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은 행동을 설명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 : 국내 학술지 대상 메타분석을 통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정교화를 위한 시론

        이진우,손영곤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계획된 행동이론 및 확장된 이론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을 위해 사용된 개념들을 검토해 보았다 . 또한 이들 개념이 추가됨에 따라 계획된 행동이론의 설명력 증가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이를 위해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21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 결과 , 계획된 행동이론의 설명력을 증가시기키 위해 사용된 추가 개념은 과거 행동 , 습관 , 과거 경험 , 도덕규범 , 집단 규범 , 기술 규범 , 지식 , 자기효능감 , 자기정 체성 , 실천의도 등이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 습관 , 과거 행동 , 도덕규범은 행동의도나 행동을 설명하는 변량을 증가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특히 이들 개념은 행동의 도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 하는 데 있어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널리 적용된 대표적인 이론가운데 하나인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하는 데 있어 검토할 수 있는 요인과 그 설명력을 살펴보았다는 데 가장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s used for the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o show the change of variance of additional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how much the addition of these concept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rough a meta-analysis on 217 studies published up to the end of 2016 in Korea.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re past behavior, habit, past experience, moral norm, group norm, descriptive norm, knowledge, self-efficacy, self-identity,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The habit, past behavior, and moral norm had a great effect to increase variance explaining the behavior intention or behavior. Also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concepts could be useful to exte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finding implies that additional variables are significant in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meta-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s in which curren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earch can be taken forward.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적용을 통한 해양스포츠 체험 활성화 탐색

        김성규(Sung-Ku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계획행동이론(TPB),‘사전지식’변수를 추가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의 상대적 유용성을 검증하고,‘사전지식’정도별 사람들의 계획행동이론의 구성변인들(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재방문의도)의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S시에서 진행된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 4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편향되거나, 불성실한 자료 35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5부의 설문지를 코딩하였다. 코딩한 자료는 SPSS 21.0 및 AMOS 21.0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였다.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개념신뢰도, AVE값,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계획행동이론(TPB)에서 세 개의 예측변인이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으로‘사전지식’을 추가하여 재방문의도를 네 개의 예측변인 중지각된 행동통제를 제외한 태도, 주관적 규범, 사전지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을 살펴보면 계획행동이론이 43.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51.8%(계획행동이론보다 8.3% 증가, p=.000)로 나타났다. 사전지식이 새로운 변인으로 추가될 때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전지식변수를 고, 저 집단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구성변수에 평균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usefulness of the TPB and Extended TPB with the addition of the “Battery” variable to participants in marine sports experiences.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theories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revisit intention) were compared. A total of 4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survey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the general public who participated in the marine sports experience in S city in 2019. Finally, 385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extract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The following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ept reliability, AVE value,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First, in the TPB, three predi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rior knowledge, except for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to explain the return intention was 51.8% (3.3% more than plan behavior theory, p = .000). It can be seen that when prior knowledge is added as a new variabl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intention to return. Third, prior knowledge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high and low group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theo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prior knowledge had a higher mean value for the constituent variables of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theory.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운동의도와 여가시간 신체활동 간의 관계에서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의 매개역할

        김보람(KimBoram),천승현(CheonSungHyeo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1

        이 연구는 여가시간 신체활동 의도와 운동행동 간의 관계에서의 틈(gap)을 극복하고 이 관계를 잇는 매개 변인들의 역할을 검증하고,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대한 의도와 운동행동 간의 관계에서 실천계획―1)극복계획과 2)실행계획―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여 강원도 내 위치한 세 곳의 대학에서 교양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253명(남학생=118; 여학생=10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의도, 극복계획 및 실행계획, 그리고 여가시간 신체활동 및 운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특히, 의도와 행동 간의 관계에서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활동 의도는 실행계획과 운동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실행계획은 의도에 비해 실제 운동행동을 더욱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개변인인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은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 의도가 실제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적으로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의 개념화와 모형검증은 의도-행동의 틈을 극복하고 실제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plan and action plan in the relation betwee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LTPA) intention and exercise behavior and to extend the literature in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implementation plan―namely coping plan and action plan in the effect of intention to physical activity on exercise behavior. To attain the goal of study, we asked collegiate students (n=253; male=118, female=105) report their intention toward LTPA, coping plan, action plan, and self-reported exercise behavio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 software (i.e., SPSS, AMOS) for SEM and mediation analy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tention toward LTPA was positively related to implementation plan (coping plan and action plan) and exercise behavior. Collegiate students’ intention toward LTPA positively predicted their exercise behavior mediated by implementation plans. Specifically, LTPA intention among collegiate students predicted their exercise behavior via coping plan and action plan. The findings showed that coping plan and action plan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LTPA intention and exercise behavior. In conclusion, students’ intention to be getting physical active i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explains lifetime physical activity or the level of recent exercise behavior possibly via coping plan (e.g., how to overcome barriers to exercise) and action plan (e.g., when and where I exercise and get physically active). The conceptualization of coping plan and action plan in implementation plans and test of its model better to explain the intention-behavior gap would help exercise instructors or practitioners effectively develop their plans and strategies toward targeted exercise behavior.

      • KCI등재

        여가 무용참여자의 계획행동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선숙,이성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Ajzen(1985)의 계획행동이론을 근거로 여가 무용참여자의 계획행동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 무용참여자의 경력에 따른 계획행동 차이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충남, 전북지역 주민 자치 센터 수강생, 스포츠센터/ 무용학원 수강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계획행동이론 척도 8개변인(충성도, 의도,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 정체감, 태도강도, 지식, 정보)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행동이론 척도 8개 변인은 태도강도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충성도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 척도의 신뢰도는 8개 모두 통계 적으로 적합한 나타냈다. 여가무용 참여자의 계획행동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의도, 태도, 태도강도에서 나타났다. 여가무용 참여자의 경력에 따른 계획행동 차이는 충성도, 의도, 자기 정체감, 지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effect of recreational dance participants' planned behavior on their loyalty and the differences in planned behavior of them, based on Ajzen's (1985) planned behavior theory. The subjects included 191 trainees from dance classes of community centers, sports centers and dance academies located in Seoul, Chungnam and Jeonbuk. Eight variables (loyalty, intention, subjective norms, self-identity, attitudes strength,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y scale, a measurement tool were us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average of attitude strength is lowest, while the average of loyalty is highest, among the eight variables. The reliability of the eight variables is statistically stable. The effect of recreational dance participants' planned behavior on their loyalty appears in intention, attitudes, attitudes streng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ed behavior by careers were verified in loyalty, intention, self-identity and knowledge.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행동계획의 영향 -관광행동의 예측을 중심으로-

        이형권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5

        Large discrepancies between people’s intention to travel and actual tourism behavior indicate that intention is not a sufficient instigator for tourism behavior. To explore this intention-behavior gap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prospective design: TPB variables and action planning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ctual tourism behavior was assessed 6 months later.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f action planning were demonstrated for tourism behavior, indicating that people with high level of action planning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translate their intentions into actual tourism behavior.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attitude(perceived behavioral control)-behavior relationships and fully mediated subjective norm-behavior relationship. Action planning moderated the mediation process(moderated mediation): The strength of the mediated effect increased along with levels of action planning. For intentions to mediate the attitude(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behavior relationships, people must hold sufficiently high levels of action planning. 사람들의 여행하려는 의도와 실제 여행행동 간의 차이는 의도가 여행행동을 촉발시키는 충분한 촉진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제시해주고 있다. 이러한 의도-행동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TPB변인들과 행동계획은 <Time 1>에 조사하고 실제여행행동은 6개월 후인 <Time 2>에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의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계획이 조절하는 조절효과가 발생하였다. 이는 높은 수준의 행동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은 의도를 행동으로 실천하는 경향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의도는 태도(인지된 행동통제)가 실제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였고 주관적 규범이 실제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매개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셋째, 행동계획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행동계획의 값이 클수록 매개효과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도가 태도(주관적 규범 및 인지된 행동통제)-실제관광행동의 관계를 매개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충분히 큰 행동계획의 값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관계

        장은진 ( Eun-jin Jang ),심영균 ( Young-kyun Sim ),이석준 ( Suk-ju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적용하여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각 장애인복지관에 등록된 청각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30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 2부를 제외하고 29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운동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운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는 운동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건강증진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주관적 규범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통제력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 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운동지속의도는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지속의도가 건강증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 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을 유발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lanning behavior, exercise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by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hearing-impaired persons registered in the welfare centers and sports facilities of the nat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sample of a total of 300 people was extracted. Among the 300 subjects, two data sets were dismissed due to inconsistencies hence a total of 298 data sets were used for analysis. Based on th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exercise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control) of the hearing impaired we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movement. Second, the planning behavioral variable of the hearing impaire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pecifically,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subjective norms)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management,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 and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perceived control) are health promotion.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 factors of behavio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ealth car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ird, the exercise intention of the hearing impair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pecifically, exercise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ealth car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ese results can be fou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nduce and enhanc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hearing impaired.

      • KCI등재

        아로마테라피 계획행동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현정,김용신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1 No.2

        본연구는 계획행동이론 요인으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계획행동이론으로 아로마테라피의 계획행동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아로마테라피 계획행동이행동의도 독립변수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아로마테라피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1의 “아로마테라피 계획행동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것이다” 의 검증 결과로 아로마테라피 계획행동 중에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주관적 규범이 클수록 참여의도역시 상승하는 것을 확인된 선행연구와 본 연구가 유사한 결과로 검증이 일치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아로마테라피 계획행동이 행동의도를 통해 아로마테라피의 시장점유율상승, 스트레스감소, 건강증진에 기여할것으로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omatherapy planned behavior on behavioral intention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s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behavioral intention of aromatherapy planned behavior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aromatherapy.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1, “Aromatherapy planned behavior will have an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previou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greater the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during aromatherapy planned behavior,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intention. The verification was consistent with similar results between this study and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omatherapy planned behavior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aromatherapy's market share,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health through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프로야구팬의 관람행동에 관한 연구

        배정섭 ( Jung Sup Bae ),원도연 ( Do Yeon Won ),조광민 ( Kwang Min Cho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된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동 통제력 외에 팀 동일시와 사전지식이포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설정하여 이를 프로야구팬들에 적용한 후 관람의도 및 관람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 프로야구팬들의 관람행동에 관한 본질적인 부분을 탐색하여 프로야구 구단들이 야구팬들을 증대 및 유지하기 위한 마케팅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연구대상은 2014년 4월 12일부터 4월 27일까지 프로야구경기를 관람한 400명의 야구팬으로 설정했다.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추출되었으며 총4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판단되는 19부의 설문을 제외한 381부를 유효 표본으로 활용했다. 선정된 설문지는 IBMSPSS 20.0과 AMOS 20.0을 통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인 중태도가 프로야구팬들의 관람의도에 정(+)의 영향을 준 반면 주관적 규범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프로야구팬들의 태도와 관람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행동이론의 추가구성요인인 사전지식은 프로야구팬들의 태도와 관람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계획행동이론의 추가구성요인인 팀 동일시는 프로야구팬들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프로야구팬들의 관람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야구팬들의 관람의도는 관람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계획행동이론의 추가구성요인인 사전지식과 관람의도 사이에서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인인태도는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전지식과 팀 동일시가 포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프로야구팬들에 적용 가능성을 알린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고, 이중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력, 사전지식 및 팀 동일시로 형성된 관람의 도를 이끌어내야 직접적인 관람행동에 이를 수 있음이 밝혀졌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baseball fans’ spectator-related behaviors in the context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the research,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pectators who visited baseball stadiums and 381 fill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urthe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well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measure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s has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Third, perceived behaviour control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Forth, perceived behaviour control has 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Fifth, prior knowledge has in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Sixth, prior knowledge has in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Seventh, team identification has not in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Eighth, team identification has in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Ninth,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Tenth, attitud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knowledge and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extended theory of planed behavior that included the prior knowledge and team identification could be applied to the professional baseball fans and the effective spectatorship behavior could be derived only when the spectatorship intention is made up of dual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prior knowledge and the team identifi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 영향요인 비교 연구: 목표설정(goal setting), 계획(planning), 자기과신(overconfidence)을 중심으로

        조혜진(Cho, Hyejin),장연주(Jang, Younju)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을 변화시키는 관련 변인을 재무적 요인 바깥에서 탐색하고 금융이 해력과 재무관리행동 영향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목표설정이론을 바탕으로 목표설정(goal setting), 계획(planning)이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관계를 밝히고, 심리적 변인 중 자기과신(overconfidence)을 투입하여 대학생의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원에서 2010년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금융이해력 측정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일원분산분석 및 t-test, 위계적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금융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재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금융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금융과목 수강 수, 학년, 목표의 명확성, 계획이었다. 여자에 비해 남자가, 금융수강 과목수가 많을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목표가 낮은 집단 보다는 중간 이상의 목표가 있는 경우, 계획성이 높을수록 금융이해력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재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부모학력, 자기과신, 목표의 명확성, 계획이었다. 여자에 비해 남자가, 부모의 학력이 낮을 수록, 자기과신성향이 높을수록, 계획성이 높은 경우 바람직한 재무관리행동을 많이 하고 있었다. 둘째, 금융교육 특성은 금융이해력에는 정의 영향력이 있었으나, 재무관리행동에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셋째, 목표설정의 명확성은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방향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계획은 금융이해력과 재무관리행동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대학생의 금융이해력과 금융 행동을 설명하는 데에 자기과신, 목표 및 계획 등의 태도 및 심리적인 변수가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자기과신성향은 목표의 명확성에 영향을 미치고, 목표의 명확성은 계획에 영향을 미치며, 계획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금융이해력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재무관리행동을 유인하고자 하는 금융교육정책 마련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change with a focus on non-financial factors; 2. to compar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change; 3.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 of goal-setting, planning, overconfidence,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To accomplish thes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0 Korean National Financial Literacy Test Survey for Undergraduate Students(N=1,466) and one-way ANOVA, independent samples t-tes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related to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Financial literacy is affected by gender, the number of completing financial course, grade, goal clarity and planning. On the other hand factors influencing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re gender, parental educational level, overconfidence, goal clarity and planning.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ncial education positively affect financial literacy but don’t affect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Third, goal clarity significantly influences both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Goal clarity affects positively financial literacy but negativel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Fourth, Plan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Fifth, this study showed that attitudi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goal setting, planning and overconfidence are appropriate to describe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Sixth, overconfidence affects goal clarity, goal clarity influences planning and plan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on financial education policy making to improve financial literacy and lead to desirabl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대학생소비자의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분석 : 계획행동모델과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의 비교

        김영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소비자의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계획행동모델과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이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또한 구매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성별이 모델의 구성요소와 어떻게 작용을 하는 가이다. 이를 위해 모델의 구성요소가 성별과 구매의도 사이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과 모델의 구성요소가 구매의도를 예측하는데 성별의 차이가 있다는 조절변수로서의 성별의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소재 대학생 615명으로 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매의도를 예측하는데 계획행동모델보다 윤리적 특성인 윤리적 책임과 윤리적 자아정체감을 포함시킴으로써 그 설명력이 50.8%에서 61.8%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를 제외한 변수들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윤리적 특성을 포함시키는데 있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만을 고려하는 모델이 구매의도 및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모델보다 설명력의 증가, 두 모델의 간결도 적합지수(AIC, PGFI)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의 구성요소가 성별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조사한 결과, 성별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소비자 태도와 윤리적 책임, 윤리적 정체감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공정무역제품 구매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윤리적 책임과 윤리적 자아정체감을 더 강하게 느끼며, 더 강한 구매의도를 가지고 있어서 성별이 구성요소를 통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의 구성요소가 구매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성별이 조절변수로 작용을 하는 가이다. 연구결과 성별은 대학생 소비자의 공정무역제품 구매의도를 설명하는 수정된 계획행동모델에서 조절효과를 미치고 못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to influence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n fair trade(FT) products through the Modif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MTPB) The data were obtained from 615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follow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Modif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creased the explained variance in purchase intention from 50.8% to 61.8%. Effects on university student' intentions to purchase FT products via the Modif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with gender as the most distal variable indicated that gender had direct effect on intentions, and its effect on intentions was meditated through attitude, ethical obligation and ethical identity. Compared to male group, female groups reported more favorable consumer attitude, higher ethical obligation and ethical identity, and stronger purchase intention. Moderating analysis showed that gender did not moder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del constructs and purchase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consumer educators seeking to encourage university student' intentions to purchase FT products should consider gender differences and more emphasis should be on male. For educational interventions, more scientific results clarifying whether FT consumption can really effectively and consistently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roducers in Third World countries might be useful. And in addition to educational and informational efforts on the benefits of the FT products, policy makers should also consider structural changes to ensure that FT product choice is also an easy choice to m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