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海軍提案制度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유종열 해군대학 1991 海洋戰略 Vol.- No.73

        제안제도란 조직체가 그 구성원으로부터 사업이나 경영의 개선에 관한 의견과 착상을 일정한 절차를 통하여 제안받아 실시함으로써 관리의 경제화, 능률화 그리고 조직의 민주적 운영에 공헌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아울러 이 제도는 조직의 운영에 있어서 구성원의 창의와 착상을 격려함으로써 그들의 참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조직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참여의식과 그들의 존재가치가 인정받을 수 있는 소속감과 인정감을 높이는 것은 물론 제안으로부터 가져오는 경제적 효과를 제고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해군에서도 이러한 개념에서 1978년부터 제안제도를 실시해 오고 있으나 특히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사고방식으로 인해 사실 이 제도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7년간의 운영통계자료와 제안대상자들의 설문서를 종합분석한 결과 도출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채택률이다. 둘째 제안내용의 편중으로 기술분야가 대부분이다. 셋째 미흡한 사후관리이다. 넷째 복잡한 실시여건이다. 복잡한 제안절차 및 과다한 업무로 구성원의 참여도가 낮다. 다섯째 제안제도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다. 여섯째 제안제도 실시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안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조직관리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조직관리적 측면에서 첫째 적극적인 홍보활동, 둘째 구성원의 잠재능력개발, 셋째 상관의 관심제고, 넷째 유인책 확대, 다섯째 업무량의 적정화이다. 다음으로 제도적 측면에서는 첫째 제안과정의 간소화, 둘째 Idea Bank의 운영, 셋째 제안자격의 확대, 넷째 직무제안의 현실화, 다섯째 철저한 보상, 여섯째 사후관리 철저 등이다. 비록 이러한 방안들이 제안제도 활성화를 위한 완벽한 개선책은 못되지만 이러한 방안들이 이루어질 때 해군의 제안제도는 보다 활성화되어 경제적이고 능률적인 부대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교사의 사회 가치관과 교사 만족도 간의 관계

        유종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본 논문에서는 학교의 교육활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교사, 특히 저경력 교사(10년 이하의 경력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 가치관과 교사 만족도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저경력 교사에 주목한 이유는 이들이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계를 이끌어갈 것이며, 고경력 교사보다 변화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15년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석한 교사 22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경력 교사들은 스스로 자율적인 존재로서 인정받고자하는 욕구가 사회구성원으로서 집단에 융화되고자 하는 욕구보다 강하였다. 둘째, 모든 사람에게 충분할 만큼 부가 증대되기는 어렵더라도, 열심히 일하면 생활은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사회에 대한 일반적 신뢰가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넷째, 저경력 교사들은 사회를 위해 어떤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강하게 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 만족도 수준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율성과 타인과의 동조를 중시하며, 성장에 대한 믿음과 노력에 대한 성취 기대 수준이 높았다. 또한 타인에 대한 보편적 신뢰도와 공공선에의 기여가 중요하다는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가치관 중 ‘자율’, ‘성취기대’, ‘보편적 신뢰’, ‘공동선 기여’ 항목이 교사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正)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신뢰를 강조하는 학교 시스템이 구축되고, 자율성과 개인주의 성향을 존중하는 학교 문화가 만들어 질 때 교사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알려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과 일반사회영역에서의 문화교육 내용 변천 - 교수요목시기에서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

        유종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3

        The study analyzed how cultural education had changed from syllabus-based period to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ultural education within social studies had progressed from a period of ethics and philosophy to a period of coexistence of anthropology and nationalism, to a transitional period from ‘cultivation of people’ to ‘cultivation of a citizen,’ and to a period for cultivation of a global citizen.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essential aims and teaching contents of the cultural education from an academic and value-based perspective, taking care not to indoctrinate with national ideology in the course of the cultural education.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cultural education has to give more coverage to the cultural issues rather than factual and superficial knowledge, aiming at the cultivation of a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by culture, education for culture) instead of being caught in ’the education of culture itself.’ 본 연구에서는 교수요목 시기에서 2015 개정 사회과교육과정 시기까지의 문화교육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교육 내용 요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분석의 효율성을 위해 고등학교 사회과에서의 문화교육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과에서의 문화교육은 윤리․철학의 시기, 인류학적 학문 체계와 국가주의 이데올로기가 혼재한 시기, ‘국민 양성’에서 ‘시민 양성’ 교육으로의 전환 시기, 그리고 세계 시민 양성을 위한 문화교육 시기로 변천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교육의 본질적인 목표가 무엇이며, 어떤 내용 요소로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학문적․가치론적 검토가 있어야 하며, 문화교육이 국가 이데올로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사회과에서 이루어지는 문화교육은 사회과교육의 목표에 부합해야 하므로, 문화 자체에 대한 교육(문화에 대한 교육)에 함몰되기 보다는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한 문화 교육(문화를 통한 교육, 문화를 위한 교육)을 지향하고, 사실적․단편적 지식 보다는 문화와 관련된 쟁점(문제)을 보다 비중있게 다루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장학에 관한 연구

        유종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3

        A Study on Teaching Supervision for Increasing Social Studies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이 논문은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장학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의 전문성에 나온다. 이러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학 활동에서 고려해야할 요소는 교사의 사회과 교과에 대한 이해, 교사의 사회과 지식에 대한 신념, 교사의 교과 지식, 사회과 교실의 수업 환경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장학의 개선 방안으로, 수직적 장학(supervision)에서 수평적 컨설팅(consulting)으로의 전환, 목표지향 수업 평가 도구에 의한 수업 평가, 자기 반성을 촉진하는 수업 장학의 실천, 협동적 장학 실현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수업 장학 개선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경제 교육 내용 변화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유종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미국경제교육협의회(NCEE)에서 제시한 ‘기본경제개념’을 준거로 하여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경제 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 교육 내용 요소에 있어 7차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졌던 화폐, 절대우위·비교우위에 관한 내용이 제외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경쟁과 시장 구조에 대한 설명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소득 분배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내용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용의 연계성과 관련해서는 7차 교육과정에 비해 개정 교육과정에서 좀 더 향상된 측면이 있다. 특히 9학년에 미시 경제 개념과 거시 경제 개념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경제 개념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4학년에서 배운 내용이 9학년이 되어서야 반복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comparative analysis on economic textbooks in the 7th and the revised 2007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Basic Economic Concepts’ that NCEE(Nation Council of Economic Education) presen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found out few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units and time allotments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Secondly, the revised economic educational curriculum excluded currency and absolute and comparative advantage, which the 7th one included. In addition, the revised curriculum put less emphasis on the explanation of competitiveness and market structure. Furthermore, the revised one needs to fortify contents covering the effective distribution and problem of income distribution. As a related development, the revised economic curriculum effectively arranged educational elements in a sequential order, compared to the 7th. Especially, micro- and macro-economic concepts in the ninth grade enable learners to integrate economic concepts as a whole. Yet, the ninth graders seem to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lessons since some elements in the fourth do not recur until the ninth grade.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유종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6 사회과교육연구 Vol.13 No.4

        Analysis on Tendency in Research into Social Studies Textbook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 연구를 메타적으로 조망하고, 사회과 교과서의 연구 동향을 거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기존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먼저, 사회과 교과서 분석 연구의 구조와 쟁점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행한 분석 기준과 틀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앞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그동안 이루어진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와 한국교원대학교의 전자도서관, 그리고 두 개의 사회과교육학회의 홈페이지 자료실을 이용하여 253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먼저, 분석 영역에 있어서는 내용 분석, 교재 구성 및 개발, 교재활용 및 인식, 교과서 정책과 개발에 관한 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문 영역별로는 일반사회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역사, 지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과 교과서 연구에서 다루어진 주제들에 있어서는 사회문제, 민주시민, 이데올로기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교 연구의 비율이 1995년 이후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양적인 연구 방법과 질적인 연구 방법을 병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인 연구방법, 양적인 연구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습 자료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의 재구성과 재구조화, 그리고 사회과 교과서의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며, 사회과 교과서 연구에 있어 일반적이고 거시적인 연구 문제뿐만 아니라 특수하고 미시적인 연구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