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노농운동

        최보민(Bomin Choi)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4 동국사학 Vol.80 No.-

        이 글의 목적은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과 노농운동을 설명하는 것이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3년 3월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 전반을 관장하고 새로운 공산당 결성을 담당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려총국의 국내 조직이다. 1923년 3월 설립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서울을 비롯한 각 지방에 세포단체를 마련하며 조직화를 진행했다.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에서 두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반도 남부지방에 집중적인 조직화 활동이 전개됐다. 두 번째는 조직화 사업의 주요 대상이 각 지역 노농단체였다. 이러한 특징은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은 국내의 무산계급에 기반을 두고 전개해야 한다는 지침을 전달한 1922년 12월 코민테른 결정서에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조직화 활동을 통해 획득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1923년 9월 전국적 노농단체 연합체인 ‘조선노농총동맹’ 결성을 시도했다. 그러나 식민권력의 강력한 압박으로 실패했다. ‘조선노농총동맹’ 결성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4년 1월부터 남부지방의 노농단체를 중심으로 연맹체 결성을 추진했다. 이때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선 단결론’을 주장했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을 통해서 서울파 공산그룹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자신들의 주요한 세력 기반이었던 한반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운동을 전개하려고 했다. 또 고려총국 내지부의 ‘남선 단결론’은 그들의 조직결성 정책, 코민테른과의 관계, 소작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운동론 등에 영향을 받았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에 기반해 1924년 3월 8일 대구 노동공제회 회관에서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 결정된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전조선노농단체 연합에 관한 것이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도 고려총국 내지부 관계자를 중심으로 ‘남선 단결론’이 제기됐다. 남선노농동맹은 창립총회 이후 곧바로 전국의 노농단체 연합을 위한 교섭위원회를 결성하고 서울파 공산그룹을 강하게 압박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in 1923-24,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Farmer-Labour Movement.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was the domestic organization of the Korean General Bureau, created in March 1923 to oversee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and to take charge of the formation of the new Communist Party. After its establishment in March 1923,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organized itself by establishing cell groups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Two characteristics can be seen in the organization of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The first is that organizing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is that the main targets of the organizing work were local farmer-labor organizations. These featur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mintern Decision of December 1922, which directed that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should be based on the domestic working class.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used the networks it had gained through its organizing activities to attempt to form a nationwide feder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in September 1923, but it failed due to strong pressure from the colonial power. After the failed attempt to form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promoted the formation of a federation centered on farmer-labour organizations in the southern provinces from January 1924. At this time,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advocated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centered on the southern provinces. Through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sought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Seoul Communist Group and develop a movement centere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their main base of power.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s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also influenced by their organizational unity polic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mintern, and their movement theory, which emphasized the issue of sharecropping.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held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Korean Farmer-Labour Confederation on March 8, 1924, at the Daegu Labor Mutual Aid Society Hall based on the South Korean Unity Theory.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s made at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was to unite farmer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t the founding meeting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raised by officials from the Goryeo General Bureau.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immediately formed a bargaining committee for the unific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fter the founding meeting and put strong pressure on the Seoul Communist Group.

      • KCI등재

        고려 14세기 지장시왕도의 도상 연구

        김승일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1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unique elements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that appeared in the paintings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in the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and how these elements are inherited by later Buddhist paintings. The faith in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was widespread not only in Goryeo but also in China and Japan, especially, in case of Goryeo, besides the inflow of scriptures from China, this reflected the chaotic social aspects of the late Goryeo Dynasty, such as infectious diseases, natural disasters, and Japanese invasion. In this background, the iconography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in the Goryeo Dynasty emerged, this was originated from Chinese paintings from Sichuan or Dunhuang. In particular, the one-width picture form appears in Dunhuang during the Five Dynasties of China, and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a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Kings appears on a separate picture in a form of a set. The picture of this set form was considered of enshrining in large scale buddhist temple. On the other hand, Goryeo's image,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paintings maintains a relatively small scale and only one picture unlike China's. This apparently because it was designed to enshrine it in a small temple for the private use of a hereditary peer, the ruling class of Goryeo. The narrowness of the burial site and the limitation of the canvas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with most of the pose of deity being expressed as standing figures. In addition, a painting of Ksitigarbha and Ten Kings in Goryeo were added special figures such as the Four Devas, Indra and Brahma, and some of the image were transformed or shared with other Goryeo buddhist painting, leading to the emergence of Goryeo's own unique painting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s in this Goryeo's image, most of them are also inheri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s buddhist painting. Also this is relatively evident in Buddhist paintings produc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refore, from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ion patterns of these paintings, the importance of the Ksitigarbha and Ten Kings of Goryeo can be confirmed in that it shows the uniqueness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different from China and clearly confirms the connection with Joseon Buddhist paintings 본 연구는 고려 14세기 지장시왕도의 도상에서 나타나는 고려불화의 독자적인 요소와 이러한 요소들이 이후의 불화들에 어떻게 계승되는지 현존하는 작품들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장보살과 시왕에 대한 신앙은 고려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널리 성행하였는데, 특히 고려의 지장·시왕신앙은 중국으로부터의 경전 유입 이외에도, 전염병과 자연재해, 왜구의 침입과 같은 고려시대 말기의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등장한 고려의 지장시왕도상은 사천과 돈황의 사례에서도 보이듯이 중국의 도상을 연원으로 하고 있다. 특히 한 폭으로 구성된 지장시왕도는 중국 오대시기 돈황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남송시대에는 지장보살과 시왕을 별도의 화폭에 그려 마치 하나의 세트처럼 구성하는 형식의 그림이 등장한다. 이와 같은 세트구성의 그림은 대규모의 전각에 봉안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고려의 지장시왕도는 이와 같은 중국 지장시왕도의 도상을 연원으로 하면서도, 중국과 달리 비교적 소규모의 한 폭 구성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고려의 지장시왕도가 주로 고려사회의 지배층이었던 권문세족 개인 용도의 작은 원당에 봉안할 목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봉안장소의 협소함과 화폭의 제한은 지장시왕도의 존상들이 대부분 입상으로 표현 되는 등 도상의 구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뿐만 사천왕·제석·범천과 같은 특수한 도상이 추가되고 일부 도상이 변용되거나 다른 고려불화와 공유되는 등, 그 과정에서 고려의 독자적인 지장시왕도의 도상이 나타나기에 이른다. 이러한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의 도상은 비록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고묘지(光明寺)본 <지장시왕도>나 고쿠분지(國分寺)본 <지장시왕도>와 같은 조선 전기 지장시왕도에도 대부분 계승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홍천 수타사 소장 <지장시왕도>의 사례와 같이 임진왜란 이후 제작된 조선 후기 불화에서도 비교적 잘 나타난다. 이와 같은 도상의 특징과 계승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고려의 지장시왕도는 중국과 다른 고려불화의 독자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불화와도 연결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다.

      • KCI등재

        현대 고려인 민속문화의 형성과 체계

        강정원(Jeong Won Kang) 한국민속학회 2021 韓國民俗學 Vol.74 No.-

        이 논문은 현대 고려인 민속문화의가 형성되어 온 과정을 설명하고 민속문화를 유지하는 체계와 구조를 음식상을 통해서 파악하며, 그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자 한다. 고려인들의 민속문화는 이주 · 정착의 역사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고려인들은 1860년대 초반에 조선에서 러시아로 처음 이주해 갔고, 1910년대까지 약 10만 명 정도가 러시아 연해주를 중심으로 살았다. 소련이 성립된 이후에 고려인들은 집단화 정책 등에 적응하면서 생활하다가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하게 되었다.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이후에는 연해주와 달리 광대한 중앙아시아 전역에 산재하여 거주하게 되었다. 공동으로 생활하는 집단의 규모가 적어지게 되어서 민속문화에도 일정한 변화가 생겼다. 1950년대 후반에 거주제한이 풀림에 따라 도시로 이주하거나, 중앙아시아 내의 여러 국가 사이에서 이동하며 살았다. 1990년대 초반 소련이 붕괴되었고 고려인들은 소련시민에서 중앙아시아 각 국가의 국민이 되어 각 국가의 소수민족으로 살고 있다. 고려인들의 민속문화는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하면서 그 이전에 유지해 온 기본 체계에 큰 변화가 생겼고, 소련의 민족정책과 민속정책에 의해서 봉건적이라고 낙인찍힌 여러 민속문화는 소멸되었고, 남은 민속문화도 형식만 남은 경우가 많았다. 형식은 민족적이고 내용은 사회주의적이어야 했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로 이주해 온 이후에 고려인 민속문화에서 핵심을 이룬 것은 일생의례와 조상숭배와 관련된 세시의례, 조상제사 등이었다. 이는 넓은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 내혼을 유지하고 친인척 사이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데에 중요한 관계로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인들의 일생의례는 음식상으로 상징화되는데, 돌상과 혼례상, 환갑상, 제사상으로 구성된다. 돌상과 혼례상은 부모가 자식에게 차려줄 의무가 있고, 환갑상은 자식이 부모에게 차려주어야 한다. 제사상은 후손이 조상에게 차려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음식상은 음식상 위에 올라가는 음식들의 체계와 구조를 통해 상징적으로 유지되며,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일생의례 음식상으로 상징되는 민속문화는 고려인들의 민족 경계와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지속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the development history of folk culture among ‘Koryoin’ in Central Asian countries and analyzes the system and structure of folk culture focusing on the food table.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lk culture theory. The formation of the ‘Koryoin’ folk culture in Central Asia under the USSR’s national policies will also be explained. The folk culture of ‘Koryoin’ was formed from the late thirties in Central Asia. The Koreans in the far eastern region of the USSR lived with the traditional folk culture. After deportation, things got worse for maintaining folk culture. They lived in the many scattered Kolkhozes in the vast Central Asia region. In these circumstances, folk culture has changed. The USSR had national policies to oppress the feudal culture and forbid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and rituals. The modern folk culture of Koryoin formed from the oppression from the thirties to the seventies. The daily rituals and ancestor worship rituals have survived and the basic systems of foods have continued till now, because they can support the maintenance of the boundaries of the ‘Koryoin’ nation. The traditional folk cultures of Koryoin help identity intensification. ‘Dolsang’, a food table laid in celebration of a baby’s first birthday, and a table for wedding banquets, ‘Hwangabsang’, a food table for those celebrating their sixtieth birthday form a system of food tables. This is the basic structure of the folk culture of ‘Koryoin’ in Central Asia. For the ‘Koryoin’ these food tables must be served if possible. They come to Southkorea to get the money for the food tabl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Parents have to serve up a ‘Dolsang’ and a table for weddings, on the condition that children have to serve a ‘Hwangabsang’. Parents and children maintain a relationship of reciprocity.

      • KCI등재후보

        고려인 공연예술 단체의 독립 이후의 활동과 민족 정체성

        정형호 무형유산학회 2021 무형유산학 Vol.6 No.2

        이 글은 독립 이후의 중앙아시아 고려인 공연예술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공동체적 성격과 민족정체성에 대한 현장론적 접근이다. 대상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의 주요 도시의 고려인으로 한정하고, 일부 연해주 고려인도 포함했다. 조사 시기는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공연예술단체는 전문적, 비전문적 단체를 두루 포함하고 있다. 민족정체성에 대한 접근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 글은 가무악 중심의 공연예술단체를 대상으로 주요 레퍼터리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고려인들이 소수민족으로서 살아가면서 어떻게 문화적 대응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문적 예술단체 중에 고려극장은 역사성과 영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단체이기에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초기에 주요 공연 레퍼터리는 한국의 판소리계 소설이나 고소설 계통, 전설의 작품화 등이 두드러진다. 근래에 고려극장은 과거의 보수성을 극복하고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 작품이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핵심 작품은 여전히 공연되고 있다. 다른 전문적 공연단체는 고려극장처럼 종합예술성보다는 대체로 무용을 중심으로 음악을 가미하는 방식으로 공연활동을 하며, 한국춤, 북한춤, 소수민족춤이 망라된다. 비전문적 고려인 공연단체는 주로 60세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합창이 주류를 이루고 율동이 가미된 공연방식을 위주로 한다. 노래는 고려인 창작곡, 연해주 고려인 노래, 북한 노래, 전통민요와 신민요, 한국의 대중가요, 창작곡 등으로 다양하다. 이들은 고려인의 전통적 세시명절을 중심으로 공연활동을 하며, 또한 매년 경연을 통해 선의의 경쟁을 하며 기능을 높이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상호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념을 초월한 남북 관련 예술단체 구성원의 교류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소공동체적 성격을 유지하면서 노래말을 통해 모국어를 습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고려인들은 소수집단으로 살아가면서, 동화주의나 분리주의를 거부하고 어느 정도 민족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주류사회에 적응하고 있다. 그러면서 폐쇄적이지 않고, 타민족의 예술을 적극 수용하고, 한국의 대중문화도 받아들이고 있다. 이들은 공연예술 활동을 통해 상호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으면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한다. 그리고 모국어를 습득하면서, 소공동체 생활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 KCI등재

        근대 미국의 고려청자 Collection 형성과 연구 성과의 의미

        김윤정 ( Kim Yun-je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6

        고려청자가 미국으로 유입되는 시기는 대체로 1882년 조·미 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이후이며, 1900년대 이후에 양질의 고려청자가 미국에 대거 유입되면서 Collection이 집중적으로 형성되었다. 유입 방법은 왕실에 외교적·정치적으로 기여한 미국인에게 선물로 주는 경우, 미국인들이 직접 수집한 민족지학적 조사물로 유입된 경우, 유통·매매되는 상품이나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가의 소장품으로 유입되는 경우 등이 확인되었다. 미국내 고려청자에 대한 인식과 연구는 1900년대 후반에서 1930년경까지 집중적으로 보이는데, 대체로 개인 소장가들의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미국내 동양 도자 연구자들이 개인소장들의 고려청자 컬렉션 통해서 우수한 품질의 고려청자를 직접 실견하면서, 기형·문양·유색 등에서 중국이나 일본 도자와 다른 독창적인 조형성과 발전된 제작 기술에 대한 글과 의견이 대두되었다. 실제, 미국내 고려청자의 경제적 가치가 1920년대 후반에는 5배에서 10배까지 수직 상승하였고, 고려청자의 소장 가치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보스턴미술관 학예사 Langdon Warner가 1911년에 일본에서 구입한 41점의 고려자기 중에 인종 장릉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되는<청자유개통형잔>이 확인되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인종 장릉 출토 고려청자를 구입한 시기가 1916년이기 때문에, 인종 장릉이 도굴된 시점은 적어도 1911년 이전이며, 더 많은 부장 유물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도 가능하다. 이러한 새로운 자료는 당시 구입 서류에 기재된내용을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근대 미국에 유입된 고려청자 연구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고려청자가 민족지학적 관점에서 수집되던 조사물에서 예술적 가치를 지닌 고가의 수장품으로, 학문적 연구 대상으로 변화하면서 한국도자에 대한 근대 미국의 인식을 바꾸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다. 이러한 분위기는 1910년대에서 1930년대 초까지 이어졌지만 그 이후에 점차 고려청자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새로운 컬렉션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더 이상 고려청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This text contemplated the chronology and method of influx of Goryeo Celadon into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matter of how such wares were understood and researched. Additionally,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letters, invoices, articles, etc. pertaining to the purchase of Goryeo Celadon by museums or private collectors, new information was presented regarding the purchasing process and periodical change in economical value of such wares, material crucial to the research of 12th century Goryeo Celadon. Most Goryeo Celadon entered the United States after the signing of the 1882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But it was not until after the 1900`s that the influx of high-quality Goryeo Celad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between the years 1910 and 1920, Goryeo Celadon was actively amassed to form the first substantial collections in America. The wares were obtained through various methods, one of which included the bestowing of Goryeo Celadon as a gift from the royal family to American individuals with important diplomatic/political ties to Korea. Goryeo Celadon was also directly procured by American scholars intending to study the wares as objects of ethnographic research. Lastly, Goryeo Celadon was also circulated and sold as a commercial object as well as acquired by museums or private collectors. Awareness of and research on Goryeo Celadon in America was most concentrated from the mid-1900`s until about 1930, a period that also experienced active assembly of private collections of the ware. These private collections gave American scholars specializing in Asian ceramics the opportunity to directly study Goryeo Celadon of superior quality, and therefore conclude that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shape, decoration, and glaze color from that of Chinese or Japanese Celadon. It follows that scholars increasingly presented research and opinions clearly discerning Goryeo Celadon and its unique form as well as its innovative production technique from the wares of China and Japan. In terms of economic worth, the price of Goryeo Celadon in America increased by five and even up to ten times more during the late 1920`s, and as a consequence, the value and practice of maintaining high-quality Goryeo Celadon in private collections experienced growth accordingly. Of noteworthy attention is the < Celadon cylindrical cup with lid >, one of the 41 pieces of Goryeo Celadon purchased in 1911 in Japan by Langdon Warner, curator of the Harvard Fogg Museum. Documents concerning the piece indicate that its provenance is thought to be the Royal Tomb of King Injong. Because Goryeo Celadon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Injong was purchas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 in 1916, and the tomb was not looted anytime after 1911, it is possible that this particular piece was one of many to have been found at the site in the years between. This example not only demonstrates what new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examination of such records, but also makes a strong case for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regarding Goryeo Celadon in Modern America. Conclusively, Goryeo Celadon was regarded in a number of different manners from object of ethnographic research to costly item of high artistic value amassed in collections and finally, subject of scholarly research on Korea. Thus, Goryeo Celado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every contex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nd change i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eramics in Modern America. This transformed perception persisted from the 1910`s up until the early 1930`s. However, this relatively short period was followed by an exponential increase in the ware`s value, making it progressively difficult to form new collections and in the process, halting the once growing interest in and research on Goryeo Celadon.

      • KCI등재

        고려중기 고구려계승의식의 변화와 ‘句高麗’

        윤경진(Yoon, Kyeong Jin)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2 No.-

        이 연구는 고려중기에 고구려를 가리키는 새로운 국호로 ‘句高麗’가 출현하는 배경과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고려는 고구려와 자신을 일체로 인식했으며, 시간 선후에 따라 ‘前高麗’와 ‘後高麗’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해 ‘구고려’는 고구려계승의식을 유지하면서도 별개의 나라로 인식하는 변화를 반영한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 가장 큰 이유는 고려의 영토가 압록강으로 제한된 것이다. 고려는 거란에 사대를 받아들이는 대신 압록강 동쪽 지역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았다. 그런데 이것은 거란이 내려준다는 명분에 따른 것이었다. 이에 고려는 요동 중심의 고구려와 압록강 동쪽의 고려 자신을 구분하게 되었다. 그리고 고유 영토를 규정하는 역사적 준거로서 고구려 대신 箕子의 分封을 채용하였다. 또한 숙종 때 南京을 설치하면서 삼한일통의식이 강화되었다. 이전에는 고구려의 연장인 고려가 신라와 결합하여 삼한의 일통을 이루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이후 고구려는 고려의 출발을 표상할 뿐이며 삼한의 일통은 신라를 배제하고 온전히 고려에 의해 달성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로 인해 고구려와 고려의 구분도 뚜렷해지게 되었다.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emergence of "Gugoryeo" as a new country name referring to Goguryeo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The Goryeo dynasty recognized itself as one with Goguryeo and depending on period, distinguished them into "Former Goryeo(前高麗)" and "Later Goryeo(後高麗)". In this regard, the word "Gugoryeo" reflects change of perception thinking Gogureyo as a separate country while maintaining its consciousness of succeeding Goguryeo. The biggest reason for this change was that Goryeo"s territory was limited to the Yalu river. In return for accepting submission to the Khitan, Goryeo was recognized its right to the east area of the Yalu river. However it was based on a pretext which Khitan gave. Because of it, Goryeo started to distinguish itself, east of the Yalu river, from Goguryeo, Liaodong-centered. And instead of Goguryeo, Goryeo utilized enfeoffment by Kija as a historical criteria defining its own territory. Also the "Three Hans were One" notion(三韓一統意識) was reinforced as Namgyeong(南京) was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 Previously, it was Goryeo"s thought that as Goryeo which was the extension of Goguyeo combined with Silla, Three Hans" unification was fulfilled. However, the thought changed into that Goguryeo represented just the beginning of Goryeo and Three Hans" unification was absolutely achieved by only Goryeo, excluding Silla. This also made the distinction between Goguryeo and Goryeo apparent.

      • KCI등재

        高麗와 唐ㆍ宋의 奸非法 비교

        김현라(Kim, Hyeon-Ra) 부산경남사학회 2015 역사와 경계 Vol.97 No.-

        高麗와 唐·宋율령의 비교분석은 고려율령의 특질을 파악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특히 율령은 국가질서를 가리키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양천질서와 가족질서이며, 이를 규정하는 여러 법률 가운데 하나가 奸非條이다. 간비조는 범간, 가족, 지방관, 특수신분, 노주상간, 양천상간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각 왕조의 국가질서의 일면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세 왕조의 간비조의 비교는 당의 『唐律疏議』, 송의 『慶元條法事類』, 고려는 『高麗史』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려는 조문의 구성이나 내용으로 볼 때, 당·송과 비슷하였다. 즉, 범간조와 감림주수관조 등은 당과 같았고, 특수신분인 승려의 간통은 오히려 당보다 더 가혹하였다. 반면 노주상간의 경우 존장 여부를 구분하는 면에서는 고려와 송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고려의 경우 간음죄에 대한 법정형과 실형이 달랐다. 즉 법정형은 도형이지만 실형은 대부분 유배형이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것은 고려가 송율의 절장형의 형벌체계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한편 고려와 당·송의 간음죄의 큰 차이는 바로 범간에 대한 처벌방법이었다. 당과 송 그리고 고려는 相容隱律을 시행하였다. 따라서 당의 경우 동거하거나 대공친 이상의 친족을 제외한 다른 사람이 남녀의 간통 또는 강간의 체포 또는 구금이 가능하였다. 송은 동거하는 시마친 이상의 친족과 이거하는 시마존장을 제외한 이들이 간음죄를 고발할 수 있었으나, 부부의 경우 남편만이 부인의 간통을 직접 고소해야 범죄가 성립되었다. 고려는 대공과 소공, 그리고 시마친 이상의 존장을 상용은율의 대상으로 하지만 실례에서 간음죄는 부모·남편 등 다양한 사람이 고소 또는 고발할 수 있었다. 연좌의 경우 당·송은 간음죄가 그 대상이 되지 않지만 고려는 외손자까지 미치고 있다. Ulryoung was so fundamental national orders. Among these orders, Yangchun and family orders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s. Especially, Ganjae was the one that was the most important order among these. Bumganjo between status, relatives who subjected to Ganbi, local government officers and special officers were consisted of Nojusanggan and Yangchunsanggan. The comparisons of Ganbijo among these dynasties were shown in Tangrulsoweo of Tang, Kungwonjobubsaryu of Song, Koryosa of Koryo. As these results were shown, the complements and contents were the same of those of Tang. For example, Bumganjo and Gamrimsujo were the same of theose of Tang and adultery of monks was much more severer. On the other hand, Nojusanggan was similar between Koryo and Tang relating existence of these system. However, the legal penalties and jail terms were different things in terms of Koryo. Thus, legal penalties were dohungs while jail terms were banishment ones. The reason why they were different was that Koryo accepted rules of Song dynasty. That is to say that the period of Song dynasty concluded five punishment systems while jail terms concluded Juljang ones. The system of punishments showed Janghung and Execution. However, the difference among these punishments were so wide that the Song dynasty conducted Punbaehung to make up for it. Therefore, the punishment conducted in Koryo was some aspect of Punbaehung. In Dohung and Uhung of Kungwonjobubsaryu the quantity of punishment were shown. Especially the huge difference of Koryo, Tang and Song punishment was the punishment method. Tang dynasty applied Sangyonghung, arrestment and sentence punishment for others to conduct. Adultry and rape were differentiated at these times. In Song dynasty relatives more than Simachin and Simajunjang applied Sangyongeunjo, the rest of all arrestment and custody were possible. The rape of Couple was conducted in the case of direct report of wife. In Koryo Sangyong for the elders were applied, however, Gangjae was not applied of Sangyong because various people were prosecuted like parents, husband, etc. In the case of Yeonja, Tang and Song dynasty were not applied in Ganjae, however, in Koryo it affected to uncle and grandson in the mother side.

      • KCI등재

        고려의 對蒙 대응 논리와 ‘大國이미지’

        김보광(Kim, Bo-Kwang)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이 글은 1차 고려-몽골 전쟁을 전후한 1231, 1232년의 상황이 고려-몽골 관계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판단 아래, 이 시기 고려의 대응논리를 자세히 다뤄보고자 했다. 우선 이 기간 동안 모두 19통의 몽골 문서가 고려로 왔음을 유추해내었다. 약 1년 정도의 시간 동안 19통의 문서를 몽골이 보냈다는 사실에서 몽골이 고려에 매우 적극적으로 외교 활동을 벌였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몽골은 국왕의 친조나 강화도로부터의 출륙을 항복의 증거로 요구하였고, 공물만이 아니라 인질, 군대의 동원, 호구 점검 등도 요구하였다. 여기에는 1231년의 1차 고려-몽골 전쟁과 뒤이은 고려의 강화도로의 천도가 큰 영향을 주었다. 전쟁 이후 몽골은 고려를 실질적인 복속국으로 보고 일방적인 의무를 이행할 것을 본격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같은 시기에 고려가 몽골로 보낸 외교 문서도 18통에 달한다. 몽골의 요구 사항 변화로 유발된 고려-몽골 관계로 인해 표문 작성 방식도 기존과는 달리 화려한 수사보다는 직설적이고 안건이 나열되는 방식으로 변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려는 몽골의 요구를 거부하거나 이행하지 않을 수 있도록 몽골을 설득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 논리를 개발해냈다. 그것은 거란이나 여진과 전쟁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하던 사대외교의 방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고려는 스스로를 몽골에 사대하는 존재로 낮추면서 몽골을 ‘대국’으로 대접하였다. 그리고 몽골에 대국으로서의 역할을 주지시키면서 ‘소국’인 고려의 입장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당위를 강조하였다. 즉 몽골에 ‘大國이미지’를 입히려 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적 문화전통과는 전혀 다른 배경을 지닌 몽골에게 그러한 논리는 수용되지 않았다. 사대외교의 방식 안에서 움직인 고려의 이 시기 대응 방식은 한계가 분명했지만, 이 같은 노력으로 인해 기존과 같은 외교적 대응 방식으로는 몽골을 설득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제 고려는 몽골에 대응할 새로운 틀을 요구받게 되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Koryo’s responses to the Mongol empire,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political circumstances in 1231-32 around the time of the First Mongol invasion largely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 of all, I derived that a total of 19 Mongol documents were sent to Koryo royal court during this period. The fact that Mongol sent 19 documents in approximately one year suggests that the Mongol was very active in its diplomatic activities with Koryo. Specifically, the Mongol demanded that Koryo king pays a visit to Mongol emperor or that Koryo return to the inland from Ganghwa Island, as a proof of surrender, and also demanded hostages, military aid, and household survey in addition to offering of tributes. This was largely affected by the First Mongol invasion in 1231 and the Koryo royal court’s move to Ganghwa Island that ensued. After the war, the Mongol treated Koryo as its subordinate country in effect, and began to relentlessly demand Koryo to fulfill its obligations as such. During this period, Koryo sent 18 diplomatic documents to the Mongol. Due to Mongol’s changing demands on Koryo and subsequ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tyle of the documents also changed from an eloquent, rhetorical writing to a listing of agendas in a straightforward manner. The Koryo royal court developed logics and responses to persuade the Mongol, so that it could refuse and not implement demands of the Mongol. The strategy was an active use of submissive diplomacy that was used before to avoid a war with the Khitan or the Jurchen. Koryo lowered itself as a country that obeyed the Mongol, and treated the Mongol as a ‘Great State’ with confucian moral and very understanding. In the documents, it reminded the Mongol of its role as a great state, and emphasized that the Mongol should be considerate to the position of Koryo as a smaller country. That is, Koryo tried to persuade the Mongol with a lofty image of a ‘Great State.’ However, the Mongol was not the least persuaded by such logic, as it was a country with wholl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China. Koryo’s political responses to the Mongol during this time within the framework of submissive diplomacy clearly had limitations, and yet, due to these efforts, it became clear that the old way of diplomatic response was ineffective in persuading the Mongol. Now Koryo had to develop a new diplomatic framework to respond to Mongol.

      • KCI등재

        고려시대 교장(敎藏)의 일본 교류와 유통

        박용진(Park, Yong-J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2

        본고는 고려 교장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 · 중 · 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일본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조사보고인『신편제종교장총록 : 수록문헌 총람』이며, 이 총람의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 불교계에 유통되어 활용된 장소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 현상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코자 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교류와 유통을 살펴보면, 고려와 일본은 공식적인 국교없이 주로 송상을 매개로 불교 교류가 이루어졌다. 고려 교장의 일본 전래의 특징은 대재부를 통한 송상 중개의 장소 교류였고, 전래 기록상으로는 1097년에 『아미타경통찬소』등 법상종 장소류, 1103년 흥왕사 간행 교장 원간본 『화엄경수소연의초』의 필사, 1105년 『석마하연론통현초』와 『석마하연론찬현소』등 밀교 장소류, 1120년의 『홍찬법화전』등 불전 100여 권의 교류가 확인된다. 한편, 고려 교장의 송 중간본이 1140년을 전후하여 의화에 의해 간행되었고, 이러한 송나라 간행 장소류는 1254년 고잔지에서 송판대장경과 함께 수입되어 활용되었으며, 그 일부가 현전한다. 고려 교장의 일본 유통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래 경로에 있어, 고려 교장이 직접 전래된 사례와 고려 교장이 송으로 전래되어 송나라에서 중간된 판본이 일본으로 전래된 사례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 교장은 그 중요성 때문에 간사의 형태로 원본과 함께 14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유통되었다. 둘째,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수입할 때 고려, 송, 일본등은 각국에 없는 장소를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고려교장의 동아시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 (高麗敎藏) gatherings and the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Japan during the Goryeo Dynasty of Japanese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Goryeo and Japan exchanged Buddhism mainly through Songshang (宋商) without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Goryeo-gyojangs (高麗敎藏)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Japanese tradition are divided into four part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ion are exchanges of Hosso-shu (法相宗) commentaries such as Amituojing-tongzanshu (阿彌陀經通贊疏) in 1096, manuscripts from Huayanjing-Suishuyanyichao (華嚴經隨疏演義鈔) in 1103, esoteric commentaries such as Shi moheyanlun-tongxuanchao (釈摩訶衍論通玄鈔) in 1105, and commentaries such as HongChan-Beophwajeon (弘贊法華傳) in 1120. However,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as imported and used in Japans GosanJI Temple (高山寺) in 1254.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gyojangs distribution in Japan are divided into those brought directly from Goryeo and the import of the Song Dynasty version (宋刊本) of Goryeogyojang. When countries in East Asia import Gyojang, each country can see the tendency to supplement Gyojang since it is not produced in its own country.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Goryeo-Gyojang in East Asia can provide a perspective of mutual, and not one-sided, exchange.

      • KCI등재

        근대 西歐의 시선으로 본 高麗圖經과 고려청자

        김윤정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7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arks the beginning of an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ceramics in Modern America and Western Europe. During this period of newfound preoccupation, Western scholars inquired after the true nature of Korean ceramics based on an examination of accurate documents. The Western world’s first reliable text on Korean ceramics was the chapter titled ‘Gao-li Yao(高麗窯)’ included in the Qing dynasty Jingdezhen taolu (Record of Jingdezhen Ceramics), translated in 1865. However, in the absence of actual examples of Goryeo celadon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fundamental limit to the scope of study that rendered the text ‘Goryeo Kilns’ an un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period,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acquired, changing the circumstances and allowing opportunity for direct exposure to the subject which altered the tone of discussion surrounding Korean ceramics. Post 1890, the substantial presence of Goryeo ceramics in Western society and the discovery of Goryeodogyeong (Illustrated Account of Goryeo, 高麗圖經) generated new perspectives on and a renewed interest in the topic of Korean ceramics. Expert on Chinese ceramics, 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 was the first scholar to make the connection between Goryeo celadon and the concept of ‘bisaek’ as described in Goryeodogyeong according to his publication of 1896.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Goryeo celadons in America and Europe was most active from 1910 up until the 1920’s.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1910’s,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established in various countries and Western scholars began to formally pursue the study of Goryeodogyeong and its connection to Goryeo ceramics. Scholarly interest was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topics of the old Bi-se(secret colour, 越州古秘色), the recent wares of Ru-zhou(汝州新窯器) and the form of the Ding-zhou wares(定器制度)’ as mentioned in sub-chapter 3 ‘Containers’ under chapter 32 of Goryeodogyeong. Thes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subjects of Chinese ceramics such as Yue・Ru・Ding ware and Goryeo celadon we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both method of research and subject. Moreover, these academic pursui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between the formative or aesthetic qualities of Goryeo celadon and the shape, design, glaze color, firing methods, etc of Chinese celadon. It is further meaningful that Western scholarship on the subject preceded Japanese interest. 서구에서 19세기 중후반부터 한국도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여 그 실체를 찾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1856년에 번역된 청대 『경덕진도록』에 실린 ‘高麗窯’는 서구에 처음 소개된 한국도자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였지만 고려청자의 不在로 인해 연구에 기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서구에서 고려청자를 접하기 이전 시기에 ‘고려요’의 기록은 믿을 수 없는 자료였지만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된 이후에는 논조가 바뀌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1890년대 이후에 『고려도경』의 사료적 가치와 고려청자가 서구 사회에 본격적으로 알려지면서 새로운 話頭가 되었다. 중국도자 전문가였던 스티븐 우튼 부셸(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은 1896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에서 『고려도경』의 翡色과 고려청자를 처음으로 연결시킨 연구자이다. 서구에서 고려청자의 수집과 연구는 시기적으로 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 집중되어 있다. 1900년대 이후부터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되면서, 서구 연구자들이 『고려도경』의 내용과 고려청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고려도경』 권 32 기명 3에 언급된 ‘越州古秘色’, ‘汝州新窯器’, ‘定器制度’의 내용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중국의 월주요, 여요, 정요 자기 등과 고려청자와의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이나 내용적인 면에서도 학문적으로 깊은 의미를 준다. 또한 이러한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은 중국청자의 형태, 문양, 유색, 번조법 등과 차별화되는 고려청자만의 조형적 특징을 찾는데 일조했다. 이러한 연구는 일본 연구자들보다 앞 선 시기에 이루어진 성과였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