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하온도에서 결합재의 경화시간 및 폴리머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시간

        승인배 ( In-bae Seung ),최윤상 ( Yoon-sang Choi ),민승호 ( Seung-ho Min ),연규석 ( Kyu-seok Yeon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에는 에폭시(epoxy), 불포화 폴리에스터(unsaturated polyester, UP), 비닐에스터(vinylester), MMA(methyl methacrylate) 수지 등과 같이 다양한 결합재가 사용된다. 폴리머 콘크리트는 양생 온도에 따라 결합재의 종류에 따라 결합재의 경화시간 및 폴리머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시간이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하온도에서 UP, UP-MMA, MMA-PMMA(polymethyl methacrylate), 에폭시, 비닐에스터 등의 결합재에 대한 경화시간과 이들 결합재로 제조된 폴리머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시간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폴리머 콘크리트의 경화를 위해 필요한 개시제와 촉진제 등의 첨가량을 달리하고, 양생온도는 0, -10, -20 ℃로 설정하여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결합재의 경화시간은 0, -10, -20 ℃ 온도에서 UP-MMA, MMA-PMMA 가 10분 이내의 경화반응을 보였다. UP의 경우 0, -10 ℃에서 10분 이내에 경화반응을 보였지만, -20 ℃에서는 20분에 경화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10, -20℃에서 재료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나빠지는 특징을 보였다. 비닐에스터는 0 ℃에서 30분 이내, -10 ℃에서 60분 이내에 경화반응이 나타났다. -20 ℃에서는 24시간 이내에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에폭시의 경화시간은 0 ℃에서 18시간 이후 경화반응을 보였으나, -10, -20 ℃에서는 비닐에스터와 같이 24시간 이내에 반응을 일으키지 않았다. 폴리머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시간은 0, -10, -20 ℃ 온도에서 UP-MMA, MMA-PMMA를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가 30분이내였다. UP를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는 0, -10 ℃에서 20분 이내로 UP-MMA, MMA-PMMA를 사용한 경우보다 짧았으나, -20 ℃에서는 40분 이내의 사용가능시간을 보여 길게 나타났다. 그러나 -10, -20 ℃에서 결합재의 점도 증가로 작업성이 나빠져 영하온도에서 현장 적용 시 UP-MMA, MMA-PMMA 폴리머 콘크리트에 비해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닐에스터 폴리머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시간은 0 ℃에서 40분 정도, -10 ℃에서 120분 정도였으나, -20 ℃에서는 24시간 정도로 길게 나타났다. 에폭시 폴리머 콘크리트의 사용가능시간은 0, -10, -20 ℃ 등 영하온도의 경우 24시간 이상으로 매우 길게 나타나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슬립폼 시스템 상승속도 결정에 요구되는 콘크리트에서의 초기경화시간 결정을 위한 연구

        김희석(Kim Heeseok),김영진(Kim Young-Jin),진원종(Chin Won-Jong)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1 No.4A

        초장대교 콘크리트 고주탑 시공시에 사용되고 있는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속도를 결정하는 요소인 초기정화시간은 콘크리트가 거푸집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굳기를 갖게 되는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사간으로서, 배합 시 단위시멘트량 및 타설시 여러 현장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초기경화시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슬립폼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및 콘크리트면의 유지관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초기경화시간 결정을 위한 콘크리트 경화정도를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더구나 슬립폼 공법은 연속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거푸집 탈형 전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초음파를 이용한 기법은 콘크리트면에 초음파를 투과시켜 투과된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방법으로 정량적이며 연속적으로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는 기법은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표면파 속도의 변화를 통해 콘크리트 경화정도를 알 수 있으며, 주탑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추정함으로서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속도를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슬립폼 시스템 상승속도와 초기경화시간과의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표면파 진행문제의 수치해석 결과를 연속웨이블릿변환 하여 표면파 속도를 추정하였다. 이때 탄성파 발생위치와 두 개의 수신점 거리에 따른 추정된 표면파 속도의 정밀도를 조사하였으며, 추정된 표면파 속도와 탄성계수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The setting time which is the important element for the determination of slip-up speed of Slip-Form system is the hardening time of early-age concrete when the in place concrete has minimum compressive strength before the concrete appears out of Slip-Form system. But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the setting time because it depends on not only the composition ratio of concrete but also various conditions of construction fields. Thus, the technique to estimate accurately and continuously the hardening time of early-age in place concrete during operating Slip-Form system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safely of Slip-Form system and the maintenance of the shape of concrete. Ultrasonic wave-based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have the advantages which are accurate and continuous in estimat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such methods, the method using surface wave which propagates along the surface of material is effective for thick member such as a pylon. Thus, in this paper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lip-up speed for Slip-Form system using surface wave velocity is performed. The relation between the slip-up speed of Slip-Form system and the setting time is formulated, and the surface wave velocity is estimated from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of the numerical results for surface wave propagation. Finally, the accuracy of this metho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wave source and receiver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estimated surface wave velocity and the elastic modulus are investigated.

      • KCI등재

        치근단 역충전용 포틀랜드 시멘트 신복합재료의 물리적 성질 고찰

        이상진,조옥인,염지완,박정길,허복,김현철,Lee, Sang-Jin,Cho, Ok-In,Yum, Ji-Wan,Park, Jeong-Kil,Hur, Bock,Kim, Hyeon-Cheol 대한치과보존학회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6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근단 역충전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MTA, MTA와 AH-plus 혼합물 (AMTA), 그리고 실험적 개발재료인 Portland cement-Epoxy resin composite (EPPC)의 미세 누출 및 물리적인 성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 치아 49개를 근관 성형하고 gutta-percha와 sealer로 충전하였다. 각 치아의 치근을 근단부 3 mm에서 절단하고 3 mm 깊이의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다. 15개씩 무작위로 분류한 치근을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MTA, AMTA, EPPC로 충전하였고 네 개의 치근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군의 재료로 역충전이 완료된 모든 실험군을 젖은거즈로 덮고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 후 72시간 동안 1% methylene blue 염색액에 담근 후, 치근단을 수직 절단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미세 누출을 평가하였다. Vicat apparatus를 사용하여 실험군 별로 경화시간을 측정하였으며, aluminum step wedge를 사용한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각 군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과 경화시간에 대해 각 군간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 검증으로 유의수준 95%에서 평가하였다. 결과: AMTA와 EPPC는 MTA군에 비해 적은 미세누출량을 보였다 (p < 0.05). AMTA는 가장 높은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으며 개발 재료인 EPPC군은 5 mm aluminum 두께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다. MTA가 가장 긴 경화시간을 나타낸반면 EPPC군은 다른 군에 비해 초기경화와 최종경화 모두 가장 짧은 경화시간을 나타냈다 (p < 0.05). 결론: 이 연구 조건하에서, 신개발 재료인 EPPC는 치근단 역충전 재료로서 기존의 MTA보다 양호한 밀폐능력과 방사선 불투과성 및 짧은 경화시간 등의 역충전 재료로서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pical sealing 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MTA, MTA - AH-plus mixture (AMTA) and experimental Portland cement - Epoxy resin mixture (EPPC) for a development of a novel retro-filling material. Materials and Methods: Forty-nine extracted roots were instrumented and filled with gutta-percha. Apical root was resected at 3 mm and the retro-filling cavity was prepared for 3 mm depth. Roo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of 15 roots each. The retro-filling was done using MTA, AMTA, and EPPC as the groups divided. Four roots were used as control groups. After setting in humid condition for 24 hours, the roots were immersed in 1% methylene blue dye solution for 72 hours to test the apical leakage. After immersion, the roots were vertically sectioned and photos were taken to evaluate microleakage. Setting times were measured with Vicat apparatus and digital radiographs were taken to evaluate aluminum equivalent thickness using aluminum step wedge. The results of microleakage and setting time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using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comparison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95%. Results: AMTA and EPPC showed less microleakage than MTA group (p < 0.05). AMTA showed the highest radio-opacity than other groups and the novel EPPC showed 5 mm aluminum thickness radio-opacity. EPPC showed the shortest initial and final setting times than other groups while the MTA showed the longest (p < 0.05). Conclusions: Under the condition of this study, the novel composite using Portland cement-Epoxy resin mixture may useful for retro-filling with the properties of favorable leakage resistance, radio-opacity and short setting time.

      • KCI등재

        Comparison of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Solubility, and pH of Four Kinds of MTA

        차경령,김재환,김선미,최남기,문현주,황문진,송호준,박영준 대한치과재료학회 2016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43 No.1

        ProRoot MTA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의 다양한 변형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MTA 제품들의 경화시간, 압축강도, 용해도 및 pH 특성을 ProRoot MTA의 물성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roRoot MTA (Dentsply, USA)를 포함하여 Ortho MTA (BioMTA, Korea), Retro MTA (BioMTA, Korea), 그리고 Endocem MTA (Maruchi, Korea), 이렇게 총 4종의 상용 MTA제품에 대해 평가하였다. 경화시간과 압축강도는 ISO 9917 방법에 따라, 용해도는 ISO 6876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pH는 고체시편 전용전극이 연결된 수소이온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Endocem MTA과 Retro MTA의 경화시간은 다른 두 제품들의 경화시간 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5). Retro MTA와 ProRoot MTA의 압축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05), 이들은 다른 두 제품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다(p<0.05). Endocem MTA는 모든 측정시간 대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7일째에 유의한 강도증가를 보였다(p<0.05). Ortho MTA의 용해도 (2.393±0.685%)는 실험제품 중 가장 높았으나, 실험제품 모두 ISO표준의 용해도 허용기준인 3%보다 낮아 적합하였다. 실험제품 모두 강알칼리성의 pH값(10~13)을 보였으며, 경화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알칼리성은 감소하였다. Endocem MTA는 혼합 후 10분, 3시간, 6시간 측정 값 모두 실험군 중 가장 낮은 pH값을 보였다 (p<0.05). Retro MTA와 Endocem MTA는 경화시간이 짧아 향상된 물성을 보였고, 알칼리성이 높고 용해도가 낮아서 압축강도가 크게 요구되지 않는 임상케이스에서 단일방문 시술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유전기법을 이용한 접착 조인트의 실시간 경화 모니터링

        권재욱 ( Kwon Jae Ug ),진우석 ( Jin U Seog ),이대길 ( Lee Dae Gil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 Composites research Vol.16 No.4

        접착 조인트의 안전성은 사용되는 열경화성 접착제의 경화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접착 조인트의 경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면 조인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인트의 경화 중 접착제의 소산계수를 측정하여 이를 접착제의 경화도로 환산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접착제의 소산계수와 경화도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온도와 경화도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는 소산계수로부터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였다. 연구결과 접착제의 소산계수는 그 경화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Since the reliability of adhesively bonded joints is much dependent on the curing status of thermosetting adhesive, the on-line cure monitoring during the cure of adhesively joint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adhesively bonded joints. In this work, the dielectric method which measures the dissipation factor of the adhesive during the cure of joints and converts it into the degree of cure of the adhesive was devised. The relation between the dissipation factor and the degree of cure of adhesive was investigated, which could eliminate the temperature effect on the dissipation factor that is a strong function of the degree of cure and temperature of adhesive. From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dissipation factor showed a trend similar to the cure rate of the adhesive.

      • KCI등재

        표면파 속도를 이용한 슬립폼 시스템 상승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

        김희석,김영진,진원종,윤혜진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5D

        슬립폼 공법에 있어서 초기경화시간은 콘크리트가 거푸집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굳기를 갖게 되는 콘크리트 타설 수 경화시간으로써 슬립폼 시스템이 상승속도를 경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슬립폼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와 콘크리트의 시공품질을 화고하도록 초기경하시간을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기법 붕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파악하여 초기경화시간을 추정함으로써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 시기를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입저항시험과 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여 콘크리트의 초기경하시간과 압축강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또한 압축강도와 표면파 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초음파시험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표면파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연속웨이블릿변환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수치해석을 통해 연속웨이블릿변환의 사용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로부터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에 요구되는 표면파 전파속도를 제안하였으며, 슬립폼 시스템의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표면파 속도가 슬립폼 상승기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early setting time of concrete i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slip up velocity of the slip-form system. Accordingly, need is for a technique evaluation the early setting tim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lip-form system and the construction quality of concrete. This paper intends to estimate the early setting time by evaluation the setting degree of concrete using surface wave velocity so as to determine the slip up time of the slip-form system. Penetration resistance test and com pressive strength test are performed firs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setting time of concrete and the com pressive strength. Then, compressive strength test and ultrasonic wave test a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surface wave velocity.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is adopted to measure the surface wave velocity. Nume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application of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pagation velocity of the surface wave required for the slip up of slip-form system is suggested. Finally, a reduced model. test of the slip-form system is conduc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urface wave velocity for the determination of th slip up velocity.

      • KCI등재

        OrthoMTA, ProRoot MTA 그리고 Portland cement의 경화 팽창과 경화 시간 비교

        강지예,김종수,유승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3

        ProRoot MTA(Dentsply Tulsa, U.S.A) which has similar component with Portland cement has setting expansion character and long setting time. Excessive expansion can cause fracture at the apical portion of the root and decreasing of volume stability. And the long setting time makes additional visits for crown restoration and slow setting process of this material can change physical properties itself. In this study, among requirements of root canal filling material(KS P ISO 6876) which is revised at 2008, we investigated the setting time and setting expansion. Objects are recently developed OrthoMTA(BioMTA, Korea), conventional ProRoot white MTA(Dentsply Tulsa, U.S.A) and White portland cement(Union, Korea). The results in setting expansion, OrthoMTA was 0.08±0.02%, ProRoot white MTA and White portland cement were each 0.28±0.06%, 0.80±0.25%(p<0.05). The results in setting time, OrthoMTA, ProRoot white MTA, White portland cement were each 307.78±3.83 min, 150.44±2.35 min, 235.33±9.07 min(p<0.05). 현재 시판되고 있는 ProRoot white MTA(Dentsply Tulsa, U.S.A)는 portland cement와 비슷한 성분으로 수분의 첨가 로 인하여 경화 팽창하는 성질이 있고, 긴 경화 시간을 갖는다.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OrthoMTA(BioMTA, Korea), 기존 의 ProRoot white MTA(Dentsply Tulsa, U.S.A) 그리고 White portland cement(Union, Korea)를 대상으로 2008년 에 개정된 치근관 충전재(KS P ISO 6876)의 요구 사항 중에서 경화 팽창과 경화 시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OrthoMTA의 경화 팽창률은 0.08±0.02%이었고, ProRoot white MTA, White portland cement는 각각 0.28±0.06%, 0.80±0.25%였다(p<0.05). 경화 시간은 각각 307.78±3.83분, 150.44±2.35분, 235.33±9.07분으로, ProRoot white MTA가 가장 짧았고, OrthoMTA가 가장 길었다(p<0.05).

      • KCI등재

        측정 방식에 따른 근관 충전용 실러와 치근단 수복 재료의 경화시간 비교

        심규연,신성진,오승한,배지명 대한치과재료학회 2023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는 치과용 근관 충전용 실러와 치근단 수복에 사용되는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에 대해 측정방법에 따른경화시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근관 충전용 실러5종과 치근단 수복용 칼슘 실리케이트시멘트 4종이었다. 경화되는 동안 모든 재료는 각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혼합하여 37 ℃, 상대습도 95% 통에서 보관하였다. 측정 방법은 1/4 파운드 길모어 니들(Indenter A)과 1파운드 길모어 니들(Indenter B)을 이용해서 압흔이 남지 않는시간과 시편 두께인 2 mm를 관통하지 않는 시간, 2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압흔의 여부는 길모어 니들을 수직으로놓았을 때, 육안으로 재료 표면에 자국이 남지 않는 때를 기준으로 하였다. 같은 종류의 길모어 니들을 사용하여압흔이 남지 않는 시간과 시편 전체를 관통하지 않는 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ProRoot MTA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있었고(P<0.05) 다른 재료들에서는 측정 방법 간의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실험을 통해 압흔방법을 통해비교적 실제 임상상황과 유사한 경화시간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setting times based on the methods for dental root canal sealers and calcium silicate cement used in root-end filling. Five kinds of dental root canal sealers and four kinds of calcium silicate cement for root-end filling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s. All materials were mix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nd stored at 37 ℃ with a relative humidity of 95%. Setting time was measured using a 1/4 pound Gillmore needle and a 1 pound Gillmore needle to determine the time until indentation was no longer visible or the time until 2 mm penetration was no longer possible. The determination of indentation was based on the absence of visible impressions on the material surface when Gillmore needle was placed vertically. When comparing indentation time and penetration time using same type of Gillmore needle, only ProRoot MTA using 1 pound Gillmore need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suring methods (P<0.05) while there are no differences in measuring methods in other materials (P>0.05). By this study, we could expect to measure a setting time relatively similar to real clinical conditions through indentation method.

      • 저온상태에서 폴리머 모르타르의 강도발현 특성

        연규석 ( Kyuseok Yeon ),현상훈 ( Sanghoon Hyun ),손승완 ( Seungwan Son ),차진윤 ( Jinyun Cha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폴리머 모르타르는 내동결융해 및 내부식성 등 내구성이 우수하며, 압축ㆍ휨ㆍ인장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저항력이 강하고 경화시간이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의 구조재로서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포화 폴리에스터를 MMA로 개질한 폴리머 모르타르의 저온에서의 경화 및 강도 발현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합재와 모르타르의 시험온도는 20, 5, 0, -5, -10, -20℃로 촉진제에 따른 수지와 모르타르의 가사시간을 구명하였고, 그에 관한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여 온도별 촉진제에 따른 가사시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양생온도에 따른 각각의 강도 시험은 모르타르의 가사시간 측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개시제 1.5%, 촉진제 2%를 사용하였으며, 추가 변수로 상온(20℃)과 저온(5, 0, -5, -10, -20 ℃)에서 보관한 재료를 사용하요시간별(3, 6, 12, 24, 48, 72, 120, 168 시간) 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온(20 ℃)에 보관된 재료로 제작한 시험체에 비해 저온(0, -10, -20 ℃)보관된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20 - 25 %, 휨강도는 5 - 15 %, 인장강도는 6 - 13 %의 강도 저하가 나타났다. 또한 온도에 관계없이 모든 시험체의 강도값은 24 시간 내에 7일(168시간)강도의 70 %이상 발현하였다. 그러나 저온에서 양생된 시험체는 상온에 비해 압축강도는 30 %, 인장강도는 50 %, 휨강도는 30 %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 KCI등재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xperimental mixture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and glass ionomer cement

        Jeong, Yu-Na,Yang, So-Young,Park, Bum-Jun,Park, Yeong-Joon,Hwang, Yun-Chan,Hwang, In-Nam,Oh, Won-Mann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5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solubility, and pH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mixed with glass ionomer cement (GIC) and to compare these properties with those of MTA, GIC, IRM, and SuperEBA. Materials and Methods: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and solubility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SO 9917 or 6876 method. The pH of the test materials was determined using a pH meter with specified electrode for solid specimen. Results: The setting time of MTA mixed with GIC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MTA. Compressive strength of MTA mixed with GI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materials at all time points for 7 days. Solubility of 1 : 1 and 2 : 1 specimen from MTA mixed with GI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materials. Solubility of 1 : 2 specimen was similar to that of MTA. The pH of MTA mixed with GIC was 2-4 immediately after mixing and increased to 5-7 after 1 day. Conclusions: The setting time of MTA mixed with GIC was improved compared with MTA. However, other propertie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and pH proved to be inferior to those of MTA. To be clinically feasible,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find the proper mixing ratio in order to improve the drawbacks of MTA without impairing the pre-existing advantages and to assess the biocompatibilit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glass ionomer cement (GIC)와 혼합한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의 경화 시간, 압축 강도, 용해도, pH를 평가하고 이것을 MTA, GIC, IRM, SuperEBA와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경화 시간과 압축 강도는 ISO 9917, 그리고 용해도는 ISO 6876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pH는 고체시편 전용 전극이 연결된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GIC와 혼합한 MTA의 경화시간은 MTA보다 유의하게 짧았으며 압축 강도는 7일간 모든 시점에서 다른 재료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GIC와 혼합한 MTA 중에서 1 : 1과 2 : 1 시편의 용해도는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GIC와 혼합한 MTA의 pH는 혼합직후 2-4의 범위에서 1일 후 5-7 사이로 증가하였다. 결론: GIC와 혼합한 MTA의 경화시간은 MTA에 비해 개선되었으나 압축강도 및 pH와 같은 다른 성질들은 MTA에 비해 오히려 열등한 것으로 밝혀졌다. 임상적 사용이 가능하려면, MTA의 기존 장점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혼합비를 찾아내고 생체친화성을 평가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