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조계해,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급속한 확산과 코로나 19의 충격은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에 큰 도전을 가져왔다. 그리고 개인화된 소비의 배경에서 고객의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 경험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브랜드 또는 기업의 오프라인 공간 개발은 브랜드 발전의 핵심 전략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핵심요소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소들과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어떤 요소가 고객의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개념 및 핵심요소들을 도출하고 브랜드 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의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본 연구의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를 선정하고 연구모형을 만들어 제시한다. 셋째,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며,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측정항목의 신뢰도, 타당도, 확인적 요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에서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고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디자인 전략을 제시한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 첫째,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4가지 핵심요소(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문화,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는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브랜드 만족도가 충성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핵심요소들과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 관계에서 만족도의 부분적인 매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 직간접적 효과가 모두 유의했으나, 브랜드 문화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는 직접효과의 유의성만 발견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재했다. (결론)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핵심요소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문화,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는 모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는 충성도를 직접적으로 높이는 동시에 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브랜드 충성도를 이끌어 내고 있음을 확인했다. 결국 브랜드 문화는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 영향효과가 더 뚜렷한 것으로, 향후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 디자인에서 4가지 핵심요소에 초점을 두고 종합적인 요소 활용을 통해 브랜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본다.

      • 재활치료실의 공간환경이 재활의료서비스전체에 대한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나경(Nakyung Lee),서다솜(Dasom Seo),송경은(Kueoungeun Song)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재활기관의 재활치료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재활의료서비스 전체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상관관계 및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전지역 여섯 개 병원 및 재활기관에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재활치료 공간환경만족도를 나타내는 문항들을 일곱개의 구성(공간디자인, 쾌적도, 개별성과 소통성, 길찾기, 층간 이동성, 치료실의 층 위치, 주변 공간)으로 범주화하였다. 자료를 피어슨의 상관관계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활치료 공간환경만족도는 재활의료서비스 전체만족도와 중간정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0.477, p<0.001). 공간환경만족도는 서비스 전체만족도의 24.9%를 설명하였으며 특히 공간환경 구성 중 공간디자인과 개별성/소통성은 서비스 전체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β=0.13∼0.16, p<0.05). 결론적으로, 재활기관의 재활치료실 공간환경만족도는 전체 재활의료서비스만족도에 관련이 되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만족스러운 재활치료실 공간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전체적인 재활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 중에서도 공간디자인과 개별성/소통성은 영향이 분명한 인자로서 더 무게를 두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배동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ies, including the innovation of information, public libraries are no longer user-friendly places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nges in space organization of libraries and the satisfaction of library users for the purpose of using these findings in assisting in the planning of the space organization of libraries in the future. (Method) Among the public libraries of Daegu, libraries opened or remodeled since 2009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ith their spaces, space organization for floors, and area ratio being analyzed with data and information obtained using design drawings and field visits. The satisfaction of users was also examined. (Results) The public library can be divided into five spaces: a reading space, a studying space, a culture-education space, an administration-work space, and a public space. They are typically three stories high and have one underground floor, with spaces on the 4th floor and above used for cultural education or administration work. As for the space organization of each floor, the basement is generally provided for administration work and management, and the first level consists of reading spaces for children, seniors, and the disabled, with easily accessible exhibitions and integration with outside spaces. The second level is generally used as a reading space, while the third level consists of reading spaces and spaces for cultural education. Reading spaces and digital spaces on the second level and above, especially, are typically arranged without boundaries so users can easily extend their activities. For the ratio of spaces in the library, the practice of dedicating space to a cultural education area is gradually increasing while studying space is decreased. In terms of user satisfaction with the location of spaces in the library, the children’s reading space on the first floor received the highest score, and special spaces such as the mother-child reading space, a toddler reading space, and a story space also received high scores. The studying space received the lowest score. As for user satisfaction regarding integration with other spaces, the exhibition space received a relatively low score compared to the studying space and the culture-education space.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should provide its users with professional and efficient services to fulfill its purpose as a public center. This study has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using various evaluation indexes, and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area ratio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patial planning of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공공도서관은 정보 혁신등 사회의 발달로 도서관내 자료를 단순히 제공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이용자중심의 도서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區,)중심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간구성의 변화상을 파악하고, 공간이용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계획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연구방법) 대구광역시의 구중심 공공도서관 중 2009년 이후 개관 또는 리모델링한 도서관을 중심으로 설계도면과 현장방문을 통해 사용공간, 층별구성, 면적비율을 분석 후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지역사회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은 자료열람부문, 학습공간부문, 문화교육부문, 업무관리부문, 공용부문의 5가지 공간으로 분류된다. 도서관의 규모는 지하1층, 지상3층이 대부분이며, 지상4층 이상의 의 공간은 문화교육 또는 업무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층별 공간 구성은 지하1층은 업무와 관리를 위한 공간이며, 지상1층은 접근의 편의와 외부공간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어린이 열람실, 장애인․노약자 열람실, 전시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2층은 자료열람공간, 지상3층은 자료열람과 문화교육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지상2층 이상의 경우 열람실의 구성이 자료열람실, 디지털열람실이 공간이 경계가 없이 구성되어 이용자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도서관의 공간구성 비율은 문화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단순 공부를 위한 학습실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이용공간의 위치에 대한 만족도 값은 1층의 어린이자료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모자열람실, 유아자료실, 이야기방등 특화된 공간에 대한 만족도 값이 높게 조사되었다. 이용 공간 면적의 만족도 값은 학습실 면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의 목적공간과 타 공간과의 연계성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실, 문화교육 공간 중 전시실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공공도서관은 복합 커뮤니센터로서 이용자에게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중 시설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사용공간과 면적구성비는 공간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 사립 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전가녕,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중국의 젊은 학부모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공립유치원의 모집인원 제한으로 인하여 많은 수의 학부모가 적령기 유아교육을 위해 자녀들을 사립유치원으로 보내고 있다. 그러나 사립유치원은 관리와 질적 측면에서 양극화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학부모가 가장 먼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은 사립유치원의 실내 공간 환경으로 그 좋고 나쁨을 직접 인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실내 공간 환경의 개선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소비자인 학부모에게 고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및 이론을 적용하여 학부모가 만족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및 중요도를 파악하고 사립유치원의 유아 발달과 학부모 만족도 향상에 적합한 공간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과 학부모 만족도에 관한 개념을 이해하고 선행연구에 따라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 구조 및 모델 구축을 수행하고 관련 변수의 영향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2022년 사립유치원 순위 집계 데이터를 통해 대표적인 사립유치원 5곳의 사례를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 통계 프로그램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요인분석, 설문지 및 연구 모델의 과학적 유효성을 테스트한 후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회귀 분석을 진행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수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사립유치원 5 곳의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안전성’,‘쾌적성’,‘심미성’,‘융통성’,‘편의성’,‘자존성’은 모두 학부모 만족도에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안전성’,‘편의성’,‘심미성’은 중요도가 높은 반면, 학부모 만족도에 대한‘이동성’의 영향 관계는 부(-)의 결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 대부분이 학부모 만족도에 기여한다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결론) 분석 결과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의 중요도는‘안전성’>‘편의성’>‘심미성’>‘융통성’ >‘자존성’ >‘쾌적성’>‘이동성’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안전성’,‘편의성’,‘심미성’은 학부모의만족도를 높이는 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립유치원의 공간 환경 설계에서 중점을 두어야 하는 중요한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응답자 의견 피드백을 통해서‘이동성’이 학부모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유는 학부모가 장기적인 학습 환경과 생활환경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사립유치원의 실내외 구성, 유아 특성과 학부모 수요 등에 관한 요인을 보다 상세하고 심도 있게 분석하며 사립유치원의 영역에 포함된구체적인 공간 유형을 확장하여 사립유치원의 실내 공간 환경 구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with the rising education levels among young parents in China and increasing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ny parents are sending their preschool-aged children to private kindergartens due to restrictions on enrollment in public kindergarten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s face polarization issues in management and quality, with the indoor spatial environment being a critical aspect that parents directly perceive and often demand improvements in.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efforts focused on satisfying parents, who are consum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pplying research and theories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parental satisfaction, proposing spatial design strategies conducive to both child development and parental satisfaction enhancement. (Method) Firstly aim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spatial configuration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parental satisfaction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derived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based on previous research. Secondly, building upon prior studies, it performed the construction of a research framework and model and established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relevant variables. Additionally, it conducted an online survey by selecting five representative private kindergartens based on the 2022 ranking data of private kindergartens. Thirdly, for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the study utilized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software to conduct reliability factor analysis, test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and research model, and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hypotheses. Finally, it validate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analyze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derived research finding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afety', 'Comfort', 'Flexible', 'Convenience', 'Self-preservation', and 'Aestheticnature', which are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all positively affect parent satisfaction, while 'Mobility' does not have a clear effect on parent satisfaction. Accordingly, some hypotheses were adopted that the spatial component of private kindergartens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importance of the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can be seen in the ranking of 'Safety'> 'Convenience'> 'Aestheticnature'> 'Flexible'> 'Self-preservation'> 'Comfort'> 'Mobility'. In addition,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na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parental satisfaction and are factors that should be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reason why 'Mobility'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parents' satisfaction through feedback on respondents' opinions was estimated to be related to parent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long-term learning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indoor environmen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 of private kindergartens by considering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factors on parent satisfaction in future indoor environment studies of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

        복합소비공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 지각된 혜택과 관여도를 중심으로

        한성희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impacts of perceived benefits of complex consumption space and shopping involvement on consumer space satisfaction. Survey participants were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30s to their 50s. A total of 634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For research methods, factor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benefits of consumer spa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1) convenience, freedom, and escape from daily life, 2) spatial attractiveness of coexistence; and 3) independenc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pping involvement was classified into two factors: life-centeredness and self-expression.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nefits and consumption space satisfaction was verified. Consumers' perceived benefits positively impacted their satisfaction of the complex consumption space. Regarding the mediating involvement, the higher the level of involvement, the higher the consumption spac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complex consumption space satisfaction, convenience among consumers' perceived benefits ha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spatial attractiveness of coexistence, independence, and involvement in life-centeredness.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it is necessary to newly classify and analyze the types of consumer-perceived benefits and engagement when analyzing impact factors of complex consumer space satisfaction. Perceived benefits and involvement can positively impact consumer spac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소비공간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쇼핑관여도가 소비공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30-50대 성인남녀로 최종 634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공간에 대한 지각된 혜택은 요인분석 결과, 편리성, 자유‧일상탈피, 공존과 독립의 공간매력성으로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쇼핑관여도는 요인분석 결과, 생활중심성과 자기표현성의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지각된 혜택(편리성, 자유‧일상탈피, 공존과 독립의 공간매력성)과 소비공간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관여도(생활중심성, 자기표현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이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관여도를 매개하여 관여도 수준이 높을수록 소비공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미치는 독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 편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공존과 독립의 공간매력성, 생활중심성의 관여도 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할 때,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과 관여도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시사되었으며, 지각된 혜택과 관여도가 소비공간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편리성 요인 이외에 공존과 독립의 상반된 특성이 상존하는 공간매력성이 복합소비공간만족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입증한 것은 미래의 복합소비공간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노지윤,노영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4

        최근 공공도서관에서 복합문화공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관한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복합문화공간 이용 차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어떤 요소에 더 중점을 두고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41개의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요인 중 5개 항목에서만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특정 부문이 아닌 우선적인 개선 부분을 중점으로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의 이용자들은 혼자(42%) 또는 가족(18.2%)과 함께 주로 이용하며 주말 오전과 오후를 포함한 이용자 수(35%)보다 평일 오후에 이용하는 사람(50.5%)이 더 많다는 점 등의 방문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간과 관련한 5개의 이용요인 중 ‘컴퓨터/장비 사용의 구비성’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는 1사분면 또는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4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도서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공간의 다양화 및 복합화를 충분히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넷째, IPA분석을 적용한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관한 중요도-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At a time when trend called complex cultural space has recently been taking place i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users regarding the use factors of public library’s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library users' use of this space, and to suggest directions on which factors should be improv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ly 5 of 41 factors for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importance, so it is necessary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with focus on priority improvements rather than a specific sector.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and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visi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rs of the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are mainly used by themselves (42%) or with their families (18.2%), also more people (50.5%) use weekday afternoons than 35%, including weekend mornings and afternoons. Third, among the five use factors related to space, the remaining items except for 'Compatibility of Computer / Equipment Use' a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where bo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re high or in the fourth quadrant which shows higher satisfaction than importance. This is a result that shows that the library is fully performing the diversification and complexion of the space basically aim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ublic library's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importance-satisfaction the use of factors using the IPA analysis.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내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 일산 내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김슬기,이유미,이윤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5

        개인화되고 소외되어가는 공동주택의 현실 속에서 이웃 간 소통과 나눔으로 건강한 공동주택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산에 위치한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이웃교류장소로서 주동 내·외부 공용공간환경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동 내·외부 공용공간환경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황분석은 총 10개의 공통적인 공용공간에 대해 이웃교류장소로서의 접근성, 연계성, 쾌적성, 활용성, 영역성, 개방성, 유지관리성 측면에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조사대상지 거주자를 대상으로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보았다. 현황분석 및 설문조사 내용을 종합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동 내부 공간의 경우, 고층 공동주택단지는 면적이 넓고 채광과 시야의 개방성이 좋으며 공간을 이웃과 우연한 만남의 기회가 있도록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주동 외부 공간의 경우, 저층 공동주택단지는 단지 내 보행로에서 통과교통을 완전히 배제하여 보행전용도로가 뚜렷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보행로를 중심으로 다른 공용공간으로 연속된 동선을 확보하고 있어 대부분의 주동 외부 공용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interaction and solidarity among neighbors found in a traditional society is rapidly being dismant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nvironment of interior and exterior communal space in residential buildings as a place of interactions among neighborhood in multi-family housing, and based on them, to analyze the residents’ satisfaction of it. A field survey is conducted in respect of accessibility, connectivity, comfortability, utilization, territoriality, openness, maintainability in 10 common spaces and question survey is conducted to ask the satisfaction of communal spa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it comes to interior space, high-rise housing is spacious and well lighted. It also has an open view around the spac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nvironment of communal space of interior space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as it gives a chance to meet neighborhood accidently. When it comes to exterior space, low-rise housing form the pedestrian flow clearly along the pedestrian lanes in that it exclude the through traffic in footpaths.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rate of most exterior space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as it gives excellent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to communal space along with the continuous walking line focused on the footpaths.

      • KCI등재

        이용자 중요도-만족도로 조사한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분석 연구

        백양선,고성룡,강석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2

        교육기본시설의 확보가 목표였던 이제까지의 대학교 캠퍼스 계획에서 외부공간은 교육시설을 배치하고 남은 소극적 공간으로서, 캠퍼스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에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과 이용자의 행태를 문헌고찰하고 이용자의 행태, 심리, 만족도, 중요도, 요구사항을 설문조사하여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이용자의 개선 요구가 가장 높아 적극 개선해야하는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은 부출입구였으며, 개선 시에는 방범시설과 조명시설을 확보해야하며, 차량으로부터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안전을 확보해야한다. 이용자의 만족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았던 보행로, 휴게녹지공간, 주출입구는 높은 만족도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중요한 외부공간이었다. 보행로는 최단거리 이동 및 보행연속성과 2인 이상 교행가능한 보행로 폭, 다른 외부공간과 연결성을 확보해야하며, CCTV와 조명시설을 설치하여 차량 및 범죄로부터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해야한다. 또한 보행자의 눈눞이를 넘지 않도록 조경 및 가로시설물을 정비해야한다. 그리고 길찾기가 쉽도록 안내시설의 위치와 내용의 적정성을 확보해야한다. 휴게녹지공간은 시설의 파손 여부 및 청결상태를 확인하는 등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조명시설과 장애인 편의시설을 개선해야한다. 주출입구는 방범시설을 확보해야한다. 그리고 차량으로부터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안전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조명시설을 확보해야한다. 중요도가 낮았던 주차공간과 차로, 운동공간, 공연장은 비교적 개선요구가 낮은 공간이었다. 그러나, 주차공간 내 안내표지판의 유지관리 부족과 차로 이용자 간 통행혼선, 운동공간 및 공연장 내 조명시설 부족과 같은 문제를 순차적으로 개선해야한다. 끝으로 이 연구는 대학교 캠퍼스 주 이용 대상자인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대학의 다른 구성원인 교수, 직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확대되어야하며, 사례조사 캠퍼스의 수와 지역도 확대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of university campus outdoor space based on the user's awareness and demand. The physical status of the outdoor space in university campus was surveyed by observation, and the users' behaviors, satisfaction, importance, and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c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utdoor space with the highest users improvement demands was the sub-entrance. So, the sub-entrance need to be actively improved.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users safety from the crime and the traffic. Therefore, it should consider the installation of security facilities, traffic information facilities, lighting facilities. Secondly, the walkway for pedestrians, green for rest and main-entrance needed continuous maintenance. So, the pedestrian facilities and lighting facilities must be secured. Other parking lot and road, sports grounds, and outdoor stage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an other spaces. However,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ack of maintenance of sign facilities in the parking lot, crossing of passengers and cars in the road, lack of lighting facilities in sports grounds and outdoor stage. Therefore, a sequential improvement procedure of these outdoor spaces need to be planned.

      • KCI등재

        동해안 해양관광 방문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강릉의 해양공간을 중심으로 -

        장수연,김월호 한국도서(섬)학회 2023 韓國島嶼硏究 Vol.35 No.4

        해양공간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기에 매우 가치가 있는 곳이며, 육상관광보다 해양관광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해양공간에서의 해양레저 인구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해안권 해양관광보다 동해안권의 해양관광이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동해안권 중 강릉의 경우 해양공간에서 관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해양문화자원이나 어촌체험 등 즐길 수 있는 여건은 부족하며, 해양관광을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의 강릉 해양공간을 중심으로 해양관광 방문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첫 번째 단계로 선행연구와 문헌 검토를 통해 해양관광 방문동기, 만족도와 행동의도의 개념 및 유형을 도출하여 측정변수를 추출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방식으로 최근 1년 6개월 동안 동해안 중 강릉에 해양관광을 위해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구글 폼을 이용하여 편의 표본추출법으로 315부를 수집하였다. 답변이 불성실한 7부를 제외한 총 308부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4.0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해양관광 방문동기는 ‘해양경험 동기’,‘해양레저 동기’,‘휴식/휴양 동기’,‘해양인프라 동기’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만족도는 단일 요인이며, 행동의도는 ‘재방문의도’,‘추천의도’의 2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분석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동해안 해양관광 방문동기가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릉 해양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경험, 휴식/휴양, 인프라는 만족으로 이어지지만, 해양레저 분야에서는 만족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해안 해양관광 방문동기가 행동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릉이 가지고 있는 지형적인 특징인 해양공간에서의 경험이나 휴식, 인프라는 재방문과 추천으로 이어지지만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해양레저에서는 행동의도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전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셋째,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지 만족도에 따라 관광객들이 추후 재방문과 추천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결정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관광객들의 동기와 관심사가 해양관광 프로모션 및 서비스를 개발할 때 중요한 고려 사항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해양 관광의 서비스 품질 향상이 재방문과 추천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전략임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해양이라는 특별한 관광자원에 대한 방문동기, 만족도,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동해안 중에서도 특정 지역인 강릉 해양공간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에 학문적 시사점을 둘 수 있으며,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강릉의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해양레저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추후 해양관광 관련 서비스 및 경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을 제안한다. 이러한 의미 있는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강릉 해양공간이라는 특정 지역 및 관광 경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되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과 다른 지역 또는 해양관광 ...

      • KCI등재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의 공간 재구조화 효과성 연구

        유명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학교공간혁신프로젝트는 교육부의 주도하에 2019년부터 전국 17개 시도에서 진행해 오고 있는 사업으로, 단순히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이 아니라 학교교육공동체(학생, 교사, 학부모)가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학습과 놀이, 휴식 등 균형 잡힌 삶의 공간으로 학교공간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학교공간혁신프로젝트 완료 후 1년 이상의 학교 공간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공간재구조화 효과성을 확인하고 프로젝트의 보완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9-2021년에 완료된 울산시의 영역단위 학교공간혁신프로젝트 대상학교 23개교 공간 사용자들-학생, 교직원, 학부모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되, 각 주체별 공간혁신프로젝트 TF팀 참여자와 비경험자를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총 응답자는 209명(경험자 124명, 비경험자 85명)으로, 학생76, 교직원(교사+관리자) 109명, 학부모24명, 기타1명이다. 설문의 체계는 ①공간만족도 ②공간활용성 ③공간효과성 ④프로젝트 만족도 ⑤학교문화 및 기타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공간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 공간 장점은 공간 활용성과 공간기능, 디자인, 공간경험의 다양화, 단점은 규모의 아쉬움과 안전성, 운영방식로 나타났다. 둘째, 공간관계성 면에서 학교 내ᆞ 외부 공간의 관계성, 그리고 사용자들과의 소통이 증가하였다. 셋째, 교육효과성 면에서 다양한 수업방식과 자기주도 학습 활동이 촉진되었다. 넷째, 공간감수성 면에서 공간조성이후 사용자들의 학교공간에 대한 관점변화 및 공간경험과 공간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공간 활용성 면에서 새 공간 사용빈도는학생의 활용빈도가 교직원보다 훨씬 높아 교사의 교육활동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단계별로 고르게 높았으나 보완이 필요한 단계로 실시설계-디자인협의-시공 과정이 지적되었다. 이 외에 프로젝트 초기단계의 사전학습 중요성, 지속가능한 재구조화 효과성 유지를 위한 준공 후 사용단계의 프로젝트의 철학공유와 공간 홍보, 공간 활용방식에 대한 학교 공동체의 지속적 협의와 소통이 강조되었다. (결론) 연구결과, 울산광역시의 학교공간 재구조화의 주요 개념이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에 잘 반영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학교 내 공간 관계와 사용자 흐름의 재구조화를 통한 개방성 및 소통증진으로 다양한 교육과정과 교수법, 자기주도 학습이 활성화 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 재구조화는 단지 학교의 물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학교의 공동체문화와 민주적 소통구조의 변화와 깊은연관이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