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 경(敬) 사상에 대한 칸트 선험윤리적 해석

        박종식 ( Park Jong-si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퇴계의 경(敬) 사상을 칸트의 선험윤리적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성학십도』의 경 사상을 『실천이성비판』의 도덕법칙과 비교하고자 한다. 퇴계의 리(理), 기(氣), 성(性), 정(情), 심(心) 등의 개념을 칸트의 자유, 선의지, 도덕법칙, 의무, 존경 개념과 연관해서 탐구할 것이다.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 개념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경은 유가의 수양론의 핵심에 해당되는데, 퇴계는 경을 학문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주장한다. 퇴계는 사물과 접촉할 때 생기는 인간의 욕망을 경 개념을 통해서 다스리고자 한다. 경은 인간의 욕망과 행위를 규제하는 개념이다. 외부의 욕망에 지배되지 않는 마음의 태도를 유지하려는 것이 경이다. 퇴계의 경 사상은 칸트의 도덕법칙과 선의지에 대한 존경 개념과 연결된다. 인간의 행위는 개인적 욕망에 근거한 준칙이 아니라, 보편적 도덕법칙을 따를 때 도덕적 행위가 된다. 선의지와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의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된다. 이 점에서 퇴계와 칸트는 인간의 욕망에 굴복하지 않고 도덕성을 회복할 수 있는 수양의 방법론으로서 경과 도덕법칙을 강조한다. 경향성과 애착으로부터 생기는 욕망을 억제하고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을 통해서 현상계를 넘어서는 것이 도덕적 행위이다. 도덕적 행위의 동기는 바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과 의무이다. 칸트는 인간은 현상 세계와 이념의 세계를 살아가는 이중성의 존재라고 한다. 욕망능력이 선의지와 도덕법칙을 향할 때 도덕적 존재가 되고, 욕망능력이 욕망 대상을 향할 때 현상적 존재가 된다. 퇴계는 이러한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마음을 하나에 집중하는 경의 활동이 필요하다고 한다. 칸트에게는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은 현실의 욕망대상이 아니라, 예지계의 도덕성을 향하게 하는 동기가 된다. 욕망과 도덕의 갈등을 주체의 자유로운 결단을 통해서 극복하는 것이 경의 활동이며,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이다. 이런 측면에서 퇴계와 칸트의 문제의식과 갈등의 해결방식은 유사하다. 시대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 본성에 근거한 보편적 도덕성은 유사한 형식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oegye's moral theory and Kant's moral theory. In particular, I examine Gyeong i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and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refore, I explore the similarities by comparing the concepts in Toegye's thought with the concepts moral law, duty, respect for moral law in Kant's moral theory. The concept Gyeong is the main concept to understand cultivation theory of Confucianism. The concept Gyeong claims to b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Sage Learning(聖學). The concept of Gyeong is to reflect on human desires and delicate movements in mind when coming into contact with objects. The concept of Gyeong is a concept that defines human moral behavior. The role of Gyeong is to remove human desires that occur at every moment. Kant also rejects sensory desire and tries to act in accordance with innate moral laws. Toegye's concept Gyeong is connected with Kant's concept respect for moral law.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s is the motive for moral behavior. Toegye and Kant emphasize concept Gyeong, moral laws as a methodology of cultivation that control one's desire and mind. Moral behavior is to suppress desires and emotions arising from tendency, and it is to lead to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Physical human beings have the duality living in the real world and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at the same time. Physical human beings constantly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reality and ideal. It is a human being who is of duality that has the ability to transcend human limits. It i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at he can transcend his own limits. In this way, Toegye's concept Gyeong and Kant's moral theory presuppose the good nature of human beings. The realization of nature in specific situations is explained by the revelation of innate nature(性) and emotions(情). Toegye tries to overcome this moral conflict through the activity of Gyeong, which focuses his mind on one. The feeling of respect for the moral laws is the driving force that directs the morality, not the desire of reality. Human beings have the dualtiy that live in the phenomenal and intelligible world. In this respect, the structure of moral theory between Toegye and Kant is similar, an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is similar. Morality appears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imes and cultures, but morality based on human universality is essentially similar. Toegye and Kant argue that the pursuit of happiness based on human desires is contrary to universal morality.

      • KCI등재

        성리학의 경(敬)공부가 갖는 특수성에 관하여

        김기현(Kim Kee 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경(敬)은 공자 이래 유교의 윤리사상에서 어느 시대에나 중요시되어 왔다. 특히 송대(宋代) 에 성리학이 출현한 이후로는 필수적인 공부가 되었는데, 조선조의 윤리사상에서는 퇴계 이 황을 위시하여 남명 조식 및 율곡 이이에 이르기까지 주요 윤리사상가들 중에 경을 중요시하 지 않은 이가 거의 없다. 이 글에서는 유교 윤리사상의 경을 덕목으로서의 경과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으로 구분하고 서 중국과 한국의 윤리사상 역사에서 하나의 전통이 되어 있는 덕목으로서의 경과 북송(北 宋)시대 정(程)씨 형제에게서 시작된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을 종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은 성리학 이전에는 없었고, 성리학 이후에도 사실상 오직 성리학에서 만 필수적인 공부방법이 되었을 뿐 다른 체계에서는 공부방법이 되지 않았다. 또한 이것을 처음 제시한 정이(程頤)의 경공부론도 그 문하에서는 뚜렷하게 전승되지는 못하다가 남송의 주희(朱熹)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확실하게 성리학의 공부방법으로 확정된다. 향후의 도덕윤리 교육에서는 이 두 가지 경에 대하여 어느 것을 어떻게 연구하고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 것인 지를 다 함께 논구해야 하겠다. Jing has been a noteworthy concept in Confucian ethics ever since Confucius‘ age. Especially in Neo-Confucianism of the Sung Dynasty, it became essential in Neo-Confucian moral self-cultivation. And it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by all the major Neo-Confucians of the Chosun Dynasty, such as Lee-T’oegye, Cho-Nammyeong, and Lee-Yulgok. Dividing Jing into the categories of virtue and a method of self-cultivation,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Jing, which is an important virtue in the tradition of Chinese and Korean ethics and also has been a method of self-cultivation, which the Cheng brothers developed during the North-Sung Dynasty. There was no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before Neo-Confucianism arose. Even after the emergence of Neo-Confucianism,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did not belong to any Confucian thoughts, but was established as an indispensable part only present in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Jing proposed by the Cheng brothers scarcely passed from the masters to their disciples: it was determined by Chu Hsi of the South-Sung Dynasty. The author thinks that co-operation for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to the study and use of these two kinds of Jing.

      • KCI등재

        주자 경공부가 갖는 교육 실천의 의미 -『자암일록』을 중심으로

        김영희 한국교육사상학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4

        Zhu-Hsi’s reverential carefulness (敬) begins with Gungri (窮理), but practice takes preced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practice. However, although Geogyeong (居敬) and Gungri (窮理) are conceptually different, they are interdependent and influence each other. This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education, where teaching and learning are separated from learning and practice. Reverential carefulness (敬) is not only a study method, but also a learning condition leading to true knowledge and virtue, and can be an end in itself. It was practiced and applied in daily life at Seodang in JaamIlrok. At Jaam Seodang, a boarding school where students lived together, their everyday lives were dominated by reverential carefulness (敬). There, reverential carefulness (敬) was both a condition for learning and a subject of study,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our education today. They cultivated the virtue of restoring good nature through reverential carefulness (敬), applying it in language and behavior a as meaningful, educational practice. 주자의 공부는 궁리에서 시작하지만, 경중으로 논하면 실천을 우위에 둔다. 거경과 궁리는 개념적으로는 둘로 나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를 촉발시키는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다. 이는 교수와 학습, 배움과 실천이 이원적으로 분리된 현대 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에 유의미한 교육적 실천을 제공한다. 경은 공부의 방법일 뿐만 아니라, 진지와 덕행을 가능하게 하는 배움의 조건이며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있다. 경공부의 정신은 조선말 서당의 학생들의 삶 속에서도 구현되고 있는데, 이는 『자암일록』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이다. 자암서당은 기숙서당으로서 일상을 함께 하는 학생들로 구성되어 그들의 배움 영역은 지식 차원을 넘어 일상적 삶을 통한 공부로 점철되었다. 자암서당에서의 경공부는 배움을 위한 조건이자 하나의 공부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오늘날 우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자암서당에서는 경공부로 선한 본성을 회복하기 위한 덕의 함양이 ‘일상 자체’에서 전개되고 있었고, 언어와 행위에서 적용되는 경공부는 배움을 위한 실천적 조건이자 그 자체로 하나의 공부 목표라는 의미에서 유의미한 교육 실천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Zhu Xi’s Approach to Self-Cultivation: An Analysis of Jing 敬

        ( Zhao Yanyan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6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5

        朱熹繼承了“敬”在先秦文本中的主要意涵, 卽, 對待具體對象時於心理上嚴肅認眞、高度關注, 以及持續集中注意力的心理狀態, 幷對上述意涵做了兩方面發展。一是認爲有具體對象的“敬”和持續心理狀態的“敬”幷不是兩個“敬”, 而是心在動和靜時集中注意力的不同工夫形態, 且這兩方面形態相卽不離。二是强調“敬”的時時警醒工夫有助於我們回復心的原初狀態, 幷給出了敬的工夫在不同情況回復這種狀態的方法。由此反觀西方哲學中“敬畏”(reverence)和“尊敬”(respect)這兩個看似與“敬”相對應的槪念, 它們與“敬”至少有兩方面區別:其一, 這兩個槪念只涉及我們在面對具體對象時的反應, 而不涉及我們端肅不懈的持續心理狀態的養成。其二, 在涉及具體對象時, 這兩個槪念的發生情境相關於外在他者的特質, 而不是我們的自身修養。將上述區別運用於道德修養論領域, “敬”的工夫一方面凸顯了一種預見式的道德修養過程, 另一方面强調了我們需要依事情的是非曲直做出回應, 而不應僅僅因爲對象不同而在反應上有所區別。另外, “敬”的思想也可以爲解決當代西方道德修養論關於道德原則與道德情感之間關係的爭議提供資源。 In pre-Qin texts the termjing 敬generally has two connotations. First, it refers to a serious, careful, and highly focused psychological response to specific objects. Second, it refers to a lasting psychological state of high focused-ness. Zhu Xi 朱熹(1130-1200) develops the two connotations of jing above from two perspectives. First, he considers the two connotations above as one single jing rather than two kinds of jing, representing different-though correlated-self-cultivation states of high focused-ness connected to xin’smovement and to xin’s stillness. Second, Zhu emphasizes that the frequently alert self-cultivation process indicated by jing helps xin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of clearness, and he also suggests different ways of returning to xin’s original state through jing’s selfcultivation. When comparing jing and two seemingly relatedwestern terms, i.e. reverence and respect,we can see that both reverence and respect differ from jing from at least two perspectives. First, both reverence and respect only refer to the response to specific objects while having no connotation of cultivating a lasting psychological state. Second, even in referring to a response to specific objects, the occurrence of both reverence and respect has much to do with the object’s character rather than with the perceiver’s self-cultivation. In relating the two differences above to the western moral-cultivation theory,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jing demonstrates at least two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n one hand, it represents a foreseeing moral-cultiv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it emphasizes that we should only respond in accordance with the rights and wrongs of what happens as such, instead of responding differently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belonging to objects. Furthermore,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jing may have important contributions to offer to contemporary Western debates within the field of moral-cultivation theory on the relation between moral principles and moral emotions.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

        조선 후기 경아전(京衙前) 서리(書吏) 가계 사례 연구:신득린(申得麟)(1734~?) 가계

        김두헌 ( Doo Hean Kim ) 한국고문서학회 2013 古文書硏究 Vol.42 No.-

        본고에서는 申得麟 가계 출신들이 남긴 30장의 준호구를 주된 연구 자료로 사용하여, 이 가계의 경아전 서리 가계로 들어서기 직전의 신분, 경아전 서리 세전 시기, 가계 기록 편찬 여부, 혼인 양상, 문무 관직 진출과 이로 인한 신분 상승 여부 등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이 가계가 영·정조 연간에 장악원 전악에서 경아전 서리로 직역을 전환하였다는 것, 이 가계에서 경아전 서리를 세전한 시기가 18세기 말이나 19세 초 무렵이었다는 것, 이 가계에서는 조선시대에 가계기록을 편찬하지 않았다는 것, 이 가계 출신들은 주로 같은 경아전 서리 출신들과 혼인을 하였다는 것, 이 가계 출신들 중에 문무 관직이나 官階에 진출한 자들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하여 이들이 양반으로 신분 상승하지는 못하였다는 것 등을 확인 또는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경아전 서리 가계에서 경아전 서리를 세전하기 시작한 시기가 각 가계마다 달랐다는 것, 경아전 서리는 기술직 중인과 다른 신분으로 존재하였으며 이들의 사회 신분적 지위는 기술직 중인에 비해 낮았다는 것, 경아전 서리들은 주로 같은 신분끼리 신분 내 혼인을 하였다는 것, 영·정조 연간에 경아전 서리, 장악원 전악, 시전 상인 중에 사회 신분적 지위가 같은 부류들이 상당 수 존재하였다는 것 등을 유추하였다. 아울러 조선후기 사회가 능력과 명분을 동시에 중시한 곧, 유교의 인본주의와 성리학의 명분론이라는 두 개의 사회 이념이 현실에서 적절하게 융합, 적용된 사회였다고 판단하였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Sin Dug-Lin(申得麟, 1734~?)`s lineage by analyzing their thirty-page JunHoGu(準戶口).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the status of Sin Dug-Lin`s lineage before entering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was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Sin Dug-Lin was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and his descents was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This lineage started to hand down Seoli posts(書吏職)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or the early 19th centry. From that time on, the family married with other Seoli family members. They didn`t compiled records of their family lineage such as JogBo(族譜) during the Choson(朝鮮) dynasty. Although there was a few those whom proceeded the official post in this family, their status can`t mobile upward to YangBan(兩班). From the above facts, following explanations on the GyeongAJeon Seoli society can be possible: first, the periods of keeping Seoli posts(書吏職)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GyeongAJeon Seoli society was different from each families. Seconds, GyeongAJeon Seoli was distinctive themselves from technical post of JungIn(技術職 中人) and their social status was a little bit lower than technical post of JungIn. Thirds, the marriage of the GyeongAJeon Seoli was made only among themselves. Forth, there were similar social ranks such as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the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and the SiJeon(市廛) merchants during the YungJo(英祖)-JeongJo(正祖) peorids. And finally, in the Choson(朝鮮) society both ability and MyungBun(名分) were high esteemed by two confucian ideas in the reality.

      • KCI등재

        고구려 기와로 본 경신리 1호분(소위 “한왕묘”)의 조영연대와 피장자 검토

        주홍규(Ju, Hong-Gyu)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8

        일제 강점기인 1911년에 행해진 경신리 1호분의 조사는, 발굴에 할애한 시간이 매우 짧았고, 정식으로 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은 빈약한 것이었다. 또한 출토된 유물이 극소수인 점과, 발굴 당시의 정황에 관한 충분한 검토가 행해지지 못한 점은, 지금까지 경신리 1호분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시키지 못한 원인을 제공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관련 조사 보고를 철저히 재검토한 후, 연대를 알 수 있는 유적과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경신리 1호분의 조영시기와 피장자를 검토했다. 경신리 1호분은 기단봉토석실분이라는 새로운 외형적 특징 이외에도, 중앙에 자리잡은 연도가 긴 단실묘라는 내부 구조적 특징 및 와당을 포함한 기와가 발견되는 점에서는 장군총을 비롯한 집안 지역의 왕릉급 무덤과 유사성이 인정된다. 그러므로 경신리 1호분은 집안 지역과 평양 지역의 묘제를 이어주는 왕릉급 무덤으로서 주목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신리 1호분에서 출토된 와당을 두가지 형식(경신리 A식, 경신리 B식)으로 분류하고 연대를 검토했다. 그 결과 경신리 A식의 와당은 5세기 4/4분기의 중국 북위 와당에서 보이는 문양 요소가 확인되는 점으로 미루어 5세기 4/4분기의 연대가, 경신리 B식의 와당은 5세기 단계의 고구려 와당보다 퇴화된 문양 특징이 확인되는 점으로 미루어 6세기 2/4분기 이후의 연대가 상정된다. 고구려 무덤의 조영과 와당의 제작연대가 동일하다고 보면, 와당의 연대를 통해 경신리 1호분의 조영연대를 5세기 4/4분기로 판단할 수 있다. 경신리 1호분은 고구려의 석실 봉토분 중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왕릉으로 비정이 가능하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고구려의 역사상 5세기 4/4분기에 沒한 왕은 장수왕이 유일하다. 따라서 경신리 1호분을 장수왕릉으로 비정한다. 평양 지역에서는 왕릉급으로 추정되는 고구려의 거대 적석총이 발견되지 않는다. 집안 지역에서 평양 지역으로 천도하면서 왕릉 조영에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변화의 획기는 경신리 1호분이고, 그 연대는 5세기 4/4분기다. 중앙 연도의 단실묘로서 긴 연도를 가지는 특징의 고구려 무덤은 본 연구에서 검토한 경신리 1호분 이외에도, 傳동명왕릉, 호남리 사신총, 토포리 대총 등이 있다. 차후에 이와 같은 무덤들의 선후관계와 피장자를 추정함에 있어서 경신리 1호분이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경무사·경부대신 임면과정과 활동(1894~1910)

        장경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7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the appointment and dismissal process, as well as the list of, the head of the Gyeongmu Office(警務廳) established following the Gabo Reform(甲午改革), and to learn about the activities in the Seoul area.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a police officer’s position, the propensity and political position of those who have served as police officers, the evaluation of frequent person- nel changes, the understanding and control of the police organization, the political meaning of conflict and sacking, and involvement and appropriateness in work performance. The Police Department and a police officer were established after the Gao Reform, but it was repeatedly changed to several serious events threatening the king’s life, such as the upholding of Lee Jun-yong and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as well as the Chunsaengmun incident(春生門事件), until just before Agwan Pacheon(俄館播遷) was demolished. Jeong Dong-pa Lee Yun -yong served as a police officer for more than 100 days after the Chunsaengmun incident, and his service was considerably extended. For example, a police officer’s average ten- ure was less than 100 days at the time of the Gabo Reform. In July 1898, Ahn Gyeong-su, the first president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nd the Gyeongmu-sa, was implicated in a plot to depose King Gojong due to his political differences with the king, and he fled to Japan. And the imperial associa- tion, which included Jo Byeong-sik, staged an anonymous letter case and forcibly disbanded the Independence Association(獨立協會), resulting in yet another chaotic situation. In 1898, the police officer was changed 15 times due to numerous inci- dents, and the situation was eventually resolved in 1899. Shin Ta e -Hyu rejected Cho Byeong-advice sik’s to ignore the Independence Association’s petition and form his own security force. In 1900, Gyeongbu(警部) was established, and the Gyeongmu Office, which had been under the command of the inside, became independent, and the name was changed to Gyeongbu Minister.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first Gyeongbu Minister was Cho Byeong-sik, the Gyeongmusa was changed to a means to strength- en the imperial power. At that time, when looking at the concurrent positions of the Minister of Police (Takjibu(度支部), Minister of the Army, etc.), his status seems to have been strengthened. However, in 1902, the police department was re-established, and Lee Yo n g -ik, the minister of Ta k j i , was appointed as a police officer, carrying out different security duties such as cracking down on economic crimes. Police officers were unable to take on any particular tasks after the Eulsa Tr e a t y (乙巳勒約), and police control was given to Japan without much opposition.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 이후 설치된 경무청의 책임자인 警務使와 경부 책임 자인 警部大臣의 임면과정과 명단을 정리하고, 그 활동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 표로 삼는다. 특히 경무사·경부대신 직책이 가진 의미, 이를 역임한 인물들의 성향과 정치적 입장, 잦은 인사 교체에 대한 평가, 경찰 조직에 대한 이해도와 장 악력, 갈등과 경질의 정치적 의미, 업무 수행에의 관여도와 적절성 등을 분석적 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경무사는 갑오개혁 이후 아관파천 직전까지 이준용옹립사건, 명성황후시해사 건 등 국왕의 신변을 위협하는 여러 중대한 사건들 등으로 반복적으로 바뀌었다. 춘생문사건 이후에는 이윤용이 경무사를 100일 이상 맡으며, 재임기간이 비교적 늘어났다. 예컨대, 갑오개혁 당시 재임기가 평균 100일 미만이었던 반면, 아관 파천 이후 1896년부터 1898년까지 김재풍은 7개월 가까이 경무사를 맡으며 경찰 치안업무 관련해서 여러 가지 업적을 냈다. 1898년 7월 경무사를 맡았던 독립협회 초대회장 안경수는 고종과 정치적 입장 이 달라 고종퇴위음모를 벌이다 발각되어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경무사에서 면 직되어 장기간 직임을 맡지 못한 김재풍도 이 운동에 가담하였다. 익명서사건을 일으켜 독립협회를 강제해산 시키는 등 혼란한 상황이 다시 발생하자 경무사는 1898년에만 무려 15번이나 바뀌게 되었고, 이는 1899년에서야 진정이 되었다. 신 태휴는 독립협회의 상소를 무시하라는 조병식의 말을 거부하고 나름의 치안정책 을 세웠다. 1900년에는 경부가 설치되었고, 종래 내부에서 지휘를 받던 경무청이 명칭 변 경 뿐만 아니라 독자적 관서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경무사는 경부대신 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 당시 경부대신의 겸임한 직책(탁지부, 군부 대신 등)을 살펴보았을 때 그 위상이 강화되었다고 생각되나, 경부대신이 중요 직책과 겸임 하여 이 시기 활동은 특별한 것이 없었다. 다만, 1902년 경부가 다시 경무청으로 복설되고, 탁지부대신이었던 이용익이 경무사에 취임하면서 경제범죄를 단속하는 등 여러 치안활동을 벌였다. 을사늑 약 이후 경시총감들은 별다른 업무를 맡아 하지 못했다.

      • KCI등재

        20세기 초 일제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

        정욱재(Jung Uk-jae)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경학원 直員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제학까지 올랐던 이대영(1874~1950)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그는 19세기 후반에 태어나 20세기 중반까지 살았던, 우리 역사의 격변기를 겪은 인물이었다. 일본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강점한 후, 이대영은 일제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설립한 경학원에 처음부터 참여하였다. 경학원은 조선총독부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총독부 정책과 지배이념을 홍보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여 설립한 조선총독부 직속기관이었다. 이대영은 1911년 9월 8일부터 1921년 7월 30일까지 경학원의 직제 중에서 가장 말단인 直員으로 근무하였다. 그 후 공로를 조선총독부에게 인정받아 그는 1921년 7월31일에 경학원 사성으로 승진하였으며 1936년 1월 17일까지 직무를 수행하였다. 경학원 사성은 경학원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중추적인 직책으로 이대영은 『경학원잡지』 편찬주임을 맡았다. 아울러 그는 조선 유림의 동향을 관찰ㆍ보고하고 유교의 보편적 논리를 이용하여 일제의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 강연도 하였다. 이대영은 그의 나이 63세인 1936년 1월 18일 경학원 부제학으로 승진하였고 동시에 명륜학원 강사까지 겸임하였다. 경학원 관계자 중에서 경학원 직원부터 시작하여 경학원 부제학까지 올라간 사람은 이대영이 유일하였다. 요컨대 이대영은 경학원 설립 때부터 일제강점기 말엽까지 경학원 말단인 직원에서 시작하여 경학원 이인자인 부제학까지 올랐던, 일제강점기 경학원의 역사와 함께 한 인물이었다. 그는 비록 당대의 일급 일제협력유림처럼 두드러진 활동을 남기지 못 하였지만 경학원의 직원으로서 일제의 식민통치와 침략전쟁에 충실히 협력을 다하였다. Yi Dae-young has witnessed the turmoil of Korean history until his death in mid-20<SUP>th</SUP> century. Born in late 19th century, he participated as ascribe to a pro-Japanese society of the Daedong Hakhoe(大東學會). Since then Yi showed his pro-Japanese tendency that was most evident when he joined the Japan Tourist Party hosted by a newspaper company, The Kyungsung Ilbo(京城日報) in 1909. After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occupied the Daehan Empire, Yi Dae-young joined the Kyunghakwon(經學院), a scholary organizatio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fter abolishing the Seonggyungwan. Kyunghakwon was a direct institution for promoting policies and ruling ideolog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In such organization, Yi worked as a lowest ranking officer of Jikwon(直員) from September 8, 1911 to July 30<SUP>th</SUP> 1921. Then he was promoted to the Saseong(司成) of the organization on July 31<SUP>th</SUP> 1921, after his contributions were recog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performed his duty until January 17<SUP>th</SUP> 1936. Yi’s job, the Saseong, The Saseong is a critical job that performed actual works in the organization. As the Saseong, Yi took the role of chief editor of the 『Kyunghakwon Japji(經學院雜誌)』, and at the same time, not only monitored status of traditional scholars, the Yulim, and gave several lectures that rationalized Japanese colonization using general logic of the Confucism. On January 18th 1936, Yi Dae-young was not only promoted to Bujehak(副提學) of the Kyunghakwon, but also began to give lectures in the Myungryoon Hakwon(明倫學院), and became the only officer who became the lecturer. Until his retirement in April 26th 1943, he cooperated to invasion and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for 32 years.

      • KCI등재

        "경(經)" 개념의 성립과 경서화(經書化) 과정

        김경천 중국어문연구회 2011 中國語文論叢 Vol.0 No.49

        這篇文章是要探討儒家所謂的"經"這一詞通過즘마樣的過程最最終得以代表經典古籍的。其結論如下。 1。"經"的原義是織布上的縱線,不過因爲縱線在織布過程中一被掛起來就不必나動,所以"經"就有了"常"的引申義。 2。"經"的引伸義"常"再引申爲"法","準則","綱紀"的意思。 3。到了戰國後期,"經"往往用來表達"細目","細目"的意思。 4。到了戰國後期,出現了些以"經"爲題目的著作,例如≪墨子≫中的<經上>·<經下>·<經說上>·<經說下>,≪孝經≫,≪管子≫經言。在這裡"經"的意思不是某種書,而是"法","準則","綱紀"或是"細目","細目"。 5。戰國諸子百家以"經"做題目的著作可以表示新的著述體裁之出現。其特征就是第一是都是個人創作的,第二是都把內容集中在一定的主題,第三是各個句子采取命題的形式,內容則是有原理性的。 6。儒家援引諸子百家的"經"槪念,將六種核心古籍稱作"六經"。 7。儒家"六經"本來不符合"經"的著述體裁,但儒家的這樣決定意味著他們要把六經看做儒家思想的淵源。以後,"六經"變成爲具有權威性和神聖性的尊崇對象,儒家經學從此就開始了。對六經的這樣看法改變不能不算是儒學史上一個重要環節。

      • KCI등재

        朱子 敬說의 體系的 理解

        尹用男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5

        敬은 선진시대부터 중시돼 왔지만 孔孟 이후 천여 년 동안 제대로 계승되지 못하다가, 宋代에 이르 러 程子가 敬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朱子 등이 계승하면서부터 크게 중시되었다. 心은 精ㆍ神ㆍ魂ㆍ魄의 결합으로 구성되는데, 敬은 그 가운데 神, 즉 정신이 똑바로 서고 집중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정신차려, 정신집중이다. 이렇게 敬, 즉 정신차려 정신집중의 상태에 있을 때, 心 은 主一無適하고, 常惺惺하고, 其心收斂不容一物하고, 태도는 整齊嚴肅하다. 주일무적은 心이 한결 같음, 즉 정성을 주로 하고 있는 것이고, 상성성은 心이 항상 깨어 있는 것이고, 기심수렴불용일물 은 그 心을 수렴하여 다른 것을 하나도 용납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정신의 상태가 敬일 때, 心의 상태이다. 또 정신이 차려하고 心이 主一한 상태일 때, 그 외모는 整齊嚴肅하다. 이런 자연적인 경 은 仁愛에서 시작한다. 상대를 잘 사랑하기 위해서 정신차려ㆍ정신집중하여 대한다. 이때 외모는 공손하고 마음은 존경한다. 이를 합한 것이 恭敬이다. 상대를 어렵게 생각하며 잘 대하려는 것은 畏 敬이고, 조심하며 잘 대하려는 것은 敬愼이다. 自然敬이 되지 않을 때 노력하는 공부가 自家操存法이다. 이는 주일무적, 상성성법, 기심수렴불용 일물로 心의 현재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心을 조절하여 정신이 敬하도록 하는 공부 방법으 로 사용하는 것이다. 心은 최고 명령자라서 누구도 心에게 명령할 수 없으므로 몸가짐을 통해 간접 적으로 心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정신을 안정시키려는 것이 정제엄숙이다. 또 아무 할 일이 없을 때 정신이 차려한 상태로 앉아 있는 것이 靜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