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경관 미적 개선 및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경관색채계획 연구 동대문구 도시경관 색채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경관색채를 통한 문화정체성 확립 방안 결여, 도시경관디자인과 경관색채의 연계성 결여 및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실제적 방법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도시의 정체성 결여, 도시경관 부조화 및 획일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적개선과 도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실제적인 수단으로서 바람직한 도시경관 색채의 디자인방향 및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지역적 범위는 서울시 동대문구 자치 권역이며, 이에 해당되는 도시경관 색채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선행 조사로서 상위계획 및 경관색채 관련 사례분석, 도시디자인 및 경관색채에 관한 지역주민 의식조사, 도시 경관 특성 및 색채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초 조사 및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경관색채의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실행계획으로서의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동대문구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되어 동대문구 내에서 뿐만 아니라 서울시 전체 도시경관과의 조화를 이루고, 지역 주민의 의식을 반영하여 실제 지역에서 생활하는 지역민이 원하는 도시경관이 조성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동대문구의 자연자원 및 문화자원을 보존 및 활용하고 조화를 이루는 색채계획 방안을 제시하여 동대문구의 도시경관이 미적으로 개선되고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수 있게 한다. Importance of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in urban landscape. However, such problems as lack of a city`s distinctive identity, mismatch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creasing homogeneity have emerged as results of failure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of a city through landscape color, lack of integrity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ractical methodologies for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actical guidelines for accomplishing desired urban landscape design as means to the ends of enhancing cities` aesthetic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their distinctive identities.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study is Dongdaemun district in Seoul. As a preliminary study with an aim to propose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landscape color-related case analysis, residential attitude survey on urban design and urban landscape color, and urba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olor status. Recommendation for the design direction and corresponding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are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n Dongdaemun is suggested to analyze the data about the relation with the urban landscape, to make a plan based on the result so that the urban landscape not only within Dongdaemun district but also in Seoul city is harmonized, and to create the urban landscape which the residents want. Also, the urban landscape is improved aesthetically and establish its own identity by suggesting color planning which preserves, utilizes, and harmonize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Dongdaemun.

      • KCI등재

        도시경관 미적 개선 및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경관색채계획 연구

        김미영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Importance of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in urban landscape. However, such problems as lack of a city’s distinctive identity, mismatch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creasing homogeneity have emerged as results of failure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of a city through landscape color, lack of integrity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ractical methodologies for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actical guidelines for accomplishing desired urban landscape design as means to the ends of enhancing cities’ aesthetic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their distinctive identities.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study is Dongdaemun district in Seoul. As a preliminary study with an aim to propose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landscape color-related case analysis, residential attitude survey on urban design and urban landscape color, and urba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olor status. Recommendation for the design direction and corresponding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are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n Dongdaemun is suggested to analyze the data about the relation with the urban landscape, to make a plan based on the result so that the urban landscape not only within Dongdaemun district but also in Seoul city is harmonized, and to create the urban landscape which the residents want. Also, the urban landscape is improved aesthetically and establish its own identity by suggesting color planning which preserves, utilizes, and harmonize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Dongdaemun.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경관색채를 통한 문화정체성 확립 방안 결여, 도시경관디자인과 경관색채의 연계성 결여 및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실제적 방법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도시의 정체성 결여, 도시경관 부조화 및 획일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적개선과 도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실제적인 수단으로서 바람직한 도시경관 색채의 디자인방향 및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지역적 범위는 서울시 동대문구 자치 권역이며, 이에 해당되는 도시경관 색채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선행 조사로서 상위계획 및 경관색채 관련 사례분석, 도시디자인 및 경관색채에 관한 지역주민 의식조사, 도시 경관 특성 및 색채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초 조사 및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경관색채의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실행계획으로서의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동대문구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되어 동대문구 내에서 뿐만 아니라 서울시 전체 도시경관과의 조화를 이루고, 지역 주민의 의식을 반영하여 실제 지역에서 생활하는 지역민이 원하는 도시경관이 조성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동대문구의 자연자원 및 문화자원을 보존 및 활용하고 조화를 이루는 색채계획 방안을 제시하여 동대문구의 도시경관이 미적으로 개선되고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수 있게 한다.

      • 지역경관 개선을 위한 색채계획 : 거제시 지역의 특성별 색채유도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희(Kim Yunhee) 한국옥외광고학회 2006 OOH광고학연구 Vol.3 No.2

        지역경관의 시각적 이미지는 건축물들의 성격, 환경, 규모, 재료, 위치, 색채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되며, 그 지역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색채는 국제적으로 아름다운 도시인 거제시의 가치와 이미지를 말해주는 하나의 척도로서 경관색채 또한 실천되어야 한다. 지역경관 색채 계획은 자연적인 경관에 가장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색채 계획 및 색채조절을 통해서만이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색채에 대한 과학적인 인식과 예술적 원리 및 표현방법에 의해서만이 아름답고 조화로운 지역경관을 만들 수 있다. 지역의 자연경관과 건축물들의 색채조절은 그 지역의 이미지 개선에 효과적인 색채계획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제지역의 경관 색채 발전에 모델을 찾을 수 있었다. 쾌적하고 개성 있는 지역경관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 경관행정의 인식과 전문가들의 연구, 실천만이 거제를 국제적, 문화적 아름다운 도시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As for the color that a visual image considers character of buildings, environment, a scale, materials, a position, a color and must decide it generally, and can keep a characteristic of the area alive of a local scene, a scene color must be practiced as a standard of one expressing value and an image of Geoie Si of a city beautiful globally. A local scene colorimeter image harmonizes with a natural scene, and only through the colorimeter image which scientific, is systematic and color control can form harmony and I express scientific recognition for a color and a principle of art and can make the area scene which only by is beautiful, and is harmony. The colorimeter image which was effective for the local image improvement shared the local natural scene and the color control of buildings and was able to ask scene color development of Geoje Si a model in a base in such findings.

      • KCI등재

        심상지도 접근법을 통한 경관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정상미 ( Sang Mi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2007년 경관법 제정을 시작으로, 기본 경관 계획 및 가이드라인 수립을 통해 도시디자인이 적극적으로 행정에 반영되고 정책화되고 있다. 그에 따른 도시경관 개선을 위해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색채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 중이다. 본 연구는 성남시에 사는 시민들이 인지하는 도시이미지를 경관 색채요소로 파악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경관 색채 계획에 있어 다양한 색채 접근 방법들을 조사 정리하고 일반적인 색채 접근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일반적인 색채접근 방법이 아닌 심상지도 접근법으로 색채 인지요소를 해석하여 색채계획에 반영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성남시 경관 색채 계획을 중심으로 시민 설문조사 시 심상 접근법을 활용하여 인지방식에 따른 색채 유형을 분류화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남시의 이미지를 구성하는데 있어 경관 전체 중 특정 공간(랜드마크)를 상징화한 대상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지되었다. 둘째, 경험으로 익숙하거나 많이 이용되는 공간, 장소, 사물 등으로 생활에 밀접하고 직접 사용하는 주체가 되는 사람(시민들)이 요소들로 지속적으로 인지된다. 셋째, 성남시 경관 이미지에서 색채 인지요소를 구체적 인공요소, 상징적 원형, 위치적 정보요소, 경관의 자연요소와 도시이미지로 분류되며 점, 선, 면, 무형으로 유형화하여 인지한다. 본 연구결과 지역의 환경색은 지역성, 장소성을 형성·인지하는 인간(거주지역 시민)을 중심으로 되어야만이 도시 생활을 하는데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 경관색채를 형성하는것이다. 그래서 색채계획에 있어서 색채조사 방법론을 심상지도 접근법을 활용하는 사례는 시민들이 인지하는 도시의 색채요소 확인을 통해 의미있는 해석이 가능하며 색채해석의 근거마련에 도움을 기대한다. The legislation of Scenic Conservation Act by start in 2007, is Urban design to be applied administration to shape up policy actively through establishing basic Landscape plan and Guidline. many local governments are developing color plan and Guidline that improve city Landscape. This study understand landscape color element recognized of the Urban lived citizens in Seongnam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metal map approach by explaining recognized color elements rather than general color approach after getting limits and problems of general color approach by investigating various color approaches in the Landscape color plans of local governments. Seongnam city Landscape Color plan is based on the citizen survey and classified into groups of recognized color types by using metal map approa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most important recognized elements in composing seongnam city image are to symbolized target image of special space(Landmak) in whole Landscape in seongnam. second, the images of experienced and frequently used spaces, places, things, objects and etc which are close to lives and steadily are recognized key element to the citizens. third, seongnam city Landscape images which are classified into color cognition elements, detailed hardscape, symbolic things from the original form, location information, natural environments of Landscape and city image recognized as dot, line, face called intangible and switched into tangibles are recogn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ake form of environmental Colors in local regional Character which get the Placeless by formation and cognition, has to be central human(areas of human) city living pleasant, beautiful city Landscape color. therefore color plan is expected as color investigation methodology applied by mental map Case Study to help and support the ground which are confirmed from city`s color element of the citizens` seeing and construing.

      • KCI등재

        부산북항재개발사업에서 색채계획을 통한 경관조성방안

        권소현(So-Hyun Kwon),이중우(JoongWoo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6 No.8

        국내 최초로 대규모 항만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도 항만도시의 경쟁력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경관계획을 반영하고 있으며, 해양도시 이미지 개선 및 가치향상의 과정에서 고유의 자연, 역사, 문화적 자원과 함께 각종시설, 건축물, 상징물, 생태녹지대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경관조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의 경관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산시도시디자인계획(2010), 특히 색채계획과 해외의 경관색채계획의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 색채계획을 반영한 경관조성방안을 다루었으며, 그 결과는 향후 다른 재개발사업에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In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which is the first large scale port redevelopment project in this country, it adopted the national landscape plan for competitiveness of port city. Furthermore, it includes many efforts on landscape formation in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ocean city image and enhancement of its value, which fits for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nature, history, and culture resources, together with all facilities, structures, symbols, and eco green belt. First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landscape, Busan city design plan(2010), especially coloring plan, together with the case study of landscape color plan for foreign countries. From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was proposed a landscape enhancement strategy in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through the coloring pla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would be used for the basic data for other redevelopment project.

      • KCI등재

        전주시 아파트 외벽도장색채 분석 및 색채 선호도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홍성인,임수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Apartment housing is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type in Korea and plays a big role in urban landscape. the exterior color of apartment building should be recognized as a part of urban landscape while considered carefully due to its influence on local community. However, current color plans of apartment buildings make urban landscape out of order, and the public understandings and systems are also not arranged wel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 better direction for color plans of apartment buildings-to-be-made. As the spatial coverage has been set in city of Jeonju, the analysis on exterior color of buildings and surveys on color preference has been brought out. According to the result, basic directions for the color plan of apartment buildings are followed; First, locality should be highlighted. The guidelines for colors and materials are needed with long term plan for urban landscape. Second, visual presentation of a city is necessary, which could be achieved by colors of apartment outer walls. Third, it has to offer a local community liveliness. Color plans is good to add some emotional value to the unfriendly urban environment. Forth, Color plan has to make contrast expression of forms. minimal. Exaggerating volume of masses is not appropriate for the gigantic volume of apartment buildings Fifth, the plans essentially divide lower and upper parts of buildings. Finally, each district in a city has to be driven to have its own characteristic colors by developing original color palette reflected the locality 아파트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주거형태이며 지역의 도시 경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아파트의 외벽 색채는 도시 경관의 하나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아울러 지역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감안하여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아파트들은 획일적으로 색채 계획이 이루어져 도시 미관을 저해하고 있고, 이에 관한 의식 및 제도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아파트 외벽 색채 계획의 개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공간적 범위는 전주시로 한정했고 아파트 외벽 색채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하고 시민들의 색채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토대로 경관계획 측면에서 아파트 외벽 색채계획의 기본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개성을 살려야 한다. 장기적인 도시 경관 계획을 수반하여 색채나 소재 사용에 있어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 둘째, 도시의 이미지 연출이 중요하다. 도시 경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아파트 외벽 색채를 통해 도시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 셋째, 지역에 활기를 부여해야 한다. 색채계획을 통해 딱딱한 도시환경에 정서적 가치를 부가할 수 있다. 넷째, 외벽 색채를 통해 명암표현을 줄여야 한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양감을 부각하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다섯째, 아파트의 저충부와 고층부를 구분한 계획이 필요하다. 여섯째, 도시 내에서 지역별로 특징적인 색채를 유도해야 한다. 지역의 고유성을 반영한 색채 팔레트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역사문화경관의 색채특성 및 지역 이미지 분석 - 삼청동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아,박진아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2

        서울의 역사문화경관으로서 북촌의 삼청동길은 고유의 전통적인 가로경관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무분별한 개발과 이질업종의 등장으로 인해 고유의 가로경관이 가진 지역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특히 색채는 경관구성요소 중 도시 이미지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미치므로, 본 연구는 역사문화경관으로서 삼청동길의 경관색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방문객 이미지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이미지 개선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관색채분석 결과 가로 전반의 주조색은 저채도의 따뜻한 색상으로 온화한, 우아한 등의 이미지를 이루고 있으나, 보조색으로서 일부가 고채도, 원색계열의 화려한, 명랑한 등의 이미지를 띠고 있었다. 방문객 설문 결과, 대상지에 기대한 이미지는 주조색이 가진 따뜻한 이미지로 나타났으나, 실제 인지한 것은 보조색이 가진 화려한 이미지를 더 크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화려한 색채를 가진 건축ㆍ시설물이 소량으로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대상지 전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지역색채, 나아가 정체성을 저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역사문화경관의 이미지 보전을 위해 점포 및 시설물 단위의 색채기준이 수립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lor of street landscape and visitor image questionnaire’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local image. The study site is Samcheong-dong that lost its local identity due to indiscreet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heterogeneous industries. First, the result of landscape color analysis shows that the dominant colors of the street is mild and elegant with warm colors of low saturation while the assistance colors have high-quality images of brilliant and primitive colors. Second,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expected images of pedestrians showed a warm image with the dominant colors, but the images that they felt in the actual recognized the brilliant images. This difference points out that despite the small amount of brilliantly colored buildings and facilities, it hinders the unique local color and even the identity of the whole area. This study insists that even a small amount of facilities should be managed to function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local color standards.

      • KCI등재

        빛과 색으로 본 하계와 동계의 도시경관 계절변화 - 스톡홀름을 중심으로 -

        Jeong, Sa Hee,Lee, Ho Min,Choe, Seung He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2

        본 연구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색채경관의 변화에 대한 원인 분석 및 변화과정을 제시해본다. 사실 색채는 주변환경에 대해서 영향을 받는다. 스톡홀름은 도시주변에 물이 많기 때문에 내륙보다 색채의 변화가 많다. 보통 색채는 역사지구,상업지구, 주거지구에 따라 색채계획이 다르고 빛의 반사량에 따라 시시각각 다른 이미지도 갖는다.계절별 빛의 반사량에 따라 변하는 색상, 명도, 채도값을 측정해서 팔레트를 제시 분석하고, 파사드별로 지붕과벽체별로 빛에 따라 변화하는 색상값을 측정하였다. 계절별 시각적인 큰 변화도 물이 많은 도시에서 도시경관의 변화의차이가 큰 폭으로 나타난다. 거리에서의 색채 사용에 대한 평가는 색상, 명도, 채도값을 고려함은 물론이고 빛의 반사량도고려되어져야 한다. 이때 각 색채의 특성 및 인간의 시각적인 요인에 의한 효과도 심리적인 측면과 감정적인 측면이 동시에 분석되어져야 한다. 색채의 경향은 어느 장소에 있어서 건축물의 지붕, 벽과 도로의 아스팔트 그리고 거리의녹지공간에 따라 도시경관은 색채의 구성과 재료에 의해 분류된다.계절별로 건축물의 지붕과 벽면의 색상이 빛의 반사량에 따라 변화하는 색상값을 색차계를 이용해서 측정하였고그 결과는 먼셀기호로 표기하였다. 또한 그 값은 색채이미지맵에 색상값을 표시하여 죠닝화해보고 변화하는 경향을축으로 표현하였다. 마감 재료별, 입면 부분별로 구분해서 계절별 색상값을 추출한 후 칼라이미지맵에 빛의 반사량에따라 변화하는 색상값을 계절별로 변화하는 축을 만들어 모델화하였다.따라서 각 계절별로 건축물의 지붕, 벽, 보도패턴에 대한 색채경향 및 마감재료 사용 경향을 알 수 있었고 비와 눈,구름의 양에 따라 빛의 반사량이 달라지기에 색상의 변화과정도 비교 분석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물리적인, 심리적인 고려뿐만아니라 물과 녹지공간의 양에 따라서도 색상값이 변화하는 계절효과도 있었다는 특징을 분석해서 색채경향을 정리하였다. This is studied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color skim change evaluation and its impact on both conservative and new town areas in the whole of the waterfront of Stockholm. In fact, a careful color design of the environment will benefit both. The color image maps are led by the existing color skims of buildings and the visual assessment proposals on development in the waterfront scene. There are many examples of townscape colors, but the conservative and historic streets as well as new towns in Stockholm city, the including waterfront area should benefit from careful design of the environment considering color image with sunshine. The Hue, Value and Chroma of colors are checked by color measuring instruments with color meter and color pallets. The parts that are checked are mainly building facades and projected side walls that caught a notice according to sunshine. Visual assessment change proposals should aim to make a good show of each waterfront district as the urban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a guidance of the harmonious color planning for the future use. The data of finishes were extracted from the roofs, the walls, and the road asphalt from the each streets. Color change depends on that how much light shines in summer and winter as well as sun, rain, snow, trees, day time and night time.

      • KCI등재

        지역별 경관계획 현황과 농촌마을 및 건축물의 색채관리대상요소 도출

        김은자,권순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5

        인구 고령화 심화, 귀농·귀촌인 증대, 농촌정주생활권의 기능 강화 등에 대한 농촌 사회 변화하고 있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농촌지역 거주환경 개선에 대한 범국민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농어촌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활발한 움직임 속에서 보다 지역 특성에 맞는 경관계획과 공공디자인을 결합한 통합적인 농촌마을 거주환경 개선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농촌마을의 인공경관요소의 원색계열 색채와 정체성 없는 건축물 외관이 주민 및 내방객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저해요인이다. 이와 같이 농촌마을 색채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등 농촌마을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최근 진행된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색채대상요소를 분석한다. 특별광역시와 도, 군에서 계획하고 있는 색채 방향을 농어촌 경관계획 수립요령과 분석하여 앞으로의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연구 방향을 찾고자 한다.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 which began with Saemaeul Movement as its starting point has changed color landscap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ignificantly 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general town development project being promoted to maintain living environment in farming area has raised agritourism as a new income source focusing more on profit businesses rather than improving dwelling environment in it. As the value of scenery in farming area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city is newly highlighted, laws related with preserving and maintaining agricultural landscape is institutionalized. Agricultural society is being transformed with regard to the increase of aged population, increase of those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area, or strengthening of functions in the agricultural settlement zone. There is more and more nationwide demand on improving agricultural dwelling environment in a safer and more eco-friendly way. Primary colors from artificial landscape factors in farming area or the exterior of structures with no identity is the hindrance factor that makes the residents or visitors feel stressful.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mprove environment in farming area by figuring out the problems of colors in it and so on. Landscape plans of various regions are set up focusing on urban, rather than rural, areas. Many previous studies were also conducted on urban environment. Further, studies on rural landscape were conducted with various color elements.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color directions in regional landscape plans. It will derive color management elements for color landscape of rural villages, by analyzing color elements covered in recent studies, through previous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