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가치로서 노인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구혜경,김정은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이 다변화되고 있다. 향후 노인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시장의 안정적인 형성을 위해서는 노인 소비자들의 경제적 안정뿐만 아니라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 참여 및 일자리 보급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 창출 이슈를 민간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과 접목 가능한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위해 국내외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추출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이란 Porter and Kramer(2011)가 제안한 개념으로 사회적인 문제나 이슈를 해결하는 것을 통하여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추구, 실현하는 경영전략이다. 이 때 노인의 빈곤 혹은 노인 삶의 질은 사회적 이슈로 볼 수 있으며, 기업들이 노인 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고 공유가치창출 전략 수립을 통하여 경제적 가치 실현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접근법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한 사례분석틀을 도출하고, 사례분석틀에 근거하여 코카콜라, 네슬레, 딜란세이 스트리트, 에울렌, 메트로, CJ제일제당, 유한 킴벌리 등 일곱 개의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 일자리 창출은 민간 기업의 관점에서는 미래 확대될 신시장의 창출 및 대비의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이며, 이를 위해 공유가치로 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각 기업의 핵심적인 역량과 노인의 역량을 접목시켜야 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및 특성별 직무 요구, 요구와 부합하는 노인 적합 일자리 직종의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사례분석의 함의와 같이 노인 소비자에 대한 지역 기반의 교육 강화 등이 중요한 이슈로 도출되었다. 이는 소비자학의 관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노인의 특성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요구하며, 노인 소비자의 증가 및 노인 시장의 확대를 대비한 기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는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 on the aged. The society has already been aging nowadays. Unlike in the past, today’s seniors have active lifestyle, and various consumption patterns. It is possible to expect market expansion for senior people so that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are important issue to prepare effective demand and stable life of senior. To create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government allocate budget and practice senior job creation policies, however, the senior welfare policy related jobs are not able to guarantee senior’s living because of the low level wage. It is possible to solve these problem through the business part. Corporations have to be involv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senior and it will be better way to sustain the company in the future by preparing the senior market expansion. This study suggest the concept of CSV(Creating Shared Value) for business part to participate job creation. CSV is the notion to sustain business in the market, being the strategy for management, and also suggests that the business can pursue both economic benefit and profit through solving social issues and problems. Senior’s stable job issue is suitable to be accepted for business to plan CSV strategy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seven vdomestic and foreign CSV cases that was related to job creation issues as social problem to be solved. The seven CSV cases are Coca-Cola, Nestle, Delancey Street, Eulen Group, Metro Group, CJ CheilJedang, Yuhan-Kimberly.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se case studi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cases related job creation or reviving local economy focus on supply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recipient competency to be a good workers. Second, in the cases of business part focusing their core ability to manage CSV business, it is possible to meet the economic performance. Third, the clustering based on the local where the business activities are performed to manage CSV is the essential strategy to succeed CSV. Finally, to manage CSV business, the CEO’s leadership and the company’s culture are very important factors. CSV business is concerned with social issues and sometimes the economic benefits are not seen immediately so that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CEO is very important drive to manage CSV.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을 위한 조직동적역량과 이론적 배경에 관한 연구

        권영철(Kwon, Yung-Chul)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본고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 및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동적역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해관계자들의 기업에 대한 요구와 기대는 다양하며, 서로 상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주주, 임직원 등 내부 이해관계자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가치 창출 성과에 더 관심을 두는 반면, 정부, 지역사회, 시민단체 등의 외부 이해관계자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에 더 관심을 갖는다. 이는 경중은 다르지만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의 경제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 창출 모두에 관심을 기울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은 모든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만족시켜 지속가능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유 가치창출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유가치창출 개념은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마태복음 19:19)는 성경 말씀에 부합된다. 모든 이해관계자는 성경적 관점에서 이웃에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이웃, 즉 모든 이해관계자를 사랑하는 마음 없이는 장기적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속경영관점에서 기업은 경제적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역량 구축이 관건인데, 본고에서는 이를 동적역량 관점에 적용시켜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공유가치창출을 조직 내 루틴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세 차원의 하위 동적역량이 요구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과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역량 구축에 대한 일련의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organizational dynamic capabilities of CSV.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are shown to b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Generally, the stakeholders, such as investors and executives,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creating economic value whereas the stakeholders, such as government, local society and NGO,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creating social value. This implies that stakeholders overall are concerned with not only economic value but also social value. Therefore, assuming any companies can not survive without corresponding to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CSV becomes an very important task for companies in view of stakeholders management and longterm survival. In this paper, dynamic capabilities are also analyzed to explain organizational routine of creating shared value. More specifically, three subcomponents of dynamic capabilities are analyzed for the consideration of CSV, namely environment sensing capability, innovation capability and resource renewing capability. Th result of this paper provides a meaningful implication to Korean firms in the matter of CSV.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인식 및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장유정,조유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2

        Recently,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corporations for the society(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getting grow. People think that economic entities are indebted to the society they belong and shall repay by some means. Many companies conduct various campaigns to meet the needs in prosperous times. In the situation of the world economic depression, however, these responsibilities are huge burden for many companies. And plenty of studies says that it cannot be long last and will finish up only for show. In the meantime the revolutionary concept of the Creating Shared Value (CSV) appears. CSV means that companies can make profit by solving the society problems which means the responsible entities may escape form their debts by earning their own money. It is innovative and step forward concept in comparison with CSV. However, as unusual concept CSV is required to have more accurate and actual meaning. As a matter of fact, the meaning of the CSV is not familiar even in the related academia.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practical conception of CSV. In this study, through the two methods, one way is comparing concept of CSR and the other is by in-depth interviews of field experts, the CSV may be recognised and accepted as a authentic theory. Firm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CSV is the first and utmost step for study of the CSV. By the first method, it is possible to clear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CSV and its own importance. CSV is coming form CSR but it will replace its origins by resolve the defects in realistic ways. CSV is not the extension of CSR but the new-born concept which break its own shell. CSR may be considered as “Zero sum” but CSR can be “Win-win”. This is whythe CSV can be the new strategy in the business field. With the second method, it can be proved the significance of CSV in actual business section and possibilities of CSV as an strategy of successful business especially by the cost-efficiency way. It shows and suggests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CSV in real world while the first method hereabove reflects the past of the CSV. Even though the CSV is only the beginnig so far, it might change the business world fundamentally at once. Thus,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SV can be a new strategy of successful business, because the concept of the CSV came from the CSR but it overcome the weakness of CSR. CSV is based on the enterpreneurship that is basically focused on profit creation not the cost occurrence. Second, it is linked with the first one, in aspect of cost-efficiency, the potential of the CSV is more likely to spread ever than CSR. At last with these two understanding, case analysis of successful CSV business model can be made. 최근에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와 사회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공유가치창출(CSV)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공유가치창출(CSV)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CSR)보다 진일보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유가치창출(CSV)의 의의와 배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창출(CSV)의 비교 분석, 공유가치창출(CSV)의 전략 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공유가치창출(CSV)의 의의, 공유가치창출(CSV)의 현황 및 가능성을 살펴보고, 성공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혁신 방향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창출(CSV)의 개념과 의의를 비교분석한 결과, 공유가치창출(CSV)은 사회적 책임(CSR)의 진화과정에서 도출되었으며, 공유가치창출(CSV)의 주요 특성은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려는 기업의 진취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성공적인 기업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공유가치창출(CSV)의 현황 및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국내에서 공유가치창출(CSV)은 인식 및 확산이 덜 되어 있는 측면이 있지만, 앞으로 비용지출로 고려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보다 전략적이고 기업의 핵심활동과 연계되는 발전된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공유가치창출(CSV)이 기업의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더 확산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공유가치창출(CSV) 관련 사례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CSV 활동에 의한 비즈니스 모델의 차이점을 비교해보았으며 비용적인 면에서 경제적 지출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공유가치창출(CSV) 관련 사례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성공 요인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구혜경(Koo, Hye Gyoung),나종연(Rha, Jong 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3

        소비자와 기업은 시장경제의 동등한 두 주체로서 이미 상생과 협력의 관계로 들어섰다.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소비자와 기업은 가치를 공동창출할 수 있는 관계로 규정되고 여러 가지 시장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가치공동창출활동을 당연히 추구해야 하는 개념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어떻게 하는 것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는 연구는 없었다. 구혜경과 나종연(2012)은 실제 시장에서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를 두고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개념을 선순환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로 정의한 바 있으며, 이를 실증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치공동창출활동 관련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였으며, 그 결과 가치공동창출활동을 저해하는 소비자와 기업 측면에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소비자측면에서는 적극적 소비자의 활동의 부적절한 가치공동창출활동, 평균적 소비자가 창출하는 가치내용 수준의 한계, 침묵하는 소비자의 무임승차 경향이 저해요인이었다. 기업 측면의 저해요인은 소비자창출가치를 반영하는 실무 부서의 업무 우선 순, 위 문제기업 내에서 CS부서의 위상이 낮은 문제, 최고경영자의 소비자창출가치에 대한 인식의 부족, 가치공동창출 활동의 성공사례 부족으로 인해 기업이 가치공동창출활동에 더욱 집중하기 힘든 문제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컨텐츠 차원과 시스템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색해보았다. 우선 가치공동창출활동 자체의 중요성과 소비자와 기업이이를 수행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것의 컨텐츠 측면과 소비자와 기업의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체계를 갖추는 시스템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is gaining importance in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notion of coexistence is critical. Several reasons could be behind the shift in paradigm from that of competition to that of collabora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First driving force of such change can be found on consumer side. In the information age, consumers could access information that were not available to them before and they are able to modif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consumers, and such informed consumers become empowered in the market. From business perspective, collaboration is essential element in business success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succeed and cope with fast changing market conditions, it is important for businesses to form partnership with consumers and feel the needs of consumers and respond to them in an appropriate and timely manner. This study suggest that is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advanced research, I’ve already defined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developed the scale for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On this study achieves expert panel interview for understanding the blocking of co-creation of value. This study found three aspects of hindrance of co-creation of value: consumer, business, and the others. First of all, consum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are so many passive consumer who do not co-create the value. Even though product or service is unsatisfied, passive consumer do not express their opinion. As a result they did not contribute to new product that is reflected consumer’s value. Secondly, Consumer creation value are very personal or impromptu, so business devaluate of the consumer proposal value. Thirdly, pro-active consumers for value co-creation manipulate the value by business’ money reward system. Nextly, business aspect’s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Marketing and sales are the core department for product developing. Through marketing and sales departments have to focus on consumer value, the priority oder for them is not consumer value but a suitable time launching or sales revenue. Secondly, Consumer satisfaction department that managed consumer opinion have lower hierarchy in business organization. Thirdly, CEO emphasize consumer value but it’s very abstract. They do not have a system for company worker’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Fourthly, there are not enough successful case of co-creation of value. The last, the oth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In market, there are some business categories to support business, for example PR agency or research firm. Despite their role is not only understand but also deliver consumers’ true needs and wants based on consumer’ behavior, those agencies often take advantage of such situation. When advertisers made an arbitrary decision, sometimes they gave a tacit for continuous goo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surveys, To revitalize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we will consider two sides. One is consumer’s value creation “Contents” aspect and the other is the “Systems” aspects. The meaning of the contents is education source for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of consumer and business. And the meaning of the system is the comprehensive conditions of business surroundings for example, information system, employee evaluation system, organization system, business managing system and so on. This study contributes to field of consumer’s sovereignty by conceptualization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for business also, because the meaning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s for win-win of both sides in market. Through performing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business can accomplish their profit seeking and existence.

      • KCI등재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 중심으로-

        이길구,이선규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소비가치의 하위변수는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설정하였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하위 변수는 경제적 가치, 관계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관계적 가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웃도어 브랜드 산업에서 소비자의 소비가치나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이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충분히 반영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outdoor brand consumer 's consumption value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y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sub-variables of consumption value were set as func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s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sub-variables of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were set as economic value, relational value, social value . As a result of analysis, func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of consumption valu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relational value of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were all positively influenc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both consumption value of outdoor brand consumers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are positive factors for purchase intention. This result can be deduced that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in outdoor brand industry are already reflected i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공동가치창출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구(Jungoo Lee),이동명(Dongmyung Lee) 대한경영학회 201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대표적인 글로벌 혁신기업인 디자인회사 IDEO의 CEO 팀브라운은 “고객을 대상으로 정보를 쏟아내는 웹 1.0 시대와는 달리, 고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웹 2.0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더 이상 고객을 수동적인 존재로만 대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였다. 이렇듯, 고객이 기업의 제품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치를 극대화하는 공동가치창출(Value Co-Creation)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공동가치창출 활동이 모두 성공적인 시장성과를 창출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선행적인 기업역량 확보 미흡에서 기인하며, 또한 고객과의 공동가치창출을 통해 시장변화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 실패에 원인이 있다.그러나 공동가치창출의 선행요인 및 시장성과에 관한 연구는 개념적 연구 및 사례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져 실증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이론을 기초하여 공동가치창출과 중요한 연관성을 갖는 흡수역량(잠재적 흡수역량, 실현적 흡수역량)을 선행요인으로 제시하여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공동가치창출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가운데, 특히 혁신성과(제품혁신성과, 공정혁신성과)를 매개로 하여 공동가치창출이 시장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조모형분석을 통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동가치창출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309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현적 흡수역량은 공동가치창출의 선행요인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잠재적 흡수역량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공동가치창출은 기업의 제품혁신성과와 공정혁신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동가치창출은 시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제품혁신성과와 공정혁신성과는 공동가치창출과 시장성과간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제품혁신성과는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im Brown, the CEO of the representative global innovative global design company IDEO, asserted that unlike the web 1.0 age in which the company provide unilaterally informations toward the consumer, in the web 2.0 age, the consumer cannot be any more treated as a passive consumer but take an active role in product development. As he said, the value co-creation in which the customer take part in the new products development is being more and more emphasized. However, the reciprocal value creation activity doesn’t always create a successful market performance. In many cases, this can result from the insufficiency of some preceding capacities which are indispensable for value co-creation and the failure of innovative product development keeping up with changes on the market.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based on the resource-based theo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co-creation and the absorptive capacity. Moreover,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value co-creation on the market performance, we also tri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urvey of 309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ies published by Korea Innovation Survey 2014.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SEM with AMOS program assistanc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which concerns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 and the service reflecting of the customer’s suggestion and idea, has a positive effect on value co-creation as antecedent factor. On the other hand, it is revealed that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which comprises knowledge acquisition and assimilation capabilitie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alue co-creation. Secondly,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ue co-creation positively affect both on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Thirdly, the Value co-creation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including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rket performance. Finally,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have a mediative effect on the value co-creation and the market performance. Particularly, it turns out that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그림은 본문 참조] Based on the results, our contributions were follows. Fir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bsorptive capacity has to be preceded so that the company can create a successful result through the value co-creation. Especially, the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turns out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is purpose, the company is required to recruit and manage excellent employees including efficient composition of R&D team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Secondly, the company need to raise a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For this purpose, the company is required to build platform, community and process which can vitalize customers’ active participation in value co-creation, as well as an introduction of the incentive system, which allows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the customer.

      • KCI등재

        항공서비스 고객의 가치창출 행동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조직사회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태식 ( Tae Shik Gong ),정정윤 ( Jung Yun Jeong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고객의 가치창출 행동과 고객의 행복의 관계에 고객 조직사회화 정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항공서비스 산업을 비롯한 전반적인 서비스 경제의 발전에 따라서 고객의 가치창출 행동에 대한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고 있다. 고객은 수동적인 구매자가 아니며 능동적인 가치창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가치창출 행동은 고객만족을 넘어서 고객의 행복에 궁극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문헌에서는 알려주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객의 가치창출 행동이 고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중요성을 가지는데, 항공서비스 관리자들이 고객의 가치창출 행동의 효과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항공 서비스 고객의 조직사회화 이론에 근거하여 식별된 세 가지 변수 즉, 고객능력, 역할 명확성, 목표일치성을 고객의 가치창출행동과 고객행동간의 주효과에 대한 조절변수로 개념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객의 능력이란 고객이 자신의 가치창출 행동을 새롭게 학습하고 가치창출자로서의 새로운 도전적인 역할을 자신감이 있게 받아들이는 정도로 정의한다. 역할명확성에 대해서는 고객이 가치창출자로서 자신이 수행해야 만하는 업무에 대한 이해의 정도로 정의한다. 서비스 제공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은 성공적인 고객가치 창출에 필수적이며 이는 경험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그 결과 고객은 역할명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목표일치성이라는 개념은 고객의 개인적인 목표와 가치가 서비스 제공자의 목표와 가치와 일치하는 정도로 정의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와의 목표일치성이 높은 고객은 가치창출행동의 유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항공서비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partial least square(PLS) 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인천공항 출국장에 도착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의 목적을 간략히 설명한 뒤 설문 조사에 참여할 의향을 확인한뒤 설문지를 배포하여 현장에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성실한 설문조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소정의 상품권을 지급하였다. 총 130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인 특성은 남성이 68%이며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의 목적과 관련해서는 사업목적이 40%로서 관광 목적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세 가지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항공서비스 관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고객의 가치창출행동의 유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고객의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자사의 직원과 마찬가지로 고객을 대상으로 한 교육 훈련 활동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역할을 명확하게 인식시켜 주기 위해서는 통합적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장세분화 및 표적화를 통해서 자사의 역량과 목표와 가장 잘 부합하는 고객을 선정하여 고객의 목표 일치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customer ability, role clarity and goal congr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alue creation behavior and customer happiness. Especially, chosen moderating variables are based on custome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ory.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ies, which include the aviation servic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ctive role of customer. In other words, customer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at value creation behavior rather than engage at passive buyer behavior. Furthermore, the literature argues that customer value creation behavior contributes to their own happiness, just beyond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has ignored the investigation of these relationships and more importantly, the role of moderators that relates to this relationship. The investigation on moderators is important because it directly provides managers how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f customer value creation behavior on customer happines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oderating role of custome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uch as customer ability, role clarity, and goal congr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alue creation behavior and customer happiness. This study defines customer ability as the extent to which customers accept their role as value creator, although it could be challenging and requires learning new skills as value creators.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s role clarity as the extent to which customers understand their role as value creators. The successful interaction between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are key to success for customer value creation. The accumulated experiences with service providers will enable customers to gain enhanced role clarity. Finally, goal congruence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customers`` role and service provider``s role are similar in terms of value creation. The customers who share similar value with service providers are more likel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stomer value cre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the customers`` of airline passengers and 130 responses were used for partial least square(PLS) data analysis. Participants were approached and asked to whether they have intention to participate at the survey. Those who show interests in the survey were provided the questionnaire and they filled out it on the desk at the airport. To increase the valid response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 gift certificate.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68% were male and mean age level are 30``s, and the purpose of travel is the business (40%), while the leisure is 60%. The findings show that all three moderators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alue creation behavior and customer happiness, which support all research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First, managers need to train their customers so that customers`` ability could be enhanced. Second, managers might want to modify their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so that customers could have role clarity. Finally, managers need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fit with their targeted customers.

      • KCI등재

        문화예술지원을 통한 공유가치창출의 수리모형

        신형덕(Hyung-Deok Shin),서영덕(Young-Doc Seo),왕연주(Yeun-Ju Wang),이은수(Eun-Su Lee) 한국문화경제학회 2021 문화경제연구 Vol.24 No.1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이 경제적 가치와 동시에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여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주주가치만을 추구하여 사회의 비난을 받는 경영방식이나 그 반대로 사회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주주의 이익을 침해하는 경영방식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기업의 이익을 위해 전략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추구하는 방식과도 차별화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공유가치창출 활동의 다양한 사례는 제시되어 왔던 반면에 이러한 활동을 통해 실제로 창출되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크기에 대한 연구는 제시되지 않았다. 만약 창출되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합이 이 활동으로 인한 기회비용보다 작다면, 즉 사회적 가치 창출을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거나 또는 공유가치창출 활동으로 인해 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이 저하된다면 공유가치창출의 개념은 허상일 뿐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가정 하에서의 수리모형을 제시한다. 분석 과정에서 시장실패 해결의 비용 개념을 도입하여, 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는 세금을 사용하는 정부 대신 기업이 시장 실패를 해결하기 위해 부담하는 비용으로 측정한다. 이 분석을 통해 기업이 경제 적 가치를 창출하는 전제하에, 정부가 세금을 이용하여 시장실패를 해결할 때에 부담하는 비용보다 기업이 공유가치창출 활동을 통해 시장실패를 해결할 때에 부담하는 비용이 더 작을 조건을 도출한 결과, 기업이 본업과 관련된 활동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할 때에 공유가치창출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CSV) suggests a way for a firm to pursue sustainability by creating both economic and social values. This concept has been considered as a cure for shareholders’ selfishness to pursue a firm’s profits at the cost of society, as well as a cure for the government’s anti-market policies to eliminate market failure at the cost of the firm. Also CSV is differenciated from the concept of strateg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n ways that an ultimate goal strategic CSR is not increase social value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various cases of CSV activities of firms, how much economic and social values could be creased via CSV activities has not been mathematically suggested. If the opportunity costs of creating both values are bigger than the benefits, in other words, if governments, using tax, can create social values more efficiently than firms, or if firms should experience inefficiencies in creating social values which is not necessary for their own businesses, the concept of CSV would be just a mirage. This study challenges this issue and suggests a mathematical model to show the conditions that create both economic and social values. To do this, we introduced the costs of market failure as a reference measure, and compared which is more efficient to eliminate market failure between the government(using tax) and the firm(using firm resources). Then we drew the conditions where firms can make both economic and social values more efficiently than the government. We found that, generally, firms are likely to successfully pursue CSV activities when they take ac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ir own businesses.

      • KCI등재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PBL(Project Based Learning)교육설계 - K대학 ‘명예옷장’ 사례 중심으로

        김선아(Sun-Ah Kim),구정호(Jeong-Ho Koo)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캡스톤디자인교과목에서 프로젝트 중심의 교과과정 설계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효과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인류는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이 중요해짐을 밝히고, 이를 위한 인재 양성을 위하여 대학에서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과 수행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기반의 PBL(Project Based Learning) 설계를 통해 ‘명예옷장’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 연구를 통해 각 단계별 활동과 내용이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교육의 유효함을 확인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사회적 가치 창출의 일환으로 Porter의 전략과 평가 모델과 서비스디자인 방법론(Design Thinking)을 이용하여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으로 명예옷장을 설계한 사례를 제시한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명예옷장과 같은 사회공헌프로젝트가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는데 효과적인지를 확인하였다. 단계별 명예옷장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재순환(Recycle) 관련 사회적 이슈를 정의하였다. 둘째, 의류와 잡화를 대상으로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셋째,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여 전체 과정을 진행하였다. 넷째, 프로젝트 결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여 피드백 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결과, 명예옷장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사회적 가치 창출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주제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교과과정과 활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대학의 역할이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투자의 일환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제고할 수 있는 관련 교과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value of social value creation through project - oriente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t K universit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nkind, corporations have expressed that it is important not only to create economic value but also to create social valu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duct curriculum at university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case study of Honors Closet project through PBL (Project Based Learning) design based on social value creation and service design. First, we used Porter’s strategy and evaluation model and service design thinking for case study of ‘Honors Closet’ capstone design project. Second, we surveyed to test the effect of ’Honors Closet’ on creating social value. The process of ‘Honors Closet’ is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facing social issues on recycling to target. Second, we designed the business model to solve defined issues. Third, we implemented full process with developing business model. Fourth,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project and reviewed insights to unlock new value. Finally, we found that th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to the ‘Honors Closet’ had more social value than the others. This is significant that it presents a curriculum and activities to plan and carry out projects based on the theme of creating social value in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에서의 공유가치창출

        전병준(Byung June Chu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4 전자무역연구 Vol.12 No.4

        연구목적: 자본주의가 심화됨에 따라 사회적 문제와 가치창출에 대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공유가치창출의 개념과 전략을 살펴보고 온라인 생태계로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공유가치 창출에 대한 많은 오프라인 기업들의 사례가 있으나 온라인 기업에서의 사례는 많지않다. 사례연구를 통해 공유가치창출이 온라인상에서 기업전략에 미치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사회적 이슈와 문제에 대한 기업의 접근과 인식의 변화를 먼저 찾아보고 이러한 배경 속에 등장한 사회적 가치추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대응방안을 살펴본다. 그 대안으로 등장한 공유가치창출의 개념을 알아보고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전략들을 찾아본다. 이러한 접근방식과 전략들이 실제 온라인 생태계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온라인 생태계에서 주요 기업의 사례를 토대로 조사했다. 사례연구를 토대로 나온 공유가치창출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결과: 공유가치창출전략은 시장에 대한 재정의 및 가치사슬에서의 생산성 향상, 집단클러스터의 형성들을 토대로 실행되는데 온라인에서의 기업들은 비즈니스 모델에 이러한 요소들을 이미 다 포함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사례로 제시된 네이버,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은 비즈니스 모델에서 사회적 니즈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이러한 시장을 토대로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여 시장에서의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였다. 독창성/가치: 오프라인 상에서의 기업들의 공유가치창출 전략과 개념을 소개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온라인상의 기업들의 사례를 가지고 이러한 개념을 적용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향후 기업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공유가치창출의 개념과 전략을 온라인기업에 적용시켜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실현함에 있어서 순서를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사용자와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충족시켜주는데 성공한 온라인 기업은 형성된 클러스터를 통하여 경제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고 그 시장에서의 지위도 공고할 수 있음을 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Purpose: Recently, creating shared value receives much attention from companies that attempt to contribute communities, consumers, stakeholders and relevant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strategy of creating shared value and its applicability to on-line business. Characteristics of on-line business resembles key strategies of creating shared value in off-line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reating shared value and the business model of on-line business, companies in on-line business will cope with future challenge in their environment effectively. Composition/Logic: Creating shared value pursues to meet bo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profitability of the companies by identifying additional value in value chain and creating new business model that benefits both the corporate and consumers and stake holder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nature and strategies of creating shared value. The study identifies examples of creating shared value in on-line business such as Naver and Google. Implications from these examples are discussed for other online companies. Findings: While offline companies pursue profitability in their business process and then include activities that generate social benefits, online companies aim to meet the social needs of users at first and then pursue revenue and profitability later in their business model. The created shared value by online companies provide strong market position for the online companies in the beginning of forming the market. The business model of on-line business and the strategy of creating shared value both share similarities in pursuing both social and economic value. Originality/Value: Traditionally, companies have not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in keeping their business in market. Coping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comes crucial in keeping their sustainability of modern companies. I emphasizes creating shared value as strategic alternatives to cope with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Particularly creating shared value in online is important in establishing new market. Applying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 to the business model of on-line companies is new in its application and important for their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