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 공간 공사장 가림막의 특성과 레이아웃 구성 요소 및 원리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하오동민 ( Haodongmin ),이성필 ( Lee Sung Pi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기존의 공공 공간 가림막은 흉물스러운 설치물이었으나, 도시 미관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공공 공간 가림막은 디자인적 가치를 높이는 보조 도구로 활용된다. 따라서, 공공 공간 가림막의 선호도를 향상시켜 공사장 가림막의 인식 개선, 도시의 미관 증진을 위해, 사람들이 선호하는 공공 공간 가림막 디자인은 무엇인지, 어떠한 특성과 레이아웃 구성요소를 선호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공 공간 가림막 디자인의 인식, 가림막의 특성요소, 레이아웃 구성요소와 원리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분석한 연구이다.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남·녀 대상으로 2019년 1월 21일부터 28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공공 공간 가림막에 대한 인식은 전체 응답자의 92.5%가 가림막이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공공공간 가림막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공공 공간 가림막 레이아웃 인식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87.5%가 색상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타이포그래피와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여백 순서로 인식하였다. 공공 공간 가림막 특성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사람들은 기능성을 가장 선호하였고, 안전성, 심미성, 상징성, 통합성, 환경성, 연속성 순서로 선호하였다. 공공 공간 가림막 레이아웃 구성요소의 경우 사람들은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을 가장 선호하였고, 색상, 타이포그래피, 여백 순서로 선호하였다. 특히, 사람들은 타이포그래피가 없는 레이아웃을,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이 있는 레이아웃을, 다양한 색상이 사용된 레이아웃을, 여백이 거의 없는 레이아웃을 선호하였다. 공공 공간 가림막 레이아웃 원리의 경우 사람들은 통일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강조, 대비, 변화, 비례, 균형, 집중, 운동, 방향, 조화, 정렬을 선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람들이 선호하는 공공 공간 가림막 특성과 레이아웃 구성요소 및 원리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가 공공 공간 가림막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희망한다. Many of the existing public spaces blocks are covered by ugly, but as the importance of city aesthetics grows, the public space is used as an assistance tool to enhance design valu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public space and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city by improving the preference of the public space design,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and layout element people prefer.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space block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block, preference of layout elements and principl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n and woman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January 21 to 28, 2019, and total 200 cop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92.5% of respondents know the public space block, recognized the important of public space design. Also, in the case of the public space recognition, 87.5%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color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ypography, picture and illustration, space. In the case of preferen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people preferred functionality the most, followed by safety, aesthetics, symbolism, integrity, environmental, continuity. In terms of the elements of layout in public space block, people preferred picture and illustration the most, followed by hues, typography and white space. Expecially, people preferred a typography-free layout, a picture and illustration layout, a layout with various colors, a layout with little space. In the case of public space layout principle, people preferred unification the most, followed by emphasis, contrast, change, proportion, balance, concentration, exercise, direction, harmony, alignment. Comprehensively, this study showed people's preferred public space characteristics, layout elemebts and principles, I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the public space.

      • KCI등재

        수변공간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 목포시 주요 수변 건축물을 대상으로

        박성진,유창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는 내륙 도시와 다른 지역적 정체성을 갖는 해안도시의 경쟁력확보와 수변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수변공간과 경관색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해안도시인 목포시의 주요 수변공간 가로변 건축물들의 구성과 색채를 조사·분석한 후 이용자 평가를 통해 조사지역별로 수변공간의 가로변 건축물 경관색채의 미의식과 그 미적판단기준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경관색채 이미지, 구성원리,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서 수변공간의 가로변 건축물의 지역별 경관색채 관리 및 계획을 위한 방향성 제시와 향후 색채계획 및 관리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하당지구 가로변 건축물들의 색채 만족도는 주변 자연과의 조화→통일성/연속성→전체만족도와 지역성→전체만족도로 주된 선형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주변 자연과의 조화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색채이미지 요인은 ‘은은함’의 색채 이미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통일성은 ‘화려하고 우아한’ 색채이미지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성에는 ‘중후함’의 색채 이미지 요인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내항지구 가로변 건축물들의 색채 만족도는 지역성→통일성/연속성→전체만족도의 선형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세부적으로는 지역성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색채이미지 요인은 ‘고상함’의 색채 이미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통일성은 ‘맑은’ 색채이미지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조형원리에 의한 옥상정원 디자인 분석 연구

        김신원(Shin Won Kim),허준(Jun Heo),박창용(Chang Yong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로 열악해진 도시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사람들이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으로 옥상녹화를 주목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2002년부터 옥상녹화지원 사업을 실시하면서 2008년부터 옥상을 도시경관의 향상과 휴식공간의 제공 및 생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명칭을 옥상녹화사업에서 옥상공원화사업으로 바꾸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옥상정원의 디자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도 서울특별시에서 지원하여 조성된 옥상정원을 대상으로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디자인을 분석하고 향후 옥상정원의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를 옥상정원의 공간구성요소인 식생, 시설물, 수공간, 포장으로 나누고 통일, 비례, 대비, 반복, 균형, 율동, 대칭, 강조 등 여덟 개의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조사표를 만들고, 현장조사와 사진촬영을 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구성요소별 조형원리 적용분석 결과 식생에서는 반복이 많이 적용되었고, 시설물에 적용된 조형원리 빈도는 반복과 강조로 나타났다. 수공간은 열세 개소 중에서 여덟 개소가 설치되었으며, 적용된 조형원리는 자유곡선을 사용한 율동이었다. 포장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대비와 반복이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조형원리의 공간구성요소별 적용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반복이었고 통일, 대비와 강조, 대칭, 율동, 균형, 비례 순으로 나타났다. 세째, 건물유형별 공간구성요소 특징 분석결과 계성여고는 텃밭을 만들어 학생들이 야생화와 채소를 직접 심고 가꾸면서 체험하는 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장로회 신학교-A는 신학교의 특성을 살려서 개인 기도실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장로회 신학대-A와 이대목동병원은 공연을 할 수 있는 무대 만들어 작은 공연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옥상정원은 주이용자 및 이용목적에 따라서 차별화된 설계가 되어야 하며,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자연을 접하고 휴식과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옥상정원의 이용도를 높이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in the number and height of buildings result in the poor condition of city environment. In order to restore the environment and let people come in contact with nature, the concept of green roof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solution. In particula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the green roof project since 2002. In 2008, the `green roof project` was renamed to `green garden project`, because the project involves improving city scenery and making the roof gardens wherever possible, for people can come to and rest. Roof gardens, created with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eoul in 2007,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visual and aesthetic qualities. This research will provide design data to make roof gardens more useful and artistic. The subject of research has been separated into four different factors: planting, facility, water space, and pavement. It has been separated into eight different principles of design: unity, proportion, contrast, repetition, balance, rhythm, symmetry, and emphasis. A field study and photographs have been collected as data.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paces. In many facilities, repetition of plant occurs. Regarding equipment, repetition and emphasis occurred frequently. Out of thirteen facilities, eight facilities provided water space, showing rhythm with a free curved line technique. Regarding pavement, contrast and repetition occurred frequently. 2.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space composition factors regarding different principle of modeling. In thirteen facilities, repetition is being used the most, the second is unity, then contrast and emphasis, symmetry, rhythm, balance, and proportion. 3.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modeling in different building usage. In Gye Seong Girls` High School, there is a field where students can plant wildflowers and grow vegetables.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A(PCTS-A), there is a prayer room that the students can use freely. Also there are stages at PCTS-A an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here performances take place. In the future, designers should come up with designs that are specialized for their users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services. Also designers should develop many more palces where people and nature meet and exist in one place together.

      • KCI등재

        退溪 山水遊記의 空間形象과 그 道學的 性格

        신태수(Shin, Tae-soo)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퇴계는 산수유기 두 편을 남긴 바 있다. 산수유기에 의하면, 산수가 즐거움을 직접 주지는 않는다. 心與理一의 논리에서 보듯이, 퇴계 그 자신이 격물을 통해 즐거움을 성취한다. 이 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간형상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공간형상은 장면 단위로 구성되고, 각 장면은 ‘寫景→類比→議論’ 과정으로 구성된다. 구성이 뚜렷하므로, 그 원리도 있게 마련이다. 유람 기간이 장면 개수를 통제하고, 장면이 ‘사경→유비→의론’ 과정을 갖추고자 하고, 의론이 심여리일의 논리에 입각한다는 점이 공간형상의 구성 원리이다. 구성 원리가 지향하는 바를 사경 방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산수의 활발발한 본성 표출 방법과 원근 풍광의 자세한 묘사 방법이 그것이다. 전자는 의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후자는 의론과는 반대편에서 의론에 영향을 끼치지만, 인성 함양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는 공동보조를 취한다. 이렇게 보니, 공간형상의 도학적 성격은 두 가지다. 分殊를 통해 理一을 구현한다는 점이 그 첫 번째요. 실천적 차원에서 天人合一을 추구한다는 점이 그 두 번째이다. Toigye left two works of Sansuyugi. According to Sansuyugi, mountains and rivers themselves do not offer pleasure. As dictated in the logic of Simyeoriil, the subject of pleasure was Toigye himself. There is a need to focus on spatial figurations to check this. Spatial figurations are comprised of scene units, and each scene is organized in the process of Sagyeong→Yubi→Uiron. Since the composition is clear, it will naturally have a principle.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in spatial figurations is the restriction of scenes by the duration of sightseeing, the process of Sagyeong→Yubi→Uiron in each scene, and Uiron based on the logic of Simyeoriil. The orientation of this principle of composition can be found in methods of Sagyeong. They include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active nature of mountains and rivers and that of depicting distant scenes in details. While the former has direct impacts on Uiron, the latter affects it opposite to Uiron. They, however, share auxiliary roles in the emphasis of a need to cultivate personality. From this perspective, spatial figurations have Dohak nature in two aspects: one is to embody Ri-Il through Bunsu, and the other is to pursue unity between the Heaven and man at the practical level.

      • KCI등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최후의 만찬’벽화에서 나타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김석만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벽화에서 나타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최후의 만찬’에서의 1점 소실점 원근법의 이용은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의 형태와 깊이를 표현하기도 하고,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바닥과 벽 및 천정의 요소가 공간의 경계로서 명확하게 표현되었다. 2. 전체적인 화면은 대칭축을 중심으로 가로변과 세로변이 4:3의 비례체계로서 구성되었고, 실제적으로 그려진 그림의 화면은 2:1의 비례체계로서 구성되었다. 이외에도, 전체와 부분 및 부분과 부분사이의 구성은 1:3, 1:4, 2:3으로서 르네상스시대에 고전주의를 기초로 이루어진 이상적인 비례체계에 의해 이루어졌다. 3. 전체적인 화면과 실제적으로 그려진 화면은 건축의 기본적인 구성원리를 통해 축에 의한 규칙적이고 대칭적인 배치, 연속적인 배열의 반복과 율동, 완벽한 수학적인 비례체계를 중심으로 조화와 질서, 균형과 통일에 의해 표현되었다. 4. ‘최후의 만찬’은 예수의 머리를 중심으로 원근법의 중심과 구도의 중심이 일치하면서 완벽한 균형감과 안정감 있게 구성되었다. 이러한 그림은 건축에서의 내부공간의 구성요소인 기둥과 같은 벽걸이의 수직요소와 함께 이루어진 벽과 천정 및 바닥과 같은 평면요소에 의해 볼륨을 이루는 건축적인 공간구성으로 형성되었다.

      • 조선시대 행궁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동지지에 기록된 행궁을 중심으로-

        ( Joong Min Hu ),( Jong Hee Choi ),( Won Ho Lee ),( Yong Ki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8 No.-

        19세기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 조성된 행궁(行宮)들이 존재했고, 각종 지리서와 행궁도(行宮圖)를 통해 행궁에 관한 사료들이 축적되어 있어 행궁의 원형을 살피는데 적절한 시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세기의 지리서인 대동지지에 수록된 조선시대 행궁을 대상으로 관련 고문헌과 고지도, 행궁도(行宮圖)의 분석을 통하여 공간의 배치, 공간구성 원리, 진입방식으로 나누어 고찰한 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행궁의 공간 배치는 진입로에서 외대문까지의 외조(外朝) 공간, 정전과 편전의 역할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치조(治朝) 공간, 침전을 중심으로 한 연조(燕朝) 공간과 그리고 휴양과 수련을 위한 후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궁이 지닌 목적을 반영한 건물들이 추가되거나, 필요하지 않는 건물들은 생략, 통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2. 연구대상 행궁의 공간구성원리는 조선시대 궁궐배치의 기본원리인 주례, 고공기의 삼문삼조(三門三朝)와 전조후침(前朝後寢)의 원리를 일반적으로 따르고 있었다. 3. 연구대상 행궁의 진입방식은 굴절형인 온양행궁을 제외하고 모두 직선형이며, 건물의 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수부형 행궁의 경우에는 2층 누문을 통해 진입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Particularly in the 19th century, temporary palaces were built for various purposes and historical records on temporary palaces in this period are found in various geographic books and temporary palace drawings. Accordingly, this period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examining the prototype of temporary palaces. The present study explained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emporary palac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nstruction through analyzing old literature, old maps and drawings related to temporary palaces recorded in Daedongji-ji which is a geographic book from the 19th century. This study analyzed separately the spatial arrangement, the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approaching typ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patial arrangement of study objective site, the temporary palaces was composed of the outer court from the approach to the outer gate(Woi-jo, 外朝), the ruling court that integrated the roles of the main hall and the royal council hall(Chi-jo, 治朝), the resting court centering on the bed room(Yeon-jo, 燕朝), and the rear garden for resting and training.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each temporary palace, buildings were added, omitted or merged basically. 2. The temporary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were organized faithfully according to principles of ``three gates and three courts(三門三朝) and the temporary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were arranged follow a principle of ``court in the front and bedroom in the back(前朝後寢).`` 3.The approaching type of study objective sites was analysed that the Approaching Route Types were Straight and Approaching Route Aspects matched with buildings in the all study objective sites except in case of Onyany temporary palace which had a Refraction Route Type. And especially, in case of Yusubu type, the beginning gate were characterized as through the second-story ru-mun(gate tower).

      • KCI등재

        형태주제와 디자인원리를 중심으로 한 포켓파크의 디자인 분석

        김민정(Min Jung Kim),김신원(Shin W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고층빌딩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도심 속 포켓파크는 규모는 작지만 시민들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소공원으로의 역할을 하며, 도시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가치있는 공간이다. 본 논문에서는 포켓파크의 디자인의 현황 분석을 통해 조성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포켓파크의 통합디자인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도심재창조 프로젝트’의 포켓파크를 연구범위로 선정하였으며, 입지 여건 및 공간구성요소에 따른 조성실태 분석을 위해 각 대상지의 평면도를 바탕으로 현장답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조경, 건축적 측면을 다룬 포켓파크에 관한 연구논문, 서적 및 보고서 등의 고찰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환경적 자극의 가장 중요한 시각적 반응에 초점을 두고 심리적인 지각작용 및 연상작용을 불러일으키는 형태주제와 이를 통해 나타나는 디자인 원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켓파크 대상지에 사용된 형태주제는 주로 사각과 원의 형태를 활용한 기하학적 형태주제로 구성되어 정형적이고 통일성 있는 공간이 조성되고 있었으나, 형태주제 활용의 한정성과편중성으로 인해 각 공간만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한 계획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켓파크의 입지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형태주제의 사용으로 주변 환경의 연계성과 공간요소들 간의 조화로운 상호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는 활력 넘치고 매력 있는 도심 속 포켓파크가 되기 위해서는 공간구성 요소간의 통합적인 디자인으로 통일성을 이루는 포켓파크를 구성하되, 각 공간의 다양성 속에서 상호관련성을 이루는 디자인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우수한 디자인의 포켓파크는 기업이미지를 제고해주는 홍보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삭막한 도심 환경을 개선하는 경관미로 디자인서울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며, 보다 나은 도시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지역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 pocket park in the city, between high-rise buildings, provides a place to relax for the citizens; despite its small scale, it is a valuable space which contributes to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c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pocket parks through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vide documents for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about pocket parks. It has been concentrated on ‘Urban Renaissance for Seoul Projects’, and it made an inspection of the site which is based on the plans to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ocket parks dealing with landscape architectural and architectural sides from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ual reaction to the environmental stimulus and analyzes structured themes and design principles which arouse psychological perception and associations. Structured themes in pocket parks consist of geometrical themes using quadrangle and circular patterns. However, it can be assumed that the plan does not reflect on the placeness and identity of the space due to limited application of the structured themes. Therefore, an integrated design of constituent elements of spaces and a sustainable design should be projected to make a pocket park which is full of energy, and attracts not only citizens but also tourists. The design of the pocket park should not only promote the image of the edifice but also enhance the environment of the city. Furthermore, the pocket park should work as a foothold that reinforces local competitiveness through representing better images for the city.

      • KCI등재

        국내 초고층 주거건축 평면구성 원리의 변천에 관한 연구

        최재필(Choi, Jae-Pil),신재섭(Shin, Jae-Seop),최영준(Choi, Young-Jun)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2

        Forty years after the very first apartments were built in Korea in the early 1960s,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witnessed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of over 50 storeys in 2002. eventually leading to even higher residential buildings of over 300 meters in 2011. For structural performance, such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come in the form of towers, as opposed to the flat, plate-like forms of the conventional apartments that have been built in Korea for nearly half a century. Because of this dramatic change in the building form, one can expect the spatial layout of the inner spaces have changed accordingl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layouts of unit plans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between Korea and America, we were able to find dramatic changes in the planning principles of Korean projects, where early projects adopted planning principles of the previous plate-like apartments, in comparison to the later projects that more or less resemble the American projects. To objectively determine whether a unit plan resembles another or not, we used quantitative methods that utilize Space Syntax an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ANOVA.

      • KCI등재
      • KCI등재

        전통사상(專統思想)과 서원건축배치(書院建築配置)의 구성(構成) 원리(原理)

        박정해,한동수,Park, Jeomg-Hae,Han, Dong-Soo 한국교육시설학회 2011 敎育施設 Vol.18 No.6

        The Korean academics of classical learning, Seowon which from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was complexly reflected in "the illustration of Taiji(太極圖說)" Five-Elements school(陰陽五行說), "Zhou Yi(周易)" and a theory on spherical heaven and square ground(天圓地方) which based on orientalism. Also the theory of Xiangshu Xue(象數學) was a significant factor to decide the size(number of facade module) of Seowon architecture. So, in this study, how the oriental thought was adopted and reflected in existing 21 Seowon in South Korea. The size of Seowon architecture was adopted a theory of combination with heaven, earth and human(天地人三合論) that based on the theory of Xiangshu Xue on "the illustration of Taiji" and "Zhou Yi". "Zhou Yi" was the central thought of Confucian culture in Joseon Dynasty, with which Seowon space was divided into two, ancestral rites space and lecture space. It coincides with balance of yin(陰) and yang(陽), Five-Elements(五行) and four seasons(四季節). In lecture space, lecture hall is relevant with the water(水) and winter, and front tower structure or outer three-door is the fire(火) and summer. Also, central garden means the soil(土) and center. Thus, the size and spatial composition was planned with the philosophy, "the illustration of Taiji", Five-Elements school and a theory on spherical heaven and square ground. Yin and yang has an idea of the heaven and earth, and Five-Elements has an idea of direction and season with which spatial composition of Seowon could be set. And the numeral meaning on the theory of Xiangshu Xue established an ideal background for spatial composition of Seowon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