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다기(茶器)에 관한(寬限) 연구(硏究) -다완(茶碗)과 다주자(茶注子)를 중심으로-

        김부귀 ( Boo Gwi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7 石堂論叢 Vol.0 No.39

        오늘날에는 차에 대한 관심과 저변의 확산으로 茶文化, 茶道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차와 관련 있는 茶器에 관한 연구논문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茶文化가 가장 성행했던 高麗時代에 陶磁器로 만들어진 茶器 중 茶碗과 茶注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作例, 類型分類 및 變遷過程을 알아보고 동시기의 중국, 일본 회화 속에 표현된 茶器와 비교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여 고려시대 茶器의 특징과 독창성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음용되는 차의 종류는 2가지로 찻잎을 갈아서 가루를 내어 茶碗에 넣고 직접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는 말차와 찻잎을 뜨거운 물이 담겨 있는 茶注子에 넣어 차를 우려 낸 후 茶碗에 부어 마시는 잎차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茶器에 관한 史料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현존하는 고려시대 도자기 중 `茶器`라고 명확히 단정지을 수 있는 것을 찾기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고려시대와 동시기인 중국 宋代 회화 속의 茶器와 고려·조선시대 및 일본 鎌倉時代를 중심으로 한 회화 속에서 표현된 茶碗과 茶注子의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고려시대의 茶器 형태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그 결과 중국 宋代의 회화에서는 말차의 유행과 관련된 茶器의 표현이 많았고, 고려시대의 회화에서는 잎차용 다완과 금속기형 茶注子가 주류를 이룬다. 이와 같이 회화 속에 표현된 茶器를 중심으로 현존하는 고려시대 도자기 중 茶碗과 茶注子의 作例들의 유형분류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의 茶碗은 말차용 茶碗과 잎차용 茶碗으로 나누어지며 말차용 茶碗은 다시 제 Ⅰ유형과 제 Ⅱ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제 Ⅰ유형은 구연부의 각이 넓고 저부 폭이 좁으며 器面의 측면이 사선으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제 Ⅱ유형은 器面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제 Ⅲ유형은 잎차용 茶碗으로 器面 측면이 곡선을 이루면서 크기는 작다. 茶注子는 10세기에서 12세기 초까지는 동체부의 어깨부분은 각이 지고 注口가 어깨부분에 붙는 금속기형[Ⅰ유형] 또는 참외형[Ⅱ유형]의 말차용 茶注子가 주류를 이룬다. 이후, 12세기 초기부터 고려시대 말까지는 동체부가 구형을 이루는 잎차용 茶注子[Ⅲ유형]가 등장하여 이 시기에는 말차, 잎차용 茶注子가 함께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금속기형 茶注子는 頸部의 폭이 좁은Ⅰa형과 경부의 폭이 넓은 Ⅰb형으로 세분할 수 있고, 참외형 茶注子도 동체부에 세로의 음각선이 있는 Ⅱa형과 없는 Ⅱb형으로 분류된다. 잎차용 茶注子인 제 Ⅲ유형은 경부가 있는 Ⅲa형과 경부가 없는 Ⅲb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茶碗과 茶注子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특히 고려시대에는 잎차용 茶器보다는 말차용 茶器가 훨씬 많은 것으로 보아 말차가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4세기 말경부터는 우리나라에서 말차용 茶器보다는 잎차용 茶器가 유행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중국 明 太祖가 1391년에 농민들의 노동을 덜어주기 위해 찻잎만을 진상하도록 한 조치의 영향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茶文化는 고려시대에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중국의 茶文化 변화에 고려의 茶文化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나라 고유한 상감청자로 만들어진 고려의 茶碗과 茶注子는 그 표현에서 독창적인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즉 茶碗의 구연부가 직립한 경우나 구형의 잎차용 茶注子는 중국에서는 그 예가 드문 유형이며 이는 고려시대의 독창적인 茶文化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Tea` means some leaves to drink and tea water infused by tea leaves or tea bushes. Today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tea, but studies about it are not easily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ders about the examples of tea set, type grouping, process of change and connection with China and Japan with the ceramic teacups and teapots in Goryeo period when the tea culture were very popular. The types of tea which had different taste in different times can be divided two types. One is ground tea, which grinds tea leaves to make pieces and puts them in the teacup then pours the boiled water directly. The other is non-ground tea, which puts tea leaves into the teapot with hot water then infuses for a little while and pours it into the teacup. In Korea for the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about tea sets we can hardly conclude what tea sets is among the ceramics found in Goryeo period. So we can infer the shapes of tea sets in Goryeo from those in the Song dynasty`s paintings in China and can know from the paintings in Joseon and Japan. As the result, the tea sets concerned with a popularity of ground tea was seen in the paintings of Song dynasty in China, while the round and melon shaped teapots rather than teacups were popular in Joseon`s paintings. The teacups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for the purpose of ground tea and for non-ground tea. The purpose of teacups for ground tea have a type of Ⅰ and a type of Ⅱ. The type of Ⅰ got a wide angle in mouth part of teacups, a narrow bottom, and a diagonal line of sides of teacups. The typeⅡ generally gets a curved line in the side of surface and the typeⅢ used for the non-ground tea and had a curved line in the side and a little small. The teapot`s body with a square-shaped shoulder and a spout attached in the shoulder that is, the type of metal teapots(typeⅠ) or the type of melon(typeⅡ) for the usage of ground tea was appeared from the 10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Since then from the early 12th century to the end of Goryeo the teapots for the usage of non-ground tea with ball-shaped body(typeⅢ) came up. In this time teapots for ground tea and non-ground tea were used at a same time. The teacups and teapots can be classified by some types for the purpose of their usage and the tea sets for ground tea was used a lot than for non-ground tea in Goryeo. This result can be guessed that the first king of Ming dynasty in China(1391) ordered to offer only non-ground tea to cut down the people`s work. Under the influence of the order of the first king of Ming dynasty, non-ground tea was more popular than ground tea both in Korea and China from the late of 14th century. The tea culture began to regularize in Goryeo, since then kings and noblemen enjoyed it. Also in Goryeo people thought tea was very important. As the tea was used for service of food to Buddha, tribute and reception of guests, tea set for drinking was surely made very well. The well made tea culture formed by high rank society brought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ea set, and development of tea set gave a big influence to ceramic products.

      • KCI등재

        高麗時代梵鍾의 發願階層과 鑄鍾匠人

        이광배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高麗時代는 통치이념이 佛敎였던 만큼 초기부터 佛敎美術이 성행하였으며, 그 영향으로 국가를 포함한 다양한 지배계층에서 대규모 사찰건립과 이에 부합하여 다양한 의식 및 행사를 위한 佛事發願이 꾸준히 전개되었다. 불교공예의 대표 격인 범종의 경우도 이러한 숭불의 분위기 속에서 많은 발원과 제작이 이루어졌음이 고려시대 범종의 현황과 제작 양상을 통해 확인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범종의 발원이 鄕吏, 官人, 僧侶, 寺院등의 다양한 계층에서 이루어졌음을 명문의 분석을 통해 제시할 수 있었으며, 발원주체에 따라 발원성격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적극적인 발원불사는 당시 官匠 및 私匠들의 활발한 주종활동의 배경이 될 수 있었다. 실제로 범종을 제작한 장인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중앙 혹은 관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던 정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관장 체제는 일반 개인 사장 집단에 근간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관장과 사장들은 상호간 기술의 전승과 교류를 통해 꾸준히 작품을 제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관직을 받은 장인의 경우는 그 임용 과정과 신분상의 위치가 실제 관직과 동등했으며, 실제 관직에 있었던 사람이 장인으로 활동한 경우도 있었다. 더불어 제도상 관직에 들 수 없었던 장인들이 예외적으로 관직을 받고 입사할 수 있었던 경위를 장인의 우수한 기술력과 함께 당시‘蔭敍制’라고 하는 임용 제도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기존에 한국 범종사에서 통일신라시대 주종장인과 조선시대 주종장인 사이에서 다소 막연히 비춰졌던 고려시대 주종장인에 대한 사회적 위치와 활동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접근해 볼 수 있었다. 이들이 만든 범종 또한 그 작품성이 우수하여 고려시대 범종의 양식변천에서 대표성을 가지는 작품이 많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범종의 가장 주목되는 특징은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요소의 창안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전통 한국종의 외형을 추구하면서 용뉴의 역동적인 표현과 입상화문대를 이용한 상부 표현, 불교의 상징성을 표현한 불·보살상과 범자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 등장한 범종 장엄의 다양한 모티프들은 이후 범종에 꾸준히 계승됨을 볼 때 한국 범종만의 전통을 구축하게 된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시기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한국 범종사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그 전체적인 미감의 전형이 완성되었다고 하면 고려시대는 보다 발전하여 범종 莊嚴의 전형을 만들었던 시기라 판단된다. 본 연구 에서는 고려시대 전체 범종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은 못했지만 향후 고려범종에 대한 구체적인 양식 분석과 가치부여를 위한 보다 객관적인 연구 진행의 과정으로서 의의를 두고 싶다. In this paper, I argue that Buddhist temple bells of the Goryeo period were cast under the sponsorship of patrons from various social classes, ranging from local dignitaries to government officials, monks and temples, based on an analysis of surface inscriptions, and that sponsorship arrangements varied to some degree depending on the type of patrons. I also argue that the makers of Goryeo Buddhist temple bells were mostly artisans who belonged either to the royal government or a local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artisan system was rooted in private artisan guilds, and government and independent artisans appear to have worked in collaboration, exchanging with each other and sharing technical knowledge. Those artisans having a government title were recruit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enjoyed the same status as the latter as well. There were also cases in which a former administrative official later worked as an artisan for the local administration. I, further, point out that artisans who were normally ineligible, but were exceptionally admitted as public officials had not only outstanding skills, but also probably benefited from the special recruitment program known as “Eumseoje.” An important point to note about Goryeo Buddhist temple bells is that they add new and creative elements to the existing styles inherited from previous eras. Indeed, if the overall aesthetic of Korean temple bells was form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ir more complete prototypes were shaped once into the Goryeo period.

      • KCI등재후보

        『海東文獻總錄』 所載 高麗文集 연구 : 不傳文集을 중심으로

        김건곤(Kim Kun-k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장서각 Vol.0 No.18

        일반적으로 고려시대를 문화의 황금기라고 일컫는다. 그러나 그 찬란한 문화에도 불구하고 현전하는 고려시대의 문집은 손으로 꼽을 정도이다. 따라서 고려시대 문인들에 대하여 시문선집, 시화집, 역사서, 지리지 금석문 등에서 연구자료를 수습하여 문학사의 공백을 채우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조선 인조 때 金烋(1597~1638)가 편찬한 『海東文獻總錄』은 고려시대의 문집에 대한 훌륭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삼국시대로부터 당대에 이르기까지 편찬 · 저술된 문헌자료들을 조사하여 해제를 해 놓고 있어, 고려시대 문헌의 일 면모를 짐작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전하지 않는 문집에 대한 소개가 주목된다. 김휴는 실물을 직접 조사 · 수집하는 한편, 당시에 전래되던 각종 문헌에서 전적의 편찬과 관련된 기록들을 일괄 조사하여 書目을 편성하고 해제작업을 하였다. 그가 조사하여 서목에 포함시킨 문헌은 670여 종에 이르며, 학문 전 분야를 두루 포괄하고 있다. 조사 서목 중 고려시대의 문학자료는 80종이 넘으며, 고려시대 주요 문인들의 문집이 거의 망라되어 있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한문학의 규모가 결코 작지 않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특히 현전하지 않아 다소 생소한 문집의 명칭과 저자, 그리고 고려 후기 군소 작가들의 집중적인 문집 편찬 등은 주목되는 바이다. 문헌에 대한 해제는 저자의 행적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어, 인물에 대한 출처를 우선으로 삼고 문장에 대한 논의는 뒤로 다루고자 하였다. 행적 중에서도 정치적 사건은 가급적 배제하고, 임금과의 관계나 대중국 외교에서의 역할, 그리고 학문과 관련한 내용을 중시하였으며, 저자의 훌륭한 행실뿐만 아니라 나쁜 면도 드러내었다. 해제의 체재는 본문, 세주, 두주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서술방식은 거의 발췌와 인용이다. 김휴가 실물을 직접 확인한 자료의 경우 일부 그 내용과 자신의 의견을 기술하기도 하였지만 그가 당시에 접하지 못했을 것으로 추측되거나 고려 시대 문집의 경우 본문의 행적은 역사서나 저자의 묘지명에서 대부분 발췌 · 요약하였고, 세주에는 시 · 시화 · 시평 · 서문 · 발문 등을 전재하여 참고가 되게 하였으며, 두주에는 보완 사항을 추기해 놓았다 따라서 문집에 대한 해제는 전기적 성격과 시화적 성격을 아울러 띠며 종합적으로는 한 편의 작가론이라 할 수가 있다. 한편 현전하지 않은 고려시대 문집의 해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 발췌 · 인용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확인한 결과『高麗史』의 해당 저자 열전과 『東人詩話』를 인용한 예가 가장 많았고 그외 『高麗史節要』, 『破閑集』, 『補閑集』, 『樓翁稗說』, 『秋江冷話』, 『諛聞鎖錄』, 『大東聯珠詩格』, 『東文選』, 『靑丘風雅』, 『東國李相國集』, 『牧隱集』, 『三峯集』, 『陽村集』, 『春亭集』, 『退溪集』 등을 참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 문인들의 행적과 시화 · 시평을 많이 수록하고 있는 서적들을 실체 고증에 이용한 것이다. 『海東文獻總錄』 所載 不傳 高麗文集에 대한 기록은 그 해제가 저자의 행적 위주 이고 또 여러 문헌에서 인용한 것이어서 당장에 유용하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해당 문집의 편성과 존재 사실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고려 한문학사의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단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Though Goryeo is generally recognized as the golden age of culture, the number of literary collections that are still extant is very small to count on fingers. It is therefore greatly necessary to make academic efforts to fill up this blank period through compiling literary materials of Goryeo period ranging from anthology of poetry, Sihwajip (collections of background stories related poetry writings), history books, geography books, inscriptions written by the literary class of Goryeo period. In this regard, 『Haedong Munheon Chongnok (海東文獻總錄), Annotated Catalogue of Korean Documents』 compiled and published by Kim, Hyoo (金烋 1957~1638)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ng, is a significant masterpiece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s of writings published in Goryeo period. This book contains annotated bibliography of all kinds of compiled or written document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his contemporary times. It is from this book that useful aspects of Goryeo's literatures can be traced. The fact draws even more attention to this book that it includes introduction of the collections of writings in Goryeo period no longer handed down today. Kim, Hyoo not only examined and compiled each available book by himself but he also scrutinized all the records related to book publications in almost all kinds of literatures transmitted at that time. Then he completed a catalogue of books and put bibliographical explanation to each book. The number of books he included into the catalogue of books reaches up to approximately 670 and nearly all fields of study are evenly dealt with. More than 80 books of the catalogue belong to Goryeo period and majority of writing collections by the distinguished Goryeo literary men are included. This confirms the fact that the scale of Sino-Korean literature (漢文學) can not have been so small in Goryeo perio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unfamiliar titles of writing collections and writers no longer preserved nowadays and the incident where intensive publication of writing collections was made by minor writers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Each bibliographical explanation focuses on writer's biographical history and its source more than literary criticism of the work. Political career is rather excluded in discussing writer's life but writer's relationship with the king, writer's diplomatic role in relation with China and personal academic history is importantly dealt with. Explanation reveals negative aspects as well as positive side of writers. Each bibliographical explanation is composed of three sections; main text, Seju and Duju. Excerpt and quotation are the main forms of text description. For documents Kim, Hyoo could read, he summarized contents and left his own comments. For other documents he could not checked and the writing collections of Goryeo, he excerpted or summarized from epitaph of relevant writers or from history book to describe writers biography in main text. In Seju are included reproductions of poems, background of poems, critics of poems, preface and epilogue as a way of footnote for reference. In Duju are added supplementary details. Therefore, bibliographical explanation in this great book can be defined as biographical records of writers, Sihwa (background stories related poetry writings) and comprehensive critique of writers. In analytical process of bibliographical explanation on the writing collections of Goryeo not available today, specific sources of excerpts, quotations have been reviewed. The result shows that a series of biographies in 『Goryeosa (History of Goryeo), 『Dongin Sihwa (Comments on the Works by Korean Poets)』 are most frequently used. Other sources of reference include 『Goryeosa jeoryo (Condensed History of Goryeo)』, 『Pahan-jip (Collection of Works to Dispel Leisure)』, 『Bohan-jip (Collection to Relieve ldleness)』, 『Yeogong paeseol (Scribblings of Old Man Oak)』, 『Chugang naenghwa (Casual Tales Told)』, 『Somun swerok』

      • KCI등재

        동아시아 螺鈿史의 관점에서 본 고려 螺鈿의 성립

        고바야시 고지 (小林公治)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5

        필자는 螺鈿을 아시아 특유의 문화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도 제일 먼저 나전을 성립시킨 한·일·중의 동아시아 세 지역 가운데 한반도에서의 나전 제작의 기원과 나전문화의 성립 과정에 대하여 세 지역 전체 상황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세계 각지에서 각 시대에 제작된 나전은 기술·구조적으로 a) 玳瑁地[모자이크]螺鈿, b) 樹脂地螺鈿, c) 木地螺鈿, d) 漆地螺鈿의 네 종류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들 네 가지 유형은 모두 唐代 나전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필자는 그 후에 각지에서 제작된 나전은 당을 시원지로 하여 여러 계기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파된 것이라 생각하는데, 특히 중국과 역사적, 지리적으로 깊은 관계를 가진 주변 동아시아 지역의 나전은 가령 그 정도의 차이는 있더라도 중국의 영향이 있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한반도의 螺鈿史를 검토할 때 먼저 검토해야 할 것은 문양적으로 도다이지[東大寺] 쇼소인[正倉院]에 전해지는 螺鈿鏡과의 공통성을 가진 삼성미술관 Leeum 소장 전 가야 고분 출토 〈螺鈿團花禽獸文鏡〉이다. 이 거울의 제작지에 대한 연구자들의 견해는 당 제작설과 통일신라 제작설로 나뉘는데, 쇼소인 나전경과의 문양적인 유사성을 중시하는 연구자들은 통일신라 제작일 가능성을 더 유력시하는 것 같고, 또한 실물 조사의 결과 양자가 같은 제작기법과 소재로 만들어진 거울이라고 판단하는 연구자도 있다. 1975년 안압지(현 월지) 유적에서 平脫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다시 당의 공예 장식기술과 통일신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는데, 2000년대에 들어서자 한국에서는 나전과 평탈의 경우, 장식 재료는 자개와 금속판으로 서로 다르지만 옻칠 위에 이런 재료를 붙인다는 점에서는 같은 기술, 同種의 기법이라는 견해가 제시되었으며, 현재도 이러한 견해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이 점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해 보+I2면, 당대 나전경의 소지에 대하여 일본에서는 천연수지로 보고 있으며, 또한 이 시기의 나전은 두께 1㎜를 넘는 두꺼운 자개를 사용하였는데 그만큼의 두께로 옻을 반복해서 칠하는 것은 옻의 필요량, 들어가는 수고와 걸리는 시간, 비용을 생각하면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한편 평탈은 옻을 접착제로 하여 얇은 금속판을 붙인 후에 단지 그것을 덮을 정도로 옻을 덧칠하는 것이므로, 기반 재료로서 옻을 사용하는 것은 이치에 맞는 현실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기술·구조적인 차이 외에 당대의 나전에 漆地螺鈿이 2점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옻은 당시 나전을 제작하기 위한 필수적인 주요 재료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나전과 평탈은 같은 종류의 기술로 볼 수 없는 것이 분명하다. 이상과 같이 동시대의 다른 유물과의 관계성이 희박하고, 또한 칠기로서 전대로부터의 계보도 찾을 수 없는 전 가야 고분 출토 〈螺鈿團花禽獸文鏡〉은 통일신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당으로부터 전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견해라 할 수 있다. 고려 나전의 성립에 대해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의 전통을 기반으로 그 위에 고려의 독자성이 발휘된 결과라고 보는 견해가 지금까지의 주류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알려져 있는 고려 나전에서 통일신라시대부터의 계보를 찾아내기 어렵다면, 그 성립과정에 대해서는 전후 병행하는 시기의 중국과 일본 나전과의 비교를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 중국의 五代十國期부터 宋代에 걸친 나전에 관한 정보는 지극히 한정되어 있으나, 몇 가지의 문헌기록과 실물자료 및 회화작품 등을 통하여 검토해 보면, 북송 方勺이 『泊宅編』에서 ‘螺填器本出倭國(螺鈿器는 원래 왜국에서 나왔다)’이라고 한 유명한 문구의 영향으로, 11세기 후반 중국에서는 나전이 상당히 쇠퇴하였다는 이미지와는 달리, 11~12세기에도 중국에서는 나전 제작이 계속 이루어졌으며, 12세기에는 정밀하고 銅線을 사용하는 고려 나전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나전기가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오대십국기부터 북송 초기에 걸친 2점의 漆地螺鈿 經箱의 사례와 12세기초경의 蘇漢臣 작 〈秋庭戱嬰圖〉에 그려진 나전 의자 등을 보면, 11세기 초경에는 두꺼운 자개를 베를 바른 면에 붙이고 표면을 옻으로 마무리하는 唐代 나전양식에 가까운 漆地螺鈿이 주류였는데, 12세기경에는 얇고 자잘한 다수의 자개로 당초문 등을 나타내는 나전으로 극적인 변화를 이루었음을 알수 있다. 또한 분명치 않은 부분이 많으나, 下地[바탕]는 아마도 骨粉을 섞은 것을 이 시대에도 계속 이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일본의 헤이안[平安]시대부터 가마쿠라[鎌倉]시대까지의 나전에 대해서도 문헌기록과 전세품을 통하여 검토해 보면, 헤이안시대 중엽인 10세기 전반경부터 문헌에 漆地螺鈿이라는 명칭이 등장하고, 유물은 11세기 중엽 이후에 확인되기 시작하는데, 그것은 두꺼운 자개를 木地에 감입한 후 옻칠로 마무리하는 상감기법과, 얇은 자개를 木地面이나 下地에 붙인 후 옻칠을 반복하는 貼付法의 두가지가 존재한다. 그러나 그 후 늦어도 13세기에는 후자인 貼付法에 의한 중세적인 나전이 주류가 되었으며, 파낸 下地에 두꺼운 자개를 감입하는 고대적인 상감식 漆地螺鈿은 자개의 박편화가 진행되면서 빠른 속도로 쇠퇴해 갔던 것으로 판명된다. 고려 나전은 문헌기록에 의하면 11세기 중엽에 출현했음이 확인되는데, 유물 자체는 확인되지 않아서 이 시기의 실태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 수 없다. 따라서 12세기 이후의 유물로 생각되는 약 20점의 고려시대 나전을 동시대 중국과 일본의 나전 양상과 비교 검토해 보면, 그것들은 동아시아 전체의 나전칠기의 변화 동향과 발을 맞추면서도 늦어도 11세기 초에 자개 貼付法에 의한 나전 기법을 성립시켰던 중국보다는 기술적으로 시기가 늦으며, 얇고 자잘한 자개의 조합으로 문양을 구성하는 방법과 그 장착법 혹은 골분 下地의 이용 등에 송대 나전과의 기술적·문양적인 유사성과 친화성이 인정되므로, 한반도에서는 11세기 후반을 전후한 시기 이후에 중국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은 나전칠기의 제작이 시작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고려 나전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금속 單線으로 당초문의 줄기와 넝쿨을 나타내는 방법은 당대의 木地螺鈿에서 확인되는 기법이긴 하지만, 자 개로 줄기와 넝쿨을 표현하는 宋代부터 元代에 걸친 중국 나전과는 다른 것이므로, 고려 나전이 당대의 전통기법을 독자적인 방식으로 새로 채용한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려 나전에 사용된 貝殼 종류의 문제는 그 성립을 생각하는 데에서도 중요한 논점이 된다. 나전 패각 종류를 정하는 것은 여전히 경험적인 판단에 의한 측면이 크지만, 8세기부터 13세기경에 걸쳐서 나전에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패각의 종류는 분포범위가 류큐[琉球]열도로 한정되는 야광패와 일본 혼슈[本州]섬에서 규슈[九州]섬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몇 가지 해역에 분포하는 전복패로 제한된다. 당대의 나전 패각 종류에 대해서는 과학분석과 연구자의 경험적인 판단에 의하여 야광패라는 견해로 일치하고 있으며, 오대십국기부터 북송 초기의 나전도 야광패로 상정된다. 元代나전에 대해서는 전복이라고 하는 견해가 중국을 중심으로 널리 인정되는 것 같지만, 대표적인 유물의 자개 관찰과 明代부터 淸代에 걸쳐 오키나와[沖繩]에서 중국대륙으로 야광패가 대량 수출되었다는 기록 등을 통해 필자는 야광패로 판단한다. 또한 일본에서도 가마쿠라시대까지는 야광패가 사용되었다고 판단하는 연구자들이 많으며, 필자도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 고려 나전에 대해서는 한국의 연구자들과 몇몇 일본인 연구자들은 전복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필자를 포함한 몇 명의 일본인 연구자들은 야광패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견해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가령 8세기부터 13세기에 걸친 중국 혹은 일본의 나전에 일관되게 야광패가 사용되었다는 판단을 전제로 할 경우, 고려 나전의 자개도 야광패였다면 고려 나전은 기술적 측면 외에 소재로 하는 자개에 관해서도 중국 나전과 강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셈이 된다. 단 류큐열도에서 산출하는 야광패가 중국 본토를 경유하여 한반도로 전해진 것인가, 아니면 규슈섬을 지나는 일본 경로를 통하여 전해진 것인가라는 점이 큰 논점이 될 것이다. 반대로 고려 나전이 전복패를 사용했다고 하면 기술과 下地, 문양 등에서 볼 수 있는 중국과의 유사성이 패각 종류에 한해서는 상반된 특징을 가짐과 동시에 고려에서는 독자적으로 나전 패각 종류와 소재 가공법을 개발하였던 셈이 되므로, 이것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점이 문제가 될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이 문제에 대하여 본고에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으나, 나전 패각 종류의 문제는 고려 나전 성립의 경위를 생각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다시 한 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고려 나전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검토는 지금까지 칠공예사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樹脂地螺鈿과 木地螺鈿 등이 대표하는 唐代의 나전에 있어서 옻칠의 소재와 그 장식법이 나전의 주요 기술이 아니었다고 볼 수 있다면, 통일신라시대의 나전경은 새로운 사고방식, 즉 자개의 가공과 그것을 중심으로 한 나전사의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칠공예 기술을 주체로 하여 제작된 고려시대 나전에 대해서는 나전사뿐만 아니라 당연히 칠공예사의 일부로서 검토할 필요가 있으나, 그것은 칠공예 기술을 주체로 하지 않은 전대의 나전이나 그 관련 기술과는 일단 분리하여, 오히려 같은 시대에 나전칠기를 성립시켰던 동아시아 각지의 나전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성립과 발전을 검토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검토하여 이른 것이 앞서 말한 본고에서의 결론이다. The present author considers that mother-of-pearl decoration is one of the specific cultures created in Asia. In this article, he would like to argue the emergence and early days of that deco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one of the areas among China, Korea and Japan where mother-of-pearl culture emerged much earlier than in other areas in the world. As a whole, mother-of-pearl techniques can be divided into four kinds: a) mosaic technique (モザイク螺鈿), b) resin embedded technique(樹脂地螺鈿), c) wooden inlayed technique(木地螺鈿), and d) lacquered technique(漆地螺鈿). Since all these four techniques can be recognized as early as in the Tang(唐)dynasty, the beginning of other Asian mother-of-pearl cultures would be after that period and the technique could have been transmitt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historical exchange from China. It would be difficult to deny any relationship with China when we consider every Asian mother-of-pearl culture. First, for tackling the ancient history of Korean mother-of-pearl decoration, we need to examine the famous mother-of-pearl ornamented bronze mirror allegedly found from Gaya(伽耶)mounded tomb of the Unified Silla(統一新羅)period, which has commonality with mother-of-pearl mirrors of the Shosoin(正倉院)treasures in Nara. Former researchers who emphasize its stylistic similarity with the Shosoin mirrors tend to speak of this mirror as having been produced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researchers who focus on technical similarity between both mirrors consider it as having been produced in China. In 1975, thin metal ornamented lacquerwares(平脱漆器)were excavated from Annapchi pond (雁鴨池)ruin in Gyeongju(慶州), and it became a re-starting point of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of craft production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the Unified Silla. In the 2000s, one hypothesis that both thin metal ornamented mirror and thick mother-of-pearl ornamented mirror are lacquerwares produced with the same technique, only difference being the ornamented material such as metal or shell, was submitted. This way of thinking has become the main stream until nowadays in Korea, China and UK. However, on the contrary, in Japan, base material of mother-of-pearl ornamented mirror has been recognized as natural resin, not lacquer, for years. Because lacquer is not proper material for filling the gap in height between thick shell top and bronze surface, amount of lacquer needed, time and cost, the present author accepts the opinion in Japan. As a result of this, it can be insisted that mother-of-pearl ornamented mirror and metal ornamented mirror belong to different series of techniques, and mother-of-pearl mirror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 an object produced in and imported from the Tang dynasty. It has been considered that mother-of-pearl culture in the Goryeo dynasty was fulfilled based on the ethnical tradition continui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find direct relationship between Unified Silla and the Goryeo dynasty mother-of-pearl objects. Thus, early days of the Goryeo mother-of-pearl culture should be researched by comparison with Chinese or Japanese examples in the same age. Information concerning Chinese mother-of-pearl objects in Wudai-Shiguo(五代十国)period is very limited. In addition to that, it has been mostly believed that mother-of-pearl production in the Song(宋)dynasty substantially declined according to the record on the “Bozhaibian(泊宅編)” written by Fang Shao(方勺)of the North Song(北宋)dynasty. However, by two examples of Wudai-Shiguo period we can know that although mother-of-pearl style in the early 11th century was under the tradition of the Tang dynasty mother-of-pearl making, by the famous Song dynasty painting ‘Children Playing in an Autumn Garden(秋庭戯嬰図)’ by Su Hanchen(蘇漢臣),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tradition changed drastically in the 12th century to the style of using very thin and fine cut shell fragments. In Japan, by records or remaining objects it is known that before the 13th century shell inlay technique onto wooden surface was major, but after the 13th century pasting technique of thin shell fragments onto lacquered surface became major. By comparison with Chinese or Japanese mother-of-pearl decora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hat Goryeo mother-of-pearl style after the 12th century also has the same tendency with the style of both countries and is especially much similar to Chinese mother-of-pearl pattern and technique. Based on this fact, the author estimates that lacquered mother-of-pearl making of remaining Goryeo dynasty pieces started after the late 11th century at the latest with strong influence from China. Interestingly, that the adoption of metal wire technique for the depiction of tendril stem of the arabesque pattern could have been succeeded from Tang dynasty technique is a particular point found on Goryeo mother-of-pearl objects. Another important problem for Goryeo mother-of-pearl decoration is the species of shells used. Technique for identification of shell species utilized for mother-of-pearl objects is not established yet and it is mostly specified by personal experience so far. From the view point of history and distribution of sea shell species in East Asia, the author would like to consider that green turban shell(夜光貝)was used in the Goryeo dynasty, same as in China and Japan. If this speculation is accurate, Goryeo dynasty mother-of-pearl had similarity with China, not only in pattern or technique but also in material. In this case, which route, i.e. via main land China or via Kyushu island, was taken for import of green turban shell captured at Okinawan sea also becomes an important problem. On the contrary, if not green turban but abalone shell was used, only shell material being different from Chinese mother-of-pearl production, we need proper explanation. In East Asian countries, mother-of-pearl decor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lacquer art so far. However, is this truly correct and proper framework of consideration? For deconstructing and positioning history of mother-of-pearl decoration, especially for considering its initial days, the author believes that examining the type of mother of pearl, i.e. shell, would be important. On the other hand, Goryeo dynasty was the period when lacquered mother-of-pearl technique was general. For considering mother-of-pearl of this age, the author would like to stress the importance of making comparison among neighboring areas of the same age.

      • KCI등재

        고려시대 유병에 대한 소고

        정원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5 No.-

        본 논문은 고려시대에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된 유병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통일 신라시대 도기와의 연관선상에서 살펴보고, 고려시대 유병이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 로 출토현황 및 전반적인 유물의 양상과 성격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고려시대 유병의 조형적 연원은 도기에서 자기로 발전해가는 요업의 변화를 보 여주는 영암 구림리 도기요지군에서 2가지 형태의 도기제 유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당시의 요업적 배경 속에서 도기와 청자로 제작된 유병의 조형적인 상호 연관성을 알 수 있었다. 고려시대 유병이 출토된 가마를 축요별로 살펴보았는데, 축요재와 상관없이 전 축․토축요에서 모두 생산되었다. 그러나 중서부지역의 전축요보다는 남서부지역의 토축요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생산되어 도기적 성격이 강한 유병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려시대 유병을 소비지 유적 중 동시대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살 펴본 결과, 12~14세기에 경기, 충청, 전라, 경상도권의 석곽묘, 토광묘에서 고려시 대 유병이 출토되었으며, 대체로 도기, 자기, 금속기와 함께 확인되었다. 특히, 금속 기류 중 거울, 가위와 공반되는 소비양상과 전세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고 려시대 유병이 화장도구의 일종이었음을 추정케 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Yu-byeong produced by a variety of techniques in the Koryo Dynasty, in the context of pottery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t also examines the aspects and features of general artifacts and its excavation situation centered on the ruins in which yu-byeongs in the Koryo Dynasty were excavated. As the formative origin of Yu-byeong in the Koryo Dynasty, the pottery Yu-byeong in two forms could be identified to reveal the changes of the ceramic industry from pottery to porcelain in Dogiyojigun, Gurim-ri in Young-am. It presented the interrelation between pottery and Yu-byeong produced as celadon in the background of ceramic industry in the period of late silla and early Koryo. The klins that the Yu-byeongs in the Koryo Dynasty came from were investigated per Chuk-yo. All of them were produced in Jeon-chuk and Tochuk-yo regardless of the materials of Chuk-yo. However, they were produced in Jeonchuk-yo in the Midwest much than Tochuk-yo in the Southwest relatively, which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Yu-byeong as pottery.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Yu-byeong in the Koryo Dynasty to focus on the excavated products of contemporary tombs among the ruins of consumption place revealed that Yu-byeongs in the Koryo Dynasty were excavated in seokgwak, togwangmyo in the regions of Gyeonggi,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 in the 12-14thcentury. Yu-byeongs were generally identified with pottery, porcelain, and metal products. In particular, it could be assumed that yu-byeong in the Koryo Dynasty was a kind of makeup tool considering the relevance with the consumption aspects and Jeonsepoom accompanying mirror and scissor among metal products.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막새 편년 시론 - 성주 법수사지 발굴조사 출토품을 중심으로 -

        이인숙 한국기와학회 2020 한국기와학보 Vol.2 No.-

        고려시대 막새를 편년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막새와 평기와 간의 접합 방식의 변화를 토대로 한 편년 안이다. 둘째, 기록이 남아있는 건물지의 창건 또는 중수 막새를 선별하여 문양의 변화를 제시하는 편년 안이다. 고려시대 막새 변화의 큰 흐름이 대강 그러함에 틀림없을 것이다. 그러나 고려시대 막새의 세분된 편년 안은 여전히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존속 기간이 긴 건 물지에서 출토된 다양한 막새 중에서 창건 또는 중수 시점의 문양을 판단하는 근거, 유행 기간이 긴 문양 의 특성상 막새와 기년명 공예품 간의 문양 유사성으로 특정 막새 문양을 그 연대로 직결시키는 근거 등 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시 무엇보다 가장 큰 한계는 고려시대 막새 중에 연호명 기와가 거의 없 어서 편년의 근거가 부족한 데 기인한다. 그런데 고려시대 평기와는 연호명 기와를 중심으로 한 편년 안이 수립되어 있다. 이에 이 글은 평기와 편년 안을 토대로 고려시대 막새 편년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 대상은 필자가 실견한 바 있고 평기와가 잔 존하는 고려시대 막새가 다소 출토된 성주 법수사지의 평기와 잔존 막새로 하였다. 먼저 평기와 편년 안 에 따라 평기와 잔존 막새들의 편년을 시도하였다. 그런 다음, 편년된 법수사지 막새의 문양이나 제작기 법과 유사한 막새를 더 찾아냈다. 이로써 성주 법수사지 출토 고려시대 막새 편년 안을 제시하였다. 하나의 유적을 대상으로 한 편년 시론이기 때문에 고려시대를 통시적·공시적으로 포괄하기에는 미흡 한 점이 많다. 향후 다른 유적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시도들이 축적되어, 이 편년 안이 보완되고 편년의 근거 또한 더욱 명확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convex times at the edge of eaves in the Goryeo period were created largely by two methods. First, one chronological plan based on modifications of how to join them to plain roof tiles. Second, the other chronological plan to suggest changes in patterns by selecting foundation or remodeling convex tiles for building sites with remaining documents. There is no doubt that the convex tiles in the Goryeo period had been largely changed in that manner. The chronology plan subdividing the convex tiles created in the Goryoe period, however, still has many limits, since it has little grounds on which patterns at the periods of foundation or remodeling can be determined among a variety to convex tiles excavated from building sites which have existed for a long time and on which the certain pattern of a convex tile can be directly associated with its chronicle, given the similarity in patterns between convex tiles and dated craftworks, in spite of patterns characterized by the longer trend cycle. Above all, the most serious limit is derived from insufficient grounds of chronology, as there are little era named tiles among convex tiles created in the Goryeo era. The chronology plan for plain roof tiles created in the Goryeo period is, however, established around era named ones. This paper, therefore, attempts to chronologize such convex tiles, based on the chronology plan for the plain roof tiles. The targets include the remaining convex tiles jointed with plain roof tiles in Beopsusa Temple Site, Seongju at which a lot of convex tiles of the Goryeo period were excavated, and which the research actually observed. The convex tiles were initially tried to be chronologized according to the chronology plan for the plain roof tiles. Then, some convex tiles representing the similarity in patterns or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chronologized convex tiles were further elucidated. The resulting chronology plan for the convex tiles of the Goryeo period, excavated from Beopsusa Temple Site, Seongju were established. This study has many limits in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comprehending the Goryeo period, since it is a chronological research on just single relic. The current chronology plan and its grounds are expected to be complemented and more specific, as further studies on other relics are accumula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보은 상장리 출토 토제 장구의 제작 시기 재검토

        조석연 국립국악원 2013 국악원논문집 Vol.28 No.-

        2004년도 보은 상장리 유적에서 토제장구가 출토되었고 이는 고려시대의 유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유물과 악기학적 특징이 매우 흡사하여 어떠한 경위로 인하여 고려시대로 편년(編年)되었는지 재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기존연구검토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도‧토제 장구를 비교를 통해 악기학적 관점에서 보은 상장리 토제장구의 제작시기를 재검토하였다. 첫째, 가마와 유구와의 관계만으로 상장리 토제장구를 고려시대의 유물이라 규정할만한 명확한 근거는 없으며 오히려 함께 출토된 분청사기, 백자 등으로 미루어 조선시대로 제작년도를 늦춰 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둘째, 고려시대 도제장구는 긴 조롱목을 지닌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모두 도자기로 제작되었다. 울림통을 따로 붙이지 않고 하나의 틀로 제작되었으며 고려를 대표하는 다양한 상감기법과 비색, 문양 등을 사용하였다. 보은 상장리 토제장구는 이러한 고려시대 도제장구의 특징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보은 상장리 토제장구는 전체적인 크기와 형태, 토제라는 재질, 문살무늬, 특히 조롱목에 사용된 돋을띠의 장식이 전주 삼산리 토제장구를 비롯한 조선시대 토제장구와 동일하다. 또한 고려시대 도제장구와는 달리 조선시대 토제장구는 울림통을 따로 만들어 붙인 점과 집자리에서 발견되어 실생활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도 특징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도 조롱목 이음새를 단단하게 하면서도 장식 효과를 내는 돋을띠가 조선시대에 유행하던 제작방법이라는 점에서 보은 상장리 토제장구는 전주 삼산리 토제장구, 고창 용산리 토제장구와 동일한 조선시대 배경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유추하게 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 보은 상장리 토제장구는 고려시대 보다 조선시대 특징이 농후하다. 보다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상장리 토제장구의 역사적 가치 및 한국 악기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In 2004 a Clay-Janggu was excavated from the historic site of Boeun Sangjang-ri. In general it was estimated to be the remains of the Goryeo Dynasty. In view of the instrument itself, however it reveals the similarities rather with the relics of the Joseon Dynasty. So the necessity has emerged, the basis of such estimation of production time to review. This study began with these needs and doubts.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previous studies was reviewed, and by comparing of Clay-Janggus of Goryeo and Joseon the production time of Boeun Sangjang-ri Clay-Janggu was reviewed from the point of the instrument itself. First, based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ln and the historic site Sangjang-ri Clay-Janggu was until now considered as a relics of the Goryeo Dynasty. But such argument is not reliable nor acceptable. Rather by comparison with grayish-blue-powdered celadon and white porcelain which were co-excavated with Sangjang-ri Clay-Janggu,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Sangjang-ri Clay-Janggu was made in the Joseon Dynasty. Second, Goryeo's Clay-Janggu has a long jorongmok and as known was made ​​of only ceramic. Soundbox was made in a single framework. And various techniques such as lnlay, celadon green and patterns have been used, which represent the Goryeo Dynasty. Bu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does not appear at all in Boeun Sangjang-ri Clay-Janggu. Third, Boeun Sangjang-ri Clay-Janggu has very similar size, shape, material and pattern with the Janggu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dodulti (embossed band) of Sangjang-ri Clay-Janggu was typical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Joseon Dynasty. And soundbox was also made ​​separately and attached as like the Joseon Dynasty. Boeun Sangjang-ri Clay-Janggu was excavated not in the famous and official kiln site but in normal residence. And these facts suggest possibility that this instrument may have been used in everyda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Boeun Sangjang-ri Clay-Janggu has rather many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 than Goryeo Dynasty. I also hope that in the future thanks to more excavations of remains and more thorough researches, historical value of Boeun Sangjang-ri Clay-Janggu could be accurately clarified.

      • KCI등재

        고려시대 금고의 특성과 명문 고찰

        최응천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9 No.-

        It is presumed that the Korean Buddhist gong was introduced into Unified Silla in the 9th century with the background of "Suvarnabhāsa-sūtra". The Buddhist gongs started with the name Geumgoo(禁口)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coming to Goryeo dynasty. The first type is a form in which the back side is narrowed inward, the second type is a form in which the back side is further expanded. The third type is a form in which the front and back are completely blocked and the resonator is opened on the sid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the first type is called Banja(飯子), the second type is called Geumgoo, and the third type is called Geumgo. Among the 59 the Buddhist gongs with inscriptions including the produced year and the zodiac signs, there are 34 Buddhist gongs with inscriptions ‘Banja’, and 19 Buddhist gongs was engraved Ban meaning of food. Even Buddhist gong not bearing the name was confirmed at 11 points, suggesting that there was confusion in the use of the term at that time. In case of the Buddhist gongs of Goryeo dynasty, inscriptions including the producing year, the name of temple, prayer script and maker, and weight was engraved on the side or backsi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inscriptions, the status of the maker can be divided into the official craftsman, personal craftsman, monk craftsman. In addition the prayer scripts reflect the phases of the age and the change of the Buddhist doctrin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f the Buddhist gong of Anyangsa with the zidiac sign ‘Imja’, this Buddhist gong was the monumental works of the faith association ‘Anyanasa’ that was formed at Mt. Jirisan. It can be said that this association has the character of Huaen order participated by the central ruling class and the local Buddhist community. The manufacturer recorded on the Buddhist gong give an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and position and advance into society of the craftsman of Goryeo dynansty. The inscriptions recorded on the Buddhist gong of the Goryeo period give an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and the location of the temple, the change of the Buddhist doctrine, and the phases of the age. 우리나라의 금고는 703년 중국에서 번역된 『金剛明最勝王經』 권 3 「夢見金鼓懺悔品」을 조성 배경으로 하여 통일신라 9세기쯤 전래, 사용되었다고 추정된다. 禁口라는 명칭으로 출발한 금고는 점차 뒷면의 구연이 안으로 좁아지는 새로운 반자형의 금고가 고려시대에 들어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1형식 외에 고려시대의 금고는 뒷면의 구연이 더 확장되는 2형식과 앞, 뒤가 완전히 막혀 측면에 공명구가 뚫린 3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이 형식에 따라 1형식은 반자라는 음기를 중심으로 2, 3형식은 금구, 금고라는 음기로 표기되었다. 지금까지 파악된 명문을 지닌 고려시대의 기년명, 간지명 금고 59점을 대상으로 명문을 조사한 결과 반자라는 표기가 34점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 음식 반(飯)자를 사용한 ‘반자’의 용례가 19점으로서 13세기를 중심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명칭을 표기하지 않은 금고도 11점이나 확인되어 외형에 따라 금고와 반자를 구별하여 사용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당시에도 일부 용어 사용에 적지 않은 혼란이 있었음을 시사해 준다. 한편 고려시대의 금고는 측면부나 후면 구연부를 돌아가며 금고를 만든 날짜와 절 이름, 발원문과 제작자, 무게 등 금고의 제작과 관련된 명문을 기록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명문을 분석하여 조성시기, 제작자의 신분은 크게 관장, 사장, 승장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발원문의 시대적 추이와 불교 교리의 반영에 따른 변화 양상, 시납자의 신분과 신앙 결사 등을 밝혀볼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임자명 안양사 반자(1252)의 명문을 통해 지리산에서 결성된 ‘安養社’란 신앙 결사의 기념비적 작품으로 금고를 제작한 사실과 이 결사가 중앙 집권층과 지방 불교계가 참여한 화엄종계의 성격을 지녔다는 점을 밝혀볼 수 있었다. 나아가 금고에 기록된 제작자는 주조 장인의 신분이나 직위, 사회적 진출 문제 등 고려시대 장인사회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범종과 반자를 제작한 韓仲徐로서 일개 장인에서 출발하여 무산계의 別將同正으로 진출하는 한 장인의 활동 상황이 드러나게 되었다. 고려시대 금고는 단순히 소리 내는 도구로서 뿐 아니라 소속 사찰의 위치와 성격, 당시 불교 교리의 변화나 역사적 상황 등 고려 시대의 다양한 사회상을 반영해 주는 중요한 금석문 자료라는 점에서 보다 다각적인 규명이 필요할 것 같다. 나아가 고려 금고에 기록된 중량과 실제 무게, 금고가 지닌 명칭과 용도와의 연관성 등에 관해서도 추후 검토가 요구된다.

      • KCI등재

        고려 시대의 문양 특성에 관한 연구

        이창원(Lee, Chang Won),이성원(Lee, Sung 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문양은 예로부터 부족 간의 기호이며, 소통의 상징이다. 모든 국가와 민족들은 고유한 문양 가지고 있으며, 국가의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표현 수단이다. 조상대대로 내려오는 전통문양을 인식하면서 민족간의 상징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발전하였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장식성과 실용성, 기능성을 겸비한 분야로 발전해왔고, 다양한 소재에 접목함으로 다각적 표현방법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문양의 사례연구와 조형세계를 재해석 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문양의 발전과정과 역사에 밀접한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서론으로는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구 범위는 고려 말의 청자, 수막새 문양과 송나라 시대의 도자기, 수막새 문양을 비교연구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선행된 논문 자료를 분석하였고, 또한 고려 시대 문양의 시대적 배경과 작품에 나타난 미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 수집하고 조사하였다. 둘째, 본론으로 문양의 전통적 소재 활용, 고려 시대 문양의 상징성과 발전 과정을 통해 문양의 종류와 이를 활용한 디자인 사례 연구를 진행 하였다. 셋째, 연구결과로 이상의 연구내용을 정리, 요약하고 전통적 소재를 이용한 고려 시대 문양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양디자인에 있어 고려 시대 전통 문양의 발전과 텍스타일디자인 및 다양한 제품디자인 개발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길 기대한다. The pattern is a symbol between tribes from long ago and is a symbol of communication. All countries and ethnic groups have their own patterns, and important representative of the country’s culture. It has been developed to recognize the symbolic nature between ethnic groups while recognizing the traditional patterns transmitted throughout the ancestors and has also been developed in the field combining decorativeness,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along the trend of the times Incorporating it into various materials, I reinterpreted the pattern case study and modeling world in terms of expanding the multilateral expression method.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attern an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history along the trend of the times, it progressed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of all, at the beginning, we described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and scope.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o compare the pattern of the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 the pattern of the eave round tile and the ceramics of the era of Song and the pattern of the eaves roof tile, and as a research method, the data of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preceding thesis are analyzed In addition, we gathered and surveyed the Internet site to investigate the era context of the pattern of the Goryeo period and the aesthetic value that appeared in the work. Secondly, we used the traditional materials of the pattern in this thesis, through the symbolism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Goryeo era pattern, we conducted a case study of the design type and the design making use of it. Thirdly, I summarized and summarized several research contents in the research results and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oryeo era pattern using traditional materials. Through this research we expect to use it as important material in the design development of traditional patterns of the Goryeo period in textile design and design of various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