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拙藁千百』 譯註」(7) : 권1「金文正公墓誌」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진한(Lee, Jin-Han),김보광(Kim, Bo-Kwang),김규록(Kim, Kyu-Rok)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졸고천백』은 2권으로 된 최해의 문집이다. 최해는 주로 고려에서 활동하다가 정치적으로 소외되어 크게 현달하지 못하고 40세 정도에 은퇴하였다. 그는 대신 이제현, 이곡, 최문도 등 당대 최고의 문인과 교유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졸고천백』중 권1의 15번째 글인「김문정공의 묘지」라는 글의 특징을 살피고, 번역 및 주석의 작업을 하였다. 이 글은 고려후기의 인물인 김태현을 위한 묘지명이다. 1261년에 태어난 김태현은 1276년(충렬왕 2)에 과거 급제한 이래 1330년에 사망할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시기를 관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에 고려는 충렬왕과 충선왕의 重祚, 충선왕의 활동 및 토번 유배, 입성책동 등 굵직굵직한 정치적 사건을 겪었다. 이러한 정치상황에 따라 그는 관직 경력 상의 부침을 겪었는데, 「김태현묘지명」에서 주목되는 몇 가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아버지인 김수에 대한 기록이 주목된다. 삼별초가 제주도로 들어가려 할 때 제주로 파견되어 이를 막으려다 전사하였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2) 김태현이 1280년에 충렬왕이 직접 선발한 시험에 합격하여, ‘전시문생’이라 불리면서 충렬왕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3) 그래서 충선왕이 1298년에 즉위하였을 때 그가 면직되었다는 사실 등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경력을 이 묘지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Cholgo Ch"onbaek is a two-volume anthology of Choi Hae. He mostly worked in Goryeo, then later became politically isolated and made an early retirement at around 40 without significant achieve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taph for Kim Tae-hyun,’ the 15th entry in the book, and translated and annotated the original text. Mr. Kim was born in 1261,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276, and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most of his life until his death in 1330. This was a politically turmoil period that saw the enthronement, dethronement, as well as reinstatement of King Chungryeol and King Chungseon, the exile of King Chungseon to the present-day Tibet (Tobun at the time), the Mongol intervention in the Goryeo territory. Amid these political unrest, Mr. Kim’s career fluctuated as well. Some of the events are recorded in the work, which cannot be found elsewhere: 1) His father Su Kim is mentioned, who was dispatched to Jeju Island and killed there while trying to keep Sambyeolcho(a special capital defense unit) from entering the island. 2) Mr. Kim passed a state test directly overseen by King Chungryeol in 1280, and worked as a close aide to the king with a title Jeonsi-munsaeng(king"s students). 3) He lost his post when King Chungseon was enthroned in 1298. 4) The record shows that in the early 1300s, the Yuan dynasty operated 11 stations between Gaepyung and Gamsukseong.

      • KCI등재

        의례의 논리로 재구성한 고려시대의 왕권 -김아네스, 『고려의 국가제사와 왕실의례』 (경인문화사, 2019)-

        김보광 ( Kim Bo-kwang )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9

        This article is a critique of Agnes Kim’s book, which examines the structure of justification of royal authority or state power in the Goryeo Dynasty through Confucian-centered rituals. I would like to point out some significances from the author’s research results. First, the author reproduced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e king, that is, the royal authority as a process of visualizing it through a consistent logic. Second, some concepts that were used a lot by researchers but had somewhat vague meanings were clearly explained. For example, the meaning of rites to heaven, and the explanation of the royal hierarchy through appointment ceremonies. Third, the author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the coronation ceremony that was not clearly revealed. It logically explains the series of processes from the will of the former king to the enthronement and amnesty. I raised several questions about the above research results. First, this book does not contain information on funerals for the royal family, including the king. Second, the author does not mention the way and space of the king’s political actions. Therefore, I think that the structure or process by which the state power acquires legitimacy through rituals has become ambiguous.

      • KCI등재

        고려 목종대 정치세력과 정국동향

        김보광(Kim, Bo-kwang) 한국역사연구회 2014 역사와 현실 Vol.- No.91

        Although Mokjong(穆宗), the seventh king of Goryeo, was on the throne for 12 years from 998 to 1009, he is not that well known to us because his actions were eclipsed by those of his mother, the empress dowager Cheonchu(千秋太后), and king Hyeonjong(顯宗 1009∼1031), who later took over his reign. Mokjong was enthroned at the age of 18, and began his governance under the influence of his mother Cheonchu. Her lover Kim Chi-yang rapidly emerged as an important political figure.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previous trends of study which generally focused their attention upon Cheonchu, instead of other figures including Mokjong. There were multiple political factions in action under his rule. Yu Haeng-gan and Yu Chung-jeong, labelled as cronies(‘chongsin[寵臣]’ or ‘chongae[寵愛]’), courted lady Han who perpetrated frauds under the name of being the one with the king"s love. Han In-gyeong and Kim Nak were related to her and were also close to the king, even to the extent of being called as favorites. There was also a group of civil officials that included Jo Ji-rin and high-level ministers who had exerted influence since the rule of king Seongjong. In other words, the era was not dominated by a small number of political figures led by Cheonchu or Kim Chi-yang.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reign, the political situation was stable with a balance of power reached between the king, empress dowager Cheonchu, and state officials from the days of Seongjong. In particular, empress dowager Cheonchu"s regency provided Mokjong with authority that stabilized the political arena. It can be said that Mokjong and Cheonchu pursued the establishment of regal power through "coexistence." Under the conditions, Kim Chi-yang was able to grow politically. However, Mokjong"s remark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military camp in 1002 shows that as time passing by, tension between Mokjong and Kim Chi-yang were rising. As a son was born from empress dowager Cheonchu and Kim Chi-yang in 1003, conflicts between Mokjong and Kim Chi-yang, who was attempting to gain power, were only deepened. Moreover, the bribery case of Han In-gyeong and Kim Nak (1007) which ousted Han In-gyeong weakened Mokjong"s position and forced him conduct politics with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who were close to him. Under the circumstances, as Kim Chi-yang"s plot to have his son take over the reign became obvious, Mokjong seriously battled Cheonchu, which led to a coup (1009). In the end, the political upheaval ruined both the king and Cheonchu.

      • KCI등재

        고려시대 내시(內侍)의 운영과 문반관직

        김보광(Kim Bo-kwang) 한국역사연구회 2010 역사와 현실 Vol.- No.75

        In the Koryo dynasty, there was a unit serving king in many ways. It was called Nae-si (內侍), which means the Palace Attendant. They were chosen from the civil official. So they held two posts: the Palace Attendant and a civil official title. Then, why did the palace attendance hold a civil official at the same time? It is the main issue of this paper. The Koryo dynasty imported many parts of political systems of the Tang dynasty. Among of them, there were systems of ranking and official titles. The ranking titles[ san-gye, 散階] in the Tang functioned as positions of each official and official titles[職官] meant duties of the officials. However, the Koryo adopt to in a different way. For example, when an official was appointed at any post of unit for local administration like commissioner[sa, 使], deputy(or vice) commissioner[ bu-sa, 副使], controller-general[ pan-gwan, 判官] and chief-secretary[ chang-so-gi, 掌書記] and so on, he had to hold two kinds of official titles: one is a capital official, the other is a post for local administration. In this case, a capital official is a title for his rank and a post for local administration means his duty. We can see this feature in managing to the Palace Attendant. The Palace Attendant served the King as the messengers of King’s command or the managers of Royal temples and storages and so on. But they didn't have any financial rewards for their services as the Palace Attendant. And a civil official which the Palace Attendant held didn’t perform any duty given itself. Instead of its own duty, it was decided to take positions of the Palace Attendant in kinds of the national ceremonies or to set level of salary of the Palace Attendant. As the result, a title called the Palace Attendant of the Koryo shows their tasks like managing the temples, a civil official what he has decides his salary and rank. This is the reason for an official been the Palace Attendant to have a civil office at the same time. If one official hold two posts, we say; “he held concurrently officials[兼職].” So I think this phrase to be applie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Palace Attendant and a civil official title. In addition, the Palace Attendant has a keypoint distinguished from other officials. It is an appointment form. Whatever they are on the civil's or the military’s, ordinary officials are appointed by administrative forms which was called Bi (批) or Pan(判) document depended on whether the courtier[Consultants-in-ordinary, cham-sang-gwan, ?上官] or not. But the Palace Attendant is appointed by King’s edict, Sunji (宣旨). And the Palace Attendant is also listed up on the Special Register for Nae-si[ Nae-si-jok, 內侍籍].

      • KCI등재

        고려 성종 · 현종대 太祖配享功臣의 선정 과정과 의미

        김보광(Kim, Bo-kwang)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3

        고려는 역대의 선왕을 제향하기 위한 공간으로 太廟를 설치하였는데, 태묘는 기본적으로 유교의 원리에 따른 것이었다. 태묘는 건국 초기부터 갖추어진 것은 아니었고 성종대에 마련되었다. 성종은 고려에서 처음으로 유교에 입각한 제사를 마련하려고 하였는데, 하늘에 대해서는 圓丘를, 농업에 대해서는 籍田을, 땅과 농업에 대해서는 社稷을 마련하여 제사를 지냈다. 조상에 대한 제사 공간인 태묘도 그 일환이었다. 성종은 984년에 송으로부터 의례에 대한 여러 서적 등을 수입하여 관련 제도를 학습하고, 988년에는 태묘를 5廟의 규모로 건설할 것을 결정하고 989년에 태묘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992년 11월에 태묘의 완공을 보았다. 이때 성종은 건축자재를 직접 나를 정도로 태묘 건설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고 나서 고려의 조정은 태묘에서 제사지내는 세부 원칙을 정했고, 그 원칙에 따라 성종이 직접 제사를 지냈다. 이때 태조 이하 역대 국왕들의 묘정에 각각의 배향공신들도 선정되었는데, 1명을 제외하고 고려의 건국 및 후삼국 통일 과정에 공이 큰, ‘王功’을 이룬 이들이었다. 특히 태조의 배향공신들은 배현경, 홍유, 신숭겸, 복지겸, 유금필의 다섯 명으로, 모두 왕건을 왕으로 옹립하고 후삼국의 통일에 큰 공을 세운 武將들이었다. 이후 1009년에 강조의 정변을 통해 현종이 즉위하고, 이를 핑계로 거란이 1010년에 고려를 침입했다. 이 와중에 거란군은 1011년 1월에 개경으로 들어와서 태묘를 포함한 궁궐 등을 불에 태웠다. 그 결과로 고려는 태묘를 복구해야 했지만, 고려는 임시로 齋坊을 각 왕릉 옆에 만들어서 제사를 지냈다. 태묘는 1027년 2월이 되어서야 복구가 끝이 나서 4월에 현종이 직접 태묘에 가서 제사를 지냈다. 그런데 이때 역대 묘정에 대한 배향공신이 추가되어 태조묘정에 최응이, 경종묘정에 박양유, 성종묘정에 서희, 이지백, 이몽유가 추배되었다. 현종은 쿠데타로 왕으로 옹립되고 곧 바로 거란의 침입을 겪으면서 나주로 피난 가야 했고, 이 과정에서 여러 차례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했다. 또 1014년에는 김훈, 최질 등이 주도한 쿠데타를 겪기도 했다. 그래서 현종은 왕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만 했다. 이에 현종은 성종과 마찬가지로 유교적 원리에 입각하여 국가질서를 재구축하고자 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이 배향공신이다. 배향공신은 국왕에게 충성을 다해 신하들의 모범이 될 만한 이들인데, 배향공신의 선정 과정에는 선정 당시의 사회적 상황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국왕은 공신 선정과정을 통해 신하들에게 좋은 롤 모델로 제시할 수 있었다. 특히나 태조가 고려의 건국자이기 때문에 태조의 배향공신들이 갖는 상징성을 더욱 크다. 이때 기존의 태조배향공신들은 모두 武將이라는 점에서 완벽한 모델이라 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현종은 바로 이 점에 현종은 착목해서 최응이란 유학적 소양을 갖춘 신하를, 더욱이 태조를 위기에서 구한 ‘충의’ 로운 신하를 배향공신으로 추가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현종은 국왕에 대한 충성을 신하들에게 유도하였다.

      • 특집논문 : 이인로(李仁老)의 사례로 본 고려전기 직한림원(直翰林院)의 운영과 역할

        김보광 ( Bo Kwang Ki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3 No.-

        이 글은 直翰林院이라는 관직의 운영 양상을 李仁老란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서 王言의 작성 과정, 직한림원의 운영 과정 등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52년에 태어난 이인로는 1180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1183년에 直史館을 거쳐 1185~1197년에 걸쳐 직한림원을 지냈다. 1213년 이후에 知制誥에 임명되고 1220년에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翰林院은 元鳳省에서 유래한 것으로, 광종과 성종대의 정비를 거쳐 현종대에 한림원으로 개편되었다. 한림원의 관직은 관례적으로 겸직으로 운영되다가 예종대에 한림원의 거의 모든 관직들이 本品行頭로 지정되면서 겸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직한림원만은 전임직과 겸직 모두 운영되었다. 직한림원은 기본적으로 결원이 발생하였을 때 후임을 선발하였다. 이때 과거급제자 중 성품이나 행동거지가 방정한 이들이 후보가 되었다. 또 가계나 신분상으로도 하자가 있으면 임명될 수 없었다. 게다가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거지도 살펴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했다. 직한림원의 후보자를 아무나 추천할 수 있던 것도 아니어서, ‘儒官宰相’ 등으로 표현되는 과거에 합격한 경력이 있는 재상들이 추천권을 행사하였다. 이인로의 경우, 당시 수상이던 문극겸이 추천하였다. 그리고 직한림원은 결원이 발생하면 후임을 뽑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선발된 이들은 자신들이 누구의 후임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직한림원의 역할을 추적하여 밝혔다. 직한림원은 국가나 왕실 차원의 불교나 도교 행사를 위한 기도문인 疏, 靑詞 등을 작성하거나 국왕의 장례식을 위한 挽詞를 짓는 등 예식문의 작성이 기본 역할이었다. 또 왕명의 작성 주체인 지제고들이 제 때 작성하도록 일정을 챙기는 등의 ‘관리’를 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그리고 지제고가 작성한 내용을 형식에 맞게 베껴 정식 문서로 만드는 역할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직한림원이 국왕의 문서를 짓는다고 하는 수사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operation aspect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直翰林院; kor. jikhanrimwon), a civil post at Hanlin Academy, centered on a case of Yi Il-Lo(李仁老), thereby intend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king’s orders and operation proces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The main content is summarized as follows. Yi Il-Lo, who was born in 1152, passed a state examination in 1180 and worked as auxiliary of Hanlin Academy from 1185 to 1197 via auxiliary of Historiography Institute(直史官; kor. jiksakwan) in 1183. He was appointed to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知制誥; kor. jijego) in 1213 and died at an age of 69 in 1220. Hanlin Academy originated from Department of Royal Pronouncement(元鳳省; kor. Wonbongseong) and was organized into Hanlin Academy under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rough modification by King Gwangjong and King Seongjong. All posts in Hanlin Academy were concurrent posts.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all posts exclud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ere made into concurrent posts under the law. Howeve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operated as both a concurrent post and a full time job. Basically,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selected when there was a vacancy. The candidates were those who had good character and behaviors among successful examinees. If one had some defect in one’s family or status, one was not appointed. In addition, one’s character and behaviors should have no grounds for disqualifications. Not anybody was able to recommend a candidate fo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Grand Councilors who had passed a state examination, expressed as confucian scholars, exerted their right of recommendation. Yi Il-Lo was recommended by Mun, Geuk-gyeom, a prime-minister at the time. Because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chosen when there was a vacancy, those who were selected thought that they were somebody’s successor. Lastly, I``ve also assumed the role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t the end of this article. The basic role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to write a ceremony writing, for example, writing a prayer for Buddhist or Taoist ceremony or a composition for the funeral of the k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also in charge of “management”, for instance, managing a schedule for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who prepared the king’s orders, so that they were able to write them at a proper tim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lso played the role of copying what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had written in an appropriate form into a formal document. For such reasons, a rhetorical expression that auxiliary of Hanlin Academy drafts king’s pronouncements.

      • KCI등재

        고려의 對蒙 대응 논리와 ‘大國이미지’

        김보광(Kim, Bo-Kwang)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이 글은 1차 고려-몽골 전쟁을 전후한 1231, 1232년의 상황이 고려-몽골 관계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판단 아래, 이 시기 고려의 대응논리를 자세히 다뤄보고자 했다. 우선 이 기간 동안 모두 19통의 몽골 문서가 고려로 왔음을 유추해내었다. 약 1년 정도의 시간 동안 19통의 문서를 몽골이 보냈다는 사실에서 몽골이 고려에 매우 적극적으로 외교 활동을 벌였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몽골은 국왕의 친조나 강화도로부터의 출륙을 항복의 증거로 요구하였고, 공물만이 아니라 인질, 군대의 동원, 호구 점검 등도 요구하였다. 여기에는 1231년의 1차 고려-몽골 전쟁과 뒤이은 고려의 강화도로의 천도가 큰 영향을 주었다. 전쟁 이후 몽골은 고려를 실질적인 복속국으로 보고 일방적인 의무를 이행할 것을 본격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같은 시기에 고려가 몽골로 보낸 외교 문서도 18통에 달한다. 몽골의 요구 사항 변화로 유발된 고려-몽골 관계로 인해 표문 작성 방식도 기존과는 달리 화려한 수사보다는 직설적이고 안건이 나열되는 방식으로 변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려는 몽골의 요구를 거부하거나 이행하지 않을 수 있도록 몽골을 설득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 논리를 개발해냈다. 그것은 거란이나 여진과 전쟁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하던 사대외교의 방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고려는 스스로를 몽골에 사대하는 존재로 낮추면서 몽골을 ‘대국’으로 대접하였다. 그리고 몽골에 대국으로서의 역할을 주지시키면서 ‘소국’인 고려의 입장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당위를 강조하였다. 즉 몽골에 ‘大國이미지’를 입히려 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적 문화전통과는 전혀 다른 배경을 지닌 몽골에게 그러한 논리는 수용되지 않았다. 사대외교의 방식 안에서 움직인 고려의 이 시기 대응 방식은 한계가 분명했지만, 이 같은 노력으로 인해 기존과 같은 외교적 대응 방식으로는 몽골을 설득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제 고려는 몽골에 대응할 새로운 틀을 요구받게 되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Koryo’s responses to the Mongol empire,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political circumstances in 1231-32 around the time of the First Mongol invasion largely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 of all, I derived that a total of 19 Mongol documents were sent to Koryo royal court during this period. The fact that Mongol sent 19 documents in approximately one year suggests that the Mongol was very active in its diplomatic activities with Koryo. Specifically, the Mongol demanded that Koryo king pays a visit to Mongol emperor or that Koryo return to the inland from Ganghwa Island, as a proof of surrender, and also demanded hostages, military aid, and household survey in addition to offering of tributes. This was largely affected by the First Mongol invasion in 1231 and the Koryo royal court’s move to Ganghwa Island that ensued. After the war, the Mongol treated Koryo as its subordinate country in effect, and began to relentlessly demand Koryo to fulfill its obligations as such. During this period, Koryo sent 18 diplomatic documents to the Mongol. Due to Mongol’s changing demands on Koryo and subsequ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tyle of the documents also changed from an eloquent, rhetorical writing to a listing of agendas in a straightforward manner. The Koryo royal court developed logics and responses to persuade the Mongol, so that it could refuse and not implement demands of the Mongol. The strategy was an active use of submissive diplomacy that was used before to avoid a war with the Khitan or the Jurchen. Koryo lowered itself as a country that obeyed the Mongol, and treated the Mongol as a ‘Great State’ with confucian moral and very understanding. In the documents, it reminded the Mongol of its role as a great state, and emphasized that the Mongol should be considerate to the position of Koryo as a smaller country. That is, Koryo tried to persuade the Mongol with a lofty image of a ‘Great State.’ However, the Mongol was not the least persuaded by such logic, as it was a country with wholl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China. Koryo’s political responses to the Mongol during this time within the framework of submissive diplomacy clearly had limitations, and yet, due to these efforts, it became clear that the old way of diplomatic response was ineffective in persuading the Mongol. Now Koryo had to develop a new diplomatic framework to respond to Mongol.

      • KCI등재

        고려 인종의 즉위와 ‘御正殿·聽政’ 사이 정치적 시차와 그 해소 과정

        김보광(Kim, Bo-kwang)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9

        이 글의 목적은 예종의 뒤를 이은 인종이 즉위하고 나서 정무를 개시하게 되는 정치적 시차를 의례와 정치적 맥락을 묶어 정치적 프로토콜로 설명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예종이 1122년 4월 8일에 훙서하면서 태자이던 인종이 즉위하였다. 그리고 4월 28일을 시작으로 인종에게 ‘정전에 납시어 정사를 볼 것(御正殿·聽政)’을 요청하는 표문이 세 번 이어졌고 인종은 세 번째 요청을 받고서야 윤허하는 교서를 내렸다. 신하들은 以日易月의 원리에 따라 인종이 免喪되었음을 주장하면서 이제 왕이 정전으로 나아가 정사를 돌볼 것(御正殿·聽政)을 반복적으로 요청하였다. 반면에 인종은 이일역월의 원리가 人情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함을 지적하면서 자신은 3년상을 지속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거부하였다. 최종적으로는 仁政이 효의 실천이라고 하는 신하의 논리를 인종이 수용하면서 일단락되었다. 표문과 교서 도합 6편의 문서는 정항, 홍관, 이봉원, 김부일이라는 네 명의 문한관이 작성하였으며, 정항과 김부일은 표문과 교서 각 1편씩 두 편을 작성하였다. 이는 표문과 교서라는 문서로 君臣이 자기 주장만을 전개한 것이 아니라 君臣 사이에 정형화된 정치적 대화였음을 암시한다. 또 예종의 장례가 4월 26일에 끝났는데 4월 28일자로 첫 번째 표문이 작성되었다는 점은, 예종의 장례가 免喪의 계기였음을 의미한다. 이는 신왕 즉위와 정무 개시 사이의 정치적 시차를 해소하려는 움직임이었다. 나아가 신하들의 요청을 수용한 인종은 5월 18일에 정전인 건덕전에 거둥하여 재신에 대한 인사를 시행하였다. 이로써 ‘정전에 납시어 정사를 볼 것(御正殿·聽政)’을 요청한 상황이 실제로 구현되었다. 결국 일련의 표문과 교서로 오간 정치적 대화는 인종이 政事를 돌보는 진정한 君王으로 전화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군신 사이의 ‘합의된 정치적 상징 행위’이자 ‘정치적 퍼포먼스’였다. 이를 통해 君臣과 朝野는 신왕을 왕으로서의 권위를 인정하고 그 정무 행위의 정당성을 만들어 내었다. This article reconstructs the transition from the funeral process of King Injong who succeeded King Yejong to the process of starting government affairs. Through this, the process of obtaining legitimacy in political actions was investigated by the new king Injong. King Yejong died on April 8, 1122, and his son, Injong, took the throne. And on April 26, Yejongs funeral ended. Then, from April 28, The king Injong and officials had a political dialogue through documents for about 20 days. At this time, despite being enthroned as a new king, there was a political time lag because he did not perform government affairs because of the mourning period. Through this conversation, the king Injong accepts the request of the officials to fulfill his role as king. In this way, the king was confirmed as the legitimate successor and the new king. This dialogue was a political dialogue and protocol agreed between the Goryeo ruling class.

      • 고려국왕의 정동행성(征東行省) 보거권(保擧權) 장악과 그 의미

        김보광 ( Kim Bo-kwa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2 No.-

        몽골과의 관계가 진전되면서 고려왕은 몽골 출신 관료나 그를 등에 업은 이들에 의해 왕권이 제약되는 상황을 마주하게 되었다. 특히나 정동행성이라는 몽골 지방제도가 고려에 출현한 것은 직접적으로 왕권에 위협이 되는 요소였다. 하지만 충렬왕은 정동행성의 승상에 임명되고 이를 통해 몽골 관료를 포괄하는 의례적, 정치적 상위의 위치를 확보함으로써 정치적 위상을 강화할 수 있었다. 충렬왕 이후 공민왕, 우왕에 이르기는 시기에 재위한 고려의 왕들은 사실상 모두 정동행성승상을 겸하였다. 특히 정동행성은 몽골의 관제이면서 그 운영방식 또한 몽골의 제도에 따랐다. 그러면서 고려와 몽골의 두 관제를 조율해야만 하였다. 정동행성에 대한 보거는 몽골의 관제 운영 방식에 따라 이루어졌다. 정동행성의 하위 관직들에 대해서 고려왕은 행성승상이라는 자격으로 보거권을 행사하였다. 그리고 이부로 그 내용이 전달되어 해당 관직의 관품에 따라 勅授나 宣授로 임명되었다. 정동행성에 대한 고려왕의 보거권이 인정되고 지속적으로 행사되면서, 정동행성의 운용은 승상인 고려왕의 주도 아래 인사가 이루어진다는 인식이 생겼다. 이 때문에 정동행성이 몽골의 관제이면서도 중서성의 인사조치가 부적합할 경우 정동행성이 자체적으로 임명할 수 있다는 규정이 나올 정도였다. 이처럼 인사권을 둘러싸고 정동행성의 위상에 독자성이 인정되면서 ‘국왕’과 ‘승상’을 함께 지닌 고려왕을 가리켜 ‘국왕승상’이라 지칭하기도 하였다. 이제 고려국왕은 고려와 몽골의 양측의 관직을 지닌 고려인들에게, 고려 관제에서는 최종인사권자로, 몽골 관제로는 승상의 지위를 통해 당해 인에게 관직에 추천할 수 있는 보거권을 통해 사실상의 임명권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몽골 황제에 대해서는 승상인 고려의 왕이나 행성관인 고려의 관료가 모두 황제의 直臣이 되는 구도를 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충혜왕의 방종, 충목·충정왕이라는 어린 국왕의 즉위, 기철의 등장 등은 국왕의 정치력을 극도로 약화시키면서 고려왕이 행성승상으로 지녔던 보거권 행사마저도 상실시킬 위기에 놓이게 했다. 바로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공민왕은 개혁을 추진하면서 보거권의 재인정을 추진하였다. 몽골과의 관계가 지속되는 한 고려왕은 몽골 관직에 대한 통제책으로 보거권은 여전히 필요하였다.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Mongol Empire improved in the late 13th century, Goryeo kings faced a situation whereby their power was limited by Mongolian officials or Goryeo officials who were backed by the Mongol Empire. In particular, as the Mongol Empire installed a highest-level provincial institution of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korean called cheongdong-haengseong) in Goryeo as part of its punitive campaign eastward, the Mongol Empire became a direct threat to royal authority of Goryeo kings. However, King Chungryeol secured the highest position-both as a formality and institutionally-that oversaw Mongolian officials as he was appointed as prime minister of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in 1280, and thus fortified his political stature. Following suit, the subsequent Goryeo kings came to 'naturally' serve as prime minister of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Since the Secretariat was a Mongolian political system, Goryeo kings had to coordinate political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Among bureaucratic organizations of the Mongolian Empire, low-level officials were sometimes appointed by recommendation. Similarly, for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Goryeo kings could recommend officials for low-level positions. The recommendations were sent to the Mongolian Ministry of Personnel, and appointment was made by the order of the emperor. As Goryeo kings continued to recommend officials of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a recognition became widespread that they took charge of managing the Secretariat as prime minister. Despite that the Secretariat was a Mongol institution, a rule was even established that gave discretion to the Secretariat to appoint officials on its own in case personnel decisions by the Secretariat were deemed inappropriate. As the independent status of the Secretariat on personnel affairs became clear, Goryeo kings came to be called 'guk' wang-seungsang' which combines Korean words for 'king (guk’wang)' and 'prime minister (seungsang).' With Mongol institution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installed within the country, Goryeo kings had to secure political power between political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It was particularly so for people like Lee Gok who held dual positions with both the Goryeo Dynasty and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They were bound by a dual king-public servant relationship as they served a Goryeo king and a Mongolian emperor at the same time. For this reason, the right to recommend officials for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was highly important for Goryeo kings. They could organize a structure whereby they were the final decision maker in personnel affairs as a Goryeo king, and the de facto decision maker as prime minister for positions at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through their recommendations. However, later Goryeo kings' political power shriveled due to indulgence of King Chunghye, premature enthronement of young kings (Chungmok, Chungjeong) and the dominance of Ki Cheol. Goryeo kings' right to recommend officials for Chung Tung Branch Secretariat was threatened to the point of being lost. Against this background, King Gongmin sought to recover the recommendation right as part of his reform efforts. Goryeo kings needed the recommendation right as a means to control Mongol officials as lo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la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