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딥러닝 기반의 열연 강판 제품의 표면 결함 판독

        서민수,오승근,강대현,박종호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철강 제품의 표면 결함은 강판의 품질과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때문에 많은 철강 업체는 표면결함을 사전에 판독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표면 결함 탐상장치와 육안 검사 등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되는 강판 재질 특성에 따라 지속적으로 결함 패턴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결함이 추가되는 실세계의 산업현장에서 탐상장치의 결함 판독 성능을 유지시키기 어렵다. 또한 육안 검사는 검사자간의 경험 차이로 인한 휴먼 에러가 발생하여 표면 결함을 정확하게 판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인식에 강인하고 갱신성이 뛰어난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s)를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보다 지능적이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새로운 강판 표면 결함 판독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첫번째 계층의 CNN은 이진 분류기로 표면 결함을 탐지하고, 두 번째 계층의 CNN은 다중 클래스 분류기로 탐지된 표면 결함의 종류를 ‘선형흠’, ‘비늘형’, ‘스캡’ 등으로 세분화 판독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신속하게 품질 이슈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 테스트에서 97.2%의 코일 결함 탐지 정확도와 94.1%의 코일 결함종류 판독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갱신성이 강한 CNN 고유의 특성상 결함 발생 패턴이 변화하거나 새로운 결함이 추가되더라도 시스템의 점증적 갱신이 가능하며 시스템 성능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KCI우수등재

        MEMS 라이다 센서를 활용한 심층학습 기반 조적벽체 결함 인식 기술

        황영서,박근형,양강혁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Most of the maintenance and safety inspections of buildings are performed with visual assessment of the inspector, which consumes a lot oftime and cost.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vision and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3D Laser scanners, automatic defect recognitionusing image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widely studied. Current approach is largely relying on the image obtained from thecamera and the recognition performance could be vari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cently, studies using 3D Laser scanner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errestrial laser scanners are expensive, so it is difficult to apply at the constructionsit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hat can recognize masonry wall defects using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based LightDetection and Ranging sensor that having much lower price and reliable performance.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masonry wallstructure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having various types of defects in a laboratory environment. Masonry wall defects wererecognized using ResNet-50 and VGG16 models, which are widely us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ResNet-50 andVGG16 achieved 98.75% and 96.88% accuracy,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real-time defectrecognition method for a masonry wall at construction sites. 건축물의 유지관리 및 안전점검은 대부분 점검자의 육안으로 진행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영상처리기술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결함 인식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영상처리 기법은 카메라를 통해 얻은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주변 환경에 따라 성능이 변하는 한계가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3D 레이저 스캐닝 센서를 이용한 결함인식 방법을 개발하였으나 장치의 가격이 비싸 활발한 활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스캐닝 장치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신뢰할만한 성능을 보이고 있는 MEMS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조적벽체의 결함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해당 연구는 조적벽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실 환경에서 여러 종류의 결함을 가진 시험체를 제작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조적벽체 결한 인식 방법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ResNet-50과 VGG16 모델을 사용하여 결함을 인식하였으며, 성능평가 결과 ResNet-50은 98.75%, VGG16은 96.88%의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모바일 3D 레이저 스캐닝 장치와 결합하여 조적벽체의 실시간 결함 인식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신경성 식욕부진 성향을 가진 여자 대학생의 정서인식 결함에 대한 연구

        박영선,김명선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This study investigated deficits of emotion recogni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anorexia nervosa (AN) traits using the eyes test. Based on the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and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 the AN trait (n=30) and the control (n=30) groups were selected. The eyes test required participants to select a word which best described the emotion the presented eyes expressed. The AN trait and control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otal accuracy rate of the eyes test, with AN trai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rate than the control group. The AN trait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rates in the neutral and positive emotional conditions than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adjustment level and accuracy rate of the positive emotional condition in the AN trai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AN trait have deficits in emotion recognition, and these deficits are associated with social adjustment level. 본 연구는 눈빛이 시사하는 정서를 인식하도록 요구하는 눈빛과제를 사용하여 신경성 식욕부진 성향을 가지고 있는 여자 대학생의 정서인식 결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덧붙여 만약 신경성 식욕부진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에게서 정서인식 결함이 관찰된다면 이 결함이 사회적 적응 수준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한국판 식사태도 검사-26과 한국판 식사장애 검사-설문형의 점수에 근거하여 신경성 식욕부진 성향군 30명과 정상통제군 30명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신경성 식욕부진 성향군이 정상통제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전체 정확률을 보였을 뿐 아니라 중립 및 긍정 조건에서도 유의하게 낮은 정확률을 보였다. 또한 긍정정서 조건에서의 정확률과 사회적 적응 수준 간의 정적 상관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신경성 식욕부진 성향을 가지는 여자 대학생이 눈빛에 담긴 미묘한 정서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이러한 정서인식 결함이 사회적 적응 수준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재난의 인적환경 취약성이 사회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재난안전 국민인식 옴니버스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이동규 ( Dong Kyu Lee ),민연경 ( Youn Kyoung Min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본 연구는 사회위험의 인식이 재해발생의 인적원인 즉, 인적환경 취약성에 초점을 맞춰 심리적 결함과 인적관리결함에 영향 받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의 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안전에 대한 있어서 자연재해와 공공시설물 대형화재 등 사회재난 발생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 인적관리 결함요인으로 정부의 대응역량이 사회위험인식을 결정하는 중요요인임을 검증하였다. 둘째, 우리 사회가 재난으로부터 위험하다는 인식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20~30대의 연령대인 사람이 50~60대 이상 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차원의 인적관리 결함이 사회위험인식에 가시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국민들은 사회위험과 사회 안전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볼 수 있는 만큼 재난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관리역량 제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risk awareness, a multi-dimensional concept, can be affected by psychological defect and management defect, focusing on the human cause of disaster occurrence, that is, the vulnerability of human environmen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vulnerability of human environment of disasters as the risk facto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nxiety of disaster safety and environment structures as human management defect,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 capabilities on social risk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anxiety about natural disasters and human disasters among th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on disaster safety and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 capabilities as the human management vulnerability factor were important factors for determining the social risk awar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he demographic factors, the social risk awareness was high in women and those with low age.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overnment`s human management defec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has visible effects on the social risk awareness and that, since the people view that the government h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social risk and social safet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government`s active management capabilities for disaste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 KCI등재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패러다임, 가설 및 모형에 관한 연구

        이영미 ( Young-mi Lee ),정용석 ( Yong-seok Jung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지식, 즉 모형, 가설, 패러다임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석·박사 학위 논문 16편 및 학술지논문 4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장애인식교육 프로그램의 모형(내용)은 장애이해, 장애체험, 도와주기, 공동체, 장애인의 권리, 장애인 지원체제 수정 등이다. 둘째, 도출된 주요가설은 1)장애정보제공, 장애체험, 도와주기 활동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킨다, 2) 장애를 독특성으로 보는 관점, 장애인의 권리, 장애인을 위한 교육 및 학교환경의 수정의 당위성, 장애인과 함께 사는 공동체 등에 대한 내용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킨 다이다. 가설에 기반하여 패러다임을 분석한 결과, 20편 중 15편이 병리적 관점, 5편이 사회체제결함론적 관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09년 이후 사회체제결함론적 패러다임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패러다임은 사회체제결함론으로 전환하였기 때문에 병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체제결함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인식 프로그램이 패러다임 등 지식 배경에 대한 검토 없이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 바, 추후 연구에서는 이애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paradigm, hypothesis and model in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al program. We analyzed 20 studies including 16 master/doctor’s degree studies and 4 academic journal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s (contents)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al program consists of understanding disabilities, experiencing disabilities, help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munities, the righ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upport system modification for them etc. Second, two main assumptions are derived from the models of this study, one of them is that programs including understanding, experiencing, help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spective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other is that program focusing on the righ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garding disabilities as individual differences, and modifying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m have a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spective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appeared, analyzing paradigms derived from the assumptions, that 15 studies is based on pathological paradigm. and 5 studies is based on social deficiency paradigm. Studies on social deficiency paradigm have increased since 2009 years. Suggestions are that first, we need to change pathological perspective to soccial system deficiency perspective for developing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al program in future. Second, we need reviewing knowledge system including model, assumption and paradigm for developing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al program.

      • KCI등재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외관조사를 위한 자동화 결함인식 시스템 개발

        박석균(Park Seok-Kyun),이강문(Lee Kang-Moo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8 No.6A

        구조물의 열화 또는 손상상태 점검 시 정기적인 외관조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실시되는 외관조사는 주로 조사자의 스케치나 일반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촬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럴 경우, 조시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조사를 위하여, 터널 외관상의 결함을 자동인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결함 손상인식을 위한 회상처리기술과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이 중점적으로 개발 응용되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균열, 누수, 백화, 박리, 박락, 손상 등의 결함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터널의 안전성 확보, 가능성 유지, 수면연장 등의 효과를 얻고자 한다. When checking the state of deterioration or damage structures, regular visual inspection has very important role. At this point, a visual inspection is performed mainly by sketch or photography with a camera of inspectors. If that happens, it takes a lot of effort and time to inspect appearance da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for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spection of appearance damages. In the process, the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data management & analysis system for damage recognition are mainly developed and applied. This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enables inspectors or clients to obtain correct data that can recognize a damage, such as, crack, water leakage, efflorescence, delamination (peeling), spalling, etc. In addition, this study takes aim at the effect of secure safety, functional maintenance and extension of design lifetime according to build up continuous and systematic data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이중결함가설에 따른 읽기장애 하위유형의 특성과 읽기 하위기술 간 차이

        권희연 ( Hoe Yeon Kweon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읽기장애아동의 음운인식과 명명속도를 일반아동들의 수행수준을 기준으로 각 하위유형으로 분류하고, 읽기 하위기술인 단어재인,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에서 보이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읽기장애아동 30명이었으며, 동수의 일반아동을 표집하여 읽기장애 하위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연구결과, 네 개의 하위유형이 존재하였으며, ``이중결함형``은 모든 학년에서 골고루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보여 이중결함가설의 타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읽기장애 하위유형은 일반아동과의 읽기 하위기술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명명속도 결합형``의 읽기 수행이 ``음운인식 결함형``에 비해 저조하게 나타나 한국어 사용 읽기장애아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으며, ``이중결함형``은 가장 심각한 읽기문제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 between subgroup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double-deficit hypothesis. Subgroup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ere divided with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d. And the 3 subgroups of reading abilities, decoding skills of words (nonsense word reading, regular words, irregular words),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were measured, Data were collected from 30 first-third grad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While 30 children with general reader was utilized as norms for Z score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double-deficit hypothesis (neither deficit, phonological awareness-deficit only, naming speed-deficit only, double-defici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double-deficit hypothesis are applied to the children spoken a hang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When the double-deficit hypothesis was used as a framework to identify four mutually exclusive subgroups of readers based on patterns of processing deficits (PA only, NS only, Double-Deficit, Neither), it represented that the double-deficit subgroup had the lowest performance in all aspects of reading (decoding skills of words,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neither subgroup had the highest performance in all aspects of reading. We expected that the NS only subgroup would outperform the PA only subgroup in all aspects excluding reading fluency, but the opposite performance represented for this study. So the PA only subgroup showed the more performance in all aspects of reading than the PA only subgroup. These results strengthen the double deficit hypothesis for assessing and designing intervention with reading disabled children in a transparent orthography Through this study did not include many participants, and the instrument of measurement didn`t have enough validit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assessing and designing intervention with reading disabled children were that the naming speed is critical, helpful for those children spoken hangul than English speaker. Thus, the instrument of measurement proved validity will be needed for following study to identify good predictors of reading skills.

      • KCI등재

        실시간 검사 및 제어를 목적으로 한 용접성 평가

        이정익(Lee, Jeong-Ick)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3

        용접구조물의 시공시 발견되는 외관상, 성능상 사용자에게 불만족을 발생시키는 결함들을 일반적으로 총칭하여 용접부의 결함이라 한다. 이들 결함들을 시간의 손실 없어 효과적으로 검출해내어 용접부 전체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판정하기 위한 용접성 평가 시스템 구축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비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용접부의 형상에 대한 원 데이터를 채취하고 이를 화상처리하고, 여기서 얻은 정보로 1차적으로 정량적 결함을 판별하고, 동시에 분류된 결함을 정성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퍼지 패턴인식의 한 단계인 다중 패턴 인석을 이용하여 용접물 전체의 결함을 판정하였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용접성의 결과가 화상별, 최종집계와 함께 이를 그래픽의 형태로 표시하여, 손쉽게 용접성 양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는 또한 생산라인에 적용하여 실시간 용접성 판별을 할 수 있는 기반 연구 성과를 제시하였다. Through welding fabrication, user can feel unsatisfaction of surface quality because of welded defects, Generally speaking, these are called weld defects. For checking these defects effectively without time loss effectively, weldability estimation system setup is an urgent thing for detecting whole specimen quality. In this study, by laser vision camera, catching a rawdata on welded specimen profiles, treating vision processing with these data, qualitative defects are estimated from getting these information at first. At the same time, for detecting quantitative defects, whole specimen weldability estimation is pursued by multifeature pattern recognition, which is a kind of fuzzy pattern recognition. For user friendly, by weldability estimation results are shown each profiles, final reports and visual graphics method, user can easily determined weldability. By applying these system to welding fabrication, these technologies are contribution to on-line weldability estimation.

      • SCOPUSKCI등재

        병렬 환경하의 진화 이론을 이용한 결함인식

        심문보,서명원,Sim, Mun-Bo,Seo, Myeong-Won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6 No.9

        It is well known that a crack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dynamic behavior of a structure. This effect depends mainly on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crack. To identify the location and depth of a crack in a structure, a classical optimization technique was adopted by previous researchers. That technique overcame the difficulty of finding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superposed contours that correspond to the eigenfrequency caused by the crack presence. However, it is hard to select a trial solution initially for optimization because the defined objective function is heavily multimodal. A method is presented in this paper, which uses continuous evolutionary algorithms(CEAs). CEAs are effective for solving inverse problems and implemented on PC clusters to shorten calculation time. With finite element model of the structure to calculate eigenfrequencies, it is possible to formulate the inverse problem in optimization format. CEAs are used to identify the crack location and depth minimizing the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frequencies. We have tried this new idea on a simple beam structure and the results are promising with high parallel efficiency over about 94%.

      • 형상인식을 적용한 용접 결함의 특징변수 추출

        김재열,마상동,오성민,송경석,김양중,김창현,곽이구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1999 機械技術硏究 Vol.2 No.2

        In this study, the researches classifying the natural flaws in welding parts are performed using the signal pattern classification method. For this purpose 500MHz storage digital oscilloscope including FFT function and enveloped waveform generator are used and the signal pattern recognition procedure is made up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feature selection and classifier design. Specially it is composed with and discussed using the distance classifier is based in euclidean distance the empirical Bayesian classifier. In feature extracting, it is performed using the class-mean scatter criteria. And the signal Pattern class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signal pattern recognition problems of natural flaw that is porosity inclusion, slag inclusion, lack of penetration, lack of fusion. center crack, side crack, toe crack. root crack as the planar and volumetric flaw classification problem. According to this results, if appropriately learned the neural network classifier is better acquire the recognition rate of 86.31% above through it is different a little according to domain extracting the feature and the classif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