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靑年 김현과 만남의 철학- 評論集 『存在와 言語』를 중심으로 -

        임영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Kim Hyeon's search for new thoughts and his spiritual confusion containing in his first book 『Existence and Language』(1964). The book represents that the nature of young critic Kim Hyeon's mental chaos was originated from his desire for the new perspective, as a substitute of his Christianity deep rooted in his mind from childhood. As a start, he found the spiritual breakthrough in the thoughts of Martin Buber, who is a Jewish philosopher and theologist. The idea of Martin Buber is characterized by the philosophy of 'dialogue' and 'encounter' of me and you. According to Buber, human being is open to the freedom of choice and the realization of the possibility comes from the life. This aspect of Buber philosophy resolved Kim Hyeon's conflict between the strict Christian rules and the literature trying to violate taboos. He started to find the ways to the new thinking through Buber's philosophy of encounter. Kim Hyeon's spiritual pursuits extended to atheist existentialism of Heidegger and Sartre after French symbolism poetics. Finally Kim Hyeon's search for the new thoughts got to accept Sartre philosophy. He took the existentialism, not the Engagement literature theory.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lies in the freedom and choice. With this point of view about the human beings, Kim Hyeon made a new start for the critical writing targeting Korean literature. He completed the early stage of criticism and took a step forward to the next stage in his career as a critic. 김현의 첫 평론집 『存在와 言語』(1964)의 ‘後記’를 참조할 때, 당시의 靑年 批評家 김현이 직면한 精神的 彷徨의 본질은 어린 시절부터 그가 내면화한 基督敎를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관에 대한 요구로 나타나고 있다. 청년 김현은 기독교를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관의 형태를 유대인 哲學者이자 神學者인 마르틴 부버의 사유에서 처음으로 찾아냈다. 나와 너의 만남이라는 ‘對話’ 혹은 ‘關係’의 철학으로 특징지워지는 부버의 사유는 기독교의 엄격한 戒律과 禁忌에 대한 違反을 의미하는 문학의 세계 사이에서 방황하던 청년 김현의 정신적 갈등을 治癒하는 힘을 발휘했다. 부버의 만남의 철학에서 출발한 김현의 정신적 모색은 최종적으로 사르트르의 無神論的 實存主義 수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르트르 철학으로부터 자유로운 選擇의 主體로서 자신을 정립한 김현은 한국문학을 대상으로 삼는 본격적인 비평적 글쓰기 단계를 향해 나아간다.

      • KCI등재

        李光洙 문학과 植民地 近代 체험-初期 短篇을 중심으로-

        임영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3

        The Kwang-soo Lee's Literature and an Experience of Colonial Modernity Lim, Young-bong This thesis examined significance of Kwang-soo Lee's early short stories which can be seen as underlying the creation of novel Cold-heartedness(無情). His maiden work written in Japanese Is it love(愛か, 사랑인가), through skeptical activities of the hero, created an autonomous individual of a modern sense and also depicted in the form of national allegory a Korean student in Japan who experienced an ardent desire and frustration related to civilized society at the early colonial times of Korea. A following work A young sacrifice(어린 犧牲), however, expressed resistance of the weak against the strong in the narrative form of an illuminative adapted story.Short story Cold-heartedness(無情), Dedicator(獻身者), Kyung Kim(金鏡) are representative of the author's effort for novels of a new form in the reality of his nation degraded into a Japanese colony. Through those experimental studies, Kwang-soo Lee made a test on new materials and themes for a novel and advanced toward the creation of a full-length novel, which finally came up with novel cold-heartedness(無情), work of a monument. Kwang-soo Lee's early novelettes made a direct contribu- tion to the germination of novel Cold-heartedness(無情). 본고는 장편 無情 창작의 源泉이라 할 수 있는 이광수의 初期 短篇들이 가지는 의미를 考察한 것이다. 일본어로 씌어진 이광수의 처녀작 사랑인가가 自律性을 획득한 근대적 의미의 한 個人을 創出함과 동시에 민족적 알레고리의 형식으로 식민지시대 초기 조선인 유학생의 文明世界에 대한 강력한 熱望과 挫折感을 표현한 경우라면, 後續 작품 어린 犧牲은 强者에 대한 弱者의 저항을 飜案物 형태의 啓蒙的 敍事形式으로 표출하고 있다. 그리고 無情, 獻身者, 金鏡은 식민지로 轉落해 가는 민족적 현실 속에서 새로운 형식의 소설을 추구했던 작가의 노력을 대변하는 작품들이다. 李光洙는 이와 같은 實驗的 習作을 통해 새로운 소재와 주제를 실험하면서 그가 오랫동안 구상해 온 장편창작의 길로 나아가 紀念碑的인 無情을 낳게 된다. 이광수의 초기 단편들은 人物創造와 主題設定 등의 측면에서 장편 無情의 탄생에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이기영 소설의 서사공간과 장소성

        임영봉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0

        This paper attempts to reread the novel of Lee Ki-young in terms of narrative space and placeness. The narrative space and placeness of Lee Ki-young’s novel responds to the deepening expansion of spatial imagination rooted in the writer's own experience which is divided into farming area and town, a series of factory and mine as a specific place outside of the two spaces. In Lee Ki-young’s novel, Rural Village is the base of place experience and the center of spatial imagination. The home of poor tenant farmers appearing in Lee Ki-young's rural novel preserves the placeness inherited through tradition and has a closed space that accepts natural order as fate, but gradually opens to the outside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place. The feature, Hometown(고향), is a crystal plate that converges and expands the typical spatial composition and placeness of rural narratives established in the early middle of Lee Ki-young’s novel, and symbolizes the special place love for rural space through a return of hometown motif. In the novel of Lee Ki-young, the process of expanding and deepening the writer's spatial imagination appears as a ‘city’. Seoul, which is depicted in cold and heartless images in works such as “The Wonbo”(원보), “The Money”(돈), and “The puerperd”(산모), is emerging as a place dominated by the placelessness of being rooted out from the true place of life experienced by poor farmers and workers. The narrative of mining villages and spaces called Manchuria, which emerged around the 1940s, inherently has the character of compromise writing, which had no choice but to meet the Japanese national policy. “Dongcheonhong”(동천홍) and Gwangsanchon(광산촌) show the process of seeking artist self-esteem through deepening spatial imagination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The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and The Land of Maiden(처녀지) also reveal problems in that they are responding to the national policy imposed by Japan, but in terms of expanding spatial imagination and restoring place, it means one of the plans that writer Lee Ki-young has long dreamed of. 이 논문은 이기영 소설을 서사 공간과 장소의 측면에서 다시 읽어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기영 소설의 무대는 ‘농촌’과 ‘도시’로 크게 나누어질 수 있지만 이 두 공간에 포섭되지 않는 ‘공장’과 ‘광산’같은 특별한 장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기영 소설에서 ‘농촌’은 장소체험의 거점이자 공간적 상상력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기영의 농촌소설에 등장하는 가난한 소작농의 터전은 전통계승적인 장소성을 보존하고 있으며 자연의 질서를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닫혀있는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서서히 장소의 경계를 넘어 외부를 향해 열리게 된다. 장편 『고향』은 이기영의 초기 중단편에서 확립되는 농촌 서사의 전형적인 공간 구도와 장소성을 그대로 수렴하고 확장한 결정판이자 고향 회귀 모티프를 통해 농촌공간에 대한 특별한 장소애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이기영 소설에서 작가의 공간적 상상력의 확대와 심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은 ‘도시 공간’이다. 「원보」와 「돈」, 「산모」 같은 작품 속에서 냉혹하고 비정한 이미지로 그려지고 있는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은 가난한 농민과 노동자들이 이중적으로 경험하는 진정한 삶의 장소로부터 뿌리 뽑힘의 현장이자 ‘장소 없는 장소’라는 ‘무장소성’이 지배하는 공간으로 대두하고 있다. 1940년대를 전후하여 대두하는 광산촌과 만주라는 공간에 대한 서사는 일제의 국책에 부응할 수밖에 없었던 ‘타협적 글쓰기’라는 성격이 내재되어 있다. 『동천홍』과 『광산촌』은 자신의 체험에 근거한 공간적 상상력의 심화를 통해 작가적 자존을 모색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장편 『대지의 아들』과 『처녀지』또한 일제가 강요했던 국책에 부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성을 드러내고 있지만, 공간적 상상력의 확대와 장소성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농촌 공간과 체험을 정신적 고향으로 삼았던 작가 이기영이 오랫동안 꿈꾸어왔던 기획의 한 가지 실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동인지 散文時代 연구

        임영봉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1

        A Study of "Sanmun Sidae" Lim, Young-bong "Sanmun Sidae", issued in 1962,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rom a perspective of the literary history, the significance of "Sanmun Sidae" is that it represents the peculiar spirits of the times and the literary ideology of the 4.19 generation. The publication of "Sanmun Sidae" is a stating point in the sense that it declares the change of generations in the literary world of Korean and introduces a new kind of literature. The coterie consists of people from the certain schools and regions according to the strategical placement of its cultural and social assets. The literary spirits and ideology of the coterie of "Sanmun Sidae" are based upon severe criticism on old literary men and the tradition of literature. The coterie intends to create a literary ideology of its own distinctive from that of the previous generation. Kim, Hyeon and Kim, Sung Ok are the men. The short stories of them describe the will of self-reliance of the revolutionary generation and its identities impressively The originality of "Sanmun Sidae" is identified by the works of Kim, Hyeon․Kim, Sung Ok․Choi, Ha Rim and Kang, Ho Moo : for example, the literary imaginative power, sensitive self-consciousness to language, and experimental spirit in the aspects of the forms. Also, Critiques in "Sanmun Sidae" become the stating point of liberalistic literary theory in charge of an axis of Korean literature since then. 1962년 창간된 동인지 散文時代는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문학사적 측면에서 산문시대가 가진 의미는 4.19세대 고유의 시대정신과 문학이념을 대변하고 있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산문시대의 창간은 1960년대 한국문단의 세대교체와 새로운 문학의 대두를 알리는 출발점을 이루고 있다. 산문시대 창간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정 학교와 특정 지역’ 출신의 동인 구성은 그들이 가진 문화적사회적 자본의 전략적 배치 결과로 볼 수 있다. 산문시대 동인의 문학 정신과 이념은 기성세대 문인과 문학적 전통에 대한 강력한 ‘비판 정신’에 근거한 것이다. 그들은 앞 세대와 구별되는 자기 세대의 문학적 이념형을 창조하고자 했는데 그 선두 주자는 김현과 김승옥이었다.산문시대의 독자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김현, 김승옥, 최하림, 강호무 등의 단편소설들이다. 이들의 작품 세계는 강력한 ‘내면 지향성’과 ‘자기 의식’의 추구로 특징 지워진다. 뿐만 아니라 이들 동인은 언어에 대한 민감한 자의식과 형식적인 측면의 실험 의식도 보여주고 있다. 산문시대가 보여주고 있는 내면성과 자기 의식의 세계는 4.19세대 고유의 혁명체험 전유에 근거한 것이다. 혁명체험의 전유 과정에서 산문시대 동인들은 세계를 관념의 형태로 파악하고 자신의 존재와 의식을 ‘자유’ 속에서 정립해 나갔다. 동인지 산문시대는 4.19세대 문학의 원점으로서 혁명체험 세대의 자립 의지와 주체화 과정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는 경우이다.

      •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나는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 : 소설장르를 중심으로

        임영봉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일제강점기 다방 혹은 카페 공간의 문학적 재현 양상은 서구의 차(茶) 와 커피문화가 유입되고 발전해나가는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이해될 필 요가 있다. 19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홍차와 커피 중심의 ‘다 방문화’는, 술과 여급이 중심이 되는 일본식 ‘카페문화’의 대두 현상에 의해 서서히 퇴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도 초기의 근대적인 감수성과 이국적 정취 중심의 상상적 내면적 의미를 띠는 이미지에서, 술과 여급이 등장하는 유흥 중심의 일상적이고 퇴행적인 의식을 담고 있는 이미지로 변화해 나갔다. 이광수의 신문연재소설 「개척자」(1917)는 커피라는 서구적 기호품이 수용되는 과정의 풍속과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1920년대에 발표된 박영희의 「백수의 탄식」과 정지용의 「카페・프란스」는 서구적 감 수성과 이국 취향의 정서에 지배되는 다방문화 수용 초기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두 편의 시 작품은 근대적 문화공간에 대한 수용이 이념에 따라 굴절되는 이후의 양상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구한다. 일제강점기 소설의 다방공간에 대한 재현은 이광수와 염상섭, 채만식같은 작가를 비롯하여 ‘카프계열’의 박영희와 김남천, ‘동반자 작 가’였던 유진오와 이효석, ‘구인회’의 박태원과 이태준, 이상 등의 작품에 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소설에 그려진 다방공간은 인간 존재가 뿌리를 내리고 안주할 수 있는 원초적 장소의 상실 국면, 즉 ‘집’이면서 ‘고향’이 거나 ‘조국’으로도 상징될 수 있는 삶의 장소 상실에 대응하는 정신적 표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하의 상황에서 다방이라는 공간은 뿌 리를 상실하고 떠도는 존재의 피난처인 동시에 자신의 내밀한 꿈을 보호 하고 실현해나가는 내면적 상상적 장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박태원 의 <방란장 주인>에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적인 이상향의 이미지는 이 러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ea rooms or café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needs to be understood from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growth of Western tea culture in Korea. The “tea room culture” (based on black tea and coffee), which was introduced in earnest starting in the 1910s, slowly disappeared with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café culture,” featuring mostly alcohol and barmaids. Accordingly, the representation of the tea room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its early image with an imaginative, inner meaning centered on the modern sensibility and an exotic atmosphere to a quotidian and decadent image centered on entertainment, permeated by the odor of alcohol served by barmaids. The first work identified thus far featuring the tea room is Lee Kwang-soo’s Pioneer(1917), a serial novel published in a newspaper. This work illustrates the customs and reality of a time when the Western culture of coffee was introduced. Park Young-hee’s Sigh of the Jobless and Jung Ji-yong’s Café France, published in the 1920s, show images of the early years of the tea room culture when it was dominated by Western sensibility and exotic tastes. These two poems call for attention because they foretell how the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al spaces is affected by ideology. Representations of the tea room during the colonial era are found in different forms in works such as those of Lee Kwang-soo, Yeom Sang-seop, and Chae Man-sik; Park Young-hee and Kim Nam-cheon of the Korean Federation of Proletarian Art (KAPF); Yoo Jin-oh and Lee Hyo-seok, who were sympathizer writers; and Park Tae-won, Lee Tae-joon, and Lee Sang of the Guinhoe (Nine Person Association). The tea room depicted in novels during the colonial era corresponds to a mental representation expressing the loss of the primal place where people can take root and settle down, i.e., the loss of a living space symbolized as a “house,” “home,” or “fatherland.” Under colonial rule, the tea room signified a temporary shelter for wandering people without roots and an inner, imaginary place that protects and realizes one’s intimate dreams. The heterotopian image in Park Tae-won’s The Owner of Bangranjang is a case in point.

      • KCI등재

        조연현 비평 연구 : 평론집 『文學과 思想』을 중심으로 Focused on his Critique Collection of Literature and Thought

        임영봉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6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literary characteristics of Yeon-Hyun Cho known as one of major critics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He has established a monopolistic position in Korean critics’ society over the post-Korean-War time period, presumably through his already-acquired authority. The present research focused on accounting for a possibility that he could acquire such an authority that might have arisen from a process for developing his early criticism based on his published critique collection of Literature and Thought(LT) His criticism started from literary disputes processed between Korean Leftists versus Rightists during the time period of the Liberation of Korea throug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is writings in the critique collection LT reflect that his criticism performed during the Liberation time period was underlain by his heavy preference for conservative Rightists’ ideology, and theory of pure literature. The LT further represents that he has established his critical criteria and systems. His criticism made around the time of the publication of the LT revealed his prominent creativity on disputes and theories. However, this aspect of his criticism may be problematic due to an expression of his authority to actively control others’ will of speech. From the standpoint of P. Bourdieu, it is concluded that his criticism can be one of representative examples of symbolic strife utilizing a linguistic behavior.

      • KCI등재

        金東里 비평 연구-평론집 『文學과 人間』을 중심으로-

        임영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2 No.3

        Kim, Dong-lee a well-known Korean novelist, is also an important critic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His critique collection of Literature and Human-being(L.H.) published during the time period of the Liberation of Korea ascertains that he is excellent not only in writing but also in criticizing. From a viewpoint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he of a new generation is regarded as a primary person to have led new critical discourses performed during the Liberation time period. A literary position of his L.H. is thought to be reflected in this standpoint. He was thorough in practical critical discourses which were represented by his heavy preference for both strife and authority implied in his criticism. His critical discourses were based upon “pure literature theory” that was originated from Korean indigenous aesthetics and accepted irrational and anti-modern ideologies. His unique cultural experience at the last gener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Kim, Bum-boo's Oriental philosophy provided him with important physical bases in forming his critical discourses.At the time period of foundation of Korean government, aesthetics that was pursued by the Korean indigenous school composed of Kim, Dong-lee and his colleagues, and its represented pure literature were reproduced by other professional critics Cho, Yeon-hyun and his colleagues. And these also began to be institutionalized via the organization of Literature Association.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Kim, Dong-lee as a critic has contributed to creating post-Liberation Korean literature. 解放期에 출간된 金東里의 評論集 文學과 人間은 그가 小說家일 뿐만 아니라 탁월한 批評家였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批評家로서 金東里의 존재는 그가 해방공간의 批評談論을 주도해나가는 역할을 했다는 점, 他者를 지배하고자 하는 談論的 實踐을 통해 비평의 속성을 여실하게 드러내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김동리 비평의 根本的 지식체계는 고유의 土着派 美學에 근거를 둔 純粹文學 理論으로써, 이는 近代意識의 內面化와 함께 非合理-反近代主義的 성격의 知識素 수용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日帝末期世代로서 그가 가졌던 轉形期 文化體驗과 맏형 金凡父의 동양철학사상은 그 핵심적 토대를 이루고 있다. 정부수립과 함께 김동리 중심의 토착파 미학과 그 표상으로서의 순수문학론은 조연현 등의 專門 비평가들에 의해 再生産되어 文學制度化함으로써 分斷 以後 한국문학의 再編過程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