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김두리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문헌을 검색하고, 이를 분석함 으로써 추후,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간호학에서의 비약물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Whittemore & Knafl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연구는 최종 11편 이었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두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9편,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2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이후의 연구가 10편이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도 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행되었다. 경도인지장애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는 인지강화 프로그램 4편, 운동프로그램 6편, 음악프로그램 1편이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는 각 연구마다 다양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지속적인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s for developing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integrative review and analyze. An integrative review concept analysis method was us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relevant studies were 11, which are related to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quality of stduies were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ies were 9, and one group nonrandomized studies were 2.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studies for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4 in cognitive training program, 6 in exercise program, and 1 in music program. The efficac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as different by studies, and we need further studi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 KCI등재

        북심포지엄 : 귀납적 비약: 연역의 패러다임에서 귀납의패러다임으로

        여영서 ( Yeong Seo Yeo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3

        본 논문은 전영삼 선생님이 그의 책, 귀납: 우리는 언제 비약할 수 있는가 (2013)에서 던지는 질문, “우리는 언제 비약할 수 있는가?”의 의의에 대한 평가를 제시한다. 전 선생님의 질문은 복합질문이다. 즉 논리적 맥락임에도 불구하고 비약의 의미가 부정적이지 않다는 판단이 전제되어 있다. 그래서 전 선생님은 논리적 맥락일지라도 긍정적 비약이 가능하며, 그러한 긍정적 의미의 논리적 비약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분석하고 제시하고자한다. 비록 귀납적 비약을 빈도주의 입장의 채택1과 베이즈주의 입장의 채택2의 과정을 모두 거쳐야 한다는 전 선생님의 주장은 근거에 대한 좀 더 친절한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지만, 근본적으로 전 선생님이 책에서 제기하는 “우리는 언제 비약할 수 있는가?”라는 복합질문이 지니는 함의, 즉 연역논리가 논리의 전부인양 생각하는 ‘연역의 패러다임’으로부터 귀납논리의 제자리를 찾고그 역할을 바르게 평가하려는 ‘귀납의 패러다임’으로 전환시키려는 시도는 큰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여전히 ‘연역의 패러다임’에 빠져 있다고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귀납의 패러다임’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며 전 선생님의 질문이 지닌 패러다임 전환 시도의 의의를 발전시킨다. This paper reviews Prof. Chun Young-Sam``s recent book,Induction(2013). In the book, Prof. Chun presents the question, “Whencan we make an Inductive leap?” This is a compound question. That is,this question assumes that an Inductive leap is not a bad thing. Peoplesay that an Inductive leap has to be avoided. However, Prof. Chunargues that an Inductive leap may be a good thing even if the contextis logical. Prof. Chun tries to present the specific conditions when anInductive leap can occur. Although Prof. Chun``s distinction betweenacceptance 1 and acceptance 2 requires extra careful analysis and moreexplanation, I argue that Prof. Chun``s main question, “When can wemake an Inductive leap?” has a very important implication. I claim thatthe question implies that it is high time that we change the view wehave at the moment, deduction paradigm, with a new one, inductionparadigm. Induction paradigm aims to relocate the status of inductionand let it play its proper role in logic.

      • KCI등재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비약물적 중재가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권미화(Mi-Hwa Kwon),이재신(Jae-Sh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 · 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였으며, 2000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출판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제시한 사전-사후실험연구 가운데 실험군과 대조군이 있는 무작위통제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선정된 2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 전체의 효과크기는 –0.33으로 “보통”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세부적인 비약물적 중재 별 효과크기는 작업치료가 –0.26로 “보통”의 효과크기, 다감각자극이 –0.65로 “보통이상”의 효과크기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다(p<.05).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행동심리증상으로는 가정기반 프로그램에서는 주로 공격성, 기억력과 관련된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회상치료와 작업치료는 대체적으로 무감정, 다감각자극과 음악치료는 불안이나 초조행동에 주요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가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임상에서 치매환자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 시, 각 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적합한 중재를 선택하여 접근하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To investigate a variety of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have confirmed what the symptoms and effects, mainly interventions by acting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was conducted a meta-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online search engines using search words from domestic and foreign article database. The researcher independently and among the pre-post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une 2016, recalled apply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presents the effect of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CT in this study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showed that, effect size of the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of total –0.33, occupational therapy – 0.26, multi-sensory stimulation intervention –0.65 was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s to elderly with dementia(p<.05). According to interventions as a major affected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behavioral problems, mainly aggression, memory-related problem behavior in the home-based program. Also, reminiscence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is generally apathy, multi-sensory stimulation and music therapy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ajor change in behavior anxiety or agi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various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on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patients and confirmed the main symptoms of intervention.

      • KCI등재

        ADHD 아동⋅청소년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고찰

        이상훈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is study analyzed the guidelines and necessit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the types of interventions, and 301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past 20 years, and examin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by intervention type. The result is as follows. National guidelines recommend evidence-bas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cluding par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modification, behavioral therapy, classroom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s primary treatment. Therefore, Korea also needs to present specific guidelines including intervention procedures, and establish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suppor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re essential for solving problems caused by ADHD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overlapping disorder, and secondary symptoms. Therefore,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institutional certification and support based on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intervention methods can be consider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over the past 20 years have mainly focused on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based on a randomized control group design method, performing art and sensory/motor interventions for 11∼20 sess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lex factors. In this study, intervention methods shown i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9 intervention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However, in order to help families and teachers in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hoice, a professional academic society should conduct periodic research on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d develop guidelines. 본 연구는 ADHD 아동⋅청소년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지침과 필요성, 중재유형 그리고 최근 2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301편을 분석하여 비약물적 중재연구의 동향과 중재유형별 특성을 고찰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가별 지침에는 일차치료로 부모교육, 환경수정 그리고 행동치료와 교실행동중재, 교육적 중재를 포함하는 근거기반의 비약물적 중재를 권고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중재절차가 포함된 구체적인 지침과 교육적 중재 및 지원의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비약물적 중재는 ADHD 증상, 기능적 손상, 중복장애, 이차증상 등의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므로 다양한 중재방법들을 개발하고 효과성과 안전성 검증에 기반한 제도적 인증과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국내 ADHD 아동⋅청소년의 비약물적 중재연구는 주로 ADHD 진단 아동을 대상으로 무작위대조군 설계법에 근거하여 미술 및 감각⋅운동 중재를 11∼20회기 실시하여 복합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약물적 중재연구에서 적용한 중재방법들을 9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특성을 고찰했으나 가족과 교사들의 실제적인 이해와 선택을 돕기 위해서는 전문학술단체에서 중재방법의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한 주기적 연구와 지침 개발 등의 역할을 적극 수행해야 한다.

      • 기술경제학의 다양한 접근을 종합한 기술추격론의 재구성

        이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후발국의 경제, 산업, 기업 차원의 기술혁신 성과에 의한 기술추격에 대한 연구가 최근 다양한 실증적 결과와 다양한 이론적 전개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과거에는 후발국은 선진국의 낙후된 기술을 흡수 개량하는 가운데 기술적 역량을 제고해 나간다는 제품(기술) 수명주기설적 시각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신슘페터학파의 기술경제학, 지식경제학 및 지식경영론, 심층적 산업/기업 차원 분석 등 다양한 이론적 시각에 기반한 연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또한 대내외 경제환경도 지식정보화, 세계화, 중국의 출현 등 급변하고 있다.이에, 이런 새로운 경향들을 반영한 최근 연구들에 대한 종합적 리뷰, 분석, 비판에 기반한 기술추격이론의 종합과 새 이론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수행함으로써 최근의 이론 및 연구동향을 알려주고, 실증적 세부적 연구에 이론적 틀과 시각을 제시하고, 또한 어떤 연구가 더 필요하고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본고는 한국과 대만 기업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기술 추격 과정에서 지식 창출의 단계적 패턴을 논의했다. 첫 번째 단계는 후발 기업들은 주로 조립 생산 과정에서 외국기업이 가진 숙련을 실행을 통해 습득하는 ‘사회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선진국 기업들이 제공한 제품 설계의 ‘내부화’로 공정기술을 습득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후발 기업들은 기존 선진국 제품을 모방함으로써 설계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후발 업체들은 새로운 제품 컨셉을 개발하는 진정한 혁신능력을 달성하게 된다. 기술 추격에 대한 장애요인으로서, 본고는 후발 기업들이 3 단계에서 직면하는 불확실성을 강조하였다. 제 3단계의 불확실성은 바로 선진국 기업들이 자신들에게 설계를 제공하지도 라이센싱을 제공하지도 않기 때문에 이제는 제품을 직접 설계해야 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위기”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후발 기업들이 각고의 노력으로 독자적인 제품 설계에 성공할 때 이 위기가 동시에 비약(단계생략형 혹은 경로창출형 추격)을 낳는 기회의 창이 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즉, 설계 기술 확보라는 위기는 비약을 낳는 추동 요소인 반면, 새로운 기술경제 패러다임의 도래는 기술 비약을 낳는 견인 요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기존 문헌이 생산능력, 인력, 그리고 지리적 이점이라는 기술비약을 촉진하는 세 가지 요소를 주로 논의한 반면, 본 연구는 기술비약에 수반하는 두 가지 위험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하나는 적절한 기술이나 표준의 선택에 따르는 위험 그리고 다른 하나는 초기 시장을 창조하는데 따르는 위험이다.본고는 외국지식 기반에 대한 접근의 다양한 형태를 논의하고 분류했으며 외국 지식에 접근할 수 있는 채널의 구체적 형태가 아래와 같이 단계적으로 진화함을 설명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일차적인 학습 채널은 외국 OEM 바이어로부터의 기술적인 지도나 외자기업에서 일하면서 학습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 후발 기업들은 기술적인 라이센싱에 의지하여, 적극적으로 학습하거나 FDI 파트너로부터 기술 전수를 받고자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후발 기업들은 일정한 수준의 사내 연구개발 능력을 갖게 되고, 이것은 민관 R&D 컨소시엄, 해외 R&D 전초기지, 외국 R&D기업 내지 기술전문기업과의 공동 개발 계약, 그리고/또는 국제적인 M&A에 의해 보완되게 된다. 마지막 단계는 자신의 보완적인 자산을 기본으로 외국기업과의 수평적인 협력 혹은 제휴이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추격에 대한 단일한 전형적인 모델이 있는지 혹은 몇 개의 모델이 존재하는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모든 추격은 기본적으로 해외에서 도입된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성숙된 제품이 아직 전성기일 때 여기에 새로운 투입, 설계, 기능 등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희소성을 창출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단일한 추격 모델에 대한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추격의 공통 요소는, 새로운 시장 영역에 신속하게 진입하여 통합적 설계능력을 가지고 기술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여 첫 번째 시장 선점자가 되는 것이다. 선진국 기업이 장기 기술 주기를 지닌 부문에서 뛰어난 기술 능력을 보이는 반면 한국과 대만은 단기 기술 주기를 지닌 부문에서 높은 수준의 기술 능력을 달성하였다는 사실이 이런 주장을 뒷받침 해준다. 지식이 빠르게 노후화될수록, 이런 특성은 후발기업에게는 기회의 창으로 기능한다는 사실은 기술패러다임의 변화가 기술비약을 낳는다는 기술비약 가설과 일치한다. 한편 추격에 대한 두 가지 모델의 가능성은 한국과 대만의 주요한 차이, 특히 외국 지식 원천에 대한 입장과 OBM이란 마지막 목표를 향한 경로와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대만은 다국적 기업과의 협력 내지는 통합전략을 택하여 OEM, ODM 그리고 OBN이란 표준적인 경로를 취했으나, 한국은 설계 기술을 획득하지 못한 채로 외국 기업들로부터 독립하여 OEM에서 OBM으로 직접적으로 도약하였다. 대만의 경우, 소규모성이라는 단점과 기술적인 업그레이딩에 대한 필요성은, 정부의 계획적인 개입 덕택에 R&D 및 이를 기반으로 한 분사화와 기술 이전에 의해 극복되었다. 한국의 경우에는 대규모의 위험부담이 큰 프로젝트를 관 R&D 컨소시엄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 결론 또는 정책적 시사점본고의 분석은 후발 기술 추격에 있어 정부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물론 그 구체적인 개입의 형식은 산업과 발전 단계에 따라 달라야 한다. 또한 FDI가 초기 학습의 장으로 기능한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이는 후발국의 기술 발전의 궁극적인 통로가 될 수 없다는 점, 즉 기업 소유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정부 및 정부 연구 기관들은 특정한 표준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따라서 적절한 시점의 시장형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비약에 따르게 되는 두 가지 위험을 해소하는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변비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이기란,김두리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s throught integrativ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for constipation in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the domestic search engines RISS and KISS, eleven studies were selected by searching for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10 to January 2023.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relevant studies were 11,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cluded abdominal massage, foot massage, acupressure, moxibustion, lifestyle intervention, carbonated water intake, and complex therapy. Constipatio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were confirmed as effects of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is no study confirm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constipation in the elderly,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constipation consider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변비 비약물적 중재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 변비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노인 변비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개의국내 검색엔진을 통해 2010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11편의 문헌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변비 비약물적 중재유형은 복부마사지, 발마사지, 지압, 뜸요법, 생활습관중재, 탄산수 섭취, 복합요법이 있었으며, 중재의 효과로 변비, 수면의 질, 우울을 확인하였다. 비약물적 중재 모두 노인 변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발마사지, 지압의 경우 노인의 수면의 질, 우울에도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노인의 변비 관련 삶의 질을 확인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추후, 노인의 삶의 질을 고려한 변비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비약물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최수빈(Choi Suv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세계적으로 고령화 인구 구조가 형성되며, 고령 인구의 노화 관련 질병을 예방 및 지연하기위한 비약물 중재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최근 10년간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대상의 비약물 중재효과 연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체계적 문헌고찰의 자료선정기준에 따라 293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최종 9편의 논문이 분석 대상으로 선별되었다. 비약물 중재의 종류는 음악중재, 인지강화, 요리, 다차원 감각 자극 훈련, 독서활동, 레크레이션 교육활동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게 제공되었으며, 비약물 중재 프로그램과알츠하이머 치매 단계는 비약물 중재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음악 중재는 실시 횟수, 회기별 프로그램, 피험자의 참여 정도가 인지기능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되었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질병 단계, 나이, 성별, 교육정도 등의 생물사회적 요인에 따라적합한 비약물 중재가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With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worldwid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prevent and delay aging-related disease has drawn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results of studies on patients with Alzheimer’s-type dementia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 over the past decade. 293 papers were searched according toe the data selection criteria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nine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Various method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were provided to patients with Alzheimer’s-type dementia, including music therapy, cognitive training, cooking, multisensory stimulation, reading activities, and recreational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the method and the state of the disease have been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music therapy, it was found of subjects affected the patients’ cognitive func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considering socio-biological factors such as age, gender, and level of education, as well as the condition of Alzheimer’s patients.

      • KCI등재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구슬기(Koo, Seul-Gi),박혜연(Park, Hae-Yean),박지혁(Park, Ji-Hyuk)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ystematic review of th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ADL improvement for dementia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for the past 10 years, and to provide general information o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o dementia expert in clinical practice. We searched published studies in the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and Scopus databases from January 2007 to November 2016. The main keywords used Dementia AND (ADL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total of 9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rom 974 searched articles. The level of evidence were belonged to 3 each studies in Ⅰ~Ⅲ level. The mostly provid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were exercise, the study field was variety of areas including rehabilitation(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nursing, and psychology. The Barthel Index(BI) was most frequently used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on was most dependent variables measured with the ADL.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d evidence for the understanding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ADL improvement for dementia.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helpful intervention needed for ADL training.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 논문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현장에서 근무 중인 치매 전문 인력에게 비약물 중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제공과 효과 적인 중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개제된 국외 논문을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Scopus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는“Dementia AND (ADL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을 사용하였고, 검색된 974편의 논문 중본 연구에 적합한 9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의 질적 수준은 Ⅰ~Ⅲ에 각각 3편씩 속하였다. 운동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연구는 재활분야(작업치료학, 물리치료학), 간호학,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평가도구는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BI)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동시에 가장 많이 측정된 종속변인은‘인지기 능’이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 비약물 중재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있을 것이며,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 훈련을 목표로 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령자 치매 환자의 인지보존을 위한 비약물적 치료의 개입

        김희진(Kim, He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Introduction : Non-pharmaceutical treatment, which has emerg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dementia, is intended to help in cogni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Here, we suggest by providing a kind of cognitive arbitration and theoretical basis. Text : Cognitive intervention can be divided into cognitive trai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cognitive stimulati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trategy can be carried out largely through compensation and recovery strategies, and there is a ’alternative strategies’ using music therapy or Snozelen. Discussion : Non-pharmaceutical treatment based on neuronal plasticity should be conducted with extensive research,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w biomarkers that can objectively verify future customized treatments and outcomes taking into account personal deviations. Conclusion : Further research on cognitive intervention is needed as a non-pharmaceutical treatment for cognitive preservation for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super-aged society. 목적 : 치매에 있어서 약물적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비약물적 치료로서 인지중재의 종류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여 향후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를 계획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비약물적 치료의 인지중재는 인지 훈련 (Cognitive Training), 인지재활(Cognitive rehabilitation), 인지자극 (Cognitive stimulation) 으로 나눌 수 있고, 인지재활 전략은 크게 보상과 회복전략을 통해 진행할 수 있고, 음악요법이나 스노젤렌 등을 이용한 대안전략이 있다. 연구결과 : 신경가소성에 근거한 비약물적 치료는 추후 개인적 편차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 및 결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표지자 개발과 함께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야 한다. 결론 : 초고령화 사회에 발맞추어 인지보존을 위한 비약물적 치료로서 인지중재의 새로운 요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비약물 중재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방양희,조미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본 연구는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시행된 비약물 중재의 우울 증상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PubMed, CINAHL, PsycINFO, Science direct, KISS, RISS, DBPia 등의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1,147편의 문헌을 검색하였고 문헌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21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문헌의 질평가는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시행하였다. 비약물 중재의 효과크기는 CMA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비약물 중재의 우울 증상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ES=-0.68)로 나타났다. 하위그룹 분석결과, 인지중재(ES=-1.03)와 복합중재(ES=-0.97)가 운동중재(ES=-0.53)에 비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비약물 중재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증상 감소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 개선을 위한 다양한 비약물 중재프로그램이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