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신규간호사를 위한 홀 브레인 모델 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조무용 한국간호교육학회 202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Whole Brain Model for novice nurse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work performance,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efficacy. Methods: A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n=20) and a control group (n=2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Whole Brain Model for seven sessions over 4 weeks. An independent t-test, χ2-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p=.015), interpersonal skills (p=.014) and self-efficacy (p=.02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program wa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to enhance nursing competence for novice nurses. The novice nurses who participated this program were able to reflect deeply on themselves,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and induce whole-brain integrated thinking in learning how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changes in patient condi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i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for regular continuing education for novice nurses.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과 수시로 상태가 변화하는 환자들을 대면해야 하는 신규간호사의 간호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뇌의 4분면 즉 총체적, 자발적, 조직화, 평가하는 전뇌(whole brain)의 사고과정을 활용하도록 홀 브레인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홀 브레인 모델 기반 간호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중재임이 확인되었으며, 신규간호사들의 간호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학습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내 신규간호사를 위한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신규간호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교육종료 직후의 효과만을 평가하였으므로 장기간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신규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다양한 지역과 조직에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신규간호사의 역할적응 기간에는 개별적이고 조직적이며 지속적인 교육과 지지전략이 필요하므로 의료기관 입사 초기의 오리엔테이션과 실무교육 이후에도 신규간호사들을 위한 지속적이고 정례화된 교육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상호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도,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구희선(Gu Hee 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가장 필수적인 핵심역량으로써 그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도,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로, 2020년 8월 24일부터 11월 13일까지 경북 K시에 소재한 U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75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배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수행도는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중 난이도 ‘중’ ‘상’ 수준에 해당하는 유치도뇨(t=8.727, p<.001), 기관내흡인(t=6.405, p=.008), 피내주사(t=6.595, p<.001), 피하주사(t=4.288, p=.008), 간헐적위관영양(t=4.005, p=.008) 항목에서, 수행자신감은 난이도 ‘상’ 수준에 해당하는 유치도뇨(t=5.099, p<.001), 기관내흡인(t=2.576, p=.014), 피내주사(t=3.797, p<.001) 항목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학습만족도도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6.418, p<.001).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도,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은 기본간호학실습 교육뿐만 아니라, 난이도가 높아서 어렵게 인지되는 핵심기본간호술 항목의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the importance of which is being emphasized as the most essential core competency required in the nursing field, this study applied the mutual pe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to improve performance and confidence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th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was confirmed. Methods This study is a similar experimental design before and after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From August 24 to November 13, 2020, among the 2nd yea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U University in K city, Gyeongbuk, taking basic nursing practice cours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met. 75 people who understood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Results Performance was measured by indwelling catheterization (t=8.727, p<.001), endotracheal suction (t=6.405, p=.008), intradermal injection (t=6.595, p<.001), subcutaneous injection (t=4.288, p=.008), and intermittent gavage (t=4.005, p=.008), performance confidence was also at the ‘high’ level of difficulty. In indwelling catheterization (t=5.099, p<.001), endotracheal aspiration (t=2.576, p=.014), and intradermal injection (t=3.797, p<.001),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Learning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6.418, p<.001). Conclusions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the mutual pe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effective for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performa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mutual pe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be used as a learning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which are recognized as difficult due to their high difficulty, in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비대면 실습 대상자를 중심으로

        김원종,장미경,김기용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2023 에듀테인먼트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COVID-19 이후 비대면 실습교육 상황에서 다양한 웹기반 콘텐츠를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2020년 12월 16일에서 2021년 1월 15일까지 C도, K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 검증은 Scheffé test로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자기효능감(r=.625, p<.001), 학업성취도(r=.717,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r=.52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주도학습(β=.582, p<.001), 학교생활만족도(β=.166, p=.008), 비대면 후 학업성취도(β=.167, p=.006), 비대면 수업 수강 횟수(β=-.147, p=.013)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명력은 56.9%였다. 결론적으로 비대면 실습교육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대면 실습교육은 COVID-19 이후에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교수법으로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과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위한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안민정,조행난,Dzifa Dordunoo,황윤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G시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총 77명의 간호대학 4학년생에게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 전, 교육 직후 및 교육 2개월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고, repeated measure ANOVA 등을 통하 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술기 지식과 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교육 전 대비 교육 직후와 교육 2개월 후에 유의하게 증진되었으나, 교육 직후와 교육 2개월 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 과는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이 간호대학 4학년생들의 학습 효과를 증가시키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효과 적인 전략임을 시사한다. 향후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통해 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program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 repeated measure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 total of 77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Data was collected at baseline, program completion, and 2 month following completion of the practicum.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baseline and program completion and between the baseline and 2 month follow-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ogram completion and 2 month follow-up.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was an effective strategy to increase study outcomes and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us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재난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준비도가 재난간호 기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안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aster awareness, attitude toward disaster and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 on disaster nursing basic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28 nursing students. It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89.9% of the subjects had disaster awareness more than usual, and in this case, the basic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was significantly higher (F=15.453, p<0.001).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asic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r=0.811, p<.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basic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were in case of high disaster awareness (β=-0.26, p<.001) and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 (β=0.80, p<.001). It's explanation power was 63.3% (F=131.659, 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o perform disaster nursing, it is necessary to have a curriculum to make systematic preparation for disaster nursing.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재난간호 준비도가 재난간호 기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봄으로써,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간호역량을 갖추도록 재난간호 교육과 간호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검정, ANOVA를 이용한 차이검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89.9%가 재난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었으며, 이 경우에 재난간호 기본수행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F=15.453, p<0.001). 재난에 대한 인식은 재난에 대한 태도와(r=0.195, p<.001), 태도는 재난간호 준비도와 (r=0.176, p<.001), 재난간호 준비도는 재난간호 기본수행능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811, p<.001). 재난간호 기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난에 대한 인식과 재난간호 준비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3%(F=131.659, p<0.001)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재난간호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재난간호 준비를 보다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학년 단계별 체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재난에 대해 높아진 인식을 재난간호로 구체화시키기 위한 모의상황을 설정하여 연습할 수 있는 실습교육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주요 간호활동의 건강보험 수가 적절성에 관한 연구

        김윤미,김경숙,박미미,김인숙,김미영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present improvement strategy and the problems of the nursing fe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Methods: A total of 23 nursing activities performed by nurses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the relative value score and criteri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Agency. Sixty clinical nursing experts panels were composed and nursing time surveyed self-reported method. The actual fee was calculated through the nursing time, relative value score and actual labor costs. Nextly, the labor costs analyzed was compared with that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Results: Although the practices were mainly performed by the nurse, other occupations have been recorded as main practitioners and the time of the nursing activity is partially improperly reflected. Additionally, although the nurse practiced mainly in glucose (semi-quantitativ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ncipal practitioner was described as a clinical pathologist. The the labor cost gap was estimated that is 9.3 times (median) and 11.9 times (average) in this analysi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a policy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by reinforcing the appropriateness and improving nursing fee through reflection of the actual time spent for nursing care.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행 건강보험 간호수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간호사가 주로 수행하는 23개 간호행위를 선정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상대가치 점수와 기준을 조사하였다 60명의 임상간호패널을 구성하고 패널에 의한 자가보고방식의 간호시간을 조사하였고, 간호시간과 상대가치점수, 실제 인건비로 실질 간호수가를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실질간호수가와 건강보험수가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건강보험수가에는 간호사가 주로 수행하는 행위임에도 타직종이 주시술자로 되어 있으며 간호행위 투입시간이 일부 부적절하게 반영되어 있다. 즉, 간호사가 주로 수행하는 당검사(반정량)는 임상병리사가 주수행자로 기술되어 있다. 연구에서 산출한 간호사 인건비와 건강보험 수가의 인건비 격차가 9.3배(중위수 기준)-11.9배(평균값 기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건강보험의 행위별 진료비지불제도가 타당성과 합리성을 보강하고, 실제 간호시간을 반영한 간호수가 개선을 통해 임상간호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병원간호사 서비스 교육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한상애(Han, Sang A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2

        오늘날 의료 환경의 변화는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경쟁력 강화와 성과 달성을 목표로 고객만족을 위한 경영전략을 필수적으로 적용하게 만들었다. 이에 따라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교육이 최근에는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를 포함하여 전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병원간호사는 1983년부터 이미 서비스 능력교육인 전문직 보수교육을 받아오고 있었으며, 1990년대부터는 의료기관의 경영전략과 맞물려 서비스 성향교육이 추가되었고, 최근에는 간호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전략의 하나로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생명윤리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윤리교육은 매우 미미하여, 병원간호사들이 환자들의 "자율성과 권리가 침해당하지 않도록 돕는 권리 옹호자이자 대리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생명윤리는 현대의 과학 기술이 초래한 여러 문제들에 맞서서 인간의 생명과 인격의 자유와 존엄에 대한 위험이 내재하는 학문과 연구 분야라면 어디서나 요구되는 것이다. 특히 병원간호사들은 간호현장에서 '죽음'과 관련되어 많은 생명윤리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사회적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생명윤리적 문제들의 요소들과 생명윤리적 논거들에 대하여 병원간호사들은 올바르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환자라는 한 인격체의 전체적 균형과 조화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동시에, 신체적 차원에서의 간호만 아니라 영적 차원에서의 돌봄에도 초점을 맞추는 '전인 돌봄'을 지향하는 간호야말로 오늘의 의료현장에서 일어나는 생명윤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적 요소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병원간호사에 대한 생명윤리 교육이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간호윤리 교육에 기본적으로 생명윤리가 포함되지만, 생애 주기별로도 생명윤리 교육을 접목시켜야 한다. 둘째, 병원현장에서의 생명윤리 교육이 사례중심의 보수교육으로 정기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병원간호사들이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Nowadays, changes in health care environments have made hospitals to adjust business strategy in order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to accomplish customer satisfaction. This has led most hospitals offer service education program to their employees including nurses. Hospital nurses already have been tak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ir qualities of nursing service since 1983. By the 1990s, hospitals have started to add some kinds of service education courses for customers to their in-service programs for nurses according to business strategy. Now, service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for a higher level of health care service. However, nurses often tend to fail to play their roles as 'a representative and a supporter who can help protect patient's autonomy and right' due to the lack of education on bioethics and professional ethics. Bioethics should be considered in any field where human life, free expression of personality, and human dignity might be threatened by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Since hospital nurses face a large number of bioethical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death' while on duty, they should have correct understanding regarding bioethical issues: the criteria or affecting factors to make a decision such a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r euthanasia. In addition, nurses should be able to respect and take a good care of patient both physically and spiritually. By doing this, nurses will be able to accomplish 'holistic care', and 'holistic care' will be the key factor to solve bioethical problems rising in health care fields. In conclusion, to build the nurse's proper attitude toward bioethical issues, following thre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bioethical education class should be offered in the curriculum of nursing colleges. Second, bioethical education based on clinical cases should be offered as a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which nurses can enhance their abilities to take car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o are facing death.

      • KCI등재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인성과 교육전략 -포커스 그룹 인터뷰 중심으로-

        양혜진 ( Hyejin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간호학과 3-4학년 학생과 간호학과 1학년 학생 대상으로 기존 임상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된 임상간호인성도구와의 비교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간호인성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설문조사의 경우 2020년 4월 5일부터 6월 22일까지였으며, 포커스 그룹의 경우 2020년 3월 5일부터 2020년 4월 5일까지 총 3회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자료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상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된 임상간호인성 13개 요인 중에서 ‘책임’, ‘공감’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다른 요인으로는 봉사, 사랑, 정직, 배려, 존중으로 유사한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올바른 간호인성 함양을 위한 것으로 단체여행, 서로 칭찬해주기, 스트레스관리, 봉사활동, 역할놀이 등과 같은 활동을 통해 간호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인성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nurse’s character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by comparing Nurse Character Scale, which was developed for clinical nurses, with that for third-grade, fourth-grade nursing students and first-year nursing students. As for data collection perio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 5 to June 22, 2020, and it was done three times in total from Mar. 3 to Apr. 5, 2020 for the focus group. For data analysis, real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using SPSS 23.0 program,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f focus group interview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responsibility’ and ‘empathy’ were derived among the 13 factors of nurse’s character scale developed for clinical nurses, and the similar factors such as service, love, honesty, consideration, and respect were done. In addition, it was indicated that nursing students think that nurse’s character can be improved through activities such as group travel, praising each other, stress management, voluntary activities, and role playing as an educational program to cultivate clinical nurse’s character.

      • KCI등재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자의 유머감각과 학습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미,김중경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nse of humor by instructors and learning motivation in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60 nursing students of D university in Gyoungsaingbuk-do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 The results showed that a sense of humor by instructors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the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programs to develop the sense of humor of the instructors an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instructor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a concrete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자의 유머감각과 학습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상북도 소재의 G대학교의 간호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공만족도는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자의 유머감각과 학습동기에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여 주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자의 유머감각과 학습동기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수자의 유머사용, 그리고 유머감각을 향상시키는 교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킬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강은희,김미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한국자료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B시 K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종 24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평균 3.98±0.51점, 셀프리더십 평균 3.55±0.51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평균 3.66±0.53점, 간호전문직관 평균 3.79±0.51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이미지(r=.629, <.001), 셀프리더십(r=.576,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496, p<.001)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간호사이미지(β=.390, ρ<.001), 셀프리더십(β=.224,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145, p=.030), 간호직에 대한 생각(β=-.124, p=.010)으로 나타났고,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설명력은 49.4%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이미지,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관련된 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반복적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