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읍 줄풍류와 대풍류의 사회적·공간적 연관성

        조석연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Jeongeup Pungnyu, which can be regarded as a foundation of Hyangje Julpungryu(;string ensemble in Honam Area) best reflects social-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Pungryu cultur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aepungryu(wind ensemble) and Julpungryu can be inferred from three points of view. First, Jeongeumun who participated as a musician in the beginning of Hyangje Julpungryu was good at not only performing musical instrument but also dancing. Jeongeumun did not stay in specific musical field. He performed Hyangje Julpungryu, made Daepungryu and used it as dancing music with musicians that participated in Julpungryu. That is why Julpungryu and Daepungryu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music. Secondly, according to <Chosan-yulgye Genealogy>, Jung Hyungin, who followed the dance of Jeong Jae-Sun with Kim So-Ran, was the first Piri player who learned from Jeongeumun and played Yeongsanhoesang and Samhyeon-yukkak(;wind ensemble). That is, Jeongeup Julpungryu was formed by Jeongeumun and dancer Jung Hyung-in followed Julpungryu and Daepungryu.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inferred that Jeongeup’s Daepungryu is fundamentally closely related to Jungeup Julpungryu. 향제줄풍류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정읍줄풍류는 풍류음악 형성에 있어 지방풍류문화의 사회적· 공간적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이에 정읍풍류음악의 줄풍류와 대풍류의 형성과 연행의 관련 기록을 통해 두 음악 간의 연관성을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살펴보았다. 또한 정읍풍류의 사회적 · 공간적 특수성에 따른 두 음악의 관련성을 가늠해 보았다. 시대적인 흐름은 풍류방에 변화를 가져왔다. 향제줄풍류는 경제줄풍류와 달리 가락이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전승계보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전계문과 같은 지역 전문연주가들에 의해 재해석된 가락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재인청에 소속되어 있던 무계출신의 전계문과 같은 전문연주자들이 향제줄풍류에 참여하면서 변화무쌍한 무속 형식이 자연스럽게 줄풍류에 이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춤반주인 대풍류와 향제줄풍류의 밀접한 관계는 두 가지 관점에서 그 연관성을 유추할 수 있다. 첫째, 향제줄풍류의 태동에 음악적 주체로 참여한 전계문은 악기연주 뿐 아니라 춤에도 능한 인물이다. 전계문을 포함한 세습무계 재인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게 된 ‘향제줄풍류’는 춤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대풍류 가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는 재인들에 의해 형성된 정읍 줄풍류의 사회적〮 ·공간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초산율계 계보도>에 의하면 전계문으로부터 영산회상과 삼현육각을 배운 정형인이 향제줄풍류 피리 연주자로서 피리 계보 맨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정형인은 무계출신 춤꾼 정자선의 아들이다. 전계문과 정형인 모두 춤꾼인 동시에 전계문은 줄풍류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정형인은 줄풍류 수석 피리연주자로 활동하였다. 이들이 향유하던 대풍류 선율은 정읍향제줄풍류 형성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정읍 줄풍류는 재인들의 대풍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퉁소의 기원에 관한 고찰

        조석연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2 No.-

        본 논문은 한국에 존재하는 두 종류의 퉁소의 기원에 대한 글이다. 문헌에 기록된 고려시대 이후 유입 퉁소와 고고학자료에 존재하는 삼국시대 이전의 퉁소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시나위 퉁소와 북청사자놀음 퉁소의 기원을 고찰하였다. 문헌 기록에 의한 퉁소는 고려시대 중국에서 유입된 후 궁중에서 사용되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민중까지 확산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궁중과 민간에서 각각 청공이 가감되는 변모를 거듭하였다. 그리고 후에는 오히려 궁중에서는 사라지고 민중의 악기로 정착되었다. 20세기 산조의 명인들에 의해 부흥기를 가졌는데, 이 때 쓰인 악기가 바로 시나위 퉁소이다. 시나위 퉁소는 고려 이후 우리나라에 전승되어 정악이나 민속악에 사용된 악기가 변모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하지만 북청사자놀음 퉁소는 서역과 관련된 고구려고분벽화에서 보이는 퉁소류 악기와 같이 길이가 70cm 이상으로 길고, 서역의 놀이인 북청사자놀음의 반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크로드 거점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독특한 음색을 지닌 네이류 악기들과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실크로드와의 연관성을 짐작할 수 있다. 삼국시대 고고학 자료에서 발견되는 퉁소류의 악기는 서역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통해 유입된 악기이며, 북청사자놀음 퉁소는 이러한 특징을 길이, 사용용도, 음색 등을 통해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즉 북청사자놀음 퉁소는 우리 문화가 서역의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증명하는 동시에 다양한 변천과정을 통해 우리만의 독특한 양상을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Present, two kinds of bamboo flute exists in Korea. The one is the sinawi 시나위 bamboo flute. It has no ch’ŏnggong 淸孔 and is used to the sanjo 散調 music performance. The another one is the Pukch‘ŏng Lion Play bamboo flute. It has ch’ŏnggong, and is used only to the Pukch’ŏng Lion Play. These two musical instruments show the clear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instrument, the used area, the playing music type and etc. These facts show that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could be different. Therefore I have researched the relation between them, by examining various written and pictured materials and by comparing their history and cultual characteristics. The bamboo flute was brought into Koryŏ Dynasty from China. At first it was used only in the Royal Court, and then spread to the general people at the Chosŏn Dynasty. In this course it had repeated outward change. And at last it rather disappeared in the Royal Court, and it was settled as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people. Entering 20 century it enjoyed the golden age by the sanjo masters, and the musical instrument used at the moment is the sinawi bamboo flute. As to this, there is strong possibility that sinawi bamboo flute was conveyed to Korea during Koryŏ Dynasty and that sinawi bamboo flute which was used in classical music or folk music experienced various changes over the long time. Meanwhile, Pukch‘ŏng Lion Play bamboo flute has the length of more than 70cm like the flute which was shown in the mural painting of the Koguryŏ ancient tombs related to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Also, it used to be accompanied to Pukch’ŏng Lion Play, and it has a unique tone similarly to the musical instruments of the Nay type which is used in the Silk Road region in common. Moreover, it is well known that Persia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ncient Korea in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Silk Road. In the mural painting of the Koguryŏ ancient tombs and Paekche Gilt-Bronze Great Incense Burner was shown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bamboo flute type which is similar to the instruments of Persia an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is proves that Pukch’ŏng Lion Play bamboo flute was imported through Silk Road. And Pukch’ŏng Lion Play bamboo flute really reflects this fact through characteristics like as its length, use, tone etc. In the final analysis, this all facts make it possible to assume that there is an closed interconnection between Pukch’ŏng Lion Play bamboo flute and Silk Road.

      • KCI등재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의 반주 음악과 악기편성 변화 고찰

        조석연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3 No.-

        ‘학연화대처용무합설’ 정재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12월 그믐 전날 잡귀를 쫓아내기 위해 베풀었던 나례의식 뒤에 연행되었던 공연이다. 현재 연희 형태와 조선 시대 연희 형태가 많은 차이점이 있어 󰡔용재총화󰡕, 󰡔악학궤범󰡕과 1984년 재현 공연자료와 현행 공연자료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첫째, 󰡔악학궤범󰡕의 관현악대에서 현재는 삼현육각+양금ㆍ단소 편성으로 변모하였다. 󰡔악학궤범󰡕에서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음악은 관현악단에 의해 악곡과 악곡이 연결된다. 현행 양금과 삼현육각의 단절된 악기편성의 변화는 단순히 편성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음악의 단절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음악으로 인한 절정의 변화이다. 현행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절정은 연화대에서 학이 춤을 추고 연꽃을 쪼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학이 연꽃을 쪼는 순간 음악도 갑자기 함녕지곡(관악영산회상 중 삼현도드리)으로 바뀐다. 연주 되는 악기도 양금과 단소의 소음량에서 삼현육각의 대음량으로 바뀌면서 함녕지곡을 더욱 도드라지게 한다. 이러한 음악의 변화는 학이 연꽃을 쪼는 순간을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악학궤범󰡕에서는 청학과 백학이 연화를쪼는 행위는 같으나, 음악이 중간에 변하지 않는다. 학이 연꽃 속 동녀의 등장에 놀라고 동녀가 지당판에 내려와 연화대무를 하는 내내 보허자가 연주된다. 보허자 음악은 학무와 연화대무 전체를 아우르고 있다. 셋째, 상징성의 변화이다. 󰡔악학궤범󰡕 ‘학연화대처용무합설’에서 처용무는 전도와 후도 두 번 등장하는 동시에 정재전체 중심이 되고 있다. 음악 역시 처용무 반주 음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영산회상 만기와 영산회상 영, 보허자영을 제외하고 처용무 음악인 봉황음 만기, 중기, 급기, 삼진작, 정읍 급기, 북전 급기가 󰡔악학궤범󰡕 ‘학연화대처용무합설’ 반주음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후도에 봉황음 만기가 다시 반복되고 미타찬, 본사찬, 관음찬 등의 창이 제창되면서 처용무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렇듯 처용무가 중심인 까닭은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이섣달 그믐날 나례 행사에 행해지는 공연이라는 특수성 때문일 것이고 연화대무와 학무의 상징보다 처용무가 가지는 벽사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는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현행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중심은 처용무가 빠진 ‘학연화대무합설’이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이 연꽃을 쪼는 순간 음악의 변화를 주며 클라이맥스를 다다르게 하는 행동은 나례의식 보다 연희적인 요소에 중심에 두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음악 역시 현행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은 󰡔악학궤범󰡕에 등장한 처용무 반주 음악은 한 곡도 들어 있지 않다. 마지막 처용과 더불어 합설이 되었을 때 타령만이 연주될 뿐이다. 현행 국립국악원의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공연은 처용무가 독무로 등장하는 전도(前渡)조차 사라졌으며, 학무에 염불-타령이 추어지고 연화를 쪼는 순간 함녕지곡이 삼현육각에 맞춰 연주되며 ‘학연화대처용무합설’에 타령-자즌타령-길타령으로 끝을 맺고 있다. 󰡔악학궤범󰡕을 토대로 복원되었다고 하지만 음악과 악기편성에서는 󰡔악학궤범󰡕의 ‘학연화대처용무합설’과 현행의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은 완전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Hakyeonhwadaecheyongmuhapseol (鶴蓮花臺處容舞合設) is a performance, which was practiced after the Narye rites of casting out evil spirits in the court of Joseon Dynasty on the last day of December.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is recorded in Akhakgwebeom (music theory book, 樂學軌範, 1493) in detail, and its record is found also in Yongjaechonghwa (慵齋叢話). Akhakgwebeom describes that the large-scale band consisted of 35 musicians, and this fact allows us to examine the character and the formality of the hakyeonhwadaecheyongmuhapseol. Above all, the hakyeonhwadaecheyongmuhapseol, as it appears in Akhakgwebeom plays a role as a complete body, not a separate one, based on cheoyongmu music. However, the content of the current hakyeonhwadaecheyongmuhapseol is quite different from the old one. The dancing performance is similar, but the music has many differences. This paper compares the records of Yongjaechonghwa and Akhakgwebeom with current data such as performance data reproduced in 1984.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usical transformations in hakmu, yeonhwadaemu and cheongyongmu, that was handed down as a way of solo and partial consortium, one finds three kinds of differences between them: First, the combination of orchestral bands described in Akhakgwebeom has now been transformed into samhyeonyukgak, yanggeum and danso organization. Second, there is a change of climax due to mus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Third, one can find a change of symbolism. As a result, although the current hakyeonhwadaecheyongmuhapseol is said to have been restored based on the Akhakgwaebeom, i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hakyeonhwadaecheyongmuhapseol in the compilation of music and accompanying instruments.

      • KCI등재

        양금(덜시머)의 유형과 기원에 관한 연구

        조석연 한국음악사학회 2008 한국음악사학보 Vol.41 No.-

        Korean yanggŭm 洋琴 (dulcimer) was accommodated from China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had been used in string-based music. It has been undergoing active change and development as is shown by the establishment of the Yanggŭm Research Society 洋琴硏究會 in 1998. Particularly, as it has been drawing attention with its clear and clean tone in newly created original music, the size and the volume of the instrument have been expanded and showy both hands playing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and thus it is positioning itself as a new musical instrumen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yanggŭm that is being used in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origin of Korean yanggŭm. First, yanggŭm is a guitar-like stringed instrument with trapezoid- shape resonance body. But it cannot be classified only in terms of shape since it can produce sound by hitting the strings with a hammer. Second, Korean yanggŭm is a musical instrument imported from the Western dulcimer which has a stick-like fixed bridge rather than a small moving bridge. Judging from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is certain that the instrument had been transmitted by the Italian missionary Matteo Ricci and then it was imported to Korea to become the Korean yanggŭm. The possibility that Persian santur was transmitted along the Silk Road path to Korea is slim, in view of the structures of the Korean yanggŭm. Third, yanggŭm originated from a harp-type instrument. According to archeological data, diverse harp-type instruments played with hammer have become the origin of yanggŭm. The evidence is the fact that both harp and santur are called ‘ch'ang’ in the countries such as Iran and Uzbekistan. 양금은 한국에 18세기경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 하지만 양금은 한국에 유입된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악기로서보다 기물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영산회상, 가곡 등 줄풍류 중심의 음악에 사용되었으며 궁중 잔치나 관료층의 잔치에 널리 연주되었다. 그러나 20세기에 이르러서까지 양금은 한손으로 연주하는 단순한 연주법과 한정된 실내악곡에 사용되는 한계점으로 보였다. 최근 21세기에 이르러 양금은 1998년 양금연구회가 결성되는 등 활발한 변화· 발전을 꾀하고 있는 악기로 변모하였다. 특히 새롭게 창작되는 창작곡에 맑고 깨끗한 음색이 주목받으면서, 악기의 크기와 음량이 커지고 화려한 양손 연주법이 도입되는 등 새로운 악기로서 발돋움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금의 구조적특징과 한국양금의 특징 그리고 양금의 기원을 살펴보았다. 첫째, 양금은 사다리꼴 공명통을 가진 지터류의 악기이다. 그러나 그 형태만으로 분류될 수 없고 반드시 해머(채)를 이용하여 현을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둘째, 한국 양금은 작은 이동식 브리지가 아닌 긴 막대형태의 고정식 브리지를 가지고 있는 서양 덜시머에서 유입된 악기이다. 구조상의 특징으로 보아 한국 양금은 유럽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Matteo Ricchi)가 중국에 전해준 것이 다시 한국으로 전해진 것이 확실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실크로드 경로를 통해 페르시아 산투르가 전승되었다는 이론은 한국양금의 구조상 가능성이 적다. 셋째, 양금은 하프류의 악기에서 기원되었다. 고고학자료에 의하면 다양한 하프류의 악기를 해머로 치는 연주형태는 양금의 기원이 된다. 이러한 증거로 이란,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는 하프와 산투르 두 악기를 모두 ‘창(Chang)'이라 부르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분류층 석탄 가스화 전산 고찰

        조석연,서경원 한국에너지학회 1998 에너지공학 Vol.7 No.1

        분류층 석탄 가스화기에서 5 종류(Lewis-Stockton, Utah, Illinois #6 등의 역청탄, Usibelli 아역청탄, Beulah-Zap갈탄)의 석탄을 가스화시킬 때 산소/석탄과 수증기/석탄 비의 변화가 반응성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산소/석탄의 비(kg/kg)를 0.7에서 1.4로, 수증기/석탄의 비(kg/kg)를 0.0에서 0.4로 각각 변화시키면서 생성가스인 CO와 H2의 농도 변화를 계산하였다. 또한 Roto탄을 가스화하였을 때 가스화기 출구에서의 CO와 H2의 실험값과 전산모사 예측값을 서로 비교·분석하여 모사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모사결과 탄종에 관계없이 산소/석탄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CO와 H2의 생성량을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수증기/석탄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CO의 생성량은 감소하였으나 수소의 생성량은 어느 정도까지는 증가하였다. 산소/석탄의 비가 1.0∼1.2이고 수증기/석탄의 비가 0.3∼0.4인 범위내에서 냉가스 효율이 높게 예측되었다. Numerical comput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gasification of five different coals such as Lewis-Stockton bituminous, Utah bituminous. Illinois #6 bituminous, Usibelli sub-bituminous and Beulah-Zap lignite, to assess the effect of variation in oxygen to coal ratio and steam to coal ratio on reactive flow fields within an axisymmetric, entrained-flow gasifier. The concentrations of major products, CO and $H_2$, were calculated with varying oxygen to coal ratio(0.7~1.4) and steam to coal ratio. To verify the validity of predictions,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values of CO and $H_2$ concentrations at the exit of the gasifier were compared for Roto coal. Reasonable agreement was obtained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Predictions showed that the (CO+H_2$) concentration increased gradually to its maximum value with increasing oxygen-coal ratio, and CO concentration decreased, but $H_2$ concentration increased to some extent with increasing steam-coal ratio. When the oxygen-coal ratio was between 1.0 and 1.2, and the steam-coal ratio was between 0.3 and 0.4, high values of the cold-gas efficiency were obtained.

      • KCI등재

        공후(箜篌)의 어원(語源)에 관한 연구

        조석연 한국국악학회 2009 한국음악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공후(箜篌) 어원(語源) 관련 용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고대 공후의 어원을 살피는 글이다. 특히 수공후, 봉수공후, 와공후 등 구체적인 명칭이 드러나기 시작한 이전의 기록들을 중심으로 ‘공후‘의 초기용어에 초점을 두었다. 공후의 용어를 살펴본 결과 공후(箜篌)는 감후(坎侯)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후의 용례도 함께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감후(坎侯)’의 어원은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감감한’의 의성어인 ‘감’과 악사 이름 ‘후’의 합성어에서 비롯됐다. 둘째,『시경』의 시구에서 따온 말이다. 셋째로, 감국(坎國)의 제후에서 비롯된 말이다. 넷째, 공후가 망국의 소리이기 때문에 ‘감후(坎侯)’라고 했다 등의 설로 분류된다. 하지만 이 네 가지 설 모두 정확한 근거 없이 기술한 설화와 같아서 명료하게 그 어원을 밝히기는 어렵다. 다만 분명한 것은 감후(坎侯)는 공후(空侯 혹은 箜篌)와 동일한 악기로서 존재하였다는 점이다. 문헌에 기록된 감후를 포함한 공후의 어원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공후(箜篌)는 악인(樂人)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다. 악인(樂人)의 이름은『사기집해』·『풍속통』의 <후조(侯調)>와 『송서』·『악서』의 <후휘(侯暉)>로 나뉘는데 『통전』에는 두 악인의 이름을 동일시하고 있어서 같은 인물로 봐야 할 것이다. 악사 이름이 후조(侯調)든 후휘(侯暉)든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악공의 성(姓)인 ‘후(侯)’이다. 즉 공후(空侯), 혹은 감후(坎侯)의 ‘후’는 악공의 성(姓)인 ‘후’로부터 비롯된 점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공후(箜篌)는 감감한 소리에서 비롯된 감후(坎侯)로부터 와전된 것이다. 악공의 성인 ‘후’와 감감한 소리인 ‘감’이 결합하여 ‘감후(坎侯)’가 되고 훗날 와전되어 공후(箜篌)가 되었다는 설이다. 이는『송서』·『풍속통』·『악서』·『통전』등 많은 사료에서 주장하는 바로 감후(坎侯)와 공후(箜篌)와의 밀접한 관계를 말해주고 있다. 정확한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수, 당의 기록인 구부기·십부기에 ‘공후(空侯)’는 보이지 않고, ‘공후(箜篌)’ 명칭만 사용된 것으로 보아 적어도 수나라 이전에 ‘공후(箜篌)’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중국의 문헌에 기록된 공후(箜篌)의 어원은 중국 한나라 무제(武帝) 때 악사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감감하다’는 의성어의 ‘감(坎)’과 악사의 이름 ‘후(侯)’의 결합어인 감후(坎侯)로부터 공후(空侯)가 비롯되었고, 수나라 이전에 공후(箜篌)로 와전(訛傳)·정착(定着)된 것으로 정리된다.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etymology of ancient Gonghu with inquiring its examples throughout the related documents. Especially, I have mainly focused on the early terms presented as soogonghu, bongsoogonghu, wagonghu in the former documents of the Book of shi隋書. As a result, I found that Gonghu箜篌 had an intimacy with gamhu坎候. So I have considered an example of gamhu as a following. The etymology of gamhu can be condensed like following 4 items. The first, It is originated from compound word of gam坎, onomatopoetic word of hear nothing from and hu候, musician name. The second, It comes from a verse of the Book of Odes, the Shih Ching. The third, It comes from lords of the state of Gam. The last, Gamhu was adopted from gonghu‘s sound of ruined nation. But because these theories are like foundless narrative, it is not helpful to illuminate its etymology precisely. I can only say that gamhu is the same as gonghu. In related documents, I can make it clear as a following. The first, gonghu comes from musician name. Those names are divided into hucho候調 in the Collection of history史記, the Documents of customs風俗通 and huhui候暉 in the Book of Song宋書, the Book of music樂書. But in the Book of documents and ceremonies通典, it seems to be the same name as a person. Regardless of hucho候調, huhui候暉 as a musician, it is important that the family name is hu候. That is to say, hu候 of gonghu or gamhu come from hu, the family name. And also, gonghu has told distortedly from gamhu, hear nothing from. It has told falsely from connecting hu, the family name of musician with gam, hear nothing from. These facts have said of intimacy of gamhu and gonghu as it has presented in the book of Song, the documents of customs, the book of music, the book of documents and ceremonies and so forth. The precise period wasn‘t written in the documents of gubughi구부기, the part of the Book of Sui and shibbughi십부기, the part of the Book of Tang. But from those not having gonghu空候 but gonghu箜篌, it became established as gonghu箜篌 before Sui隋. In summary from the above, the etymology of gonghu箜篌 from chinese documents came from gamhu坎候, which is the compound word of gam坎, onomatopoetic word of hear nothing from and hu候, musician name and in the former Sui, it told falsely and established as gonghu箜篌.

      • KCI등재

        마약법 제정 이후 한국의 마약문제와 국가통제(1957∼1976)

        조석연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5 No.-

        This thesis is the narcotic problems at a nation building proces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at researches outline is as the following.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orphia refined from opium was used for a medicine to people as well. Furthermore Japan employed a generous policy on opium, so a lot of people were addicted by opim. But they were regarded as a criminal, a social evil, in a special situation of nation building after liberalization. they also were treated as a group disturbing nation building in a time of establishing a united nation of people. Therefore, they did not offer a social opportunity to protection. At this era, even though state had a social conscience of drug problem from the liberalization through 1950s, she could not deal with the drug problem specifically and positively, because of the war and the struggle of ide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because of a historical matter like a nation reconstruction after war, because of a trouble building up the basic health problem. Therefore, emphasized to duty of human’s conscience and social moral principle problem that do not take narcotic. After this in 1961, Soldier’s a coup d’État government moved more actively by target of ‘Produce healthy people’ for the first time. And problem of narcotism was obstacle to inflect man power of the country by maximum in the side of an economic policy. Therefore, that was opposed to ‘Nation’ in country’s necessary. With the advent of Methadone crisis causing a social problem, park’ administration enforced the control of state about the drug abuse of common people in the name of a sound citizen. The narcotic control policy of park administration showed an increasing role of state about the production and usage of narcotic. It also showed a decreasing role of self regulation of society. Citizens gave state a right of use of drug. Instead a right to enjoy the high level public healthy and medical system state supplies was given to citizens. But narcotic addicts refused to give up using narcotic as a duty of a citizen. As a result of that, they could not get any protection of state. State made a social role and status of everyone, regardless of the controlled or the controller, about drug control, enlarging the power of drug control step by step. So to speak, state began to warn the narcotic addicts socially and ethically in a time of liberalization. In the end, after the war came to an end, she treated them as a social evil. On the one hand, in a institutional point of view, state made a narcotic act in 1957 to support span of state control. And began to enforce the control with the beginning of a law of punishment of a special crime established in 1961. After that time, state expanded the span of its control with the act of habitually used medicine management, made because of so called a Methadone crisis, with the act of Marijuana management, made because of a result of increase of hemp. In this process, a narcotic problem was made and treated after the style and necessity of state power.

      • KCI등재

        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후 스노보드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심으로

        조석연,김대훈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약 5년간 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후 스노보드와 관련된 국내 KCI 등재지에서 발행된 국내 선행문헌 21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특성, 참여형태, 연구분과, 연구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서는 남성 및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연령은 20∼50대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었다. 피험자 수의 경우 50명 미만의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참여형태에서는 등록선수와 스키장 이용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유소년 선수, 지도자, 심사위원 순으로 논문이 형성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에 대해서는 양적연구와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질적연구와 통합연구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연구분과로는 스포츠 사회학, 운동역학이 주를 이루었으며 스포츠 심리학, 운동생리학, 스포츠 측정평가, 스포츠 경영학, 체육사학 순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selected 21 domestic prior documents published in domestic KCI sites related to snowboarding after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about five years from 2018 to 2023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typ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divi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der, papers on only men or men and women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the ages were distributed in various ways from 20s to 50s.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subjects, papers with less than 50 subjec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Second, in the form of participation, registered player and ski resort us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papers were formed youth player, instructor, and judges in order. Third, Mostly, there are survey and experimental studies for the research methods, and qualitative and integrated studies were analyzed in order. Fourth, sports sociology and biomechanics were mainly used as research divisions, and sports psychology, physiology, sports measurement and evaluation, sports managment, and sports history were analyzed in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