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주(程朱)의 충서론(忠恕論)과 당대신유가의 해석

        정상봉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0 No.-

        Cheng brothers and Zhu Xi explained Zhongshu忠恕 by dividing it into the Zhongshu of saints and the Zhongshu of scholars. If the Zhongshu of a saint completely realizes the Zhongshu of heaven and earth without any selfishness, the Zhongshu of a scholar requires constant efforts to practice. In particular, Zhu Xi paid attention to the Zhongshu of scholars, set up a problem situation in which Zhongshu was not carried out properly, and then suggested the study of deliberation and sincerity as a solution. According to Cheng-Zhu’s theory of Zhongshu, Zhong and Shu have a logical structure of Ti體 and Yong用.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 be see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li一理 and Wanshu萬殊. Feng Youlan, Tang Junyi, Xu Fuguan, and Mou Zongsan, who are counted as the contemporary Confucians, each presente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Cheng-Zhu’s theory of Zhongshu from their own perspectives. Feng Youlan refers to “Desiring to take his stand, one who is Good helps others to take their stand; wanting to realize himself, he helps others to realize themselves.” as Zhong忠, “Do not impose upon others what you yourself do not desire.” as Shu恕. On the other hand, Tang Junyi considers the former as active Shu and the latter as passive Shu. In addition, Xu Fuguan divided Zhong and Shu into two aspects: the completion of one’s own self(成己) and the completion of all things(成物). Lastly, Mou Zongsan insists that Cheng Mingdao’s understanding which explained Zhongshu in the dimension where the heavenly principle is constantly revealed, that is, “existing and active”, is correct. In addition, he evaluates that the explanations of Cheng Yichuan and Zhu Xi did not properly explain the true meaning of Zhongshu. The various explanations of the contemporary Confucians on Zhongshu each have their own grounds for argument. It can be said that their various reading methods have broadened the horizon of interpretation. Korean scholars generally take the view of Tang Junyi’s view, which divides Shu into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mong Contemporary Confucians’ Interpretations. I think this is because it keeps in mind Cheng-Zhu’s theory of Zhongshu. In the future, in-depth discussions on the modern significance of Zhongshu should be added. 이정(二程)과 주자(朱子)는 충서(忠恕)를 성인(聖人)의 충서와 학자(學者)의 충서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성인의 충서는 아무런 사심이 없는 천지의 충서를 완전히 실현해 낸 것이라면, 학자의 충서는 실천의 노력이 끊임없이 요청되는 것이다. 특히 주자는 학자의 충서에 주목하여 충서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는 문제 상황을 설정한 뒤 그 해결 방안으로 궁리(窮理)와 정심(正心)의 공부를 제시하였다. 정주(程朱)의 충서론에 따르면, 충과 서는 체(體)와 용(用)의 논리 구조를 갖는다. 양자의 관계는 일리(一理)와 만수(萬殊)의 관계로 볼 수 있다. 이 정주의 충서론에 대하여 당대신유가(當代新儒家)로 꼽히는 풍우란(馮友蘭), 당군의(唐君毅), 서복관(徐復觀), 모종삼(牟宗三)은 각기 자신의 관점에서 상이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풍우란은 “기욕립이립인(己欲立而立人), 기욕달이달인(己欲達而達人)”을 충(忠), “기소불욕(己所不欲), 물시어인(勿施於人)”을 서(恕)로 보았다. 반면 당군의는 전자를 적극적 서(恕), 후자를 소극적 서(恕)라고 하였다. 또 서복관은 충과 서를 성기(成己)와 성물(成物) 두 측면으로 나누어 보았다. 끝으로 모종삼은 천명유행(天命流行), 즉 “활동하면서 존재하는〔卽活動卽存有〕” 천리(天理)가 끊임없이 드러나는 차원에서 충서를 설명한 정명도(程明道)의 이해 방식이 적확하고 정이천(程伊川)이나 주자(朱子)의 설명은 충서의 본의를 제대로 밝히지 못했다고 평가하였다. 충서에 대한 당대신유가의 다양한 설명은 각기 나름의 입론 근거가 있다. 그들의 다양한 독법(讀法)은 해석의 지평을 넓혀주었다고 할 수 있다. 국내 학자들은 당대신유가 가운데 대체로 서(恕)를 적극적 측면과 소극적 측면으로 나누어 본 당군의의 관점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정주의 충서론을 염두에 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충서가 갖는 현대적 의의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더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충서(忠恕)의 도덕교육적 의의에 관한 재탐색 -초등 도덕 교과서에 드러난 충서(忠恕) 관념을 중심으로-

        임명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80

        본 논문은 초등 교과에 수록된 충서(忠恕) 관념을 분석하고, 이러한 충서 관념이 동양 고전을 통해 어떻게 서술되었는지 살펴본 것이다. 논문에서는 먼저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충서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동양 원전으로 돌아가 충서 개념의 출처 및 함의, 그 제반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논의를 통해 필자는 서(恕)에 해당하는 공감과 배려, 소통을 다루는 교과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은 자아의 성찰과 자기반성 능력에 있음을 지적하였다. 서의 온전한 실행은 충(忠)을 완성한 이후에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동·서양 이상적 인간상의 가치규범 : 충서(忠恕) 와 Noblesse oblige 비교연구

        정수현,정경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All the countries have their ideal humans who have practiced their traditional morality and nowadays they have gone but the value and norm that have ruled their roles and behaviors have become the mental basis. Who can be Mr. Rights that repres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rality? Most Korean must believe that they are 'Seonbi'. Even though they are bygones these days, they may live in Koreans' 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In that everyone can't be 'Seonbi' and they are from Yangban, Korean nobility, they are Noblesse. If we compare Noblesse oblige with Chungseo, Seonbi's moral standard, we can find out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nd also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e. Noblesse oblige, the moral duty corresponding to social position, can't be only in French and other western countries. We Koreans have had very practicable Chungseo. It can not only be studying something but also controlling the desire and helping the weak. It is our nations' peculiar spirit and the philosophy of life. The modern societies that have no classes and pursue the equality have moral duty and responsibility. We tend to overemphasize the materialism, so we first recover the spiritualism to do our duties. The first step is not the dispensation and donation of Noblesse oblige but the consideration and sharing of Chungseo. To build up the future-oriented community by solving social conflict, we should restore Chungseo that is the spirit of sharing, consideration, and inter-respect. 어느 나라나 그 나라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형이 있다. 이러한 이상적 인간형은 그 나라의 전통적인 도덕관을 실천한 사람으로, 그들이 사라진 현대사회에서도 이런 인간형의 역할과 그들의 행동을 규율했던 가치와 규범은 그 나라의 정신적 근간이 되었다.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문화와 가치관을 대변할 수 있는 인간형은 누구일까? 한국인들 대부분은 ‘선비’를 떠올릴 것이다. 선비는 누구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양반계급만으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노블레스가 의미하는 ‘귀족계급’에 상응한다. 따라서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선비의 도덕관인 충서(忠恕)사상을 비교하는 것은 동서양 문화의 근본적 차이점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뿐더러, 이를 구조적으로 비교한다면 각 문화의 특수한 성격 또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 를 뜻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란 프랑스나 서양의 선진국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는 선비들이 실천해왔던 충서정신이 있다. 선비정신은 단순히 학문을 갈고 닦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배운 지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며 약자를 돕고 배려하는 정신이었다. 이는 우리 민족 고유정신이자 대대로 내려온 삶의 철학이다. 계급이 사라지고 평등을 지향하는 현대사회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의무와 책임이 있다. 현대인들이 물질문명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사회에서 그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신문명을 복원해야하며, 그 시작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처럼 시혜적 차원의 기부가 아니라, 충서 정신에 담겨는 타인과 공감하기 위한 정성이 담긴 배려와 나눔이 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 한국사회가 겪는 각종 사회적 갈등과 격렬한 대립의 분위기를 바꿔 새로운 미래 지향적인 공동체 문화를 가꾸어 가기 위해서는 나눔과 배려 그리고 상호공경과 보살핌의 정신인 충서를 복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동,서양 이상적 인간상의 가치규범: 충서(忠恕)와 Noblesse oblige 비교연구

        정수현 ( Su Hyun Jung ),정경조 ( Kyeong Jo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어느 나라나 그 나라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형이 있다. 이러한 이상적 인간형은 그 나라의 전통적인 도덕관을 실천한 사람으로, 그들이 사라진 현대사회에서도 이런 인간형의 역할과 그들의 행동을 규율 했던 가치와 규범은 그 나라의 정신적 근간이 되었다.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문화와 가치관을 대변할 수 있는 인간형은 누구일까? 한국인들 대부분은 ‘선비’를 떠올릴 것이다. 선비는 누구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양반계급만으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노블레스가 의미하는 ‘귀족계급’에 상응한다. 따라서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선비의 도덕관인 충서(忠恕)사상을 비교하는 것은 동서양 문화의 근본적 차이점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뿐더러, 이를 구조적으로 비교한다면 각 문화의 특수한 성격 또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 를 뜻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란 프랑스나 서양의 선진국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는 선비들이 실천해왔던 충서정신이 있다. 선비정신은 단순히 학문을 갈고 닦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배운 지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며 약자를 돕고 배려하는 정신이었다. 이는 우리 민족 고유정신이자 대대로 내려온 삶의 철학이다. 계급이 사라지고 평등을 지향하는 현대사회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의무와 책임이 있다. 현대인들이 물질문명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사회에서 그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신문명을 복원해야하며, 그 시작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처럼 시혜적 차원의 기부가 아니라, 충서 정신에 담겨는 타인과 공감하기 위한 정성이 담긴 배려와 나눔이 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 한국사회가 겪는 각종 사회적 갈등과 격렬한 대립의 분위기를 바꿔 새로운 미래 지향적인 공동체 문화를 가꾸어 가기 위해서는 나눔과 배려 그리고 상호공경과 보살핌의 정신인 충서를 복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All the countries have their ideal humans who have practiced their traditional morality and nowadays they have gone but the value and norm that have ruled their roles and behaviors have become the mental basis. Who can be Mr. Rights that repres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rality? Most Korean must believe that they are ``Seonbi``. Even though they are bygones these days, they may live in Koreans` 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In that everyone can`t be ``Seonbi`` and they are from Yangban, Korean nobility, they are Noblesse. If we compare Noblesse oblige with Chungseo, Seonbi`s moral standard, we can find out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nd also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e. Noblesse oblige, the moral duty corresponding to social position, can`t be only in French and other western countries. We Koreans have had very practicable Chungseo. It can not only be studying something but also controlling the desire and helping the weak. It is our nations` peculiar spirit and the philosophy of life. The modern societies that have no classes and pursue the equality have moral duty and responsibility. We tend to overemphasize the materialism, so we first recover the spiritualism to do our duties. The first step is not the dispensation and donation of Noblesse oblige but the consideration and sharing of Chungseo. To build up the future-oriented community by solving social conflict, we should restore Chungseo that is the spirit of sharing, consideration, and inter-respect.

      • KCI등재

        심대윤의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 연구

        김재화(KIM Jae-Hwa)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3 No.-

        이 글은 19세기 조선의 유학자 심대윤(沈大允, 1806~1872)의 격물치지(格物致知) 개념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심대윤의 격물치지 개념은 인간이 지닌 정신(精神)과 명지(明知)의 기능적 특성과 본 것에 따라 선해지거나 악해지는 인간의 마음의 본질적 특성에 의해 그 논리적 과정과 필요성이 설명되고 있으며, 격물치지의 효과는 인간의 실정[人情]은 물론이고 온천하의 각종 사태의 실정[事情] 및 사물의 실정[物情]까지 두루 통하여 알 수 있게 해주는 무궁무진한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 나아가 심대윤은 성인이 자신이 격물치지를 통해 안 바를 천하의 뭇 사람들 또한 쉽게 시행할 수 있게 해주는 실천의 묘리로서 대중들에게 충서(忠恕)를 힘써 행할 것을 가르쳤다고 주장하며, 격물치지와 충서는 천하의 사람들이 모두 함께 이로워 지고[利] 편안해지는[安] 위대한 유학의 도(道)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심대윤의 격물치지 개념은, 대중들로부터 유학의 권위가 땅에 떨어지고 각종 민란과 탄압으로 사회적 혼란이 극심했던 19세기에 살았던 심대윤의 시대적 문제의식을 여실히 보여준다 하겠다. 심대윤은 이론적 의리 논변을 중시했던 송나라 주희라는 과거의 거대한 굴레를 벗어나 유학의 도를 대중들의 삶을 이롭고[利] 편안하게[安] 해줄 수 있는 것으로서 재정 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격물치지라는 유학의 핵심 개념을 대중들에게 충서라는 쉽고 단순한 실천적 요령으로써 설파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meaning of Shim Dae-yoon s (沈大允, 1806~1872) concept of the Gewuzhizhi 格物致知. Shim, a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claimed that Gewuzhizhi is necessary becaus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 jungsin 精神 & myeongji 明知,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mind(心) that becomes good or evil according to what one sees. It is also explained that the effect of the Gewuzhizhi is infinite, which allows us to know not onl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uman beings(人情) but also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arious events(事情)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arious things(物情). Furthermore, Shim argued that the Saint(聖人) taught everyone to do zhõng-shù 忠恕 with great effort because it is a miracle principle of moral practice that allows us to do things what we ve learned from the Gewuzhizhi, and Gewuzhizhi and zhõng-shù are the great Confucian principles that all the people of the world can benefit(利) and be comfortable(安) together. Shim Dae-yoon s concept of a Gewuzhizhi clearly demonstrates his sense of social problem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authority of Confucius fell to the ground and various civil disturbances and oppression caused social chaos. Shim Dae-yoon wanted to break away from the great past of Zhu-Xi(朱熹), who focused on moral righteousness, to redefine the Tao of Confucius as something that could make beneficial and comfortable of the people. To this end, Shim wanted to preach the core concept of Confucius, Gewuzhizhi, to the general public as an easy and simple practical way of doing zhõng-shù.

      • KCI등재후보

        공자의 정명(正名)에 대한 연구

        이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9 철학논집 Vol.19 No.-

        본 논문에서는 공자의 정명사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왜 ‘임금이 임금다워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내적 근거나 이유를 제시하지 못한다 고 보고, 그 대안적 설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설명들은 공자 가 임금이 임금다워야 한다고 말할 때의 내재적 맥락을 충실히 복원하 기 보다는 도식적인 개념의 틀로 정명을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공자의 정명사상의 본래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여기서는 논어 라는 텍스트가 공자의 사상을 일관성 있게 드러내고 있다는 전제하에 정명을 논어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는 하나의 키워드로 재해석해 보았다. 본 논문의 결론의 다음과 같다. 첫째, 분별을 핵심으로 하는 예법에 는 名과 名의 관계가 투영되어 있다. 여기서 名은 위에 대한 名과 名 이 요구하는 分이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정명은 명분론의 맥락에서 해석되며, 이에 따르면 정명은 분을 명에 일치시키라는 주장이다. 둘 째, 예의 근본인 인은 관계의 맥락에서 제기된 관념으로서 사람다움을 말한다. 사람다움은 관계가 요구하는 바를 온전히 수행할 때 성취된다. 따라서 인은 정명의 실현이고 정명은 인을 실현하는 방법이다. 셋째, 정명이 함축하는 명명관계에서는 명과 명이 하나로 묶이는 경우에도 명들 사이의 차이와 구별은 사라지지 않는다. 덕목은 관계가 요구하는 역할을 온전히 해낼 때 확인되는 것이다. 넷째, 충서(忠恕)는 공자의 일관지도(一貫之道)이다. 충서의 충(忠)은 최선을 다하는 것[盡己]으로 서, 공동체의 가치에 비추어 개인적인 요구를 누르고 그 가치를 예를 통해 구현[克己復禮]해야 가능한 사태이며, 타인과의 관계가 자기에게 요구하는 것을 타인에게 실천하는 것[推己及人] 즉 서(恕)로 나타난다. 따라서 충과 서는 본질적으로 그 내용이 같다. 다섯째, 공자의 철학에 서 도덕의 객관적 근거 또는 보편성은 인(仁)에서 확보된다. 그런데 충 서는 인을 실천하는 방법이고 인은 구체적인 행위 속에 자리하는 덕목 이다. 따라서 충서라는 행위원칙은 도덕적 행위의 객관적이고 보편적 인 근거가 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충서 는 마음의 맥락에서 말해진 원칙이 아니라 행위의 맥락에서 제기된 원 칙이다. (2)충서개념을 말하면서 도덕의 근거와 도덕의 실천을 구별하 는 입장은 공자의 생각과는 거리가 멀다. (3)충서는 타인

      • KCI등재

        논문 : 주희의 대혜,장구성 비판 -경전의 해석학적 방법과 관련하여

        조남호 ( Nam Ho Cho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8 철학사상 Vol.27 No.-

        이 글은 물격과 충서에 관한 해석에서 주희가 이 개념들을 어떻게 풀이했는가를 연구한 글이다. 그런데 이 개념은 대혜에 의해서 언급이 되었다. 대혜는 이 개념을 화두형태로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화두형태는 깨달음을 전달할 뿐, 경전에 대한 해석과는 거리가 멀었다. 장구성은 대혜의 논의에 대해 해답을 주고자 하였지만, 단편적인 언급에만 그치고 있다. 주희는 이들의 해석을 비판하고, 새로운 경전해석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주희는 물격이 사물의 리를 완전히 탐구하는 하면, 그 리가 긍극적인 지점에 이른다고 해석한다. 이는 대상의 리가 나에게 스스로 드러나는 것이 아님을 설명한다. 이러한 해석은 물격과 지지를 혼동한 해석이다. 그리고 충서를 성인과 배우는 자의 단계로 구분한다. 이는 공자와 제자의 단계를 구분해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곧 점진적인 배움을 통해서 궁극적인 깨달음을 얻는다고 하는 사고와 관계가 있는 것이다. 주희는 이 작업에서 대혜를 직접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대혜를 예의 주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주희는 이를 유가경전에 대한 해석으로 접근한다. 주희는 방대한 경전에 대해서 주석을 다는데 일생을 바쳤다. 이러한 주석에 대한 해석학이야말로 주희철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이다. This paper studies on Zhu Xi`s interpretation in Wu Ke and Chung Shu. This concept already was used by Da Hui, an monk. Da Hui say as a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This question express Buddhist Enlightenment, not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anon. Zhang Jiu-Cheng, student of Da Hui answer this question, but he reply simple words. Zhu Xi criticsizes this explanation, presents new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anon. He defines Wu Ke as Li arrive the ultimate of object. This interpretation is not imply li reveal itself for subject. It is not interpretation of Wu Ke but of Zhi Zhi. this is Buddistic method. and he distincts Confucian sage and student in interpretation Chung Shu. This means gradation of confucian and his disciple in Lun Yu. This interpretation denotes confucian enlightenment will be obtained by gradual learning.

      • KCI등재후보

        충사상의 본질과 한국적 전개

        김인규(In Gyu Kim) 퇴계학부산연구원 2011 퇴계학논총 Vol.18 No.-

        이 논문은 『논어(論語)』을 비롯한 유가(儒家)의 경전(經典)에 나타난 "충(忠)의 본질과 한국적 전개"를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충(忠)은 효(孝)와 더불어 유가윤리의 핵심 개념 중의 하나이다. 유교 윤리의 출발은 "효·제·충·신(孝悌忠信)"에 있으며, 이는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중심으로 하여 전개된다. 유교 윤리에 있어서 효(孝)가 "개인과 가족윤리"를 대변한다고 한다면, 충(忠)은 "사화와 국가윤리"를 대변한다고 하겠다.그러나 충(忠)의 본질은 국가윤리 이전에 개인윤리의 영역이었다. 이는 공자가"나의 도(道)는 하나로 꿰뚫었다고"고 했을 때, 제자인 증자는 그 하나를 "충서(忠恕)"로 이해한데서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주희(朱熹)는 "충"을 "진기지위충(盡己之謂忠)"이라고 하여, "충을 자신의 끊임없는 노력과 더불어 최선의 다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충의 개념이 진·한(秦漢) 이후, 왕권이 강화되고 중앙집권화 되면서 임금에 대한 충성(忠誠)의 뜻으로 변질되었다고 하겠다.이러한 진·한대(秦漢代)의 충(忠)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맹자(孟子)가 말한 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오륜(五倫)이 신라의 원광법사(圓光法師)에 의해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교우이신(交友以信)",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의 세속오계(世俗五戒)로 전환되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며, 고려의 정몽주(鄭夢周), 조선 초기의 사육신(死六臣)과 생육신(生六臣), 임진왜란 때 수많은 의병(義兵)들과 임제침략기의 독립투사들에게 면면히 일어져왔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essence of Chung(忠: faith) shown on Confucian classics inclu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ts Korean style development. Needless to say, A Chung(忠: faith) with Hyo(孝: filial piety) is one of the corevalues of Confucius ideology. Confucianism makes "Hyoje(孝悌: filial piety andbrotherly love)" the beginning of its morality and it is centered around Hyo, Je,Chung(royalty), Sin(faith) or Yin(generosity), Ui(trust), Ye(propriety), Ji(knowledge).As many know, the essence of Chung is in the category of personal ethic beforestate ethic."My Tao goes only one way for all", said Confucius to one of hisstudents Zengzi, and then Zengzi understood it partially as ChungSeo(忠恕:faithful and affectionate). For this, Zhuxi called Chung JinGiJiWiChung(盡己之 謂忠: fully faithful with all your best), which meant, "Chung is to do your best together with your endless efforts". It seems that such concept of Chung had changed to ChungSeong(忠誠: faithful to your boss) for kings as kings' power had been getting stronger and the society had been getting more centralized since Han Dynasty. Such concept of Chung of Han Dynasty was transferred to Korea. Therefore, Five Morals: "Father and son must be close to each other", "King and servant must be based on fidelity", "Husband and wife must have their own roles separately between them", "The elder and the younger must be rightly positioned" and "Friends must trust each other", which all was mentioned by Mencius, were transferred to Shinra and then they changed to Five Morals for Common People: "Servant must be faithful to king", "Child must be faithful to her/his parents", "Friends must trust each other", "Don't run away in battle" and "Don't kill what you don't have to kill", which the great Buddhist monk Wonkwang said for the loyal youth of Shinra; became the foundation stone for Shinra to unify three Korean countries; and had been continuously taught to later generations: Jeong Mong-ju of Goryeo Dynasty; SaYukShin(死六臣: five servants who died for faith to King Danjong expelled by coup) and SaengYukShin(生六臣: six servants who left the political field for faith to King Danjong) early in Chosun Dynasty; a number of armies raised in cause of justice during Imjin War with Japan; and the fight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during Japanese occupational period.

      • KCI등재후보

        이제마의 사상체질론을 통해 본 공자의 기질성향 연구

        김대운 ( Kim Dae-w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6 No.-

        이제마는 유학사상을 배경으로 자신이 경험한 의학지식을 가미해 『동의수세보원』을 쓰고, ‘인간은 네 유형’으로 구분된다고 천명하였다. 이른바 ‘사상(四象)체질론’을 세상에 알린 것이다. 스스로를 태양인이라 천명한 이제마는 공자 또한 자신과 같은 태양인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것은 곧 자신과 공자는 육체적, 정신적으로도 같은 속성과 성향을 지니고 있음을 인지한 것이다. 거기에는 공자의 심리상태와 마음작용, 그리고 대인관계는 물론 그의 모든 사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면에서 공자를 탐구한 결과인 것이다. 본고는 우선하여 공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서, 이들 두 사람을 대비하여 고찰하였다. 이들은 같은 태양인이기 때문에, 이제마를 살펴서 공자를 보고, 공자를 통해서 이제마를 성찰해 본 것이다. 그 결과 공자의 사상에는 천시와 일치하는 태양인의 속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폐달사무(肺達事務)와 같은 사무적 기질도 담겨 있었다. 태양인의 기질성향은 애성(哀性)에서 비롯된 마음으로, 남의 고통을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결코 불의와 타협할 수 없는 태양의 사무적 기질은 결국 공자를 정치로 향하게 만들었고, 또한 그의 꿈을 좌절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원래부터 공자는 배우고 익히는 학습을 행위할 때 가장 기뻤고, 인재를 육성함이 가장 즐거웠다. 배우고, 익히고, 경험해 쌓인 식견들이 인재를 양성하는 토대로 활용되었음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태양인 공자에게는 속임과 거짓을 대표하는 교언영색 행위를 가장 싫어하는 배타성도 있었다. 이러한 배타성은 곧 공자가 정치에 소질이 없음으로 드러났다. 정치란 타협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공자는 인의 실천을 통해 백성의 행복과 복리증진을 생각했다. 이는 곧 자신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인(仁)한 마음의 소산인 것이다. 공자는 이를 위해서는 ‘살신성인’의 자세가 필요하다 했고, 나아가 ‘스승에게도 인은 양보할 수 없는 자세’를 강조하였다. 그만큼 공자는 인의 실천을 강조하였으며 공자의 실재적 삶도 인의 실천을 위함이었다. 공자의 이러한 삶의 태도는 자신을 인성(仁聖)의 경지로 안내했다. 공자가 인성에 도달함에는 학습을 기뻐하였고,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에 결코 게을리 하지 않았음을 이제마도 지목하고 있는데 그것은 곧 충서를 위한 공자의 일이관지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공자의 철학은 다음의 말로 관통되고 있었다.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아는 것은 안다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하는 것이 곧 아는 것이다.) Based on the Confucian idea plus his personally experienced medical knowledge, Lee Jema authored the book, Dong-Eui-Su-Se-Bo-Won, in which he declared that people were categorized into Sa-Sang the four types. He informed the world of so-called Sa-sang Constitutional Typology. Lee Jema, who defined himself as a Taeyang-man, the Taeyang physiological type person, knew that Confucius was also Taeyang-man person just like him. In other words, he acknowledged he and Confucius had the same personal attributes and traits in terms of both body and spirit. This idea comes from investigation of Confucius in various areas from his psychological state and personal relationship to every philosophy.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set forth abov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primarily Confucius in order to compare the two men: Confucius and Lee Jema. They are in the same type as the men of Taeyang-man. This study, therefore, goes further into the research on Lee Jema to reflect Confucius and vice versa. As a result, Confucius' idea was found to have the trait of a Taeyang-man person coinciding with the Heaven’s time and also the traits of Pye-Dal-Sa-Mu(肺達事務). Taeyang-man type of person's personality comes from Ae-Seong(哀性), which means the heart that cannot ignore other's sufferings. His trait of Pye-Dal-Sa-Mu that forced him not to compromise with injustice must have led him to the political field and finally to the failure of his works towards his dream. Confucius was naturally happy to study and learn, and most enjoyed to bring up the talented people. This study also found that his knowledge accumulated from learning, studying and life experience were used as the foundation of fostering such talented people; and as a Taeyan-man person, he most hated those who had unvirtuous behaviors like Gyo-Eon-Yeong-Saek(巧言令色) and so, excluded those who lied and deceived. This trait of his shows that Confucius was lack of political traits since politics is a kind of practice of compromising. As many know, the utmost effort Confucius made in his life is to work for the practice of benevolence. Confucius believed that the practice of benevolence would raise up the happiness and wellbeing of the people. This idea is the product of his psychological traits coming from his inborn nature. Confucius said we needed to sacrifice ourselves to the practice of benevolence to become great men and furthermore he stressed that the benevolence was not what could be yielded the anybody even to any of our teachers. In that way, Confucius emphasized the practice of benevolence and made his best effort to fulfill his life with such idea. This attitude for his life led him to the stage of the great man of benevolence. Lee Jema pointed out that Confucius would not be able to reach the stage of the great man of benevolence without such joy of learning and continuous efforts of nurturing talented people, which made it possible for him to consistently work on Chung-Seo(忠恕). That is, the Confucius' idea can be summarized to the following: "You don't’ know anything until you can say that you know what you know and don’t know what you don't’ know,"

      • KCI등재

        유교 인륜도덕의 보편화 가능성 문제

        정재현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in what dimensions the universality of Confucian ethics can be found. This paper especially examines two previous interpretations seeking for the universality of Confucian ethics: the one seeks for the universality of Confucian ethics in such formal principle as zhongshu (忠恕, conscientiousness and altruism) and the other finds it through the concepts of 'concrete universal' or 'transcendental immanence'. After that, I sugges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which is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justification of and the motivation of morality. From the view of mine, while the zhongshu-based interpretation does not disclose the uniqueness of Confucian ethics with the emphasis of customs and emotion, the interpretation which pays attention to the concept of concrete universal does not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 concreteness of Confucian ethics is viable only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morality, no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orality as universal. 이 글의 목적은 유교 윤리 즉 유교 인륜도덕의 보편성이 어떤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것이다. 특별히 이 글은 忠恕라는 형식적 원리에서 유교윤리의 보편성을 찾는 해석과 ‘구체적 보편’ 혹은 ‘초월적 내재’라는 개념들을 통해 유교 윤리의 특성을 말하는 해석을 살펴본다. 그러고 나서, 도덕 원리에 있어서, 정당화의 맥락과 동기부여화의 맥락의 구분 혹은 보편성 수립의 차원과 보편성 구현의 차원의 구분의 틀을 적용해 봄으로서, 위 해석들을 발전적으로 지양한 대안적 해석을 제시해보려고 한다. 우리의 대안적 해석에 의하면, 충서에 기반을 둔 해석은 유교 윤리에서 핵심적인 관습과 감정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구체적 보편에 입각한 해석은 유교 윤리의 구체성이 보편성 구현의 차원에서만 적실성이 있다는 사실을 잘 인정하지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