it induces the conclusion that Ulengdo and Dokdo were not the territories of Chosun. Moreover, Japan is justifying its preoccupancy theory of Dokdo, by making use of 'Gongdo Policy' In order to reveal the falsehood of 'Gongdo Policy',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how Chosun Dynasty had managed Ulengdo and Dokdo throughout its governance, examining the dispatch of 'Moorengdengcheoanmoosa(武陵等處按撫使)' and 'Moorengdosoon simgyungcahgwan (武陵島巡審敬差官)'in the former Chosun Dynastyand investigating the existence of 'Sooto System'. It is true that government let the island evacuated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owever, it was an action in advance to prevent the plunder of Japan(Waegu). The government called in the inhabitants of island to the land, but still implemented the policy and system to continuously manage the island.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dispatched 'Moorengdengcheoanmoosa' from 1416 and 'Moorengdosoonsimgyungcahgwan' from 1436. In the late Chosun Dynasty, Ulengdo was guided by Janghansang in 1694, and Samchukyoungjang(三陟營長) and Wolsongpomanho(月松浦萬戶) kept it regular once every three year from 1679. Afterward Ulengdo Sooto was stopped or delayed by famine from time to time, but wa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1700. However, Samsungmoonran(三 政紊亂) occurred in the 1800 and it resulted to a breach of political discipline. The scale or formation of Sooto force consisted of about 80 soldiers with 4 ships and accompanied the interpreter of Japanese at any cost. Soldiers and all expenses of goods were shared by 5 villages such as Gangreng near Samcheok, Yangyang, Pyunghae, and Uljin. The mission of Sooto Force was mainly to detect the Japanese pirate raiders and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Ulrengdo, including gathering of local products or ginseng. Ulengdo Sooto system lasted until 1894 with pioneering Ulengdo in 1881 after the government officially permitted people in the interior to inhabit in Ulengdo.

      • KCI등재
      • KCI등재

        수토정책에 대한 국제법적 해석

        유하영(HaYoung Yu)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4 독도연구 Vol.- No.16

        본고는 한일 양국간의 외교문서에 나타난 소위 ‘비거주정책’(policy of non-inhabited island)은 결코 일본의 주장과 같은 ‘공도정책’(Island Vacancy Policy)이 아님을 국제법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1954년 2월 10일자 ‘일본정부의 견해’에 의해 제기된 조선 초 ‘수토정책’(搜討政策)이 독도 ‘영토 주권의 포기’에 해당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는 한일 양국간의 구술서를 통한 논박에서부터 시작된다. 수토정책에 관한 역사학의 연구는 울릉도와 독도에서의 쇄환(Evacuation), 수토, 순심 정책 차원에서의 접근이었다. 조선시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정부의 관리대책은 대략 15세기 초기의 쇄환정책과 18세기 후기의 수토정책으로 구별하여 고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고는 이러한 구별을 두지않고 또 제도적 측면을 포함한 단지 ‘수토정책’으로 칭하였다. ‘수토정책(수토제도)’란 2~3년에 한 차례씩 관리(수토사)를 파견하여 울릉도와 그 부속도서인 독도를 순검 관리토록 한 정책이다. 이 수토정책은 여말선초에 왜구의 노략으로 피해가 심해지자 결국 1403년(태종 3) 8월 주민들의 피해를 우려해 육지에 나와 살도록 하는 ‘쇄환정책’으로 최초 실시한다. 이에 1416년(태종 16)년에는 울릉도와 주변 섬을 조사하기 위해 삼척만호 김인우를 무릉등처안무사(武陵等處按撫使)로 임명을 시작으로 약 400여 년간 관리(수토사)를 파견한 조선의 도서관리 정책의 하나이다. 본고는 수토정책에 관해 역사적 검토를 바탕으로 현재의 한일 양국의 해양정책을 고찰하고 난 뒤, 이러한 수토정책이 국제법상 ‘영토 주권의 포기’에 해당하는가를 법해석학의 견지에서 분석해 보았다. 즉 조선의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수토정책은 국제법상 영토주권 포기의 ‘요건’인 영토 포기의 주체와 객체, 구성요건, 효과 등 요건 구비 분석 결과, 이는 결코 영토주권의 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설사 일부 일본학자의 주장처럼 공도정책이 맞는다 치더라도 수토정책이 국제법상 영토주권의 포기에 해당되지도 않으며, 독도가 곧바로 무인도 또는 무주지가 되는 것이 아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at Island Vacancy Policy urged from some Japanese scholar is not same meaning with the policy of non-inhabited island as a renunciation of territorial sovereignty. It is originate the Governmental and Diplomatic Exchanges of Note Verbal between Korea and Japan, date 10, Feb. 1954 firstly. In the domestic historical researches, there are concentrate and focus on the level of the fact-finding in respect of Evacuation Policy, Patrol policy to Ullengdo and Dokdo during Joseon dynasty. Different from the main land, Joseon dynasty control and treat to the Islands is as a place of non-inhabited in order to the people’s safe. The policy (system) of non-inhabited island in this paper is mean that the a governmental policy is delegate to the Inspector to the Islands one of a ocean security policy one each two or three years. This policy come into forced and established firstly as a Evacuation Policy in 1403. It is also abolished because of unlawful Japanese fisherman, immigrants and pirate raiders in 1882. The policy or system of non-inhabited island in this paper is not relevant to the renunciation of territorial sovereignty in terms of International Law as I analysed. Conclusionally, even if Island Vacancy Policy urged from some Japanese scholar is correct, The policy (system) of non-inhabited island is not same meaning with the renunciation of territorial sovereignty in International Law and that Dokdo is not come under the Island of Terra Nulius.

      • KCI등재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울릉도와 독도 근해는 신라시대부터 우산국으로 기술되면서, 신라의 영토에 편입되어 있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고려의 영토로 인식되었고, 1141년부터는 명주도의 관리구역이었다. 『高麗史』에 의하면 東界 울진현의 행정구역으로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1350년대에 왜구의 침입하면서, 울릉도는 동해안 지역을 약탈하기 위한 중간 거점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강원도를 비롯한 동해안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은 계속되자, 울릉도가 왜구침탈의 중간거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처로 "居民刷出"을 했다. 그런데 이러한 "居民刷出"이 일인사학자들에 의해 조선의 해양정책으로 규정되어 "空島政策"이란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대마도에서는 일본인의 울릉도 이주를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태종은 일본인의 울릉도거주를 허용하는 것은 越境이므로 허락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일본인의 이주를 청한 것이나, 越境이어서 안된다고 한 것은 일본이나 조선의 울릉도에 대한 경계인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울릉도 관리를 위해 "武陵等處按撫使"와 "武陵島巡審敬差官"을 파견하였고, 17세기 말 "안용복사건"을 계기로 搜討制가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결국 "공도정책"이란 있지도 않았고, 오히려 "거민쇄출"도 울릉도를 경영하는 하나의 시책이었다. "居民刷出"을 시행하면서 조선에서는 按撫使 - 敬差官 - 搜討官을 파견하여 울릉도에 판한 도서경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한편 于山國이 于山과 武陵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우산과 무릉이 一島인가, 二島인가 하는 문제이다. 『고려사』나 『세종실록』에는 우산과 무릉이 두 섬으로 기술되었는데, 『신증여지승람』에는 한 섬으로 되어있다. 이 사료는 조선왕조가 동해의 도서에 대해 어떠한 영토인식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一島說"과 "二島說"의 혼란은 『동국문헌비고』에 의해 완전히 "二島說"로 정리된다. 이는 1696년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벌어진 조일간의 "울릉도쟁계"의 결과 나타난 영토인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于山國은 于山과 武陵이며, 두 섬으로 되어있고, 于山은 독도, 武陵은 울릉도"라는 사실이 모두 증명된다.

      • KCI등재

        서남해 도서 지역에서 행해졌던 잔치식 상·장례 풍속 조사와 그 특징 및 의미

        김용갑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stoms of folk funeral rites handed down in the memory of the residents in the Westsouth Sea island area, and presented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 result of this field survey, the most common name for the funeral customs was 'bamdari’' and it is found that the customs were disappeared around before or after 1990s. As shown by the fact that bamdari was practiced in the funeral customs procedures of Confucianism and the purpose of it was to defeat something unwilling or ominous by making the house in mourning noisy along with comforting the family of the dead, bamdari was funeral customs mixed with Confucianism and folk beliefs. In the customs, drinking, singing, and dancing were performed playing the music of drum and janggu, and pork, red bean porridge, and 'galparea-soup' were served as food. The labor, mutual aid and preparation for foods required for funeral and bamdari were carried out by the villagers with the family of the dea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amdari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village funeral, and maintained and inherited by mutual help and 'pum-at-i'' (exchange of services). This shows that bamdari was a 'typical type' of Korean community culture. This article corrected the errors in the name and concept definition presented in existing studies, and revealed that the use of the term 'empty islands'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the continuation of the bamdari custo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ed customs related to bamdari and discovered local vocabulary through the field survey. 본 연구는 서남해 도서지역에서 행해졌던 잔치 형식의 상·장례 풍속을 현지 조사하고, 그 특징과 의미를 살펴봤다. 조사 결과, 가장 폭넓게 불렸던 이 풍속의 이름은 ‘밤다리’였으며, 대다수 지역에서 1990년대를 전후해 소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밤다리는 유교의 상·장례절차 속에서 행해지고, 그 목적이 상주 위로와 상가(喪家)를 떠들썩하게 해 부정(不淨)을 물리치고자 했던 것에서 나타나듯, 유교와 민간신앙이 혼재된 상·장례 풍속이었다. 이 풍속에서는 북, 장구와 함께 음주가무가 행해졌으며, 돼지고기, 팥죽, 갈파래국 등의 음식이 제공됐다. 밤다리와 상·장례에 필요한 음식과 일은 상주와 함께 마을 주민들이 주체가 돼 마련되고 행해졌다. 따라서 밤다리는 마을 장례식의 성격을 띠며, 상호부조와 품앗이에 의해 유지·계승됐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밤다리가 한국 공동체 문화의 한 ‘전형’(典型)임을 보여준다. 이 글은 기존 연구가 지닌 풍속 명칭과 개념 등을 보완했으며, 밤다리 풍속의 지속 측면에서 ‘공도(空島)’란 용어 사용이 적절하지 않음을 밝혔다. 또한 현지 조사를 통해 밤다리 관련 풍속을 수집하고, 무름밥, 애우불 등과 같은 향토어휘 및 자료를 발굴했다.

      • KCI등재

        청산도(靑山島)의 역사(歷史)와 구들장논의 경영(經營)

        金世鎬 ( Kim Se-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1 No.-

        靑山島 구들장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농업유산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역사적 근거와 경영의 기원 등은 아직 밝혀진 적이 없다. 이 글에서는 문헌 기록을 통해 청산도의 역사를 재검토하고 구들장논 경영의 기원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청산도에 공도정책이 시행되었다가 조선 후기 사람들이 거주하며 구들장논 또한 이 무렵에 시작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청산도는 고려 시대 이래 백성들이 꾸준히 살아왔던 곳으로 이곳의 농경은 최소 지금에서 1,000년 이전부터 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시작은 가장 먼저 인구가 유입되고 정착한 곳으로 비정되는 읍리와 당락리(당리) 일대일 가능성이 높다. 조선 후기 靑山鎭이 설치되면서 구들장논은 屯田의 형태로 관리되었고, 둔전의 잉여물은 곧장 세금으로 납부되며 상당한 소출을 생산했던 것으로 보인다. 청산도의 농사 형편은 항상 조정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었으니 이는 청산도 구들장논의 유구한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Gudeuljang paddy field in Cheongsan-do(靑山島) is known as Korean representative agricultural heritage, but its historical basis and origins of management have not yet been revealed. This article intended to reexamine the history of Cheongsan-do and trace the origins of management of Gudeuljang paddy field by the relevant literature records. The previous study supposed that, people started to reside in Cheongsan-do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fter the end of the policy of emptying islands, and Gudeuljang paddy field was also started around this time. However, Cheongsan-do is the place that the people had continuously lived since Goryeo dynasty, and it is assumed that the agriculture in this place had been started from at least 1,000 years before. The beginning of this is highly likely to be around Eup-ri and Dangnak-ri (Dang-ri), which are thought as the first places where the population entered and settled. With the installation of Cheongsanjin(靑山鎭) in the late Chosŏn Dynasty, Gudeuljang paddy field was managed in form of a garrison farm(屯田), and the surplus of this garrison farm seemed to be paid directly by tax, producing considerable yield. The agricultural situation of Cheongsan-do was always subject of discussion in the royal court, and this is giving testimony of the long history of Gudeuljang paddy field in Cheongsan-do.

      • KCI등재

        조선-일제 강점기 울릉도 지명의 생성과 변화

        김기혁(Ki-Hyuk Kim),윤용출(Yong-Chul Yo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6 문화 역사 지리 Vol.18 No.1

        본 연구는 조선시대 개척과 함께 진행된 지명의 형성과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제 지명을 추출하여 두 시기간 지명 형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수토가 진행되면서 주로 산지와 해안을 중심으로 자연 지명이 형성되었다. 1882년 개척령 반포 이후 취락을 중심으로 지명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1900년 행정구역으로 편입되면서 법정 취락 지명이 나타났다. 지명수가 증가하면서 이름소는 계속 유지되는 경향을 보이나 형태소에는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동일한 이름소를 바탕으로 형태소를 달리하는 파생지명이 형성되었고 특히 교통로와 관련된 파생지명이 많았다. 개척이 활발해지면서 취락이 확산되면서 계곡 지명이 증가하였다. 개척민들 사이에서 사용되던 구전지명은 순한글지명이 많았으며, 지도나 문서에서는 한자지명이 사용되었다. 일제 강점기 들어 지도가 제작되면서 조선시대 사용되던 모든 지명은 전부 한자화되었다. 형태소의 경우 새로운 형태소로 표준화되었다. 이름소의 경우 일부는 과거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순한글지명은 소리나 뜻을 빌어 한자지명으로 바뀌었다. 또한 기존에 한자지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른 형태로 바꾼 지명도 있다. 한편 현재의 국가 공시지명중에도 적지 않은 지명이 일제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place names in Ulleung Island from Joseon dynasty until Japanese colonial period. Place names were collected from large-scale old maps and historical material produced in Joseon Dynasty and from gazetteer and Japanese map published in 1910s. In early phase of exploration in Joseon dynasty, only one place name was formed based on the middle peak. In middle phase, place names mainly regarded on mountains and embayments on coastal area were produced. After settlement policy(1882), place names mainly based on settlement were formed. And the past place names on embayment were changed through the change of generic toponym.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l place name, especially in generic toponym, were standardized for the map making. Pure Korean place names were changed to Chinese-character place names and some places were given the new Japanese-style place names with specific toponym. In some cases, the Chinese character in place names was changed to another character meaning the worship of Japan. Besides,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in specific toponym were changed in this perio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