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한국영화 속 다방 공간의 재현양상

        이주성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근대문화사에 있어 다방이란 공간은 그 중요성을 생각해본다면 연구 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근대사에서 한 지표라 할 수 있는 영화를 통해 다방공간을 살펴보았다. 영화라는 것은 감독에 의해 선별된 장면들이 스크린에 보여지는 것이지만, 당시의 사회상 등도 함께 드러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단행본, 논문, 잡지, 신문, 인터 넷 등에서 일제강점기 한국영화 250여 편의 목록과 정보를 확보하여 진 행하였다. 250여 편 가운데 7편의 영화에서 다방 혹은 그와 유사한 공간 이 나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7편의 영화에서 다방 혹은 유사 공간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개관하였으며, <반도의 봄>, <어화>, <조선해협>에서 차나 커피를 마시며 다른 목적이 공유되는 공간으로 그려지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방의 특징이 드러나는 공간은 그 기능이 협소하게만 드러난다. 오히 려 식사가 주목적이 되는 공간으로 드러나는 <군용열차>에서 다양한 인 물군이 등장하며, 동시에 염탐하고 정보를 나누는 특이한 공간으로 묘사 되고 있다. 이는 당시 영화가 영화 검열이라는 방식에 대응한 것으로 판 단된다. 이러한 영화 검열은 문학 속에서 주요한 무대로 등장하던 다방이 나, 문화예술인들의 공간이었던 다방을 검열하여 사라질 수밖에 없게 만 들었다. 다만 <반도의 봄>만이 다방공간에서 진지하고 내밀한 대화가 공 유된다. <반도의 봄> 속의 다방은 삶에 속하거나, 술처럼 주인이 되지도 않는다. 단지 커피를 매개로 앉은 사람들에게서 정신의 긴장감을 고양시 키며, 그 잔해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 <반도의 봄>이다. Considering its spatial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modern culture, the study of dabangs is one of the important assignments. To this end, we looked at dabangs through movies, which can be said to be an indicator in modern history. Movies are a presentation of scenes selected by directors on the screen, but they also reveal the social situations of the time. The list and information of about 250 Korean film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obtained from books, papers, magazines, newspapers, and the Internet. It was confirmed that in 7 of the 250 films, a dabang or a similar space was represented. This paper looked at how dabangs or similar spaces were represented in these 7 films and confirmed that in “Spring on the Korean Peninsula,” “Eohwa,” and “Joseon Strait,” they were drawn as spaces where different purposes were shared while drinking tea or coffee. For spaces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dabangs were shown its function was only minimally revealed. On the contrary, various characters appeared in “Military Train,” where dabang was represented as a space used mostly for dining, and at the same time, it was described as a unique space for spying and sharing information. It is judged that this could be because the film had responded to the film censorship at the time. Such censorship of movies led to the disappearance of dabangs that were major settings in literature and a gathering space for artists. Only in “Spring on the Korean Peninsula,” serious and intimate conversations was shared in a dabang. The dabang in “Spring on the Korean Peninsula” didn’t belong to life, nor did it become an owner like alcohol. It only raises the mental tension in those who are sitting together with coffee as the medium and reveals the products of it.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나는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 - 소설 장르를 중심으로 -

        임영봉(Lim, Young-Bong)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일제강점기 다방 혹은 카페 공간의 문학적 재현 양상은 서구의 차(茶)문화가 유입되고 발전해나가는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19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홍차와 커피 중심의 ‘다방문화’는, 술과 여급이 중심이 되는 일본식 ‘카페문화’의 대두 현상에 의해 서서히 퇴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도 초기의 근대적인 감수성과 이국적 정취 중심의 상상적 내면적 의미를 띠는 이미지에서, 술과 여급이 등장하는 유흥 중심의 일상적이고 퇴행적인 의식을 담고 있는 이미지로 변화해 나갔다. 이광수의 신문연재소설 <개척자>(1917)는 커피라는 서구적 기호품이 수용되는 과정의 풍속과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1920년대에 발표된 박영희의 <백수의 탄식>과 정지용의 <카페 · 프란스>는 서구적 감수성과 이국 취향의 정서에 지배되는 다방문화 수용 초기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두 편의 시 작품은 근대적 문화공간에 대한 수용이 이념에 따라 굴절되는 이후의 양상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구한다. 일제강점기 소설의 다방공간에 대한 재현은 이광수와 염상섭, 채만식같은 작가를 비롯하여 ‘카프계열’의 박영희와 김남천, ‘동반자 작가’였던 유진오와 이효석, ‘구인회’의 박태원과 이태준, 이상 등의 작품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소설에 그려진 다방공간은 인간 존재가 뿌리를 내리고 안주할 수 있는 원초적 장소의 상실 국면, 즉 ‘집’이면서 ‘고향’이거나 ‘조국’으로도 상징될 수 있는 삶의 장소 상실에 대응하는 정신적 표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하의 상황에서 다방이라는 공간은 뿌리를 상실하고 떠도는 존재의 피난처인 동시에 자신의 내밀한 꿈을 보호하고 실현해나가는 내면적 상상적 장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박태원의 <방란장 주인>에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적인 이상향의 이미지는 이러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ea rooms or café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needs to be understood from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growth of Western tea culture in Korea. The “tea room culture” (based on black tea and coffee), which was introduced in earnest starting in the 1910s, slowly disappeared with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café culture,” featuring mostly alcohol and barmaids. Accordingly, the representation of the tea room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its early image with an imaginative, inner meaning centered on the modern sensibility and an exotic atmosphere to a quotidian and decadent image centered on entertainment, permeated by the odor of alcohol served by barmaids. The first work identified thus far featuring the tea room is Lee Kwang-soo’s Pioneer(1917), a serial novel published in a newspaper. This work illustrates the customs and reality of a time when the Western culture of coffee was introduced. Park Young-hee’s Sigh of the Jobless and Jung Ji-yong’s Café France, published in the 1920s, show images of the early years of the tea room culture when it was dominated by Western sensibility and exotic tastes. These two poems call for attention because they foretell how the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al spaces is affected by ideology. Representations of the tea room during the colonial era are found in different forms in works such as those of Lee Kwang-soo, Yeom Sang-seop, and Chae Man-sik; Park Young-hee and Kim Nam-cheon of the Korean Federation of Proletarian Art (KAPF); Yoo Jin-oh and Lee Hyo-seok, who were sympathizer writers; and Park Tae-won, Lee Tae-joon, and Lee Sang of the Guinhoe (Nine Person Association). The tea room depicted in novels during the colonial era corresponds to a mental representation expressing the loss of the primal place where people can take root and settle down, i.e., the loss of a living space symbolized as a “house,” “home,” or “fatherland.” Under colonial rule, the tea room signified a temporary shelter for wandering people without roots and an inner, imaginary place that protects and realizes one’s intimate dreams. The heterotopian image in Park Tae-won’s The Owner of Bangranjang is a case in point.

      •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나는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 : 소설장르를 중심으로

        임영봉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일제강점기 다방 혹은 카페 공간의 문학적 재현 양상은 서구의 차(茶) 와 커피문화가 유입되고 발전해나가는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이해될 필 요가 있다. 19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홍차와 커피 중심의 ‘다 방문화’는, 술과 여급이 중심이 되는 일본식 ‘카페문화’의 대두 현상에 의해 서서히 퇴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도 초기의 근대적인 감수성과 이국적 정취 중심의 상상적 내면적 의미를 띠는 이미지에서, 술과 여급이 등장하는 유흥 중심의 일상적이고 퇴행적인 의식을 담고 있는 이미지로 변화해 나갔다. 이광수의 신문연재소설 「개척자」(1917)는 커피라는 서구적 기호품이 수용되는 과정의 풍속과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1920년대에 발표된 박영희의 「백수의 탄식」과 정지용의 「카페・프란스」는 서구적 감 수성과 이국 취향의 정서에 지배되는 다방문화 수용 초기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두 편의 시 작품은 근대적 문화공간에 대한 수용이 이념에 따라 굴절되는 이후의 양상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구한다. 일제강점기 소설의 다방공간에 대한 재현은 이광수와 염상섭, 채만식같은 작가를 비롯하여 ‘카프계열’의 박영희와 김남천, ‘동반자 작 가’였던 유진오와 이효석, ‘구인회’의 박태원과 이태준, 이상 등의 작품에 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소설에 그려진 다방공간은 인간 존재가 뿌리를 내리고 안주할 수 있는 원초적 장소의 상실 국면, 즉 ‘집’이면서 ‘고향’이 거나 ‘조국’으로도 상징될 수 있는 삶의 장소 상실에 대응하는 정신적 표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하의 상황에서 다방이라는 공간은 뿌 리를 상실하고 떠도는 존재의 피난처인 동시에 자신의 내밀한 꿈을 보호 하고 실현해나가는 내면적 상상적 장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박태원 의 <방란장 주인>에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적인 이상향의 이미지는 이 러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ea rooms or café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needs to be understood from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growth of Western tea culture in Korea. The “tea room culture” (based on black tea and coffee), which was introduced in earnest starting in the 1910s, slowly disappeared with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café culture,” featuring mostly alcohol and barmaids. Accordingly, the representation of the tea room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its early image with an imaginative, inner meaning centered on the modern sensibility and an exotic atmosphere to a quotidian and decadent image centered on entertainment, permeated by the odor of alcohol served by barmaids. The first work identified thus far featuring the tea room is Lee Kwang-soo’s Pioneer(1917), a serial novel published in a newspaper. This work illustrates the customs and reality of a time when the Western culture of coffee was introduced. Park Young-hee’s Sigh of the Jobless and Jung Ji-yong’s Café France, published in the 1920s, show images of the early years of the tea room culture when it was dominated by Western sensibility and exotic tastes. These two poems call for attention because they foretell how the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al spaces is affected by ideology. Representations of the tea room during the colonial era are found in different forms in works such as those of Lee Kwang-soo, Yeom Sang-seop, and Chae Man-sik; Park Young-hee and Kim Nam-cheon of the Korean Federation of Proletarian Art (KAPF); Yoo Jin-oh and Lee Hyo-seok, who were sympathizer writers; and Park Tae-won, Lee Tae-joon, and Lee Sang of the Guinhoe (Nine Person Association). The tea room depicted in novels during the colonial era corresponds to a mental representation expressing the loss of the primal place where people can take root and settle down, i.e., the loss of a living space symbolized as a “house,” “home,” or “fatherland.” Under colonial rule, the tea room signified a temporary shelter for wandering people without roots and an inner, imaginary place that protects and realizes one’s intimate dreams. The heterotopian image in Park Tae-won’s The Owner of Bangranjang is a case in point.

      • KCI등재후보

        문화 내비게이션을 활용한 문화관광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모희준(Heejune Mo),김정화(Junghwa Kim)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1

        이 연구는 지도라는 기본적인 틀 안에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혼합하여 문화관광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는 문화내비게이션 시스템 구축에 대한 방향성을 논하고자 한다. 특히 근대 문학 속에 등장하는 경성의 다방과 카페가 있던 위치를 추적하여 지금의 위치에 대입하고 이를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적 측면에서살펴보며, 더 나아가 이를 활용한 문화관광콘텐츠로의 영역으로 발전시키고자하는 데 있다. 다방과 카페는 근대 경성의 문화를 살펴봄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이며, 근대 문학·문화사 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된 바 있다. 다방과 카페는 그 역할이 현대에 이르러 다소 변화되었으나 근대 경성의 문인들, 또는 예술가들은 당시 근대 문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다방과 카페에 열광하였다. 수많은 다방과카페들이 개업하였으며, 작가들은 다양한 매체, 혹은 소설 작품 속에 다방과 카페에 대해 묘사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 경성에 등장하였던 다방과 카페의 위치를 현재의 위치에 대입하고, 이를 문화내비게이션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위치, 다방과 카페의 정보, 문학 속에서 해당 다방이나 카페가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연구 및 소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당대 다방과 카페 문화에 대한 문화적 의미를살펴보고, 디지털 지도의 형태로 복원하여 그 문화적 가치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building a cultural navigation system that can enjoy cultural tourism contents by mixing navigation systems within the basic framework of maps. In particular, the goal is to trace the location of Gyeongseong's coffee shops and cafes appearing in modern literature, apply them to their current location, examine them in terms of cultural heritage, and further develop them into the field of cultural tourism content using them. Coffee shops and caf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items in examining the culture of modern Gyeongseong, and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in modern literature and cultural history. The roles of coffee shops and cafes have changed somewhat in modern times, but writers and artists of modern Gyeongseong were enthusiastic about coffee shops and cafes, the symbols of modern culture at the time. Numerous coffee shops and cafes have been opened, and the writers have described them in various media or novels. In this study, the location of coffee shops and cafes that appeared in modern Gyeongseong is substituted into the current location, and through cultural navigation, the location of the past and present, information on coffee shops and cafes, and how the coffee shops or cafes are expressed in literature. By providing a system that researches and introduc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nformation has been made,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cultural meaning of the contemporary coffee shop and cafe culture, and to provide its cultural value by restoring it in the form of a digital map.

      • KCI등재

        인천지역 다방의 정치문화사 연구를 통한 해양관광콘텐츠화 방안

        김은희,김용완,이웅규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관광을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홍보 등의 만병통치약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관광이 그 본래의 기능이나 역할을 하기 보다는 시대의 흐름이나 지역 지도자에 의해 이용되면서 파편화된 형태의 관광개발, 알맹이가 없거나 베끼기 식의 재탕 지역문화축제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타 지역과 차별화되고 특색 있는 관광콘텐츠나 관광자원으로 관광스토리텔링화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 최초·최고의 관광콘텐츠를 지니고 있는 인천지역의 관광자원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에 본 연구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커피라는 소재를 발굴하여 인천의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고자 한다. 인천지역에 파편적으로 떠돌고 있는 인천의 커피 관련 스토리(story)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관광스토리텔링으로 잘 엮어준다면 개항장, 자장면과 차이나타운, 광신제면과 쫄면, 인천의 성냥공장 조선인촌회사, 영국 군함 플라잉스호에 의해 소개된 축구, 서구식 호텔 대불호텔, 서구식 공원 자유공원, 내리교회, 천일제염을 제조한 주안염전 등으로 정의되는 인천관광의 핵심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천지역의 커피와 관련된 다양한 목소리와 그 문화의 기록을 꾸준히 모은다면 이는 인천이라는 지역이 가진 개항장의 한계 또는 해양도시로서의 문화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최근 감성 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커피문화의 유입경로였던 인천항과 커피믹스의 신화를 창조한 동서식품의 설립과 관련된 인천지역의 다방의 정치문화사를 분석함으로서 인천관광의 발전 방안 또는 더 큰 흐름을 만들어낼 가능성을 논의해 볼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성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니라 커피산업과 관광스토리텔링의 연관성을 통해 커피 관련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관광객이 가장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인천지역의 다양한 커피문화를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커피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카페문화가 우리 사회의 하나의 상징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기회로 삼아 커피와 관련된 역사적·정치적·사회적 의미를 지닌 사건이나 공간이 타 지역에 비해 많이 있는 인천의 다방을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천의 정치문화적 추억을 지킨 다방의 문화적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관광콘텐츠화, 도심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역사나 이야기 거리가 풍부한 다방의 관광콘텐츠화, 노동·사회운동단체의 매개 장소로 사용되던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서의 관광콘텐츠화, 모던다방, DJ음악다방, 믹스커피다방 재현을 통한 ‘추억과 낭만의 인천’ 관광콘텐츠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인천지역의 다방이 지닌 정치·경제적인 요인들이 인천지역의 해양관광의 매력요인을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인천관광브랜드 이미지의 확립과 지속가능한 인천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each local government is using tourism as a panacea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or promoting local communitie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ourism storytelling with tourism contents or tourism resource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nd are unique. Therefore, in view of the necessity to actively utilize the tourism resources of the Incheon region, which has the first and best tourism contents in Korea,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material of coffe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and as a marine tourism contents of Incheon. To this end, if we consistently collect various voices related to coffee in the Incheon region and records of its culture,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Incheon region's open ports or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marine city. Therefore, the development plan of Incheon tourism by analyzing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coffee shops in the Incheon area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Port,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and Dongseo Foods that created the myth of coffee mix. Or, it may be time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larger flow.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coffee-related storytelling techniqu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Urinira coffee industry, which is developing based on the emotion-oriented consumption culture, and tourism storytelling.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the most necessary time to discover various coffee cultures in Incheon that tourists can experience most directly as marine tourism contents. To this end, this study takes the fact that the recent rapid growth of the coffee industry and the fact that cafe culture is developing as a symbol of our society as an opportunit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many cafes in Incheon.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tourism content for the diversity of cultural values ​​of a tea room that preserved the political and cultural memories of Incheon, to make a tea room tourism content rich in local history and storytelling to revitalize urban tourism, and a mediating place for labor and social movement groups It has been proposed as a tourism content as a sacred place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 modern tea room, a DJ music tea room, and a mixed coffee tea room to make'memory and romantic Incheon' tourism contents. This will be a major factor in increasing the attractive factors of Incheon marine tourism du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of the tea houses in the Incheon region. In the end, these factor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tourism brand image and sustainable tourism in Incheon.

      • 다방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손종업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다방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이 물음에 제대로 답하기 위해서는 커피 의 이입사에 대해서 먼저 탐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도 우리가 견고한 식민사관의 패러다임에 갇혀 있었음을 깨닫게 된다. 근대성이 ‘경 험’의 다양한 방식이며 아시아가 모든 점에서 결여된 상태로 여겨질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근대문물의 통로가 일본일 수도 없다. 이러한 명제가 수긍된다면, 커피가 처음으로 이입된 시기가 얼마나 앞 당겨질 수 있는가라는 어리석은 게임 따위는 그만둘 수 있다. 실증주의라 는 미명 하에 취사 선택된 기이하고도 왜곡된 역사서술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커피의 역사도 그렇다. 일본으로부터 이입되었고 아관파천 때 처음으로 고종이 커피를 접했을 것이라는 담론들은 식민주 의적 관점이며 실증적인 것도 아니다. 고종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일찍 커피를 접했고, 조선왕실에서는 외국인들에게 커피를 대접했으며, 그런 만큼 그들에게는 그들 나름의 독 자적인 근대성 계획이 있었다. 커피의 역사를 추적하는 일은 이렇게 해서 기존의 식민사관으로부터 벗어나서 우리의 역사를 다시 보는 일이 된다. 조선은 미국과 서구열강의 힘을 등에 업고 재빨리 군비를 갖춘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국권상실의 비극을 막아낼 수 없었다. 그렇게 잃어버린 국가를 되찾으려는 노력과 함께한 것이 커피라면 그러한 꿈들이 은밀히 공유되던 장소가 바로 다방이었다. 경성에 존재했던 여러 다방들을 계보 학적으로 추적하며 거의 대부분이 훼손되고 겨우 남아 있는 작은 조각들 을 퍼즐처럼 맞추는 일은 바로 그러한 식민지 청년들의 꿈과 비밀을 알아 가는 일이기도 했다. 그 깊은 핵심에서 시인이자 건축가인 이상은 마침내 근대성을 초극한다. What was dabang (cafe) to us? In order to properly answer this question, we must first explore the history of the introduction of coffee. In the process, we come to realize that we were stuck in the paradigm of a strong colonial view. In other words, modernity is one of the various ways of ‘experience,’ and just as how Asia cannot always be regarded as lacking, Japan cannot be regarded as the channel of all modernity. Only when we confirm these propositions, we can stop playing foolish games about when coffee was first introduced or how much earlier it could have been. The meaning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and positivism is a game that always has its limits in the long-standing colonialism. King Gojong had access to coffee earlier than we thought and the Joseon royal family served coffee to foreigners. Therefore, on that matter, they had their own unique plans of modernity. However, that could not prevent the country’s loss of sovereignty to Japan, that had strengthened its armed forces with the American and Western powers on its back. Dabangs were the place that replaced those lost dreams. The work of genealogically tracing the various dabangs that existed in Gyeongseong and putting together the barely remaining little pieces that were almost completely damaged was also a process of learning the dreams and secrets of the youth in such colonial times. At its deepest core, Yi Sang, a poet and architect, had finally overcome modernity.

      • 1960~1970년대 커피의 일상화와 살롱드라마

        김태희 (재)한국연구원 2019 한국연구 Vol.0 No.3

        조선후기에 커피가 처음 전파된 이래 커피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1960년대에는 정부에서 커피 소비량을 문제로 인식할 만큼 커피 소비량이 늘어났고 커피를 파는다방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다방의 성장에는 당시 새로운 문화 소비의 주체로 등장한 청년 세대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청년 세대는 밥값에 맞먹는 커피 값을 기꺼이 지불하고 공통된 관심사를 갖고 있는 동료들을 찾아 다방을 누볐다. 커피는 단순한 기호식품이 아니라 친밀감을 조성하고 대화를 시작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1960년대 극장이 부족했던 연극인들은 극장 대신 다방에서 연극을 하기 시작했다. 정식 무대도 없었고 조명이나 음향 시설도 부족했지만, 극장이 부족한 상황을 타개하고자연극을 향유할 준비가 되어 있는 관객들이 있는 곳에 직접 뛰어든 것이었다. 이런 방식의 살롱드라마는 크게 인기를 얻어서 까페빠리처럼 아예 직접 공연을 기획하는 다방들도 등장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성과는 까페 떼아뜨르였다. 최초의 민간 소극장이라고 볼 수 있는 까페 떼아뜨르는 다방과 극장을 겸한 공간으로, 다방에서 공연되었던 살롱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등장할 수 있었다. 다방을 겸한 극장이라는 개념은, 극장을 특별한 이벤트를위한 공간이 아니라 커피를 마시러 가는 일상적인 공간으로, 연극을 낯선 것에서 가깝고친숙한 것으로 바꾸어 놓았다.

      • KCI등재

        지역적 맥락에서 본 제주농촌지역의 성매매 지형에 관한 연구 : 지역개발 과정에서 ‘피리’ 마을 주민과 다방종사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강경숙(Kyung Sook Kang) 제주학회 2010 濟州島硏究 Vol.33 No.-

        이 연구는 지역개발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조건의 변화를 거쳐 마을 공간이 어떻게 성산업 중심으로 구성되는지를 제주농촌지역인 피리마을주민과 다방종사여성의 경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성매매에 관한 연구들은 티켓영업다방이 성판매여성의 성산업에 유입되는 초기 경로로써 십대여성이 고용되어 있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피리마을의 다방종사여성들은 대부분 4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중장년층 여성이며 티켓영업다방의 문제가 성판매여성의 경험이 아닌 지역주민의 이혼, 가출, 자살 등의 가족해체 현상으로 가시화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제주지역의 지역개발을 통한 산업화 과정에서 피리마을의 티켓영업다방이 지역 주민의 성문화, 지역공동체 문화, 경제 구조 등의 삶의 맥락과 교차하면서 피리마을만의 독특한 문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농촌지역인 피리마을은 1960년대 이후 지역개발을 통하여 상업적 농업의 전환과 관광단지로 개발되었고 이러한 개발 방향은 지역의 성별 경제적 조건의 변화를 가져와 남성의 경제력이 향상된 반면 여성 노동력의 가치는 하락하여 여성들은 가족노동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별 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지역의 경제 구조와 맞물려 지역 남성의 소비 구조의 변화를 가져왔고 노동과 시간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제주지역의 성별분리체계에 따라 남성들의 여가/놀이문화로써 티켓구매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80년대 이후 관광산업 중심의 지역개발 과정에도 이어져 개발정책의 일환으로 기생관광 등 성산업이 육성되었다. 이처럼 제주 지역의 관광개발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공모에 의해 기생관광 으로 출발하였고 오늘날 피리마을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티켓영업에 대하여 수용적인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연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지역공동체의 특성 상 지역 주민 간의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소비가 미덕으로 작용하면서 지역공동체는 이익을 도모하는 관계와 소비를 통한 경제공동체로 변화하면서 성인 남성을 위한 유흥 공간으로 구조화되고 있었다. The present study selects Piri Village where sexual industry is special- industrialized with ticket-selling teahouses, and intends to analyze the prostitution terrain at Jeju s rural area in the local context. Particularly, this study examines how economic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of the community, influenced by the community development, would construct a sexual industry-orientated village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of inhabitants and the Female Teahouses Workers.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prostitutes experience,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ir country and ethnicity, the exploitative structure of sexual industry, and the relation with male cli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xperience of inhabitants, local residents. Thus, previous findings are insufficient to explain the ticket sales method in Piri Village and relevant cultural phenomena. This study accordingl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he female prostitutes of ticket-selling teahouses in the context of economic and sociocultural changes for the period of community development.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is the survey to inhabitants an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during the field work. First, the feature of sexual industry geomorphology in Piri Village is inspected. Secon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first, the sexualized change of economic condition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e first-and the third-industry oriented community, and, second, the ticket purchasing behavior of male residents in the context of a sexually separated system in Jeju. Third, the tourism-oriented community development since 1980 s has fostered sexual industry in Jeju, which has led to the change of local communities. The present study has methodological contribution because it extends a research boundary. Previous studies mainly dealt with prostitutes experience or urban areas of previous studies, whereas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urban residents and rural areas, which is the mixture of prostitution research and local research.

      • KCI등재

        자생적 문화예술공간이 문화예술 교류에 미치는 영향

        장혜지,김재범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4

        This comparative study deals with the role of DA-BANG(Tea Room) and BARIM as art space. DA-BANG and BARIM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re autonomous art spaces run by artist. Comparative analysis is based on the re-modified model of cultural diamond, notably the the role of DA-BANG in the 20th century and BARIM in the 21st century. In the producer-mediation 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we closely examine if the above point works as production cum communication area. In the consumer-mediation point, we examine if the space works as space for performance and education. Lastly, but not least, we deal with the role of space as linkage between society and space. Although DA-BANG was not a specialized space in arts and culture, it functioned as a space for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for the artists at that time. In an era when association between art and intermediate space was limited and connectivity between social world and intermediate space was weak. The role of DA-BANG as space for performance/exhibition and education side was limited in comparison with BARIM. BARIM carried out the roles of mediators that link artists, art space, and society, especially it functioned as a space for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to the artists. BARIM is a residency space rather than performance/exhibition space.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BARIM is an augmented/extended form of arts and culture space. It was revealed that DA-BANG was a space for creativity to the artists until the mid-1900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Da-Bang and Barim was active as producer-mediation space. BARIM is an alternative space that gives artists the autonomy to create arts and consider the process a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 Barim is more concerned with residency, and its operation system is a good example for alternative spaces that have recently disappeared without identities. 본 논문은 자생적 문화예술공간이 문화예술 교류에 미치는 영향을 20세기의 다방과 21세기의 광주 바림의 역할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방과 바림은 1인 예술가에 의하여 운영되는 자생적 문화예술공간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본 논문은 재수정된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표를 작성하여 다방과 광주 바림의 역할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재수정된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의 생산자-매개 지점에서는 문화예술공간이 작업 공간·교류의 장으로 역할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소비자-매개 지점에서는 공연전시·교육을, 그리고 예술 작품-매개 지점에서는 예술 작품과 해당 공간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매개 지점에서는 사회와 해당 공간과의 연계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방은 전문 문화예술공간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문화예술인들의 작업 공간이자 교류의 공간으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다방은 예술 작품과 매개 공간과의 연관성, 사회와 매개 공간과의 연계성의 측면은 다소 미약했으며, 공연·전시 측면과 교육 측면에서도 바림과 비교하여 그 역할이 미미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림은 작업 공간·교류의 공간, 예술 작품과 매개 공간과의 연관성, 사회와 해당 공간과의 연계성, 공연·전시와 교육의 역할을 모두 담당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작업 공간·교류의 공간으로써 가장 활발하게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바림이 공연·전시 공간이기보다는 레지던시 공간으로써 역할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문화예술공간의 특성에 따른 역할을 재수정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도식으로 나타냈을 때, 바림은 1900년대의 다방의 역할이 전반적으로 증폭된 형태의 문화예술공간이다. 이 연구를 통해 다방은 20세기 중반 무렵까지 그 당시의 문화예술인들의 아지트이자 창작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재수정된 문화 다이아몬드 관점에서보았을 때, 다방은 생산자 측면에서 할발한 형태의 문화예술공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바림 역시 그와 유사하였다. 바림은 작가들에게 자율성을 주고 작품의 결과 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대안 공간으로써, 레지던시에 집중하고 있는 바림의 운영 시스템은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사라져가는 최근의 대안 공간들에게 좋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李箱의 제비 다방 운영과 그의 여인들

        박광민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李箱이 鐘路와 茶洞 일대를 오가며 시를 쓰고 운영했던 1930년대 다방 은 ‘낭만이 흐르는 知的 交遊의 공간’ 정도로 定義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 에서는 필자가 갖게 된 이상의 배천(白川)행에 관한 의문점을 짚어보고, 이상과 錦紅의 만남과 제비다방 운영, 이상과 卞東琳의 결혼에 관한 오해 와 진실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1930s, when Yi Sang wrote poems and ran a dabang while traveling back and forth between Jongno and Da-dong, dabang could be defined as ‘a romantic space of intellectuals and interaction.’ This paper explores on the writer’s questions about Yi Sang’s trip to Paecheon and examines the misunderstandings and truths about the meeting between Yi Sang and Geum Hong, the running of the swallow dabang, and the marriage between Yi Sang and Byeon Dong-r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