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이종식(Lee Jong Sik)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2020년 상반기 기준 국내 건설현장에서 2,28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부상자는 2,206명, 사망자는 162명으로 집계되었다. 건설현장은 공사 진행 일정 및 위험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빈도가 높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의 90% 정도는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건설업에서 바람직한 안전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건설현장의 안전문화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oper(2000)의 안전문화모델과 Fleming(2000)의 안전문화 성숙모형, 러프버러대학교(1999)의 안전문화평가도구, 홍인기 등(2016)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행동관찰방법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국내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 방법을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실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각각의 영역(환경, 사람, 행동)에 대한 평가는 가능하였다. 하지만 환경영역 평가 결과와 사람영역 평가 결과, 행동영역 평가결과가 각각 다른 형태로 표현되어 평가 대상 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환경영역, 사람영역, 행동영역의 안전문화 성숙도를 동일한 형태로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first half of 2020, 2,281 safety accidents occurred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number of injuries caused by this was counted as 2,206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counted as 162. At construction sites,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is high because the construction schedule and risks va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bout 90% of death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can be prevented through active mana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expect a desirable safety outcom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and evaluate the safety culture at the construction site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Cooper (2000) s Safety Culture Model, Fleming (2000) s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Loughborough University s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kit and Hong. I. G. et al. (2016) presente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of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behavior observation method used in this preceding study, and applied it to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o review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y by applying the safety culture evalu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ite suggested in this study to the construction site, it was possible to evaluate each area (environment, people, behavior). However,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nvironmental area, the result of the people area and the result of the behavior area were expressed in different forms, so there was a limit to comprehensively judging the maturity of the safety culture at the site to be evalu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on how to express and integrate safety culture maturity in the environmental, people and behavioral areas in the same form.

      • KCI등재후보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에 따른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

        맹인영(Maeng In Young),이준원(Lee Joon Won),소한섭(So Han Sub),김세훈(Kim Se Hoon),박성배(Park Sung Bae)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최근 국내 건설산업은 정부정책으로 인해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제조업 등에 비해 2배 이상 사망재해가 발생하는 등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의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건설 현장은 4차 산업 현명을 맞이하여 BIM, 드론, ICT 기반 현장관리 기술 등 스마트 건설기술이 일부 도입되어 활용되거나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일부 스마트 기술들은 아직 연구개발 중으로 전면 활용이 어렵지만, 학계, 발주처 및 건설업체 등에서는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등 현장 적용성에 관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2020년부터 건설사 및 공공기관은 IoT, 센서, 웨어러블 등의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국내 건설 현장은 전반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며, 따라서 「스마트 건설안전 시스템」모델 개발을 통해 효율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 도입에 따른 실효성 제고 방안으로 공공부문 300억 이상의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적용실태 사례조사와 건설 현장 전문가 설문 분석을 통하여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AHP 분석법으로 상대 비교를 통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등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종류를 계층화하고, 공공기관 발주 공사금액 300억이상 10개 현장에 대해 스마트 안전 장비 적용사례, 스마트 안전 장비 비용 적용사례를 1차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 현장 전문가들의 설문 분석을 AHP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하며, 실효성이 높은 스마트 안전 장비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 선정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AHP 분석에서도 도출됐듯이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사고당사자인 근로자의 위험 요소를 상시모니터링하여 사고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해야만 사고는 예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현장 조사 결과와 설문 분석 결과로 볼 때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장비 비용에 대한 계상 주체와 계상금액 설계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은 정부에서 기준을 통계방식으로 요율을 표준화하여 발주자가 일괄 적용하고 시공사가 운영하여 효과를 높이는 것이 사고 예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 장비의 실효성 제고 적용을 통한 안전 활동 수준 향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being asked to change due to government policies, and there is a need to solve safety issues, such as the occurrence of fatal accidents twice as many a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 innovation in construction technology is required. Currently,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re entering the 4th industrial era, and som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such as BIM, drone, and ICT-based site management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and used or applied on a trial basis. , academia, ordering compan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searching and developing methods for application and field applicability. From 2020, construction and public institutions in District 1 have secured safety and safety such as IoT, sensors, etc., and in domestic construction, the current smart safety system is not broken. Service maintains this system. In this study, as a wa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a plan was deriv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in the public sector with more than 30 billion won and a survey analysis by construction site experts. I was able to get results, such as selecting prior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s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construction sites were stratifi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investiga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application cases and smart safety equipment cost application cases for 10 sites with a construction cost of 30 billion or more ordered by public institutions, the construction site It is evaluated that reliability is secur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AHP analysis of the expert questionnaire analysis, an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in the selec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by deriving and presenting smart safety equipment with high effectiveness. In addition, as derived from the AHP analysis, it is judged that accidents can be prevented only when the risk factors of the workers who are the parties to the accident are constantly monitored through the control system and the accident risk factors are removed in advance. Judging from the results of the on-site survey and survey analysis, the government standardizes the rate in a statistical method for the part where the design of the accounting entity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the cost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is not standardized, and the clients apply the standard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manages the oper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will actually help prevent accidents. Using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activity level through the applica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 KCI등재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규모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

        허정(Huh, Jeong),신만중(Shin, Man Joo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23 공공사회연구 Vol.13 No.2

        현재 건설현장의 추세는 산업안전과 보호에서 중대재해의 예방과 처벌의 강화로 변화해가고 있고, 중대재해는 최근 마련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있어 더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건설업의 중대산업재해는 대부분이 영세업체가 시행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21년 산업재해 현황을 보면 건설업의 중대산업재해는 전체 산업재해의 50.4%, 그 중 50인미만 소규모 사업장은 42.5%, 5인미만 초소규모 사업장은 38.4%이며, 공사금액별로는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설현장은 71.5%로 중대산업재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4년부터는 소규모 건설현장들도 중대재해처벌법을 전면적용하게 되는데, 소규모 건설현장은 중·대규모 건설현장들과는 달리, 안전관리자 배치기준의 미적용 등 안전관리체계가 미흡하고 건설업에 미등록된 업체의 시공 참여, 고령 및 외국인 근로자의 미흡한 근로체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부족 등 다양한 제한적인 특성이 있다. 이렇듯 건설산업재해 대부분을 차지하고, 법 및 제도, 예산적 제한 등 다양한 문제를 갖고 있는 소규모 건설현장에 중대재해처벌법을 전면 적용하기에는 많은 전제조건을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는 ’21년까지의 중대산업재해 현황과 유사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에 중대재해 처벌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소규모 건설현장이 갖는 구성의 취약점과 법·제도, 예산, 근로체계의 미흡함 등의 특성과 ①보호·적용대상 범위의 확정, ②산업안전보건법과의 관계, 사업주·법인의 중대재해 발생시 안전경영책임자 선정여부, ③경영책임자의 역할과 책임, ④실질적인 지배의 의미해석 등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체계의 문제점에 맞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대산업재해 발생시 예방보다는 처벌에 중점을 둔 중대재해처벌법이 영세한 건설업체들이 대부분 종사하고 있는 소규모 건설현장에 전면 적용되기 전에 예상되는 문제점별로 사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소규모 건설현장에 적합한 중대산업재해 저감방안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the trend of construction sites is changing from industrial safety and protection to prevention and strengthening of punishment for serious accidents, and serious accidents require more special attention due to the recently established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particular, most of the maj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implemented by small businesses.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21, maj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 for 50.4% of all industrial accidents, of which less than 50 people Small-scale businesses accounted for 42.5%, micro-scale businesses with less than 5 employees accounted for 38.4%, and by construction amoun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less than 5 billion won accounted for 71.5%, accounting for most of the major industrial accidents. Starting in 2024,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ill be fully applied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Unlike medium- and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have insu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s, such as non-application of safety manager placement standards, and construction by companies not register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are various limiting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ipation, insufficient labor system of elderly and foreign workers, and lack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As such, it seems that many prerequisites must be resolved to fully apply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that account for most of the construction industrial accidents and have various problems such as laws, institutions, and budget limitations. Here, in order to apply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by 2021 and similar research da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and the lack of laws, systems, budgets, and labor systems and ①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protection and application, ② Relationship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hether or not a person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is selected in case of a serious accident of the business owner or corporation, ③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④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practical control, etc.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suitable for the problems of the application system. In the event of a major industrial accident,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hich focuses on punishment rather than prevention, is fully applied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here most of the small-scale construction companies are engaged. Suggested measures to reduce major industrial accidents.

      • KCI등재

        건설현장의 비산먼지 규제에 관한 법제도 개선방안

        이상학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1 동북아법연구 Vol.15 No.2

        헌법은 국민들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환경정책기본법은 환경을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대기, 물 등 사람 의 일상생활과 관계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는 “생활환경”은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접하고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개별 환경법은 “자연환경” 규제를 더 중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예로서 환경영향평가법의 환경영향평가대상에서 생활환경분야의 비산먼지는 독립적 환경영 향 평가항목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대기환경보전법에서 규제하고 있는 대상은 주로 점오염 원인 공장 등의 사업장과 자동차 및 선박의 배출가스와 온실가스와 관련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생활환경으로 분류되는 비점오염원인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는 대기환경보전법의 단 한 개 조항 인 제43조(비산먼지의 규제) 항목으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비점오염원인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는 환경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을 일관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비점오염원의 특성을 가진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를 규제하기 위하여 현행법 제도를 검토하고, 현행법 제도에 따른 건설현장의 환경관리실태를 조사하고, 건 설현장의 비산먼지로 인한 환경분쟁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건설현장의 비산먼지 관리상의 문제 점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를 관리하기 위한 법제도가 대기환경보전 법 제43조(비산먼지의 규제)에서 비산먼지 발생사업신고 및 비산먼지 발생억제 시설기준으로 규제하고 있으나 이는 신고와 더불어 규정된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사업자는 의무를 다하게 되 며, 실질적 비산먼지 저감에 대한 효과성을 담보하고 있지 못하여, 비산먼지로 인한 환경분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설현장 감리 제도를 활용하여 상시적 환경관리제도를 강화함으로써 비점오염원인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를 저감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로서는 환경오염을 특성을 고려할 때 환경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하여 공학, 자연과학, 인문학, 사회과학 및 법학 등의 관련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right of the people to live in a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and for this purpose,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defines the environment by dividing it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iving environment. The “living environment”, which is defined as being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people, such as air and water, is closely and directly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residents, but individual environmental laws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regulation of “natural environment”. For example, fugitive dust in the living environment is not stipulated as an independent item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and the exhaust emissions from motor vehicles and ships and greenhouse gas are mainly stipulated on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on the other hand fugitive dust from construction site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classified as a living environment, is regulated by only one articl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Article 43 (Regulation of Fugitive Dust).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t environmental standards for fugitive dust from construction site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and to measure the set standards consist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roved system to ensure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for the people by reviewing the current legal system to regulate fugitive dust at construction site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tatus of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environmental disputes caused by fugitive dust at construction sites. To summarize, the legal system for managing fugitive dust at construction sites stipulates to submit fugitive dust generating business report and to install fugitive dust generation control facilities according to Article 43 (Regulation of Fugitive Dust)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However, this article does not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actual fugitive dust reduction even though the contractor fulfills its obligation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he stipulated facilities after submitting the fugitive dust generating business report and it give rise to environmental dispute due to the fugitive dust.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fugitive dust from construction site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can be reduced by strengthening the regula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y utilizing the supervision system stipulated in the current Building Act. For the further research, continuous joint research in related fields such as engineering, natural scienc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law is necessary to prevent and reduce environmental damage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pollution.

      • KCI등재
      • KCI등재

        건설현장 근로 문화의 안전기준 위반 시 범칙금 부과의 적정성

        이왕기(Lee, Wanggi),조기용(Cho, Giyong),손기상(Son, Kisa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건설현장은 위험성 때문에 다른 산업 현장에 비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지난 20여년이 현 시점에서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아전담당자, 기관, 정부에서 수많은 노력과 정책을 보여주었음에는 변함없는 사실이다.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요인은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자의 부주의, 부족한 안전지식 등이라고 할 수 있다. HSE(Health, Safety, and the Environment))경영시스템은 관련 규제를 파악 및 준수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사고율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현장 작업자들 스스로 안전의식을 함양시켜야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설문조사 또는 직접 인터뷰를 실시하여 나온 결과는 HSE(Health, Safety, and the Environment))경영시스템의 안전기준 위반 시 범칙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설문제작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기준 위반에 대한 인식과 그 효과성에 대하여 필요한 부분만 설문항목으로 구성하여 유효성과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설문지 115건 중에서 편차가 심한 것 16건을 제외시키고 99건이 본 연구 통계의 기초로 이용되었다. There have been so many accidents occurred at construction sites, despite a fact that so much effort has been made by the relevant persons, organizations, even the Government so far at least twenty(20) years. The above are probably due to worker"s negligence, intention insufficient knowledge, etc. HSE regulation contain regulation to issue penalty to the workers who are working at construction site. It is very doubtful how much field safety can be kept with safety training worker"s self control. Therefore, the existing HSE regulation of violation penalty showed be investigated if they are useful presently, using any tools such as questionnaire survey or direct interview and etc. The questionnaire survey sheets is made of penalty regulations to find out how to be recognized and effective, currently. Total 150 sheets a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cros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건설현장은 위험성 때문에 다른 산업 현장에 비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지난 20여년이 현 시점에서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아전담당자, 기관, 정부에서 수많은 노력과 정책을 보여주었음에는 변함없는 사실이다.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요인은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자의 부주의, 부족한 안전지식 등이라고 할 수 있다. HSE(Health, Safety, and the Environment))경영시스템은 관련 규제를 파악 및 준수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사고율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현장 작업자들 스스로 안전의식을 함양시켜야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설문조사 또는 직접 인터뷰를 실시하여 나온 결과는 HSE(Health, Safety, and the Environment))경영시스템의 안전기준 위반 시 범칙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설문제작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기준 위반에 대한 인식과 그 효과성에 대하여 필요한 부분만 설문항목으로 구성하여 유효성과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설문지 115건 중에서 편차가 심한 것 16건을 제외시키고 99건이 본 연구 통계의 기초로 이용되었다. There have been so many accidents occurred at construction sites, despite a fact that so much effort has been made by the relevant persons, organizations, even the Government so far at least twenty(20) years. The above are probably due to worker"s negligence, intention insufficient knowledge, etc. HSE regulation contain regulation to issue penalty to the workers who are working at construction site. It is very doubtful how much field safety can be kept with safety training worker"s self control. Therefore, the existing HSE regulation of violation penalty showed be investigated if they are useful presently, using any tools such as questionnaire survey or direct interview and etc. The questionnaire survey sheets is made of penalty regulations to find out how to be recognized and effective, currently. Total 150 sheets a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cros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 KCI등재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

        홍정석,배대권,김재준,Hong, Jung-Suk,Bae, Dae-Kwon,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6 No.5

        By reviewing the existing researches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presented some problems; 1) preceding researches dealt only a formal system of safety management and did not focus on the practical safety management action, 2) there is an insufficient endeavor of utilizing the lessons teamed of successful construction sites and generalizing the success factors of safe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describe an effectiv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reflecting success factors of the excellent construction cases and the preceding researche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authors performed a case study of successful construction sites and proposed the major six safety activities. The author's point are illustrated through an explan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현행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이러한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주요항목을 건설현장 안전관리활동에 반영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1)본사는 안전보건경영체제 중심으로, 건설현장은 근로자를 배려하는 활동 위주의 체계가 중요함 2)성공적으로 안전관리 활동을 추진한 건설현장에 대한 실제 안전관리활동 주요요인들을 건설현장 안전관리활동의 실천방안으로 일반화 시키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장하고 있는 건설현장의 성공요인 분석과 국내의 27개 안전관리활동 우수사례 현장에 대한사례조사를 통해 건설현장의 안전관리활동 주요요인(위험성 관리방법,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안전교육의 실시, 안전점검, 작업장 환경개선, 안전활동)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6가지 주요요인에 대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측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예측프레임워크 제안

        김지명 ( Kim Ji-myo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3 No.6

        건설산업의 재해율은 다른 산업에 비해 매우 높다. 그 이유로 다른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사고에 취약한 소규모 건설현장의 높은 재해발생율을 꼽고 있다. 최근 난이도 높은 도심 건설공사의 증가, 악천후의 증가 등으로 앞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의 사고 발생 위험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소규모 건설현장의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통한 사고 예방 및 저감은 건설산업의 재해율을 낮추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건설현장 사고를 예측하기 위한 Deep Neural Network Algorithm 기반의 사고 예측 모델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와 결과를 활용하여 소규모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사고 위험을 줄임으로써 지속가능한 건설사업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 accident prediction model leveraging a deep neural network algorithm, specifically tailored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Notably, the incidence of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ector is markedly higher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with a significant contribution from small-scale sites. The challenging nature of construction in urban settings, coupled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of adverse weather conditions, is likely to escalate accident risks at these sites. Anticipating and mitigating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is therefore crucial to decrease the overall industry accident rate. Consequently, this research introduces a Deep Neural Network-based model for forecasting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The framework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poised to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small-scale construction projects, ultimately aiding in the realization of safer, more sustainable construction practices at these sites.

      • KCI등재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조예림,신윤석,신재권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7 No.6

        The construction industry generates the greatest number of disasters. Laborer injury at construction sites is mostlyreported by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Moreover, of the injuries, the greatest number is related to form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ecklist of the risk factors of formwork, in which industrial injuries occurmost frequently in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with which safety management can be done thoroughly. Riskfactors and preventive measures are derived by analyzing 9,396 industrial disaster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inKorea. The checklist drawn in this study was reviewed by five specialists in safety management, and applied toconstruction sites to verify its applicability. In a result, applying the checklist to the site showed that the safetymanagement system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were insufficien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건설 산업은 전체산업분야들 중에서 가장 많은 재해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산업분야이다. 국내 건설업의 사고부상자는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거의 대부분 발생한다. 또한 전체공종 중 거푸집 공사에서 가장 많은 재해자가 발생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에 대하여 안전점검사항을 제시하고 어떤 항목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규모 사업장에 대하여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재해가 발생하는 거푸집 공사의 위험요소에대한 점검사항을 명확히 제시하고 중점적으로 안전관리를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했던 재해 사례 70,618건을 분석하여 위험요인 및 사고 예방 대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점검 항목을안전관리전문가 5명에게 검토 받은 후 현장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실제로 발생했던 재해의 위험 요인을 도출하여 만든 체크리스트이기 때문에 현장의 작업자들에게 잘못된 점을 명확히 지시하여 시정하는 것이 가능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고 재해율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건설분야 사고성 재해예방 민간위탁사업 참여기관의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개선방안

        김은정,안홍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2) 자료에 의하면 공사금액 3억원 미만의 영세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자수와 사망자수도 각각 건설업 전체의 43.3%와 31.6%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이러한 소규모 현장 재해예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안전보건공단을 통하여 ‘사고성 재해예방 민간위탁사업’을 매년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재해 발생건수에서 비중을 크게 차지하는 공사금액 3억원 미만의 소규모 현장을 대상으로 감성지원과 밀착지원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집행되고 있다. 이 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민간위탁기관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관리의 근간은 합리적인 평가방식의 운용에 달려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건설현장에 기술을 지원하는 민간위탁기관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우수한 민간위탁기관의 효과적인 기술지원 업무 수행을 통한 건설재해의 효과적인 재해감소에 기여하는데 있다. According to the report publish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2012), the number of workers wounded and died from accidents in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of less than 300 million Won of construction cost accounted for 43.3% and 31.6%, respectively, of those of the whole industry. In recognition of the serious needs to prevent disasters from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the korean government instructed the agency to expand the contracting-out of the work-related accident prevention project to larger extent every year. This project has been executed in two ways-affective and specific supports-with priority given to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of less than 300million Won of construction cost which used to occupy bigger por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accidents. In order to achieve success from this project, it is needed to effectively manage the contracting-out organizations, which would heavily depend on how reasonably it would be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suggest reasonable value indices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private contracting-out organizations which impac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technical support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reducing construction accidents effectively by means of effective technic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