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사 연구와 재이(災異) 사료의 활용

        채웅석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71

        In the premodern age, calamity referred to a natural phenomenon which was regarded as being abnormal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at that time like solar eclipse or appearance of deformed animal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Calamity had great damage and had a great effect on politics. Because calamity was treated as a sensitive issue in justification of political authority, each dynasty was extremely worried about preparation plans and recorded the relevant facts. Until now the academia has almost never reviewed overall research articles on calamity in the Goryeo Dynasty. However,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on disasters as it realized the seriousness of natural climate change. Now, to raise the research level on calamity and expand the perspective of research, the features and limits of the historical records need to be exactly understood. Also results and issues of the precedent studies need to b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their problems need to be examined. This thesis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tudies by dividing the fields into the historical feature of calamity records,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 the anti-calamity measures of the centralized government, the chan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 medical treatment of epidemics etc.. The points which need additional research in the future are as follows:First, when studying calamity, the limits of the historical records should be first recognized and criticized and corrected. Second,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 needs to be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political culture, not just as the political ideas. Third, response to calamity needs to be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pluralism and coexistence in the Goryeo Dynasty. Fourth, studies on the original texts which interpret calamity as prophecy and the political functions should be done. Fifth, a high level of DB of calamity should be built in a range of East Asia and efficient interdisciplinary research should be done based on it. 전근대시기에 재이는 천재지변뿐 아니라 일‧월식이나 기형 동‧식물 출현 등처럼 당시 지식으로는 비정상적이라고 여긴 자연현상을 가리켰다. 재이는 피해가 클 뿐 아니라 정치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재이가 정치 권력의 명분과 정당성에 민감한 사안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왕조마다 대책 마련에 부심하였고 관련 사실을 역사에 기록하였다. 그동안 학계에서 고려시대 재이 관련 연구성과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적이 거의 없었다. 그렇지만 현재 자연환경 변화의 심각성을 깨달으면서 재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제 재이 관련 연구의 수준을 더 높이고 연구시각을 확장하려면 사료의 성격과 한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선행연구의 성과와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한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재이 기록의 사료적 성격과 한계, 유교 정치사상으로서 천인감응론의 적용, 중앙집권체제의 유지와 재이 대책, 재이 사료를 활용한 자연환경의 복원, 전염병의 추이와 의료 등으로 분야를 나누어 연구 현황과 쟁점들을 살폈다.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한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이를 연구할 때 먼저 사료의 한계를 인식하고 비판과 補正작업을 해야 한다. 둘째, 천인감응론을 단지 정치사상으로서가 아니라 정치문화론의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이에 대한 대응을 고려시대의 다원성과 통합성의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재이를 예언으로 해석하는 문헌적 근거와 그 정치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동아시아 범위에서 수준 높은 재이 DB를 구축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학제간 연구를 해야 한다.

      • KCI등재

        孝宗대 정국변화와 災異 논의의 활용

        하서정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4 No.-

        King Hyo-jong (孝宗, 1649-1659) tried to recover from the damage caused by the Manchu war of 1636 of and reorganize the country. It is known that natural disasters occurred frequently in the 17th century due to the ice age. And Reign of King Hyo-jong's occurrence of natural diststers also affected various parts of the political world. When analyzing the frequency of King Hyojong's records[孝宗實錄] through the log and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s records increased in 1652(孝宗 3) and 1657(孝宗 8), and decreased in 1655(孝宗 6). This reflects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朝鮮], realistic Zaiyi(災異, the natural disasters of the traditional era) became more important than symbolic, as the development of science stopped symbolic Zaiyi from representing power. Realistic Zaiyi also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policies, but he also played a role in opposing the policy. The incident, which relates to King Hyo-jong`s legitimacy, was a problem because the material punished a 'Eng-gi-sang-so(應旨上疏)' that should not be punished. This caused King Hyo-jong to conflict not only with the deities but also with the San-lim(山林). In this atmosphere, King Hyo-jong consistently argued The policy`s Subjugate the North(北伐論). But it was impossible to realize that The policy`s Subjugate the North was realistically, and the subjects had to stop it for a clear reason. One of the causes was the occurrence of Zaiyi. In Confucian society, the occurrence of Zaiyi was understood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depravity of the ruler, and the realistic damage of the Zaiyi was a big problem for Joseon Dynasty, which was an agrarian society. The subjects argued that policy cannot be implemented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Zaiyi, and that violent policy enforcement causes Zaiyi. 孝宗(재위 : 1649~1659)은 호란의 피해를 수습하고, 국가를 재정비하고자 노력하였다. 17세기는 소빙기로 인해 자연재해가 잦았다고 알려져 있는데, 효종대 역시 자연재해의 발생이 정국의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끼쳤다. 효종대 災異 기록의 빈도를 『孝宗實錄』과 『承政院日記』를 통해 확인해보면 효종 3년과 8년에 집중되며, 6년에는 비교적 줄어들었다. 조선 후기에는 ‘상징적인 재이’보다 ‘현실적인 재이’가 더욱 중요해졌는데, 과학의 발달로 인해 ‘상징적인 재이’가 더 이상 권력을 상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실적인 재이’는 다양한 정책을 실현시키는 것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반대로 정책을 반대하는 역할도 하였다. 효종은 인조대 후반부터 이어진 재이에 대한 소극적인 대응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그는 求言敎書를 자주 내리거나, 신료들에게 응지상소를 올리도록 촉구하였으며, 직접 祈雨祭에 참여하고자 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효종대 재이 논의는 활발해졌다. 그러나 효종 5년, 金弘郁 옥사의 발발로 다소 잘 이루어졌던 재이 논의가 침체되었다. 효종의 정통성과 관계되는 이 사건은, 그것이 벌을 주어서는 안 되는 ‘應旨上疏’에 벌을 내렸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효종은 대신은 물론 공론을 중시하는 산림들과도 갈등을 빚게 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효종은 꾸준히 자신의 명분이자 大義인 北伐論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북벌이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것이었고, 신료들은 이것을 분명한 명분을 통해 저지해야만했다. 그 명분 중 하나가 ‘재이의 발생’이었다. 이것은 현실적으로 북벌을 시행할 수 없다는 함의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러한 정책들을 반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위기 즉, 재이의 발생이나 민폐가 제시될 수밖에 없었다. 재이 논의로 인한 북벌론의 좌절은 재이 논의를 통한 공론의 회복을 상징한다고도 볼 수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전통사회의 재이 DB 구축과 그 의미

        최봉준(Choi, Bong Jun)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5 No.-

        인류는 오랜 역사에 걸쳐 자연재해에 대응하였다. 그러나 오늘날까지도 인류는 자연재해에서 자유롭지 않다. 근대 이전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는 자연재해 뿐만 아니라 일식, 월식, 혜성의 출현, 기형아와 쌍둥이 출산 등을 정상적인 자연 현상으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이는 중국과 한국의 정사(正史) 기록에서 ‘재이(災異)’라는 용어로 개념화되었다. 전세계적으로 환경사에 대한 관심은 이미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연구자와 기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DB가 생산되고 서비스되고 있다. 이는 재이에 관심을 갖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여러 분과 학문에서의 연구가 질적으로 향상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동아시아로 좁혀보면, 중국은 이미 방대한 자료를 종합하여 여러 형태의 DB를 구축하였으나, 한국에서는 일관된 기준 아래 종합적인 성격의 DB가 구축되지 않았다. 비록 중국의 재이 관련 DB가 국외 연구자들의 접근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고 해도, 이는 중국과 한국의 재이 연구를 위한 환경에서 매우 큰 격차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필자가 소속된 가톨릭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에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재이와 관련한 분과 학문의 관심사를 모두 모아, 종합 학문으로서의 “재해학”의 형성과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첫 번째 단계로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전통사회를 배경으로 재이 DB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한국과 중국의 정사, 연대기자료, 일기류, 공문서, 금석문 등에 흩어져 있는 재이 관련 자료를 종합하고 용어를 표준화하고, 연구자와 대중이 중국과 한국의 재이 발생과 전개를 상호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이 DB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재이 관련 연구가 앞으로 확대 재생산될 수 있을 것이며, 재이 연구의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Human beings have responded to natural disasters for a long time in history. Nevertheless, human beings are not free from natural disasters even today. Before modern times, East Asian traditional society didn’t consider solar eclipse, lunar eclipse, appearance of comet and birth of deformed and twin children as normal natural phenomena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This was conceptualized as the term ‘natural disaster(Jaei災異)’ in Chinese and Korean authentic history. The interest in environment history is increasing in the world, and many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produce various types of DB and provide service. This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research in many divisions such as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that pay attention to natural disasters. When narrowed in East Asia, China already established various types of DB by integrating massive material, but Korea hasn’t established comprehensive DB under the consistent standard. Although the DB of China regarding natural disasters is not easily accessible for overseas researchers, this can be a big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environment to study natural disasters of China and Korea. Therefore, Humanities and Social Institute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hich I belong to, is conducing research to form and establish ‘Disaster Studies’ as a comprehensive study by gathering matters of interest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from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The first stage is to establish DB of natural disasters with the background of East Asian traditional society such as China and Korea. The establishment of natural disaster DB is to integrate natural disaster related resources that are scattered in Korean and Chinese history, chronicles, diaries, public documents and epigraph materials, to standardize terms and to compare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s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is, natural disaster related research is expected to be expanded and reproduced, and to become an opportunity of new development in this field.

      • KCI등재

        인조(仁祖)대 재이(災異)에 대한 인식과 대응

        하서정 ( Ha Seo-jeong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7 No.-

        인조대는 정치적, 사회적인 변화를 겪은 시기로 이해되고 있다. 反正으로 정국이 바뀌면서 남인과 서인의 공존화가 이루어졌고, 이괄의 난 등의 내부적인 위기를 경험하였다. 또한 명·청이 교체됨에 따라 국제 질서의 재편을 겪고, 두 차례의 호란으로 국제 전쟁을 치루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조대 사회적 양상은 자연 환경적인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전통시대 자연 재해는 災異라고 하는데, 조선시대 재이는 `천변`과 `지변`으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인조대 재이는 다양한 사료를 통해서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데, 연대기 사료와 『증보문헌비고『와 『재이고』를 통해 17세기 조선시대에 재이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전통시대 재이론은 중국에서 발달한 `天人感應論`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조선시대 재이론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를 수용하여 인조는 반정군주로서의 취약한 정통성을 극복하고자 하였고, 신하들은 독단적인 군주의 권력 행사를 제재하고자 하였다. 이에 인조는 기우제를 친제함으로써 民本을 표방하여 天命을 부여받은 임금의 권위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원종 추숭과 왕실 보호에 재이 구언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정치적인 주도권을 잡고자 하였다. 인조의 재이에 대한 태도는 병자호란을 기점으로 바뀌게 된다. 병자호란 이전에는 꾸준히 `천변`과 `지변`에 대한 대응을 한 반면, 전쟁 이후에는 `천변`보다는 `지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던 것이다. 인조는 전쟁 이후 `천변`을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자 다른 방안으로 `지변`을 선택하였다. 이는 재이구언의 계기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다. 그럼에도 재이 구언 자체에 대해서는 소극적으로 대응하였는데, 이는 정치적인 견제로부터의 거부로 볼 수 있다. 대신 인조는 민생 구휼에 힘쓰는 태도를 보인다. 기우제를 친제하거나 내탕고를 열어 빈민을 구제하는 등의 행위는 민생 구휼에 인조가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은 인조대 진휼청의 역량이 향상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인조의 구휼에 대한 태도는 후대에 긍정적으로 평가되는데, 인조의 行狀과 『국조보감』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Natural disasters in the traditional era were recognized as Zaiyi(災異) and identified as a national crisis. The disaster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Chun-byeon(天變)` and `Gi-byeon(地變)`. `Chun-byeon` was often used as a symbol of the Emperor, and `Gi-byeon` was often used as a symbol of people.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s natural phenomena can be identified through a variety of feeds. The chronology and the "Jeung-Bo-Mun-Heon-Bi-Go(增補文獻備考)" show that natural phenomena are concentrated in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King injo`s age also shows that the incidence of various natural phenomena was high. Looking records of natural disaster `Zaiyi-go(災異考)` shows the catastrophes were understood as the national crisis and disaster. In the case of `Gi-byeon`, it can be grasped as a whole through the records of "Joseon Dynasty Records." Especially, `Gi-byeon` was understood to be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farming. The Theory of disaster (災異論) of the Joseon Dynasty was discussed in the framework of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天) and human beings(天人感應論)` of Dong-Jung-Seo(董仲舒)`s. At this time, the Dong-Jung-Seo emphasized the virtue, and as a result, the Zhu-Xi studies(朱子學) was further utilized, and the character of the `Learning for the Ruler` became stronger. King Injo tri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government in the early years of his reign, and his willingness showed to the society facing Zaiyi. King Injo performed `by self(親祭)` for a ritual for rain and hoping to realize the `Min-Bon(民本)` and wanted to get confirm his status as an Emperor. However, the war of 1636(丙子胡亂) was the pivot point of King Injo to change his active attitude. The war gave humiliation to King Injo as a king, and at the same time, he lost the absolute monarchy through `Chun-byeon`, the war. It seemed that it is hard to utilize the `Chun-byeon` for his status as a tool to reinforce the king`s power again. After the war of 1636, King Injo did not take any action even if the `Chun-byeon` occurred, and this was transferred to the mediators, which made it impossible for him to use it for politics anymore. King Injo, although `Chun-byeon` and `Gi-byeon` occurred together, he used only gu-eon(求言) as an instability motivative, which should be regarded as an intentional act. Even though Gu-eon came down through `Gi-byeon`, the conventional attitude remained,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rejection of the political act itself. Nonetheless, King Injo steadily took Zaiyi on a minimum responsibility for the rest by lowering Gu-eon. Instead of avoiding political containment through Zaiyi, King Injo showed an attitude of working for Civil Welfare. King Injo was reluctant to go politically, but he performed rituals for rain and opened rice storages in efforts to salvage the poor actively. King Injo`s attention to `Gi-byeon` rather than `Chun-byeon,` and the actively responding attitude later changed the role of the emperor as active one rather than a symbolic one later in Joseon era. King Injo also played a role in raising the `Min-Bon(民本)` principle in Zaiyi. This principle became a basis for later emperors and became the basis of the `Wee-Min(爲民)` polit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hsj9131@naver.com)

      • KCI등재

        8세기 신라의 재이 양상과 성덕왕대 전사서의 설치

        한영화(Han Young-hwa)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9

        8세기는 전쟁이 끝난 후 비교적 안정된 시기로, 자연적인 현상으로서의 재이와 이에 대한 대응을 좀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8세기 중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재이가 발생한 시기는 성덕왕대로, 재이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대응도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표출되었다. 특히 성덕왕대의 재이는 그간 정치적, 경제적, 외교적, 사상적 측면에서 당대 사회와 연결해서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어왔고, 이에 대해 대체로 유교정치의 적극적 시행과 정치윤리관의 표출로 설명되었다. 8세기 재이에 대한 대책은 크게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중시(시중)의 임면, 두 번째는 진휼, 세 번째는 사면, 네 번째는 관련 관사의 설치 및 증원이다. 이 중 관사의 설치나 관원의 증원은 재이에 대한 즉각적 대응이라기보다는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대비 혹은 효율적인 대응을 하기 위한 체계 마련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된다. 특히 성덕왕 12년(713)에 설치된 전사서는 제사, 즉 길례를 전담함으로써 국가제사를 체계적으로 시행하는 데에 주력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삼국사기』 제사지에 나열되어 있는 “或因別制 或因水旱”과 관련된 제사는 재이에 다른 부정기적 제사로 파악된다. 대개 천문, 水旱, 역병에 대한 대응 제사가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천문현상에 대한 대응은 日·月·星變을 국가적 재난이나 군주의 안위와 관련된 예징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며, 水旱과 역병에 대한 대응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제사를 통해 재이를 극복하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성덕왕대의 전사서 설치는 이러한 의미에서 되새길 필요가 있다. Silla in the 8th century was relatively stable after the war, disaster as a natural phenomenon and its response can be examined. Among the 8th century, the reign of King Seongdeok was occurred disaster frequently, not only disasters but also its responses were actively and variously expressed. In particular,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plain the disaster of the reign of King Seongdeok in connection with the society of the time in terms of political, economic, diplomatic, and ideological aspects. And it was explained by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Confucian politics and the expression of political ethics. The measures for disasters implemented in the 8th centur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the appointment and dismissal of Jungsi(中侍/侍中), the second is the relief, the third is the pardon, the fourth is the establishment and increase of the relevant government offices. The fourth of these is understood in terms of preparing a system for long-term preparation or efficient response rather than an immediate response to a disaster. In particular, the Jeonsaseo(典祀署) established in the 12th year of King Seongdeok (713) is related to the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national rituals for disasters by being in charge of whole rites. The ritual related to the phrase rituals by another rule, rituals by flood or drought in Samguksagi(三國史記) Jesaji(祭祀志) is considered to be an irregular ritual due to disaster. It would have been mostly a ritual in response to astronomical phenomena, floods, droughts, and infectious diseases. The response to astronomical phenomena is that changes in the sun, moon, and stars are seen as signs of national disasters or the safety of monarchs. The response to floods, droughts, and infectious diseases was an attempt to overcome disasters through state-led rituals. In this means, it is necessary to ruminate on the installation of Jeonsaseo(典祀署) in the reign of King Seongdeok.

      • KCI등재

        재해 DB 이용의 실례 : 숙종대 『승정원일기』와 『숙종실록』의 재이 기록 비교 -‘일식’과 ‘지진’을 중심으로-

        김창회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7

        This study tried to review reliability of historical records by comparing records of solar eclipse·earthquakes in Sukjong-Sillok and Seungjeongwon- Ilgi in the reign of Sukjong of Joseon which are the basic historical records of disaster research in the 17th century. In conclusion, comparing the rates of inclusion and concordance of the solar eclipse· earthquake records in both of the books with each other, it has found that the rates of inclusion and concordance of the disaster record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solar eclipse records. However, comparing Sukjong-Sillok and the Seungjeongwon- Ilgi in the reign of Sukjong of Joseon concretely, it cannot be concldued that frequency of disasters is reliable because disasters of the times are not exactly be recorded in both of them. Examining the abnormal disaster records which are consistent in the Sukjong -Sillok and the Seungjeongwon-Ilgi in the reign of Sukjong of Joseon concretely, there are various errors including confusion of dates of abnormal disasters and the report date and mistakes in writing the areas where they occurred. 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records have found to be the cases that the Sukjong-Sillok is rather earlier than the Seungjeongwon-Ilgi in the reign of Sukjong of Joseon because the records of the Sukjong-Sillok referred to and edited various materials with the Seungjeongwon-Ilgi in the reign of Sukjong of Joseon as already examined. Based on the above contents, it is concluded that it is difficult to measure frequency of abnormal disasters in the abnormal disaster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assume to be able to find periodicity of climate and disasters of the times or grasp the real state by calculating the long-term statistics based on it. The reliable abnormal disaster records include the facts that the abnormal disasters occurred, aspects of the abnormal disasters, and response to them. And it is thought to make nature of the people of the times or an short-term effect of the disasters on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subjects of study. On the other h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examine aspects of the disasters by collect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the research trend which recently and newly appeared and correcting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historical records. 이 연구에서는 17세기 재해 연구의 기초 사료인 『숙종실록』과 숙종대 『승정원일기』의 일식·지진 기록 비교를 통하여 사료의 신뢰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양자의 일식·지진 발생 기록의 수록율과 일치율을 비교하면 일식보다는 지진 기록의 수록율과 일치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숙종실록』과 숙종대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면 그 어느 쪽도 당대의 재해 발생을 모두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진 발생 빈도를 신뢰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구체적으로 『숙종실록』과 숙종대 『승정원일기』에서 서로 일치하는 재이 기록을 검토하면 재이 발생일과 보고일의 착종, 재이 발생 지역의 오기 등 다양한 오류가 나타났다. 한편, 기록의 상세함에서 숙종대 『승정원일기』보다 오히려 『숙종실록』이 더 앞서는 사례도 존재하는데 이는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숙종실록』의 기록이 숙종대 『승정원일기』 외에도 다양한 자료를 참고·편집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자면 조선시대의 재이 기록에서 그 빈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장기 통계를 산출하여 주기성을 찾아내거나 혹은 당시 기후 및 재해 실상에 도달할 수 있으리라고 가정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재이 기록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재이의 발생 사실, 그리고 재이 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이며 이를 통하여 당시 사람들의 심성이나 아니면 재해의 단기적인 정치·사회·경제적 영향 정도를 연구 대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새롭게 등장한 연구 경향과 같이 다양한 자료를 취합하여 사료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보정하여 재해의 양상을 살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新羅 憲德 · 興德王代의 災異와 정치 · 사회적 영향

        이기봉(Lee, Ki-Bong)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0 No.-

        신라 헌덕왕과 흥덕왕대는 재해로 인해 피해가 자주 발생하였다. 특히 가뭄과 홍수, 설해가 기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왕대별로 보면 헌덕왕대에는 5회, 흥덕왕대에는 2회에 걸쳐 기근이 들었으며, 이것이 연이어 발생한 특징이 보인다. 이 시기에는 재이 발생에 대해 미리 대비하는 적극적인 대응과 재이발생 후에 대응하는 소극적인 대응을 하였다. 먼저 적극적인 대응으로는 헌덕왕대의 전국적인 제방수리 조치가 찾아진다. 다음으로 소극적인 방법으로는 賑給, 使臣派遺, 軍隊派遣, 祈雨祭, 侍中의 교체, 赦免, 減常膳 · 避正殿, 巡狩등이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재이에 대한 대응을 하였지만, 민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구제하기 위한 진급의 방법은 적극적으로 강구되지 못하였다. 특히 흥덕왕대에는 진급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의례적인 조치가 자주 이루어졌다. 이러한 재이에 대한 대응 양상은 이 시기의 정치 · 사회적인 변화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이전의 경우와 달리 지방세력까지 적극적으로 가담한 김헌창의 반란은 재이에 대한 미온적인 대응으로 인한 지방민의 불만도 하나의 배경으로 작용한 것이다. 또한 이 시기 재이발생과 이에 대한 대응의 영향은 사회적인 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헌덕왕과 흥덕왕대에는 원성왕대 이후 도적이 다시 발생하였는데, 이는 기근 발생과 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의 미비와도 관련성이 보이기 때문이다. 지방세력까지 적극적으로 가담한 김헌창의 반란과 함께 지방사회에서의 도적발생과 활동은 흥덕왕 사후 왕위를 둘러싼 치열한 왕위계승쟁탈을 야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헌덕왕과 흥덕왕대의 재이는 이 시기의 정치 · 사회적 변화 특히 지방사회의 동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ere frequently occurred damage due to disasters during the ruling period of King Heondeok and Heungdeok in the Silla Kingdom. Particularly, there frequently happened a case where droughts, floods and snow damage led to famine. Looking into this according to the reign of king, there was famine five times in the reign of King Heondeok, and twice in the reign of King Heungdeok, showing a characteristic of its continuous occurrence. During these periods, there were a positive response like providing against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in advance, and a passive response of taking measures after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First, nationwide embankment repair measures in the reign of King Heondeok are regarded as an aggressive response. Next, as a passive method, there were relief grain for the poor people, dispatch of envoys and military troops to disaster areas, rituals for rain, replacement of a chief minister, amnesty, reduction in King’s food and King’s good behavior, King’s doing state affairs at other place than a palace for morning assemblies, and King’s patrols of people’s living status in the country. Like this, the ruling Kings made a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through various methods, but they failed to aggressively consider the method of giving relief grain aiming to directly relieve people’s damage in case of natural disasters. There was no case where relief grain was ever distributed to poor people, especially in the reign of King Heungdeok; instead, ritualistic measures were frequently taken. Such an aspect of the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political, social changes as well during this period. Unlike the previous case, the locals’ complaints caused by the State’s lukewarm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worked on the Kimheonchang’s Rebellion, in which even the local influence engaged aggressively, as a background. Also, the influence of natural disasters occurrence and the response to it strikingly appeared socially. Bandits occurred again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doek and Heungdeok after the reign of King Wonseong, and such aspects show the relevancy to both famine occurrence and the incomplete national response to it. Bandit occurrence and their rampancy in local society, together with Kimheonchang’s Rebellion, in which even the local influence aggressively took part, played a key role in causing an intense struggle for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ver the throne after King Heungdeok’s death. In this regard, it’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atural disas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deok and Heungdeok had not a few influences on political, social changes during the same period, especially on trends of local society.

      • KCI등재

        董仲舒 春秋學의 天人感應論에 대한 고찰 : 祥瑞·災異說을 중심으로 focusing on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金東敏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6 No.-

        董仲舒의 哲學에서 春秋學이라는 정치이론은 그의 사상을 대변하는데,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天人感應論은 춘추학 전개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논리이다. 즉 동중서의 춘추학은 현실 정치에서 大一統的 황제지배체제의 확립을 위한 왕조의 정통성과 군주의 절대권 확보라는 큰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춘추학이 설득력 있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천인감응론과 논리적 정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동중서의 천인감응론은 개괄하면, 인격신적인 주재자로서의 천의 존재를 확립하고, 아울러 이러한 천과 인간의 감응관계를 통해서 천과 인간의 관계지움을 시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지움을 바탕으로 祥瑞·災異와 같은 하늘의 구체적인 감응형태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군주가 군주로서 올바른 모습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天의 意志 또는 主宰性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형태 즉 상서·재이설은 천인감응론의 핵심이자 결론으로, 본 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주제이다. 『春秋』에 기록되어 있는 天意의 구체적인 표현인 상서·재이의 원리는 현실 정치의 장에서 자연이 운행하는 이치를 추론하여 정치에 직접 활용하는 데 있어서 절대적인 근거가 된다. 본 논문에서 상서·재이설을 다루면서 특히 주목하는 점은 천의 의지 또는 주재성이 아니라, 상서와 재이의 대상이 되는 인간 즉 군주의 자세와 역할이다. 즉 현실정치에서 군주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세가 확립되어야만 강력한 군주의 절대권력을 바탕으로 유가의 정치이상인 德治를 현실적으로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중서 천인감응론의 상서·재이설은 그의 춘추학 체계 내에서 춘추학의 최종 목표인 대일통적인 황제지배체제의 확립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In Dong Zhongshu's philosophy,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a political theory, represents his thought and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with which this paper shall deal is a logic that provides a foundation in development of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rning. In short, Dong Zhongshu'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aims for securing legitimacy of a dynasty to an imperial ruling system, which is cosmic unitive, in actual politics and the absolute right of a monarch. Therefore, to develop thi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persuasively,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and logic compatibility should be guaranteed. In summary, Dong Zhongshu's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establishes a existence of tian as a personified supervisor and he tries to relate tian and human beings through this mutual resonance relationship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Furthermore, with this relating work, he draws out tian's detail forms of mutual resonance such as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and then finally wants to lead a monarch to be a exemplary king.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or the detail feature in which tian's will or supervisiness shows are the conclusion. They are the topics with which this paper deals. The principle of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the detail expressions of tian's will recorded in the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are the absolute foundation in reasoning the principles of movements of nature and practicing them directly in an actual politics. While dealing with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this paper specially focuses on nottian's will or supervisiness but objects of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king's attitude and role. That is why that when a monarch has a subjective and active attitude, a benevolent government, Confucian political idealism, can be practiced in actual basing on an absolute power. Therefore, it can be stated that xiangrui(祥瑞) and zaiyi(災異) in the theory of Dong Zhongshu's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are the important theoretical basis to establish the final purpose, cosmic unitive imperial government system in the structure of his Spring and the Autumn Annals Leaning.

      • KCI등재

        樊巖 蔡濟恭의 疏箚類 글쓰기 연구 -災異로 인한 疏箚類를 중심으로-

        권진옥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3 No.-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writing method of Socharyu(疏箚類) writing by Chae Je-gong (蔡濟恭, 1720-1799), known by the pen-name Beonam(樊巖). The genre of socha (疏箚) was written by a retainer Beonam in response to the king’s inquiry of the current natural calamity when the king asked Beoman for his opinion. The socha has a regular pattern in the mo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the writing. However, each writer differed in where to find the cause of the natural calamity, how to solve it, and what they ultimately claimed by using the disaster.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writing method also demonstrates various aspects. Also, the core of the writing was: to argue for a way to stop natural calamity, or to make use of natural calamity that occurred 'at the right time' or 'accidentally' to suggest his own argument. If so, the purpose of this writing was to persuade the king, and in order to persuade the king as effectively as possible, they should devise their own writing method or strategies for persuasion. The methods of writing outstandng works or the strategy for persuasion employed in one sochryu writing, titled Inhongbyeongeolmyeoncha(因虹變乞免箚) are: the effect of foreshadowing or suggestion,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argument by arranging key words, the use of existing regulations and usages as grounds for an argument, as well as the strategy for seeking sympathy by appealing to emotions. In another socharyu writing titled Inloeijinsipye- gyeomgeolhaejigcha(因雷異陳時弊兼乞解職箚), we can confirm that the strategies for persuasion through building consensus were employed in it: firstly, making a proactive statement of an experience shared between the persuader and the target of persuasion made the retainer’s following argument or suggestion hit home; secondly, both arrangement of the key words and ideas and the use of gradation and linking to construct logic made his writing more effectively persuasive. Dongloehujeongwongyesa(冬雷後政院啓辭) is another socha writing, which Beonam composed and offered to the king presenting the Seungjeongwon(承政院) when he was posted to the offic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t nature, compared with the above-mentioned two works. Al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m in form, it is basically a socha writing written in response to the king’s inquiry of the current natural calamity. In this writing, the natural disaster was compared to the king's personality matter, and in this process, the writer’s persuasive power proved to be enhanced so as to effectively persuade the king, the target of persuasion. 이 논문은 樊巖 蔡濟恭(1720∼1799)이 작성한 疏箚類를 대상으로 그 글쓰기 방식을 고찰한 글이다. 災異가 발생하여 군주가 求言하고 이에 응하여 작성하는 소차류 역시 작성 동기, 글의 구성이나 글쓰기 방식이 패턴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재이의 원인을 어디에서 찾고, 재이를 해결할 방안이 무엇인지를 피력하고, 재이라는 현상을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무엇을 주장하는지는 작성자마다 다를 뿐만 아니라 이에 수반하는 글쓰기의 방식 또한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게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글의 핵심은 군주의 구언에 응해 재이를 그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주장하거나 ‘때마침’ㆍ‘우연히’ 발생한 재이를 활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건의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글의 목적은 군주를 대상으로 한 설득에 있는 것이고, 최대한 효과적으로 군주를 설득하기 위해서 각자만의 글쓰기 방식이나 설득 전략을 고안하기 마련이다. 「무지개의 변고로 인해 면직을 청하는 차자[因虹變乞免箚]」에서 돋보이는 글쓰기 방식이나 설득 전략은 복선이나 암시 효과, 핵심 단어를 안배하여 논지를 강화하는 효과, 기존의 규례나 법식을 논거로 활용한 점, 감정에 호소하여 동정을 구하는 점 등이다. 「우레의 재이로 인해 시폐를 아뢰고 겸하여 해직해 주기를 청하는 차자[因雷異陳時弊兼乞解職箚]」에서는 우선 공감대 형성을 통한 설득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득하는 사람과 설득하려는 대상이 체험한 동일한 행위를 선제적으로 진술함으로써, 앞으로 개진할 주장이나 의견이 보다 와닿게 하는 효과를 만들었다. 다음으로는 앞의 글과 마찬가지로 핵심 단어나 개념의 안배이다. 핵심 단어를 안배하면서 점층과 연쇄를 활용하여 논리를 구성한 점은 효과적인 설득력 있는 글쓰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글의 성격이 다르기는 하지만 재이로 인한 다른 글을 위의 두 글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겨울에 우레가 친 뒤 승정원에서 올린 계사[冬雷後政院啓辭]」는 승정원을 대표하여 올린 陳戒인데, 위의 두 글과는 형식적으로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기본적으로 재이로 인해 신하가 군주에게 올리는 글이다. 이 글에서는 자연 현상을 군주의 인성 문제로 치환하여 비유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설득 대상인 군주를 효과적으로 이해시켜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 KCI등재

        신라 진성여왕대의 재이와 농민반란

        이기봉 ( Gi Bong Le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신라 진성여왕대의 농민반란은 신라사회를 돌이킬 수 없는 분열로 이끌었고, 그 결과 후삼국 시대를 거쳐 고려의 건국으로 이어졌다. 신라 하대에 있어 농민반란과 같은 민의 이탈은 재이와 관련된 대응과 관련된 경우가 적지않았다. 여기에서는 진성여왕대의 농민반란이 일어난 배경을 보다 시야를 넓혀 경문왕가기의 재이에 대한 대응양상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신라 하대 경문왕가가 성립되면서 재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은 상당히 미흡하였다. 경문왕대의 경우 재해에 대한 대응보다는 왕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노력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헌강왕과 정강왕대에도 이어졌다. 헌강왕대에는 도적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다시 부각되었지만, 이의 해결에는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지방민의 수탈에 기초한 왕경의 풍요로움에 만족하였던 것이다. 이는 정강왕대 역시 마찬가지였다. 가뭄이 발생하였지만, 백고좌법회의 개최에만 그치고 있는 것이다. 경문왕가의 재이에 대한 대응 양상은 진성여왕대도 이어졌다. 농민반란이 일어난 이듬해에 국왕은 황룡사에 가서 연등회를 개최한 것이다. 이는 그 이전의 경문왕가의 재이에 대한 대응과 다름이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경문왕가는 재이로 야기된 사회문제를 극복할 능력이 없었는데, 이것이 결국 새로운 왕계의 등장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진성여왕대의 농민반란은 신라 하대의 누적된 정치ㆍ사회ㆍ경제적 모순에 기인한 것이지만, 그 近因은 경문왕가의 재이에 대한 대응에서 구체적으로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The peasants’ revolt during the ruling years of Queen Jinseong of the Silla Kingdom led Silla society to a irrevocable division, which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Kingdom through Later Three States. There are not a few cases where breakaway of the public will like peasants’ revolt in the late period of the Silla Kingdom was associated with the response to the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This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for the outbreak of peasants’ revolt during the ruling period of Queen Jinseong by connecting it with the response aspects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during the period of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in wider horizon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during the later days of the Silla Kingdom, the state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was considerably insufficient. In case of the ruling period of King Gyeongmun, they concentrated on enhancing the status of royal authority rather than the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Such circumstances carried over even to the ruling period of King Heongang and King Jeonggang. During the ruling period of King Heongang, social problems due to the occurrence of rampant thieves emerged again, but the State didn’t have a concern in particular for its solution. The ruling group was satisfied with the richness of Royal district based on exploitation of local people. Such an aspect was also true of the ruling period of King Jeonggang. Even when a drought struck the state, they just settled for holding Baekgojuwabeophe, lit., Buddhist Services led by high priests for safeguarding the state. The response aspects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of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carried over even to the ruling period of Queen Jinseong. The next year after the peasants’ revolt broke out, King held the lotus lantern festival at Hwangryongsa Temple. It can be said that such an aspect was nothing short of the previous Gyeongmun royal household’s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Like this, the Gyeongmun royal household didn’t have the ability to tide over social problem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which can be said to carry over even to the appearance of a new royal pedigree after all. In this respect, the peasants’ revolts during the ruling years of Queen Jinseong was attributable to the accumulated political, social, economic contradictions during the late days of the Silla Kingdom, but the proximate cause thereof could be found concretely from the response of Gyeongmun royal household to natural disasters and extraordinary ev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