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의 가족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청도 거주자를 중심으로-

        이애련 ( Aelyeon Lee ),장경 ( Kyung Ja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3

        가족은 사회조직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써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양육되며 개개인의 고유한 성격, 인품을 지니게 되는 인간 형성의 근원적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가족은 가족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을 형성하며,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가족의 적절한 건강관리를 조직하고 건강 활동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가정학연구 중 한국에서 타당화가 검증된 가족건강성 척도(유영주)를 중국(청도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가족건강성 개념의 일반화를 시도하였으며 한국에서연구된 가족건강성 요인이 중국에서도 유효하고, 중국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하였다. 설문지는 한국의 문헌적인 고찰을 중심으로 작성되었으며 중국인에게 조사 실시하였다. 가족의 건강성요인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로 건강성 요인(가족건강성, 가족 존중감, 유대의식, 감사 애정, 정서 가치관, 목표공유, 역할충실, 문제해결능력, 경제적 안정)을 바탕으로 중국 청도사람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한국의 가족건강성 척도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 청도 지역의 성인 1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의 가족건강성 척도 요인과 일치되는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적일치도 검정을 통하여 개별요인들로 구성된 문항과 전체 문항이 신뢰도가 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족건강성과의 분석을 통하여 교육수준, 소득수준, 자녀의 수가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가족건강성의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 수는 적을수록 가족건강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족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남자이거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은 다른 모든 변인보다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건강성의 요인으로 경제적 안정, 사회와의 유대는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감사와 애정, 정서는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척도인 가족건강성를 중국인에게 적용하여 조사한 의미있는 자료이며 이를 통해 중국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국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 건강한 가정생활로 만족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후속연구로는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다른 세부 가족건강성 요인과 생활만족도와의 관련 요인에 관한 것을 제안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ported measure of the health of familiesin China, Korea, health of the famil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amily Health castle was used as a measure of Korea (yuyoungju). This study is a family health scale validation study of home economics in South Korea was applied in China (Qingdao region). The generalization of the concept of family health was attempted. Effective research factors in the health of families in South Korea, China, and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can be a factor in the Chinese life satisfaction. Family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family members to form a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family centered health care organization, and health activities appropriate to perform an important function. Depending on the health of family factors, life satisfaction research on the impact of gender factors in health (health of family, family esteem and Jewish consciousness, thanks and affection, emotional values, shared goals, role enhancement, problem solving skills, economic stability, kind) in Qingdao, China on the basis of human subjects were analyzed. Measure of health of South Korea’s family translated into Chinese adults in Qingdao, China with 196 people surveyed Korea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health of the family of the scale factor at the time of development, consistent with the structure factors were confirmed to ha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family health education, income level, number of children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family health outcome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level is higher sex health, showed that fewer children will be a higher level of health of the family. Effects also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any other variable income or family health sex man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 with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factors affect the health of the family. Family health of this study with demographic variables have a lot of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confirmed the point. This study i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family health healthy measure of home, such as South Korea, whi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health research to assume that enacted the Act should apply to the (family health Castle) Chinese became meaningful data.This study is a meaningful survey data by applying to the Family Health Scale Chinese in Korea. I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eople through this research. In addition, the Chinese immigrant women in turn, benefits were provided an opportunity to live satisfying and healthy family life in Korea. Therefore, further study is based on the measure of family health study in Korea and hope that the Chinese people can be satisfied in a more healthy home life forms in progress.

      • KCI등재

        장애자녀 부모가 인지한 가족건강성 영향요인

        이강훈,신준섭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family strengths in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The factors were categorized in two dimensions, family of origin and parenting environment factors.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ere sampled to conduct a survey. A total of 426 returned survey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rital satisfaction had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amily strengths, followed b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stress. As for the factors of family of origin, self-esteem and strengths for family of origin were transferred between generations and had positive effects. Second, as for the channels of the effects of the main variables for the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on family strengths, the structure of the typical channel was ‘strengths for family of origin → self-esteem → parenting stress → parent-child communication → family strength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family strengths in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장애자녀 부모가 인지하는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요인을 원가족요인과 양육환경요인의 두 개 차원으로 분석하여 장애자녀가족의 가족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개입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지회의 62개 장애인부모회 회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거한 총 426부의 설문자료에 대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가족건강성에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인 변인은 결혼만족도로 분석되었으며, 부모·자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낮은 양육스트레스 역시 가족건강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세대 간 전이된 원가족건강성 변인들도 가족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원가족건강성→자아존중감→양육스트레스→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가족건강성’으로 분석되었다. 양육환경요인 역시 전이된 원가족의요인과 함께 다차원적 경로를 통해 가족건강성에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장애인가족의 가족건강성의 향상과 세대 간 전이되는 부정적 요인의 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송인숙 ( In Sook Song ),홍달아기 ( Dalahgi Hong ),박현성 ( Hyun Sung Park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학생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가족건강성변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은 가족원 존중, 유대의식, 감사ㆍ애정, 긍정적 의사소통, 가치관ㆍ목표 공유, 역할 충실, 문제해결 능력, 경제적 안정, 사회와의 유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성별, 가족형태, 부모의 결혼상태, 주관적 경제수준 등의 변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일반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을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가족건강성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이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한다는 다른 연구결과[11, 40, 43]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가족건강성의 차이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는 조사대상과 연령집단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가족형태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핵가족과 별거가족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가족건강성의 지각점수는 핵가족, 확대가족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핵가족이 가장 높고 별거가족이 가족건강성을 가장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건강성은 가족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유의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별거가족 집단이 가족건강성을 낮게 지각하는 것에 대한 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관적 경제수준도 높은 유의수준을 보였으며, 상집단과 중·상, 중집단, 중·하집단 등 세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하집단과 상집단간 차이가 있으리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하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하집단이 오히려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에 대해 가족건강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 경제수준은 자신이 자신의 상황을 어떻게 받아 들이는가의 주관적 인식이 중요함을 말해주며 상집단에 가까울수록 상대적 빈곤감을 더 느끼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일반 배경변인에 따른 행복감을 살펴보면 성별과 주관적 경제수준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행복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남학생이 가족 건강성도 높았고 행복감도 더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보면 남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갖는 것으로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행복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외국의 선행연구[1, 2, 34]에서는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행복 또는 만족도에는 성차가 없었다는 연구와는 비교되는 결과이다. Kim[12]은 연령자체가 심리적 적응을 좌우하는 변인은 아니지만, 개인이 처해있는 발달단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서 대학생 시기의 진로에 대한 많은 갈등을 고려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주관적 경제수준은 대학생의 행복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Park[37]에서도 사회ㆍ경제적 지위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인 정서인 행복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이 지각하는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으나, 주관적 경제수준을 가장 낮게 지각한 하집단은 중·상집단의 수준과 유사한 점수를 보여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면 중집단과 중·하집단 보다 행복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집단은 경제수준에 대한 기대치를 높게 갖지 않지만 중이나 중·하집단은 상 집단을 향한 기대치와 상대적 빈곤감을 더 많이 느끼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족건강성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족소득수준이 높은 여성가장들의 심리적 안녕이 높다고 한 연구Simons[42]와 Umberson[46]의 결과도 있어서 소득수준은 심리적 안녕과 긍정적으로 관련되는데 이는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가족건강성은 행복감과 관계가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을 설명한 총 설명력은 33.5%로 파악되었다. 가족건강성(β=.579, t=13.177, p<.001)이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말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본 연구의 제안 및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에게 행복감을 주는 중요한 가족건강성의 요소는 사회와의 유대, 가치관과 목표공유, 긍정적 의사소통임을 감안하여 교육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성별에 따라 느끼는 행복감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주관적 경제수준에 의한 결과를 볼 때 행복이란 상대성을 갖고 있으므로 스스로 긍정적인 가치관과 기대를 갖게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를 전라북도지역의 4년제 대학생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대학생에 대한 내용으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는 어렵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은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인성특성을 포함한 사회 심리적 변인, 다양한 가족생활변인 등을 포함한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many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with different lifestyles and have different priorities, their ultimate life goal is to pursue ‘happiness’. Hence, this research surveyed the level of happiness caused by family strength a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demographical variabl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ollabuk-do reg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family strength with a general background,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Second, happiness caused by a general background value shows that male students perceived both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more than female students. Third,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areas, meaning that high scores in family strength are related with high scores in happiness. In addition, especially when the sub-factors of family strength, view of value, object-sharing, and social solidarity had high scores, the happiness scores were higher.

      • KCI등재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양남희,홍은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mily strength and career maturity,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family strength,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as subjects. A total of 1,0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8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In respect to general tendency of family strength and career maturity, the score of family respect was the highest, 3.59, followed by 3.56 of gratitude and affection, 3.54 of problem shooting ability, economic stability, faithfulness to role, emotional bond, positive communication and goal sharing. The score of emotional bond with society was the lowest, 2.90. The score of family strength was 3.36, which was the intermediate level. As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the score of relevancy was 3.40, and that of tendency was 3.17, followed by that of independence and compromise. The score of determination was the lowest, 2,75. A total score of career maturity was 3.05. Family strength was marked highly by the girls students studying humanities, and religious ones. Those whose parents have high education and no-divorce background also showed high scores.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economic levels and long-married par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high school students with poor economy levels and single parents. Students with parents who have professional jobs also marked high scores. Career maturity degree as a background variab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llowing cases: In terms of religious background, students whose mother are buddhists or atheists marked high scores. High scores were marked by those whose parents have higher education and no-divorce backgrou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iddle class and over and long-married parents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degree than high school students with poor economy levels and single parents. Students with parents who have professional jobs also marked high career maturity degree. While career maturity degree, which is subjected to family strength, showed very different results when analysed with 5 sub-variables. As family strength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to career maturity degree, higher family strength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degree. Especially, in the areas of relevance and tendency of career maturity degree, the effects of positiveness was clearly high. 본 연구는 고등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1, 2, 3학년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3일-11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00부를 배부하여 부실자료를 제외한 858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은 아홉 가지 가족건강성 하위영역 중 가족에 대한 존중이 3.5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감사와 애정정서, 가족 간 문제해결능력, 가족 경제적 안정, 역할의 충실도, 유대의식, 긍정적 의사소통과 가치관목표공유의 순이었고, 사회와의 유대의식은 2.90으로 가장 낮았다. 총 가족건강성은 3.36으로 중간 정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관여성이 3.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성향성, 독립성, 타협성의 순이었으며, 결정성이 2,75로 가장 낮았다. 총 진로성숙도 점수는 3.05이었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은 여학생이, 인문계고교 학생이, 부모와 본인 종교가 있을 경우, 부모의 학력이 대체로 높은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은 초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길수록,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친조부모와 외조부와는 비동거시,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어머니나 본인의 종교가 없거나 불교인 학생이, 부모의 학력이 대졸인 경우, 부모의 결혼유형이 초혼이거나 재혼인 경우, 경제수준이 중간 이상인 경우, 부모결혼기간은 11년-30년 사이인 경우, 부모와 동거하는 학생이, 친조모와 외조부와 동거하지 않는 학생이,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가 하위영역에서는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였지만 가족건강성은 총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어서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관여성과 성향성에서 그 효과는 더욱 명백하였다. 반면 조사대상 학생의 평균점수가 중간점수 미만이었던 결정성과 타협성은 가족건강성이 낮은 학생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독립성은 가족건강성이 높은 학생이 가장 낮았고 가족건강성이 중간인 학생이 가장 높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김인숙(In-sook Kim) 국제차문화학회 2018 차문화ㆍ산업학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하여 대학생이 가족들의 이해와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먼저 문헌연구와 욕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자신의 가족을 이해할 수 있고, 가족에게 억압되어 표출되지 못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나아서는 가족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요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P시 소재 T대학교 대학생 20명 대상으로 하여 총 8회기로 회기당 90분으로 도입 10분, 개입전개 활동 70분, 소감나누기와 정리 10분으로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측정도구 점수차이에 대한 윌콕슨 부호-서열 검정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전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점수 평균은 74.4(SD 4.65)였고, 프로그램 참여 후 가족건강성 점수 평균은 76.8(SD 3.83)로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의 가족건강성 점수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가족을 이해하고 가족건강성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향후 대학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층에게 청소년, 성인, 노인 등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하여 가족건강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가족 내 관계소통을 증진시키므로 원만한 가족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apply a tea culture therap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families and to communicate friendly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families, and to verify the effect. For this reason, in this research, we first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and desire survey to develop a tea culture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families. As a result, a program that allows colleg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families, express emotions that were not repressed by their families, and can form a healthy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ies after tea culture therapy program Requested the composition of. Based on this, it consisted of a total of 8 sessions of tea culture therapy programs to improve the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0 college students in P city Material T university, with a total of 8 sessions in 10 minutes for introduction in 90 minutes for each session, 70 minutes for intervention development, 10 minutes for impression and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 culture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family health of college students A Wilcoxon signed-sequence test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family health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average health score of the university students family s health befor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as 74.4 (SD 4.65). After joining the program, the average of the family health score was 76.8 (SD 3.83) befor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level of family health after participation.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family members of college students and improving the health of their families, so it is important for young people, adults, It applies to various subjects such as the elderly and helps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family and promotes communication of my family relationship so I hope to contribute to forming a familiar family relationship.

      • KCI등재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신연희,전영실,김영식 한국교정학회 2008 矯正硏究 Vol.- No.40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prisoners' family strength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6 male and female inmates incarcerated in pris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ucture factors(the stability of marriage, the extent of family contact), family quality factor(family relation), and social demographic factors(sex,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punishment factors(experience of incarceration, period of incarceration) are analyse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family strengths of inmates are related to sex, education, economic condition,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duration mostly. The main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female prisoners, the lower educated prisoners, the poor families, incarceration experience, and the longer separation from family shows negative to the family strengths. Second, according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family strengths, the specific approach based on sex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for prisoners and their families who are in lower socio-economic conditions to enforce family strengths. Finally, the strengths of prisoners' families will be effective to enforce the family quality rather than family structure. 본 연구는 수용자 교화 및 관리에서 가족건강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연구로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 가족건강성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혼 남녀수형자 556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용자의 가족건강성을 가족의 구조(혼인관계 안정성, 가족과 접촉정도)와 가족의 질적인 면(가족관계)으로 정의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이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및 형관련 특성(입소경력, 복역기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질적인 면에서 모두 수용자의 성별, 교육수준, 가족의 경제적 수준, 입소경력, 복역기간 등과 대부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견사항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혼인관계가 안정적이지만 가족과의 접촉 및 가족관계에서 더 부정적이며, 수용자의 교육수준이 낮거나 가족이 빈곤한 경우, 그리고 입소경력이 있거나 시설 수용으로 가족과 분리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건강성의 구조적·질적인 면 모두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있어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가 많아 가족건강성 강화정책은 수용자의 성적인 특수성에 기반하여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수용자와 그 가족이 가족건강성에 관한 우선적인 정책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수용자 가족의 건강성은 구조적인 면보다는 가족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는데 보다 비중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가족건강성 수준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노은영,권현용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dentify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and Stress Coping Behavior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for middle-aged women. For this study, a random sampling survey of 600 middle-aged women aged 40 to 59 in the capital area was conducted and the final 502 copies of them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unfaithful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 of family strength of middle-aged women with stress cop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strength ha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blem-oriented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focused coping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ed by problem-oriented coping, and family strength. Second, in the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stress cop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 ased on the level of f amily strength f or m id de-laged w omen, problem-orient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made a big difference. Thir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stress coping behaviors, whereas family strength was correlated. In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and stress coping behavior o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in high-family strength groups, emotion-focused coping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ed by problem-oriented coping and family strength and emotion-focused coping but, in low-family strength groups, problem-oriented coping more, followed by emotion-focused coping.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가족건강성 수준에 따라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40∼59세 중년기 여성 600명을 대상으로임의표집 방식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50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가족건강성은 심리적 안녕감과 문제지향적 대처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중심적 대처, 문제지향적 대처, 가족건강성순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가족건강성 수준에 따른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문제지향적 대처와 정서중심적 대처, 심리적안녕감에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을 수준별로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이 높은 집단은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대처행동 간에 상관이 없는 반면 가족건강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족건강성이 높은 집단의경우, 정서중심적 대처, 문제지향적 대처, 가족건강성 순으로, 가족건강성이 낮은 집단은 문제지향적 대처, 정서중심적대처 순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직업군인 아내들이 인식한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미은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군사회복지학 Vol.6 No.2

        본 연구는 직업군인 아내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심리내적 특성, 그리고가족관계 특성이 가족건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가족건강성 수준은 기존 선행연구들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조금 더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즉 고졸이하 보다는대졸 이상의 경우와 건강이 약한 상태보다는 좋은 편이라고 인식하는 경우에 가족건강성이 높았다.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건강상태 변인이, 직업적 특성에서는 전체 가족과의 동거여부가 영향을 미쳤다. 심리내적 특성에서는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그리고 가족관계 특성에서는 결혼만족도, 군인가족의 자부심, 가족문제 인식이 영향을 미쳤다. 즉, 조사대상자들이 건강상태가 좋은 편이라고 인식하고, 전체 가족과 동거하지 않고, 우울하지 않고,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결혼만족도와 군인가족으로서의 자부심이 높고, 가족문제의 심각성이 낮을수록 가족건강성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군인가족의 가족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아동의 가족 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8 No.-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어촌 아동들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에 의한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두 지역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좀 더 나아가 지역적 요소를 변인으로 넣어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아동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환경적인 측면이 아동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지역적으로 비교분석을 하기 전에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만족도,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어떠한 변인보다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regions centered arou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the cities and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of children in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validated. Also,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child's family health resilience and self to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Put variables as local factors, local cities and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of school children by comparing the life satisfaction, environmental aspects a little further about how it affects children were examined. Before compared to the regional analysis of the child's family health and self-resilience, school satisfaction, i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family health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ego resiliency and school satisfaction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than any variables it has an impact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presented.

      • KCI등재후보

        가족관광이 가족건강성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윤정헌 동북아관광학회 2013 동북아관광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가족관광의 참여가 가족건강성 및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 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족관광참여는 가족건강성에 영향 을 미치고, 가족건강성은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광참여와 공동체의식 사이에서 가족건강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첫째, 가족관광은 가족구성원들 간의 내면적인 관계구축을 통한 건강한 가족형성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둘째, 가족관광을 통하여 구축된 가족건강성은 부모는 물 론이고 자녀의 공동체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가족관광은 공 동체의식을 구축하는 사전 학습과정임을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가족관광에 많 이 참여하는 사람은 더불어 사는데 필요한 사고와 행동을 자연스럽게 습득함으로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건전한 시민이 될 가능성을 높여줌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가족 관광과 가족건강성 및 공동체의식의 메카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가족건강성을 확 보하여 생동감 있는 가정, 행복한 가정, 잠재력 있는 가정을 구축하고 나아가 보다 넓 은 사회의 공동체의식을 강화하고 싶다면, 그 실마리를 가족관광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가족관광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요청된다는 점이다. 정 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가족관광이 가족건강성 및 공동체의식 강화에 유용하다는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한정하지 말고, 가족관광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복합적 효과에 주목 하여 다양한 가족관광 촉진정책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