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관한 고찰

        김영진(Kim, Youngjin),허지훈(Heo, Jihoon),최승훈(Choe, Seunghun),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22 융합교육연구 Vol.8 No.1

        최근 메타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계에서도 새로운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론적 맥락에서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과 내재된 한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메타버스를 다룬 기존 연구들을 정리한 후, 장상호의 교육본위론을 바탕으로 교육공간을 정의하여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 역동적 교육관계의 가능성, 언어에서 체험으로 교육 소재 확장의 가능성, 관습적 교육관이라는 그릇된 교육관 수정의 가능성이 도출되었다. 한편 메타버스의 교육적 한계로서 교육적 시숙의 어려움, 접근성의 문제, 교육적 효과의 경험적 검증 부재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s interest in metaverse has increased recently, the education community has been discussing metaverse as a new educational spac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ossibility and inherent limitations of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in theoretical context. After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on metavers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are presented by defining the educational space based on Jang Sang-ho s educational-centered theor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sibility of dynamic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educational materials from language to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correcting the wrong view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metaverse include the difficulty of educational trial, accessibility, and lack of empirical verific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한 사회과 수업의 성찰과 소통

        류현종,김은석,정광중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1

        The study addresses a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through which Teachers College faculty in Jeju Universit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have inquir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in a practium collaboratively. The community members have performed, interpreted, reflected, and discuss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o reveal various meanings in the instructions. They are suggested under subjects of ‘Desire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Creating plotline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eachers’ feeling sympathy with students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real-life problems’, and ‘Learning social studies and time.’ Implications and tasks which they provide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each of researcher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y of reflecting on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But total process of instruction study-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 communication, correction, re-implementation-should be discussed. Also, for student teachers’ reflection on a instruction in class situation, coteaching in which community members teach together deserves considerations. Second, a range of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hould be extended to a relational domain of instruction. The focus of reflection should be on lifes of teacher and students, a culture of instruc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structure etc out of emphasizing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instruction. Third, a practicum system, in which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an select a mentor teacher and live in the mentor’s classroom to teach social studies, should be set. Social studies course should be managed in connection with the life of classroom.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재직하고 있는 J대학교 교육대학과 학교 현장이 ‘교육실습’을 매개로 수업을 같이 탐구했던 수업 공동체의 활동을 다루고 있다. 수업 공동체 구성원인 교수(연구자들), 학부생, 현장 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을 실행, 해석, 성찰, 논의하면서 사회과 수업의 다양한 의미들이 드러났는데, 이를 ‘사회과 수업에 대한 소망’, ‘사회과 수업의 줄거리 짜기’,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공감’, ‘사회과 수업과 ‘현실’ 문제’, ‘사회과 학습과 시간’이란 주제로 제시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사회과 수업의 의미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 이해와 관련한 시사점과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연구자들, 예비 교사, 현장 교사들의 각 입장에서 사회과 수업을 성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수업 계획, 실행, 성찰, 소통, 수정, 재실행 등의 수업 연구 전 과정에 걸친 논의를 통해 보다 총체적으로 수업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수업 상황에서 성찰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수업에 참여하는 코티칭의 활용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둘째, 사회과 수업 논의가 수업 전문성 기준에 초점을 둔 논의에서 수업의 관계적 차원을 드러낼 수 있는 논의로 확대되어야 한다.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업에서 구현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넘어서 사회과 수업이 수업자와 학생 삶, 수업 문화, 교육 환경, 사회 구조에 주는 의미를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실습과 사회과교육 강좌의 전향적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수업이 학생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고 볼 때, 멘토 교사를 정하여 오랜 시간 동안 멘토 교사의 교실에 살면서 생활지도와 학습지도를 경험할 수 있는 실습 체제가 필요하다. 사회과교육 강좌도 이런 교실 삶과 연계되어 운영되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공 교수들이 팀티칭을 이루어 강의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순회교육에 있어서의 스마트러닝 활용 실태 조사 및 요구 분석-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박찬웅 ( Chan Woong Park ),이영희 ( Young Hee Lee ),( Shovhakhar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순회교육에 있어서의 스마트러닝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스마트러닝에 대한 순회교육 담당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둘째, 순회교육에 있어서의 스마트러닝 활용 실태를 밝히며, 셋째, 스마트러닝 활용을 위한 요구사항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7명의 순회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회교사의 대부분은 학생의 기본교과 학습과 여가시간 활용에 스마트러닝 방식이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러닝 활용 실태는 교사의 2/3 이상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으나 서비스체계의 미비로 인해 교과학습보다는 흥미유발용 및 특기적성교육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스마트러닝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교육용 콘텐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예산 확보와 전문인력 배치를 활성화 방안으로 꼽았다. 넷째, 시사점으로 교육용 콘텐츠 개발·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교사 연수·행정적 지원 및 예산 확보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in itinerant education, specifically, to grasp teachers` recognition on smart learning, to survey the needs on smart learning support in itinerant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results for supporting policies. To meet this purpose, 67 itinerant teachers in special school,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by e-mai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itinerant teachers understand about smart learning sufficiently, especially they thought that smart learning is helpful for itinerant educational student to study basic curriculum and to use leisure time. Secondly, 2/3 of respondents used smart learning devices, but using of them was rather for student`s interest and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than basic curriculum. And respondents answered that educational contents of smart learning was not enough compared to student`s needs. Therefore they used rarely educational application, instruction-learning site, and SNS. Thirdly, the respondents required feedback and indirect experience function as educational contents function. they suggested to develop of educational contents, to construct of web infra, to pursue the study and training of teachers as a preceding condition. And they suggested to secure the budget and to place smart learning experts as a activating condition. Lastly, the results show that it`s necessary to develop of educational contents for smart learning, to construct of smart learning service support system, to support teacher`s workshop, and to ensure government`s support and budgets. Finally, smart learning experts should be placed in the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and smart learning support system should be provide for itinerant educational student`s information accessibility. To activate smart learning support, government`s support should be secured and the budgets should be increased.

      • KCI등재

        일본의 역사교육에서 시민적 자질 형성과 그 변천 -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의 두 가지 교육론 -

        가쿠다 마사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4

        This research aims at clarifying two theories for teaching history and the feature of those by analyzing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in the Secondary School of Japan 1951 and 1958. In 1945, World War II ended and new education suitable for democratic society started in Japan. “Social Studies” was then born. The aim of “Social Studies” was that children acquire the knowledge, the skill, and the attitude needed for the citizen supporting democratic society as a result of social research. History and geography were positioned as a means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s “geography for social studies”, and “history for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based on the Course of Study 1947 and 1951 were so. The subject “Japanese history” in the Course of Study 1951 is an eclectic curriculum with the traditional style of teaching history taking advantage of the idea of “history for social studies” and is especially interest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rebounding to the educational reform of a U.S. style after the independent achievement in 1951, and the state of the education which thinks as important the activity of the children in the Course of Study 1947and 1951 have changed. Especially “Social Studies” was criticized. Against the background of such criticism,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1958, it was changed to the full-scale systematic curriculum, and became a thing with legal binding force. It changed a lot, and the style of teaching history is also no longer a means of children’s social research, and became what transmits the defined historical knowledge. And the radical reform about teaching history has not been made by today. That is, especially about teaching history in Japan, if its attention is paid to changes of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two theories have been shown. The following thing was clarified in this research. In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1951, although it aimed at teaching history for developing citizenship, in the Course of Study 1958, it aimed at teaching history for developing national identity. 본 연구는 1951년판과 1958년판의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을 분석하여 2개의 역사교육론과 그 특질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하고 일본이 민주주의 국가로 재출발을 도모하는 가운데 그때까지의 국가주의적인 교육 양상도 바뀌게 되었다. 그러한 전후 신교육의 핵심 교과로 탄생한 것이 「사회과」였다. 「사회과」가 교과로서 지향하는 목표는 아동들에게 「Social Studies=사회연구」를 실행하도록 하고 그를 통해 사회에 대한 관점·사고 방법을 획득시킴으로써, 민주 사회의 시민적 자질을 그들 중에 육성하려고 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역사를 비롯해 지리나 공민이라는 각 영역의 학습은 「사회과 역사」나 「사회과 지리」로서 아동들의 총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47년판」과 「1951년판」의 학습지도요령은 이러한 생각에 토대를 둔 것으로, 이 학습지도요령들에 입각한 사회과는 특히 「초기 사회과」라고 불리어 일본 사회과의 발자취 중에서도 이채를 발하는 존재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1951년판」 학습지도요령의 경우, 중학교에서는 과목으로서 「일반사회」와 「일본사」를 학습하게 되어 있고, 특히 「일본사」는 선술한 「사회과 역사」의 이념을 살리면서 일본 역사를 통사적으로 학습시키는 전통적인 역사교육의 형태를 절충한 것으로 독특한 커리큘럼이 되고 있다. 한편,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체결에 의한 독립 달성 등을 배경으로 미국을 모델로 한 전후의 교육 개혁에 대해 일본의 실정에 상반되는 것이라 해서 보수층을 중심으로 하여 재검토의 기운이 높아졌다. 또한, 계통적인 지식보다도 아동들의 경험을 소중히 하고 「조사해서 토론한다」는 제반 활동에 중점을 둔 경험주의적인 교육에 대해서는 기초 학력을 저하시키는 것이고, 특히 사회과에 대해서는 「기어다니는 사회과」라는 비판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비판을 받아들여 특히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의 경우는 「1958년판」에서 본격적인 계통주의 커리큘럼으로 개정이 시도되었고, 학습지도요령 자체도 그때까지의 「시안」이라는 문구가 없어지고 법적 구속력을 가진 것으로 위상이 강화되었다. 그런 중에 제기된 역사교육의 양상은 「초기 사회과」와는 크게 다른 것으로, 사회과의 한 영역이면서 사실상 역사는 역사로서 독립된 형태로 교수하려는 것이었다. 그 이후부터 학습지도요령이 제시하는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발본적인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즉, 지금까지 일본에서의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특히 학습지도요령의 변천에 초점을 맞추면 크게 두 가지의 생각이 제시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2개의 학습지도요령을 분석해, 1951년판에서는 시민성 육성을 위한 역사교육이, 1958년판에서는 국민성 육성을 위한 역사교육이 지향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 KCI등재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작문 능력 조사 연구

        정혜승,서수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작문 능력을 조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개 교육대학교 1,2,3학년 학생의 글 580편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글을 검증된 작문 평가 준거를 토대로 채점하여 그 결과를 학년별, 성별,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작문 점수의 평균은 46.98점으로, 전반적인 작문 능력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작문 능력은 다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 학년에 걸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작문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인문 계열과 예체능 계열 학생들이 자연 계열 학생들보다 우수한 작문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가 작문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그 자신이 작문 능력을 갖추어야 함을 생각해 볼 때에 이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작문 강좌의 개선,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작문에 대한 상시 피드백 체제 구축,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작문 능력 점검 체계화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공립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오지연,노진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nin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national and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regarding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Chil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For data collec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approach, an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by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ware of the pla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l play. Second, participants recognized the understanding of play, support for play, learning through play, and a special approach to meet special needs as the rol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education plan should be changed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urriculum, and that teaching-learning-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urth,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was positiv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the implementation was confusing and difficult to apply due to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Fifth, participant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 for a quality curriculum, and requested various methods for strengthening competenc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이 연구는 국․공립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면담지를 사용하여 심층 면담하였으며 전사된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인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특수교사는 일반적인 놀이의 의미와 특성 및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의 특징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해 놀이 이해하기, 놀이 지원하기, 놀이를 통한 배움을 실현하기,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위한 특별한 접근하기 등 유아특수교사의 역할을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위하여 교육계획이 변화되고, 교수․학습 및 평가에서 개별화교육계획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은 특수교육대상유아에게 긍정적이지만, 장애 특성으로 인하여 실행의 혼란과 놀이 지원의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사는 양질의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위하여 교사와 교육 공동체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는「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의「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접근 논리 -‘생산’과 ‘소비’관점의 조화 -

        유종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2

        The study identifies educational meaning of a 'consumption' viewpoint through a discussion on Mauss, Bataille, and Chartres, exploring the adaptability of a 'consumption' viewpoint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war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search,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roduced the concept of 'donation' or 'contribution' as a wise and pleasant way of consumption into overproductive modern society and argued the necessity of importing the 'consumption' perspective into social studies curriculum. A 'Consumption' perspective can be applied to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follows: first, instructing examples of celebrities or leaders related to donation and contribution on given special anniversaries; secondly, including diverse viewpoints in the curriculum for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on various ways, forms and agents to donate and contribute; thirdly, reconstructing goal, structure, and nature of the curriculum for learners to perceive social issues according to a consumption perspective; lastly, organizing the curriculum so that students can comprehend a consumption perspective about social issues, establish clear-cut lines of their own values, and participate in donation and contribution. Educational logic based on a 'consumption' perspective increases gradually from the first to the last approach. The examination on the approaches' relative efficacy digresses from the subject. Each of the approaches has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If overemphasis on competitive reason and instrumental rationalism, based on productive standpoint, damages education increasingly, a 'consumption' point of view needs to intervene into the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모스와 바타이유 그리고 샤르트르의 논의를 중심으로 ‘소비’ 관점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함의를 확인하고,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접근 논리로서 ‘소비’ 관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탐색을 바탕으로 생산의 과잉의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지혜롭고 유쾌한 소비의 양상으로 ‘기부’, ‘증여’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이 사회과 교육과정에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소비의 관점을 사회과 교육과정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증여나 기부와 관련된 유명인이나 지도자들에 대한 내용을 특정한 기간(기념일)에 가르치는 방법, 둘째, 다양한 기부 방식과 증여 형태 및 주체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들을 교육과정에 포함하는 방법, 셋째, 소비의 관점에 따라 사회적 쟁점,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기본목표, 구조, 성격을 재구조화하는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사회 문제와 쟁점에 대한 소비의 관점을 이해하고, 자신의 가치를 명확히 하며, 사회적 쟁점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부 및 증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접근 방법 중 첫 번째에서 네 번째 접근법으로 갈수록 ‘소비’적 관점에 터한 교육의 논리가 강화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 어느 것이 효과적인가 하는 것은 본 연구의 논의를 벗어난 것이다. 각각의 접근법들은 나름대로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산적 관점에 터한 경쟁 논리와 도구적 합리성의 강조로 교육 현장의 폐해가 증가한다면, ‘소비’적 관점에 터한 접근법을 좀 더 강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분석 관점 고찰

        김세영 ( Se 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교육과정 분석 기준을 고찰하여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관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Payne, Posner, Tyler & Klien, Stevens & Morrissett 의 교육과정 분석 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ayne은 교육과정 결정과 제안, 결정을 위한 타당한 이유, 결정과 제안의 제시 형태, 명확성과 일관성이라는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Posner는 교육과정 기원과 체계, 교육과정 고유영역,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비평이라는 분석 기준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는 관점을 제공하였다. 둘째, Tyler & Klien은 명확화, 근거, 타당성, 효율성, 조건, 현실성, 보급력을 제시하고, Stevens & Morrissett은 일반적 특성, 근거와 목표, 전제조건, 내용, 교수이론과 교수전략, 종합적 판단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패키지를 분석하는 관점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이들의 교육과정 분석 관점은 교사들이 국가가 고시한 교육과정을 분석할 때, 두 가지 이상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관점이 될 것이다. 또한 교과서를 선정할 때, 교육과정 개발 후 검토할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the framework of curriculum analysi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study of Payne, Posner, Tyler & Klien, Stevens & Morrissett.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Payne suggested (1) decisions and recommendations, (2) justification for the decisions, (3) forms of presentation of decisions and recommendations, (4) consistence and clarity for analyzing curriculum. and Posner proposed (1) curriculum documentation and origins, (2) curriculum proper, (3) curriculum in use, (4) critique. These standards provide the perspective to analyze the curriculum documents. Second, Tyler & Klien recommended rationale, specifications, appropriateness, effectiveness, conditions, practicality, dissemination as recommendations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materials. And Stevens & Morrissett formulated guidelines for analyzing curricula. This curriculum analysis system consist of descriptive characteristics, rationale and objectives, antecedent conditions, content instructional theory and teaching strategies, overall judgements. We can decide appropriate curriculum package by these factors. These analysis factor will contribute to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comparing two or more curriculum. In addition, when selecting textbooks and developing curriculum it will be useful.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 혁신교육운동의 적용과 문제- 경기도교육청의 ‘창의지성교육’을 중심으로 -

        민윤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The movement of innovativ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arried over to the open classroom education in 1990’s to ‘Creative Intellectual Education(hereafter CIE)’ of Kyunggi Office of Education. CIE persues groundbreaking innovation of education and is leading tangible results through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learning-centered class, and innovation of evaluation. The critical thinking emphasized in CIE is closely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s the innovative education movem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applied, subject-oriented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being rapidly settled. This new reconstruc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in that it focuses only on the total class times and standards of accomplishment and aims a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same grade teachers not the result-centered integration. The subject-oriented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provides real link between the development of learners and their life. Meanwhile, putting efforts in making result-centered curriculum or introducing outstanding cases of other schools blindedly may lead to a contrary effect. The movement of innovative education of Kyunggi Office of Education advocating CIE is interrelated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emphasizing ‘social practice’ and ‘exercise and experience.’ ‘Making one’s own thought’ based on critical thinking can also be considered to have same roots as problem solving and investigation of social studies. It can be regarded as a great success of CIE that teachers has tried various activities, used meaningful material and let students create knowledge or ‘make their own thoughts’ through active interaction. However, if CIE is misunderstood as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outstanding cases, compelling abstruse texts or suggesting the table of viewpoint for evaluation, it will impede creative class and fade in the mists of history like open classroom education. It is obvious that slogans, results, and competitions can not help achieve educational innovation. Those innovation never lasts long and can not receive appreciation. The movement of innovativ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an take its place through not slogans but accumulated experiences, not outputs but voluntary innovation of teachers in classrooms, and not competition but shaping of class culture. 한국의 혁신교육운동은 1990년대 후반의 열린교육운동을 거쳐 현재 창의지성교육을 내세운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창의지성교육은 교육과정의 재구성, 배움중심수업, 평가혁신 등을 통해 학교 교육의 일대 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창의지성교육에서 강조하는 비판적 사고력은 사회과의 민주시민교육과 밀접히 연결된다. 사회과에서 혁신교육 운동이 적용되면서 주제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기존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다른 점은 총시수와 성취기준만을 염두에 둔다는 점과 결과중심의 통합이 아닌 동학년 단위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은 학습자의 발달 및 삶과 연결 짓는 실제적인 고리를 제공한다. 결과중심의 교육과정 작성에만 힘을 기울이거나 학교 상황에 맞지 않는 우수 사례 중심의 도입을 서두를 경우 역효과가 날 것으로 보인다. 창의지성교육을 내세운 경기도교육청의 혁신교육운동은 ‘사회적 실천’과 ‘경험과 체험’을 강조하는 등 사회과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또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한 ‘자기생각 만들기’는 사회과의 문제해결 및 탐구력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교사들이 사회과수업에서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고 의미 있는 자료를 활용하며,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지식의 창조 혹은 자기생각만들기를 하도록 한 것은 창의지성교육의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결과와 우수사례 중심의 교육과정재구성을 추진하거나 고전 중심의 난해한 창의지성텍스트를 강요하고 관점표를 제시하여 오히려 창의적인 수업을 저해하는 창의지성교육은 열린교육이나 그 이전의 혁신교육운동이 그러했듯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것이다. 구호나 실적, 혹은 대회를 통해 교육혁신을 이뤄낼 수 없음은 자명하다. 그러한 혁신은 오래가지 못하며 공감을 얻을 수 없다. 구호가 아닌 축척된 실천으로, 실적이 아닌 교사들의 자발적인 수업 혁신으로, 그리고 대회가 아닌 수업 문화의 형성을 통해 사회과의 혁신교육 운동은 자리를 잡을 수 있다.

      • KCI등재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변천사 연구

        송하인,김준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초창기 사회과 교육연구사의 대부분은 수도권 중심의 내용 서술에 의해 자칫 지방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교사들의 실천기록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창기 지방 사회과교사들의 신교육에 대한 열망, 사회과교육의 실천에 대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회과교육사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의 창립에 큰 도움을 준 단체이고 초창기 전남교원들의 사회과 열망이 타 지방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초창기 전남사회과연구학회의 연구회지, 연구보고서를 문헌탐구 하였고 생존해 있는 초창기 전남 사회과 전문가들과 시대별 주요 활동가들을 면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기간 초창기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성립과 변천에서 미국 교육사절단의 영향이 컸다는 것과 전남 지역의 사회과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가 지금까지 한국사회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Most education history in early stage social affairs division has a risk to lose the practice records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which are executed in local regions by the contents description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study the history of social affairs divis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enthusiasm about new education of the early stage local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and their records about the fulfillment of theeducation in social affairs division. Reason why Chonnam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subject was that it is anassociation which gave big assistance in establishing Korea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nd also that the enthusiasm of early stageChonnam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and reports in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a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urviving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and major activists of the era. This study shows that the influences of the U.S. delegation were big in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procedures of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at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in Chonnam regions gave substantial influences to Korean social affairs division until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