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다문화 가정 대상 국가와의 교육 교류 사업(APTE)」 참여 교사들의 경험 탐색

        송하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교육 Vol.62 No.4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teachers of an elementary school when they formed a research group and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Exchange Project with Non-face-to-face Multicultural Families」 (APTE)」, which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ontext of COVID-19. Participating teachers tried to understand Indonesian school cul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meaningful classes to Indonesian students. As a result, teachers were able to improve their teaching expertise through non-face-to-face international exchange classes. In addition, they grasp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non-face-to-face international exchange classes and recognized anew that students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face-to-face ones. During their research, teachers learned that successful non-face-to-face international exchange classes require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raining and managerial support, as well as teacher enthusiasm, setting go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nsidering various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and developing and practicing international exchange class mode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 projects in the future by presenting the vivid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PTE in a special educational situation called COVID-19.

      • KCI등재

        광주광역시 양림동 지역의 공간변화 양상 연구

        송하인,홍기대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looked at a space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solve the fragmented understanding of the space in Yangnim-dong, Gwangj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prior research on Yangnim-dong was mostly conducted by modern missionaries. Second, the Yangnim-dong area is a dynamic space that is created and changed “modified” by human life during the Joseon Dynasty, modern times, and today. Third, for the development of Yangnim-dong area,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voices of various people of various times, acquire a sense of place through historical geography, and develop local geography textbooks toge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one methodical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of fixed spatial recognition.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양림동 지역이라는 공간에 대한 파편화된 이해를 해결하고자 종합적인 시각에서 한 공간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림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근대의 선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양림동 지역은 조선시대, 근대, 현대를 이어오는 동안 우리조상들의 삶이 ‘변증법’적으로 만들어졌던 동적인 공간이다. 셋째, 양림동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대,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 복원시키기, 역사지리를 통한 장소감 획득, 지역지리교재 개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고착화된 공간 인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적 시도에 그 의의를 둔다.

      • KCI등재

        도시 속 당산나무를 활용한 마을학습의 방안 탐색: 초등지리교육을 중심으로

        송하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2

        본 연구는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초등학생들이 마을의 과거 원형을 찾아 진정한 마을의 의미를 찾아가도록 하는 마을학습의 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과거 자연마을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당산나무를 통해서 마을학습의 방법적인 면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경관학습의 단계를제시하여 당산나무 주변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이후 당산나무와 자연마을의 관계를 통해서 과거 마을의 자연환경, 마을사람들의 신앙, 마을사람들의 공동체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학습은 학생들이 관계적 사고를 통해서 과거의 마을과 현재의 마을을 연결시켜 보게 한다. 또한 총체적인 마을 이해를 통해서 현재 마을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결해보려는 시민을 기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마을학습과 관련된 수업안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초등지리교육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이기 때문에 마을의 다양한 의미를 찾는 작업, 제작된 수업안과 교재의 타당성 등에 대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마을학습의 형태가 개발되어 초등학생들이 과거와 현재를 통해서 마을의 진정한 의미를 만끽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plan for village learning that allows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city to define the original shape of the village as well as the true meaning of the village.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village learning through the Dangsan Tree, seen in natural villages in the past. As a result, specific stages of landscape learning were presented to explore the vicinity of the Dangsan Tree. Since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san Tree and Natural Village, understand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village in the past, the faith of the villagers, and the community culture of the villagers has occurred. This learning allows students to connect the villages of the past as well as the present through relational thinking. Additio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fostering active citizens activel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village through comprehensive village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lementary school geography curriculum and class plans, textbooks related to village learning were developed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Since this study is the first in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it has limitations on identifying various meanings of the village, the validity of the produced class plan, textbooks, etc. In future studies, we are hopeful that various forms of village learning will be develope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enjoy the true meaning of the village through the past and the present.

      • KCI등재후보

        사회과 체험학습의 의미 탐색

        송하인,남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1

        Recognizing that there are important elements to be understood for adequate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clarify the meanings of experience, experiential learning, and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is perceived to be personal-subjective involvement, and its subject is the inside of the person who has the experience, and therefore it has vividness and intenseness and is used limitedly to personal or individual affairs. When pure experiences obtained from consciousness are used in learning, the learning involves activities for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Experiential learning is executed through the cyclic proces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nd through the process, the learner maintains the harmony between body and mind, gets free from self consciousness, and attains the joy of self reward and the enrichment of life. That is, the nature of experiential learning is internaliz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is context,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comprehends all types of learning that prepare the learners to continue Social Studies through their entire life. 학교교육은 학습자 중심 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정점에 있는 교육 철학이 자기주도적 학습, 열린교육, 체험학습이라 할 수 있다. 체험은 1인칭적 주관적 경험으로 인식되며 인간의 내면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생생함과 강렬함을 가지며 삶과 관련된 개별적인 또는 개성적인 경험에 한정해서 사용한다. 체험학습은 체험-표현-이해라는 순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런 전 과정이 몸과 마음이 어우러지면서 자의식이 상실되고 이를 통해 자기 스스로의 보상의 기쁨으로 삶을 윤택하게 하는 학습의 본질을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사회과 체험학습은 사회과적 삶을 평생 동안 살아가도록 학습자를 준비시키는 모든 학습형태가 될 것이다. 사회과 체험학습은 내면화와 표출화의 과정이 순환적으로 전개되면서 사회과적 삶을 평생동안 살아가도록 준비시키는 사회과 학습의 모든 형태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령화시대에 대응하는 초등사회과 인구교육의 방향 탐색

        송하인,홍기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고령화교육의 성격을 제시하고 고령화교육의 관점에서 초등사회과교과서를 분석 한 후 인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교과서에서는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각 학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수동적 존재로서 노인을 나타내고 있었다. 고령화교육의 관점에서 교과서를 살펴보면 고령화 현상에 대해서 약간의 페이지를 할애하고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 만 제시할 뿐 그것을 통해서 인간존중, 가족, 복지 부분으로 연결하여 학생들의 사고가 폭넓게 확장되도록 구성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새로운 인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면 교과서 속에 노인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 모습을 제시할 필요, 가치관 교육을 통해서 세대 간 갈등에 대비한 교육, 저출산과 고령화를 분리하여 제시하고 최종적으로 인구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사회과교육에서 고령화교육이 필요한 이유와 구체적인 고령화교육의 요소를 통해 교과서를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양적, 질적연구에 의한 다방면의 분석을 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alyz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aging education, and then present the direction of population education. As a result, in textbooks, images of the elderly were not evenly distributed in each grade. It also represents the elderly as passive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ging education, too few pages are devoted to the aging phenomenon, and only the aging phenomenon in Korea is presented, and through it, thinking is not widely expanded by connecting to human respect, family, and welfare. If the direction of population education is presented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esent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textbooks, education to prepare for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separately present low birth rates and aging, and finally reorganize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extbooks through the reasons why aging education is necessar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specific content elements. However,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unable to analyze in various fields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광주천 다리’를 활용한 초등학교 지역학습 교재개발 연구

        송하인,안영진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광주광역시에 있는 광주천 다리를 소재로 하여 지역학습을 위한 교재를 제작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광주천의 다리는 오랫동안 광주 사람들과 함께해 온 광주의 문화경관이다. 광주천의 다리는 광주 사람들에게 교통 연결, 민간신앙, 안식처, 여가공간, 랜드마크 등의 기능을 하면서 오랫동안 광주 사람들과 함께 해왔다. 광주천 다리는 광주라는 지역을 다른 지역과 구별 짓는 특수성과 아울러 보편성을 인식시켜 줄 수 있다. 또한 광주천 다리는 지도학습, 설화학습, 환경문제학습 등을 적용시킬 수 있는 지역학습의 훌륭한 소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지리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3, 4학년 단계에 적합한 교재를 제작하였다. 이때 초등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나’와 ‘광주천 다리’를 밀접하게 관련시키기 위해 내부자적 관점의 경관학습의 단계를 구안하고 한 차시의 수업안, 교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초등학생들에게 구안된 수업안, 교재를 적용해 보지 못한 한계점이 있으며, 또한 유관기관의 도움을 받아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점도 있으나, 처음으로 실시된 광주광역시 지역학습 교재의 개발이라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This study presents a case in which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produced a textbook for local learning using the Gwangjucheon Bridg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bridge of Gwangjucheon Stream is a cultural landscape of Gwangju that has long been with the people of Gwangju for a long time. The bridge of Gwangjucheon Stream has long been with Gwangju people, serving as a connection, folk belief, shelter, leisure space, and landmark for Gwangju people. The Gwangjucheon Bridge can recognize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at distinguishes Gwangju from other regions. It is also an excellent material for local learning that can apply supervised learning, narrative learning, and environmental problem learn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geograph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and textbooks suitable for the 3rd and 4th grade stages were produced. At this time, the stage of landscape learning from an insider perspective was devised and applied to a lesson plan and textbooks in order to closely relate 'I' and 'Gwangjucheon Bridge'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apply class plans and textbooks designed for actu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re is a point that sufficient data was not secured with the help of related agencie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it is the first textbook for regional learn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KCI등재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변천사 연구

        송하인,김준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초창기 사회과 교육연구사의 대부분은 수도권 중심의 내용 서술에 의해 자칫 지방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교사들의 실천기록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창기 지방 사회과교사들의 신교육에 대한 열망, 사회과교육의 실천에 대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회과교육사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의 창립에 큰 도움을 준 단체이고 초창기 전남교원들의 사회과 열망이 타 지방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초창기 전남사회과연구학회의 연구회지, 연구보고서를 문헌탐구 하였고 생존해 있는 초창기 전남 사회과 전문가들과 시대별 주요 활동가들을 면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기간 초창기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성립과 변천에서 미국 교육사절단의 영향이 컸다는 것과 전남 지역의 사회과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가 지금까지 한국사회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Most education history in early stage social affairs division has a risk to lose the practice records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which are executed in local regions by the contents description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study the history of social affairs divis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enthusiasm about new education of the early stage local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and their records about the fulfillment of theeducation in social affairs division. Reason why Chonnam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subject was that it is anassociation which gave big assistance in establishing Korea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nd also that the enthusiasm of early stageChonnam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and reports in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a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urviving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and major activists of the era. This study shows that the influences of the U.S. delegation were big in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procedures of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at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in Chonnam regions gave substantial influences to Korean social affairs division until now.

      • KCI등재

        초등학교 지역학습의 소재로서 당산나무의 가능성 탐색

        송하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교육 Vol.6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역학습에서 당산나무를 소재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당산나무에 대한 특징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까지 자연마을과 당산나 무가 본래 그 자리에서 잘 보존된 광주광역시 남구 노대마을의 당산나무를 사례로 하여 당산나무가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의의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당산나무는 정자나무, 노거수, 동구나무 등으로 불리고 있다. 대부분의 당산나무는 느티나무이며 광주광역시에서 현재까지 당산제를 지내는 곳은 11곳이었다. 이 중에서 전통마을이 남았 고 마을 사람들이 당산제를 지내고 있는 곳이 노대마을이었다. 당산나무는 일정한 목적에 의해 마을의 입구, 마을의 중앙, 뒷산, 들판에 있다. 초등사회과에서 지역학습의 소재로 당산나무를 활용할 때 인간이 자연과 함께 어떻게 더불어 살아왔는지에 대한 생태학적 의의, 마을에서 당산나무가 사람들과 어떻게 오랫동안 함께 살아왔는지 에 대한 민속학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했던 초등학교에서 지역학습의 소재를 발굴하고 그것이 지역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대략 살펴보았다. 하지만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지역학습을 전개시키기 위한 답사프로그램, 구체화한 지역학습 교재를 개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Dangsan tree as a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regional learn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angsan tre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significance of Dangsan trees to local residents by taking the Dangsan trees in Nodae Village, Nam-gu, Gwangju, where natural villages and Dangsan trees were originally well preserved on the spot. As a result, Dangsan trees are called Jeongja trees, old trees, and Dong-gu trees. Most of the Dangsan trees are zelkova trees, and there have been 11 places where Dangsan rites have been hel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o far. Among them, the traditional village remained, and the village people held the Dangsanje Festival in Nodae Village. Dangsan trees ar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in the back of the mountain, and in the fields for a certain purpose. If Dangsan Tree is used as a subject for local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can have ecological significance on how humans have lived with nature and folk significance on how Dangsan Tree has lived with people for a long time in the village. This study discovered the subject matter of local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that had been neglected, and examined its effect on local learning roughly.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eachers have not been able to develop field trip programs and specific local learning textbooks to develop local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