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적 담론공간을 둘러싼 사건성 - 1920년대 연설ㆍ강연會에서 1930년대 좌담會로 -

        신지영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7 No.-

        이 논문은 1920년대 연설회 1930년대 좌담회의 변모 과정을 통해 신체적 담론공간이 어떤 관계-청자와 화자, 공간의 개방성과 폐쇄성, 보도되는 매체의 성격, 식민권력과 자본주의의 배치- 속에서 구성되고 변화하는가를 살펴본다. 연설회, 좌담회와 같은 집단적 담론형식은 화자와 청자가 한 공간에서 직접 만나는 순간 구성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위계적 질서가 전복되기도 하고, 민족·국가간 경계에 의해 포착되지 않는 다양한 갈등이 부각되기도 한다. 따라서 연설회와 좌담회를 담론과 신체가 동시에 변화하는 사건성의 장으로써 포착한다. 다층적 갈등, 예기치 못한 전복, 의도하지 않았던 차이 등이 부각되는 연설회와 좌담회의 사건성을 통해 조선의 모더니티와 콜로니얼리즘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한편, 모더니티와 콜로니얼리즘로 포섭되지 않는 신체적 담론공간의 가능성을 타진하려고 한다. 1920년대 연설하는 청년의 정치적인 담론공간인 청년 단체의 주도로 열렸던 연설회는 1920년대 후반 연설에 대한 후일담이나 여성 연설가의 가십거리로 변모한다. 그러나 연설회의 현장을 보면 연설가와 대중의 위계적 관계가 역전되는 순간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여성 연설가로써 대중에 의해 연설을 저지당하기도 했던 권애라의 불안한 연설자로서의 위치, 늘 대중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신체적 태도를 익히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연설자의 어려움 등이 그것이다. 반면 1930년대에 접어들면 1920년대의 연설회는 전 세계적 동시대성의 확산과 새로운 소비대중의 출현 속에서 고도로 편집되고 전문화되고 소비주체의 입맛에 따라 분화된 좌담회의 형식으로 변화한다. 연설회가 청년회의 강당, 회당과 같은 장소에서 다수의 대중을 상대로 이루어졌던 반면, 좌담회는 소수의 전문가가 모인 좁은 방으로 한정된다. 한명이 말하고 여러 명이 듣는 계몽적인 구조였으나 대중들의 즉각적이 반응을 통해 그 계몽적 위계가 전복되기도 했던 연설회와는 달리, 좌담회는 소수의 전문가가 화자이자 동시에 청자로서 대화하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매우 사적인 듯이 보이지만 대단히 공적인 편집 권력이 작동하는 담론공간이기도 했다. 흥미로운 것은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형식이었던 좌담회는 조선의 현실이나 대중적 요구와 만나면서 오락성과 픽션적 성격을 강하게 띠면서 대중적으로 인기를 끈다는 점이다. 반면 좌담회의 전문성, 분화되고 흥미를 유발하는 주제, 편집의 순간 권력이 강력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점 등은 식민주의화의 도구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형식이었다. 중일 전쟁 이후 좌담회는 시국적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며 전향 여부를 판단하는 검열장치로 기능하기도 한다. 그 뿐 아니라 좌담회의 공간도 대동아 공영권의 관계성 속에서 재편되며, 총독부 관리 등 일본어 사용자가 참여하게 되는 과정에서 좌담회의 언어는 점차 일어로 변화한다. 1937년 이후 좌담회를 둘러싼 권력-열리는 시공간의 확장, 좌담회를 편집하는 매체권력, 식민지 권력과의 관련성, 조선어에서 일본어로의 전환 혹은 번역-의 변화는 조선에서 열리고 조선에서 발행되는 매체에 실린 좌담회가 일본에서 발행되는 매체에 재수록될 때 일어나는 낙차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좌담회「조선문화의 장래와 현재」는 1938년 11월 29일, 30일, 12월 2일, 6~8일까지 6회에 걸쳐 『京城日報』에 실리고, 다시 일본의 잡지 ... Both the oratorical meetings in 1920's and the round-table talks in 1930's underwent a lot of modifications depending on interrelations between speakers and audiences, openness vs. closeness in discoursal spaces, natures and forms of media, and dispositions of colonialism and capitalism. These factors raise the questions what kinds of roles they played in the compositions and changes of collective discourses and what kinds of relations they had between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their roles and relations. The oratorical meetings and round-talks constitute collective discoursal activities at the very moment of encountering between addressers and addressees in a specified space. The very moment and space could overturn established hierarchical orders and bring to light a variety of struggles hidden in the boundaries between nations and races. Accordingly oratorical meetings and table talks reflect changes and modifications in both discourse and physique. They also constitute themselves into discoursal spaces in which there occur multi-levelled or hierarchical conflicts, unexpected overturns or reversals in views, awareness of unintentional differences in people. This paper deals with these eventual aspects. First, I will re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dernity and colonialism around the beginning of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econdly, I will try to find out new eventualities, which have been overlooked, by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onialism and modernity. The oratorical meetings were mainly sponsored and held by the youths and da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scussing political affairs in 1920's but in the later part of the period they gave way to the meetings where the participants reminisced about what they had said in public and made fun of female addressers. The spread of contemporariness and the emergence of new consumers in 1930's led the oratorical meetings to the round-table talks. The latter were held by a small group of specialists in a limited space. They provided the space in which the participants acted as speakers and listeners at the same time. They were made to be fully edited, specialized and diversified to the tastes of the audiences. Furthermore they were influenced and modified by the official power. Later they came to embrace the entertaining and fictional motifs After the War between Japan and China, they mainly dealt with current political and ideological problems, so that they provided a tool to propagandize imperialism and to winnow out political converts. Later Japanese officials and scholars began to attend the meeting for the propaganda, with the result that Korean was replaced with Japanese in the meeting. After 1937, their changes in the forms came from the extensions of open spaces, official powers in media, and colonial powers. Especially they found their expressions in the translations from Korean to Japanese. To sum up, the issues to be raised and answers to them are involved with the above mentioned factors. And we should put emphasis on them.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학의 근대성과 로컬리티 ; 전시체제기(1937-1945) 매체에 실린 좌담회를 통해 본, 경계(境界)에 대한 감각의 재구성

        신지영 ( Ji Young Shin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4 No.-

        이 논문은 `로컬`, `세계`라는 국민국가의 `경계`에 대한 감각이 특수와 보편이라는 근대적 틀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시체제기(1937-1945년) 조선에서 간행된 매체에 실린 좌담회이다. 이 시기 개최된 좌담회에는 국민국가적 경계에 대한 감각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특히 조선에서 열린 `좌담회`는 일제에 의해 사상이 통제, 관리되는 잡지나 신문에 식민지 지배국과 피식민지국의 차이를 지우는 수사법과 게재방식에 의해 실린다. 좌담회의 전체 발화상황은 일본어만을 것, 좌담회의 주제 등, 발화자인 일제와 수행자인 조선 지식인 이라는 위계에 의해 지배당했다. 즉 일본제국주의의 눈으로 포착된 세계상의 변화를 `좌담회`라는 제도적 틀로 실험하는 동시에 참여자들의 신체에 각인시키는 장이었다. 전시체제기의 좌담회란 변화하는 세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노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삶 속에서 겪는 문제들을 동등한 위치에서 논의하는 장이 아니었다. 오히려 일본제국주의의 눈을 통해 더 확장된 공간, 더 진보된 시간이라는 척도에 의해 구성되었고, 그 척도는 권력으로 기능했다. 따라서 좌담회의 시공간은 경계에 대한 감각을 바꾸긴 했으나, 그 감각을 구성하는 동력 자체를 변화시키진 못했다. 따라서 좌담회에서 변화된 경계에 대한 감각은 조선인들이 기대한 것처럼, 러시아 블록, 유럽 블록처럼 지역 공동체의 형태가 아니었다. 인종주의에 기초해 조선, 일만지, 남방, 만주 등의 지역을 하나로 통합하고 그 안에 위계를 나누는 형태였다. 대동아 공영권의 시간이란, 언젠가 도달해야 할 시간을 목표로 놓고, 그에 맞춰 현재의 시간을 바꾸는 형태였다. 즉 좌담회의 시공간은 위계가 없는 전체이며 근대를 초극한 시간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근대 이후 형성된 시공간적인 위계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었다. 이때 경험하는 경계에 대한 감각은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실감을 통해서가 아니라 일제가 세계와 지역을 상상하는 지도 속에서 감각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지역은 세계의 일부분으로 통합됨으로써 균질화되고, 균질화됨으로써 위계화된다. 이는 삶이 번역될 수 있다는 보편주의에 대한 믿음, 보편이 진보라는 감각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주의는 식민지 일상을 완벽히 포섭할 수 없었다. 일상생활의 불평, 불만, 유언비어가 유행하게 되며, 춘향전을 둘러싼 좌담회에서는 조선의 문화를 일제의 시각으로 번역해 상품화하는 것에 대한 불쾌감이 드러나기도 한다. 임화를 비롯한 문학가들은 번역 불가능한 지점, 통약 불가능한 지점을 이야기 한다. 이와 같은 일상적인 불만, 번역 불가능성에 대한 주장은 보편과 특수 관계를 불편하게 만든다. 보편이 특수로, 특수가 보편으로 재현될 수 없는 매끄럽지 않은 지대가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전시체제기 좌담회가 보여준 경계에 대한 감각은 세계와 지역에 대한 새로운 틀을 제시해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주권권력의 새로운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는 지금, 세계와 지역이 보편과 특수라는 관계성이나 벗어나 통약 불가능한 지점으로부터 사고되어야 한다는 점, 진보한다는 감각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공간에 대한 상상을 요구한다는 점을 제시해 준다. The people`s and nation`s borderline is conceptualized into two opposite senses; locale and universe, and they have respectively been developed into particulars and universals in the modern frame work.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significantly reflected in round-table talks (座談會, a kind of symposiums) which appeared in periodically published magazines from 1937 to 1945. The talks held during the wartime underwent remarkable changes in the concepts or senses of the borderline. But under the controlled situations with no freedom of opinion, the participants were forced to speak Japanese and to conceal th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the dominating and dominated peoples. Thus they showed the tendency to look into the enlarged spaces and progressive times from the Japanese empiricists` point of view but this trend only triggered the change in the senses of borderline but had no effect on its motif itself. The senses of the borderline shown in the talks were not based on the geographical communities like an European bloc or a Russian Bloc but racism, contrary to the participants` expectations. The Japanese racists or colonialists tried to unify Korea, Manchuria, Indo-China and their neighbors into a single stratified, unequal, racially discriminated bloc. Under the circumstances, the areas where the common but hard lives and experiences were being shared were forced to be incorporated into a part of the apparently and allegedly homogeneous universe, by which the stratifications set in. This process of incorporation can find its cause in the belief in universalism where life can be claimed to be translated or interpreted into words and where universalism itself means `progressive`. But there occurred resistances against this trend of universalism. We can find an example in a round-table talk concerning 『春香傳Chun Hyang Geon』 where the participants raised a strong protest and discontent against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林和(Lim Hwa) and others mentioned the areas where life cannot be translatable or interpretable.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cluding the recurrent discontents at that time caused the universals to be in conflict with particulars. Thus, the process of universals into particulars and its reversals could not be undergone smoothly. The aforementioned round-table talks do not reflect a typical model of the senses of the borderline between locale and universe. But they show that we should discard the way of think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e and universe and look toward the future by taking into account the areas where the interpretation of life into words is impossible. We should avoid taking emphasis on being progressive only and take a new imaginative approach to space and time.

      • KCI등재후보

        일제 강점기 매체에 게재된 좌담회 연구 - 잡지의 만주 담론을 중심으로 -

        조미숙 겨레어문학회 2009 겨레어문학 Vol.43 No.-

        The magazine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loaded the content of the symposium much more than the forum. The symposium was in fashion at that time than the forum because it h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bate and table-talk. A table-talk is different from a debate at that time, it was the method of the debater's a simple opinion exchange not a controversy. A symposium of the modern media played such role, not making the place which debaters argue but enabled to guarded and played a role our intellectuals for Japanese. In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symposia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played any role the making the discourse about Manchuria the symposia which the keyword is 'Manju'. It does not express a the dominant ideology of Japanese imperialism directly in the symposia of the 『DongKyang』, 『Byulkunkon』, on the other hand it made the discourse about Manchuria in the symposia of the 『Samchulli』. It was frequent and had the content many thing about a the dominant ideology. The story about Manchuria was to suit that time timex request. Our race thought could begin anew from new earth and they wanted to know about Manchuria such expectation because they lived rouphly in Chosun. On the other side Japanese imperialism wished that they should relieve in the method instigate them and to migrate to Manchuria. 일제 강점기 잡지를 보면, 토론회에 비해 좌담회 게재의 빈도가 상당히 높다. 당시 좌담회가 토론회보다 월등 유행을 하게 된 현상은 토론과 좌담의 차이점 때문이다. 당시에 토론은 찬반 양론이 필수적 형태로 치열한 논리 싸움의 장이었다. 이에 비해 좌담은 토론과 달리 좌담자간 논쟁보다는 단순 의견 교환이었다. 황국신민화 교육이 지향할 바는 토론이 아니었다. 다만 일상의 규율로서 기능할 좌담 정도면 족하였던 것이다. 근대 매체의 좌담회는 논리적 싸움의 장을 열어주는 구실보다는 일제에게 우리 지식인의 일상을 규율하고 감시하는 좋은 장 역할을 했다. 이 글에서는 ‘만주’를 키워드로 하는 좌담회들을 대상으로 당시 좌담회들이 만주 담론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동광』과 『별건곤』의 좌담회가 일제 지배이데올로기를 직접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양상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은 반면 『삼천리』의 좌담회는 만주 담론 형성에 기여한 바 크다. 빈도도 잦았고 내용도 지배이데올로기와 관련되는 것이 많았다. 만주 관련 좌담회는 당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형색이 어려웠던 만큼 우리 민족은 새로운 땅에서 새로이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 만주에 대한 정보를 얻기를 바랐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그런 이들을 선동하여 만주로 이주하도록 하기 위한 일제의 책략이 좌담회를 통한 말하기 고양으로 나타난 듯하다. 독자의 기대와 국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위하여 김동환은 좌담회를 빈번히 사용했다. 좌담회의 주된 내용은 만주에서의 삶을 경제 문제와 연관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 좌담자들이 강조한 것처럼 당시 만주에서의 삶을 위해 돈은 중요한 문제였지만 그것만을 강조하며 돈만 있으면 만주에서 행복이 이루어질 듯이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들의 주장은 지배를 용이하게 하려는 지배자들의 의도를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좌담자가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 지배이데올로기에 반하는 주장도 발견되지만 전체적으로는 검열과 독자로서의 일본이 의식된 듯한 부분이 많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매체에 게재된 좌담회 연구 -잡지의 만주 담론을 중심으로-

        조미숙 ( Mi Sook Jo ) 겨레어문학회 2009 겨레어문학 Vol.43 No.-

        일제 강점기 잡지를 보면, 토론회에 비해 좌담회 게재의 빈도가 상당히 높다. 당시 좌담회가 토론회보다 월등 유행을 하게 된 현상은 토론과 좌담의 차이점 때문이다. 당시에 토론은 찬반 양론이 필수적 형태로 치열한 논리 싸움의 장이었다. 이에 비해 좌담은 토론과 달리 좌담자간 논쟁보다는 단순 의견 교환이었다. 황국신민화 교육이 지향할 바는 토론이 아니었다. 다만 일상의 규율로서 기능할 좌담 정도면 족하였던 것이다. 근대 매체의 좌담회는 논리적 싸움의 장을 열어주는 구실보다는 일제에게 우리 지식인의 일상을 규율하고 감시하는 좋은 장 역할을 했다. 이 글에서는 ‘만주’를 키워드로 하는 좌담회들을 대상으로 당시 좌담회들이 만주 담론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동광』과 『별건곤』의 좌담회가 일제 지배이데올로기를 직접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양상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은 반면 『삼천리』의 좌담회는 만주 담론형성에 기여한 바 크다. 빈도도 잦았고 내용도 지배이데올로기와 관련되는 것이 많았다. 만주 관련 좌담회는 당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형색이 어려웠던 만큼 우리 민족은 새로운 땅에서 새로이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 만주에 대한 정보를 얻기를 바랐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그런 이들을 선동하여 만주로 이주하도록 하기 위한 일제의 책략이 좌담회를 통한 말하기 고양으로 나타난 듯하다. 독자의 기대와 국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위하여 김동환은 좌담회를 빈번히 사용했다. 좌담회의 주된 내용은 만주에서의 삶을 경제 문제와 연관시키는데 집중하고 있다. 좌담자들이 강조한 것처럼 당시 만주에서의 삶을 위해 돈은 중요한 문제였지만 그것만을 강조하며 돈만 있으면 만주에서 행복이 이루어질 듯이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들의 주장은 지배를 용이하게 하려는 지배자들의 의도를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좌담자가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 지배이데올로기에 반하는 주장도 발견되지만 전체적으로는 검열과 독자로서의 일본이 의식된 듯한 부분이 많다. The magazine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loaded the content of the symposium much more than the forum. The symposium was in fashion at that time than the forum because it h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bate and table-talk. A table-talk is different from a debate at that time, it was the method of the debater`s a simple opinion exchange not a controversy. A symposium of the modern media played such role, not making the place which debaters argue but enabled to guarded and played a role our intellectuals for Japanese. In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symposia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played any role the making the discourse about Manchuria the symposia which the keyword is `Manju`. It does not express a the dominant ideology of Japanese imperialism directly in the symposia of the 『DongKyang』, 『Byulkunkon』, on the other hand it made the discourse about Manchuria in the symposia of the 『Samchulli』. It was frequent and had the content many thing about a the dominant ideology. The story about Manchuria was to suit that time timex request. Our race thought could begin anew from new earth and they wanted to know about Manchuria such expectation because they lived rouphly in Chosun. On the other side Japanese imperialism wished that they should relieve in the method instigate them and to migrate to Manchuria.

      • KCI등재

        문학좌담회로 읽는 광주전남 지역문학

        이동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This study is to bring out regional identity, literary status, and to suggest literary prospect through the round-table talks for the regional literature held in Gwangju-Chonnam. The literary talks make it possible to inspect some internal considerable thoughts, and to grasp some differences to the central literature, in addition literary directions after that talks. The talks, in some respects, as a domain of official dialogue and exchange of information was very political, so it had concerned historical directions of regional literature. Now, let’s try to summarize as below. Firstly, the literature of Gwangju-Chonnam was in a condition which is historically confused, but the talks tried to produce some discussions of identification with positive intentions. Particularly literary movements of the Chonnam branch of National Associ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National Salvation Unit were remarkably constructive during Korean war period,even if they could hardly be free from ideology. However there were very internal considerable thoughts and trans-historical tracks of the literati. Their literary directions not only coincided with pure literature’s but also ideological. It really had a big impact on literary history of Gwangju-Chonnam. Secondly, the talks with some central literati was likely to be bureaucratic acting for disseminating their central mechanism or literary discourse,which was to transit regional literature. Central literati who were in attendance at the talks had literary power centralized on Modern Literature 『現代文學』, and new literati were inevitably under the shadow of the former union. Such being the case, the invisible infiltration of literary cliques into regional literature had led to subordinate it upon central literature. Resultingly, the round-table talks of literary magazines and newspapers in Gwangju-Chonnam showed the own formational process of regional literature and the very actual status after liberation of colonial system, which 문학좌담회로 읽는 광주전남 지역문학 321lied in both political and literary power. Henceforth, these facts will raise up not only the need for solicitous researches on writing of the history of regional literature in Gwangju-Chonnam inclusive of other regions, but also that of modern literature. 본 논문은 문학좌담회를 통해서 지역문단의 내부적인 고민을 점검하고, 중앙문단과 지역문단의 차이와 문학좌담회 이후 광주전남 지역문학은 어떤 행보를 하였는지를 밝혔다. 문학좌담회는 문학을 매개로 한 공식적인 대화와 정보 교환의장으로 일면 대단히 정치적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1950년대 광주전남 지역문학의 자리 또한 역사적인 행보와 함께 하고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살핀 광주전남 지역문인들만의 좌담회를 통해서 광주전남 지역의문학은 역사적으로 혼란기였으나, 지역의 문학을 주제로 머리를 맞대고 동일화 담론을 생산해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전쟁기에는 문총구국대 전남지부의 활동에 적극적이었으며 문학담론 또한 이데올로기 안에서 자유롭지 못한 행태를 보여주었다. 이들이 생산한 담론이 중앙문단에 대한 추수적이고 다분히정치적인 의도와 목적을 가진 성격의 좌담회이기는 했지만 시대를 감당하는 문인들의 내적인 고민과 크게는 현대문학사의 변곡점을 넘는 문인들의 행보를 탐색할수 있었다. 이들의 문학적 행보, 즉 순문학을 전면에 내세우기는 했지만 이데올로기적인 행보였고, 이는 광주전남 지역문학사에 미친 영향이 사뭇 지대했다. 두 번째 살핀 중앙문인들과 지역문인들의 좌담회는 메커니즘을 확산시키기위한 절차적 행위일 가능성이 짙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문학담론은 중앙문학의 지역문학화에 역점을 둔 담론이었다. 중앙문인들로 참석한 이들이 문단권력을 쥐고 있었고, 신예문인들 또한 그들의 자장 안에 있었다는 점은 『현대문학』중심의 문단권력의 과시용이었다. 문단의 파벌이 비가시적인 형태로 침투할수 있었던 것도 지역문학이 중앙문학 추수적인 경향을 띠게 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광주전남의 문예지와 신문사의 문학좌담회는 해방이후 광주전남의 지역문학 형성과정과 정치와 문단권력 안의 광주전남 지역문학이 놓인 자리였다. 이는 광주전남 지역문학뿐만 아니라 타 지역의 문학, 또 현대문학사 기술에있어서 좀 더 세심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논문 : 쓰여진 것과 말해진 것 -"이중(異重)" 언어 글쓰기에 나타난 통역, 대화, 고유명

        신지영 ( Ji Young Sh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9 No.-

        이 글은 식민지기 말기에서 해방기에 걸쳐 생산된 대화적 텍스트(좌담회, 소설속 연설, 대화, 통역)를 대상으로, ‘쓰여진 언어’와 ‘말해진 언어’ 사이의 균열을 포착했다. 식민지 말기의 일본어와 해방 직후의 한국어는 각 시대의 중심언어이며 이와 다른 언어행위를 보이지 않게 한다. 그러나 쓰여진 언어와 말해진 언어 사이의 균열을 살펴보면, 민족간,계급간, 성별 차이 뿐 아니라 언어 내적 차이(문어/ 구어, 침묵/ 발화, 품사 등)와 시대적 변화와 같은 다층적 언어 행위가 나타난다. 특히 ‘일본식 한자어(읽기)’는 식민지 말기부터 해방기에 걸친 변화 속에 한자 문화권의 특수한 혼종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식민지 시기 및 해방 직후의 ‘이중언어(二重言語-한국어와 일본어를 의미)’적 상황이란, 실상 보다 다양한‘異重言語’ 사이에서 봉합과 균열을 거듭하는 수행적 과정이었다.첫째로 식민지 말기 이중언어 작가들(金史良, 張赫宙等)의 이름 등의 고유명은 ‘한자’로 쓰여 있을 때는 동일하게 보이지만, 그것이 발화되는 장의 성격과 참여자에 따라 ‘조선어식 훈독’과 ‘일본식 발음’을 종횡 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하여 잡지 『 삼천리 』에 중일전쟁 이후에 실린 좌담회 중 발화된 언어와 쓰여진 언어가 달랐던 흔적을 담은 좌담회를 발굴하고, 조선어와 일본어 사이의 갈등 속에서 일본어의 구조가 변형되는 지점들을 포착했다. 나아가 조선어로 쓰여진 「 滿蒙華 文學者代表座談會 」(『 每日新報 』, 1942.11.17∼19)와일본어로 쓰여진「 大東亞文學者代表交驩座談會 」(『 綠旗 』 1942.12)는 대동아 문학자 대회가 끝나자마자 부산에서 경성으로 되돌아 가는 <아카쓰키>열차에서 이뤄진 동일한 좌담회의 두 판본임을 밝혔다. 이 좌담회에 감춰진 중국어-일본어 사이의 통역, 일본어 속기를 한국어로 번역했을 가능성 등은 식민지기 조선의 언어 상황이 일본어와 조선어 관계 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언어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둘째로 金史良[김사량, 기무시료]의 「 풀 속 깊숙이[草深し] 」(『 文芸 』(朝鮮特集호), 1940年7月)의 연설, 통역, 대화 장면들은 ‘쓰여진 언어= 일본어’가 제국언어/ 피식민의 언어, 일본어/ 조선어/ 한자, 지식인의 언어/ 대중의 언어, 표준어/ 사투리, 소리/ 침묵 사이에서 또한 그 이분법적 분류의 내부에서, 서로 간섭하고 갈등하며 “물들어가고[ぼかしたように,gradation]”(풀/ 57) 무한히 다양하게 변형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제국주의적 언어의 권력관계가 소수 언어 행위에 내면화되어 분열과 갈등을 불러일으키면서도, 갈등관계를내포한 다양한 언어행위들이 미묘한 차이들을 끊임없이 생산하며 제국언어를 변형시켰음을 보여준다. 즉 번역 불/ 가능성이란 곧 식민 언어의 재현을 불/ 가능하게 하는 무한한 차이를 지닌 변형된 소수 언어의 생성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셋째로, 일반적으로 해방 후 언어적 변화는 일본어에서 한글로의 변화로 이야기된다. 그러나 해방 후 ‘쓰여진 언어’의 변화를 ‘말해진 언어’의 혼종성 속에서 보면 단순히 일본어에서 한글로의 변화라고만 보기 어려운 지점들이 드러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점령 하에서 ‘영어’와의 관계성이 강화되면서 지배적 언어로서 ‘한글’이 부상해 갔던 남한에서, 한글에 위협적이었던 것은 일어가 아니라 한자였음이 당시의 많은 ‘한자폐지론’에서 드러난다. 즉 일어 폐지가 주로 일상생활의 ‘말해진 언어’와 관련되었다면, 한자 폐지는 주로 ‘쓰여진 언어’에 관련되어 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이때의 ‘한자’가 일본 식민지기를 통과하여 변형된 “일본식 한자어”였다는 점이다. 이처럼 한국어-영어, 일본어, 일본식 한자어가 “쓰여진 언어”와“말해진 언어”를 종횡하며 갈등하는 상황은 해방 직후 일본에서의 경험을 쓴 안회남의 탄광소설의 복잡한 표기에서 확인된다. 「 鐵鎖 끊어지다 」의 대화문에 나타난 ‘괄호’를 이용한 복잡한 표기는 해방 직후의 언어 상황을, ‘일본어식 한자어’의 문제적 위치와 ‘異重言語’의 혼종성 속에서 파악할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이처럼 이 글은 식민지 말기에서 해방기까지 언어적 전환을 ‘쓰여진 언어’와 ‘말해진 언어’사이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물론 식민지기의 제국주의적 언어로서의 ‘일본어’와 해방 직후 식민지배에서 해방되어 나타난 ‘한국어’를 같은 층위의 제국주의 언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식민지기의 일본어와 해방 직후의 한국어 속에서 비가시적으로 존재했던 ‘일본식 한자어’, 중국어 통역, 영어-한국어 등은, 말해진 것과 쓰여진 것 사이의 봉합이 터진 지점들에서 드러나는 다층적인 “異重 言語”적 상황을 보여준다. 이 “異重 言語”적상황은 제국주의적 언어를 내면화하면서도 끊임없이 제국주의적 언어와는 다른 그라데이션을 생성하는 소수자들의 변형적이고 다층적인 언어수행을 가능하게 했던 잠재적 조건이었다. Ecriture (roundtables, speeches, conversations, and translations in literary works) in the pre-and post-Liberation displays dissonances between what is written and what is said.The Japanese language was a national language by force in Korea before the Liberation.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become dominant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after the Japanese defeat. Generally, dominant languages efface the linguistic behaviors of other subordinate languages. If we look into the gaps or dissonances between what is written and what is said in the texts, we find out multi-layered linguistic behaviors reflecting social or cultural changes in race, sex, class as well as intra-linguistic changes like written/ spoken words, speech forms, registers and so on in the pre-and post-Liberation period.This phenomenon may be called a “bilingual situation.” However, the situation underwent more various and complex processes of fermenting discords and overcoming them than has been suggested so far. So I call it the multi-glossic situation with multi-layeredness and plurality, but not simply a bilingual situation. It produces aspects of (in)translatability,which engender an adjusted and transformed language with unlimited differences from a dominant language. And its generation again makes it (im)possible for the imperial language to (re)emerge.Firstly, the proper name of a bi-lingual writer like Chang Hokchu or Kim Saryang written in the Chinese characters is the same in the form, but there were wide differences in pronunciations depending on the speakers and their discoursal situations; for example,following the Korean reading of a Chinese character or the Japanese rendering of a Chinese character. The intermixing of the ways in uttering names is found here and there in the “the Roundtable Talk of Writers from China, Korea and Mongol” written in Korean (Maeil Shinmun, November 17-19, 1942) and the “Roundtable Talk of Representative Writers in Greater East Asian Literary Conference (Rokki, December, 1942) in Japanese,both of which have almost the same in their contents, and editing. In making comparison between the two editions, we find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Korean version, that is, on Maeil Shinmun, was translated from the Japanese one written in the form of shorthan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imperial and dominant language, i.e., Japanese, also underwent a variety of changes in uses, styles, registers and the like, contrary to the imperialist’s intention. Furthermore, the possibilities lead us to have a question whether proper names written in the Chinese characters could be translated completely into the imperial language without distorting their own meaning.Secondly, Kim Saryang (Jp. Kimushiryo) employs diacritics like hiragana over the words uttered or stage directions to describe speeches, translations, and conversations in his novel, Deep into the Grasses. In his novel, we find out the possibilities that both languages,that is, Korean and Japanese, interfered and conflicted with each other, went through gradation in linguistic colors in the binary formatting of imperial language vs.colonized language, Japanese and / or Korean vs. Chinese characters, elites’ language vs.vernacular language, standard language vs. dialect, and sound vs. silence, and finally created a variety of linguistic transformations in words, registers, and grammars. Of course,the colonized language suffered far more drastic changes, but the dominant language was also influenced in a reverse way. The linguistic power relationship was interiorized into the linguistic behavior of minorities and provoked conflicts and splits, which, in turn, produced subtle differences in linguistic behaviors without cease and ironically led to the transformations in the imperial language itself.Thirdly, the Korean language has taken the place of the Japanese language after the Liberation. But the changes in the written Korean after the Liberation reveal that the former did not merely replace the latter in the situation in which both languages were intermixing in the spoken languag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e movement for the aboli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rose up more strongly than the movement for the banning of Japanese. While the Korean language was becoming dominant, the most threatening was not the use of Japanese in the spoken Korean but the use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written Korean, which exercised more powers in the discousal space.The intertwining and intera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spoken and written discoursal spaces are abundantly displayed in the novels in which An Hoenam describes his experiences in the coal mines while he was conscripted there. In Iron Chains Broke (Kaebyok, January 1946), An employs complex notations like parentheses, upper dots and the like, which are scattered in the novel, in order to describe the vivid pictures of the conversations which use Korean, Japanese and / or Chinese characters, similar to the case with Kim Saryang (Jp. Kimushiryo). The use of complex notations in the novels shows that Japanese was considered a spoken language and the Chinese characters a written language and also it reveals that both of them were intermixed in common use of the Korean language at the time.Thus far, we have examined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or between what is written and what is said in the pre-and post World War II. In the linguistic transformation, we have evaluated the meaning of employing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 multi-glossic linguistic behaviors which contain linguistic influences from the dominaut languages. The colonized interiorize the imperial language but, simultaneously,they, i.e., the minorities, never cease to create what I call gradation, and develop their multiple linguistic behaviors and potentialities without completely adopting the dominant language.

      • KCI등재

        여성 작가를 둘러싼 공적 담론의 두 양식 : 공개장과 좌담회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OPEN LETTER AND ROUND TABLE TALK

        김양선 민족문학사학회 2004 민족문학사연구 Vol.26 No.-

        본고는 근대문학 제도의 형식적 산물이라 할 수 있는 '문단'에서 여성작가가 어떻게 위치지어졌는지, 여성 작가들의 글쓰기 및 말하기 행위는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공개장과 좌담회를 중심으로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먼저 공개장은 여성 작가에 대한 기존 문단의 평가 및 인식을 보여주는 지표를 제공한다. 공개장의 필자들은 여성작가의 글쓰기에 대해 한쪽에서는 성차를 지우려 하고(카프 계열 작가나 평론가), 다른 한쪽에서는 성차를 지나치게 부각(김문집)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전자가 여성의 세계를 탈피하라고 주문했다면, 후자는 생물학적 여성성을 작품세계와 등치시키는 오류를 되풀이한다. 또한 공개장은 남성 작가들이 문학장 내에서 어떻게 자신들의 위상을 정립해 나갔는지를 보여준다. 이들은 여성 작가의 기질(유전, 환경) 등에 대한 폄하, 자신들의 독서 편력에 끼어들지 못하는 것을 짐짓 밝히는 것, 작품이 아니라 인물에 대한 글쓰기, 작품 평가 시 젠더적 관점을 배제하거나 지나치게 내세우는 등의 전략을 구사한다. 이와 같은 배제의 전략을 통해서 여성 작가 및 작품을 고립시킴으로써 남성 작가들은 일종의 구별짓기를 통해 자신들의 위상을 정립해 나갔다고 볼 수 있다. 좌담회는 여성 작가들로만 이루어진 문학관련 좌담회, 남성 중심 좌담회에 여성 작가가 일부 포함된 경우를 중심으로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여성 작가들은 그 희귀성 때문에 문학현상뿐만 아니라 '여류명사'로서 당대 사회 문화 현상에 대해 말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맡았다. 여성작가들로만 구성된 좌담회에서 당대 조선문단의 쟁점이 주제로 논의되기는 하지만 심층적이거나 분석적이지는 않아, 오히려 이 여성작가들이 인식의 폭이 넓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각 주제들 역시 여성작가나 여성의 글쓰기에 대한 특화된 관점을 보여주지 못했다. 1930년대 여성 작가들 중 작가적 역량이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한 작가로 남녀 모두 공통적으로 합의하는 작가는 박화성과 강경애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성별에 관계없이 사회현실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반면 최정희와 이선희는 소설보다는 수필을 더 잘 쓰는 작가, 모윤숙과 노천명은 '여성적,' 감상적 세계에 함몰된 작가로 평가받았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여성적 글쓰기는 부정되고, 장르에 따라 서로 차별적으로 위계화된 평가의 담론 질서 속에서 위치지어졌다. 이처럼 공개장과 좌담회를 통해 우리는 근대 문학제도가 여성작가와 여성문학에 대해 포섭과 배제의 양날을 구사함으로써 어떻게 자기 영역을 구축해 갔는지를 규명할 수 있다. 당대 문학은 여성 작가와 문학을 주변화하는 성별의 정치학을 구사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비(非)성적인, 하지만 이면적으로는 남성중심적인 제도를 구축해갔던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re-construct how the women writers are positioned in the literary circle, the formal product of literary institution, and the meaning of their writings and speech acts through the analysis of open letter and round table talk. First, the open letter shows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literary circle about women writers. The writers of open letter have the dual standpoints about women writer's writing. The one intends to erase the sexual difference(writers and critics of KAPF), the other emphasizes the sexual difference or feminine characteristics(Kim Mun Jib). The former ordered to get out of the female world, the latter regarded women's works as their biological femininity. And the open letter shows how the male writers establish their positions in the literary field. They devaluate the women writer's disposition(inheritance, environment), speak out that they don't read the women's writing, write about not the work but the private life, and exclude or give priority to the gendered standpoint when they evaluate the literary works. That is, through the strategy of exclusion about women writers and works. the male writers establish their positions based on this discrimination. The round table talk is divided to two cases. The one is by the women writers, and the other is by male-centered, some women writers. The women writers as prominent woman rake charge of speaking and analysing about not only literary phenomena but also social, cultural phenomena. In the women-centered round table talk, the debate about Chosun's literary circle isn't deepened, so it produces counter-evidence about the width of their thought(that is their narrow thinking). Among the women writer's in 1930's, Park Hwa Sung and King Keong Ae are acknowledged by both men and women. Because two writers reflect the social reality regardless of sexual difference. While, Choi Jeong Hee and Lee Sun Hee is evaluated as not the novelist but the essayist. and Mo Yoon Suk and No Cheon Meong nominated as the feminine and sentimental writers. In conclusion, their feminine writings arc denied, and they are positioned in the discriminated, hierarchal discourse by gendered genre. Through the open letter and the round table talk, we can investigate how the modern literary institution construct it's own area, by excluding and subsuming the women writers and literature. In those days, the literary institution uses the gender politics that marginalize the women writers, so it construct the a-sexual in surface level, but male-centered order in inside.

      • KCI등재

        드러난 연쇄, 숨겨진 공감 - 제국 일본 하 피식민자들의 언어․문학관련 좌담회 -

        신지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3

        This paper deals with multi-racial round-table talks held by literary men from Korea, Manchuria, and Taiwan in the years (from 1937 to 1945) when Japan strengthened imperial authorities through the movement of ‘Japanization’. Talking about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d and the colonizer as well as those among the colonized themselves from different countries, more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 empathy or sympathy among the colonized than on the bondage of or their adaptation with the Japanese imperial strategy. The round-table talks hel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made the participators speak in the hierarchical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nd thus played a role as a resonator for the sprea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esides, unification of the means of mass communication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s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made it hard for the colonized to form literary circles and even to make money for living. The poverty and exclusion drove them to be more competitive in entering central literary circles located in Tokyo. So, the round-table talks as a resonator were becoming more and more efficient in propagating imperialism. The round-table talks put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nto the hierarchical ones in which the colonizer asked questions and the colonized answered them in the one-way direction, that is, questioners were colonizers and the answerers were the colonized. However, the colonized intellectuals disturbed and shook the relations by taking advantage of the unidirectional and hierarchical system in a subtle way. By using the strategies, the Koreans, the Taiwanese and the Manchurians spoke about their uniqueness in their own way. Secondly, the participators in the round-table talks emphasized that their own literary expressions could not be translated or interpreted into Japanese. The untranslatability into Japanese was used as a justification for criticizing the policy of making the Japanese language into the cross-racial language, and disclosing limitations and violences in the policy. In this way, they unconsciously extended their sympathy or empathy to one another. Thirdly, we find common emotions in the literary men from the three countries as in negative feelings (depression, complaint, nihilism, etc.), and passive behaviours (lethargy, no passion etc.). The paper tries to bring into light the common ground in which the colonized who had never met one another before shared the emotions and behaviors in the militaristic and imperial period. Behind the negative and passive emotions and behaviors could be found the chains of protests. They suggest to us that we should reconsider the hidden image of the chains in a new perspective and find out solidarity and sympathy among the colonized which might be potential powers in the colonized countries. 본 논문에서는 제국 일본의 일본어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던 1937년부터 1945년 사이, 조선, 만주, 대만 등의 문학자들이 열었던 문학․언어 관련 다민족 좌담회를 비교했다. 이때 제국일본과 식민지 조선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피식민자들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서 피식민자들이 식민정책에 연쇄(공명)되어갔던 측면을 비판하면서도,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피식민자들 사이에 생겼던 공감의 계기들을 포착해 보았다. 1937년에서 1945년에 걸쳐 대만, 조선, 만주에서는 언어와 문학에 관련된 다국적 좌담회들이 연쇄적으로 확산되어 갔다. 이 언어․문학 좌담회에 참여한 피식민자들은 식민자와 피식민자 사이의 위계적인 관계 속에서 발화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피식민지의 언어․문학 좌담회는 제국 일본의 질서를 확산시키는 공명장치가 되었다. 무엇보다 이러한 제국 일본의 공명장치가 작동할 수 있었던 데에는 표현수단, 매체, 유통 통로가 제국 일본에 의해서 일원화됨에 따라 조선과 대만의 작가들이 문단을 형성하거나 생계를 이어갈 수 없게 된 상황이 있었다. 이처럼 가난을 낳는 배제 속에서 피식민지의 작가들은 ‘중앙문단’ 즉 도쿄문단으로의 진출을 욕망하고 경쟁했으며, 이러한 피식민자들의 경쟁을 통해서 제국 일본의 공명장치는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좌담회에서 식민자와 만난 각 피식민지의 지식인들은 첫째로, “질문자=식민자vs대답=피식민자”라는 좌담회의 발화구조를 역이용해, 식민주의의 권력 배치를 흔들어 놓기도 한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조선은 조선적 특수성을 대만은 대만적 특이성을, 만주는 자신들의 신생 문단이 지닌 일본문단을 초월하는 특성들을 강조한다. 둘째로, 좌담회에 참여한 대만, 조선, 만주 대표들은 각 지역의 문학이 일본어로 번역되거나 일본어로 창작될 수 없는 지대를 갖고 있음을 강조한다. 한편에서는 피식민지의 문학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도쿄 문단으로의 진출을 모색하는 흐름도 있었으나, 그러한 순간에도 번역불가능성을 내세워 일본어의 국어화에 대한 간접적인 비판을 행하거나, 일본어의 번역이나 창작이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폭력성에 대한 분노의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이처럼 그들은 그들도 모르는 사이에 공감의 지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로 부정적인 정서-우울, 트집, 허무-나 소극적인 태도-무기력 열정없음-은 대만과 조선의 문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감정이었다. 본 논문은 이처럼 만난 적 없는 피식민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감정과 반응과 몸짓들이 지닌 동형성을 제국 일본의 질서 하에서 피식민자들이 시도할 수 있었던 최소한의 혹은 최대치의 공감지대로서 의미화해 보려고 했다. 또한 우울, 허무, 트집, 소극성 등과 같은 수동성이고 부정적으로 보이는 감정 및 행위 속에 담겨 있는 피식민자들 사이의 보이지 않는 저항의 연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 보았다. 이를 통해서 우리가 현재 지닌 ‘연대’의 상상력을 재고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대를 둘러싼 상상력의 변화를 통해서, 식민지기 피식민자들 사이에서 가능했을지도 모르는 공감과 연대의 잠재성을 모색해 보려고 했다.

      • KCI등재

        기획논문 : 식민성과 제국의 네트워크, 정념의 공동체 ; 정체(停滯),(政體) 감각과 감각적 결속 : 드러난 연쇄, 숨겨진 공감 -제국 일본 하 피식민자들의 언어,문학관련 좌담회-

        신지영 ( Ji Young Shi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3

        본 논문에서는 제국 일본의 일본어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던 1937년부터 1945년 사이, 조선, 만주, 대만 등의 문학자들이 열었던 문학·언어 관련 다민족 좌담회를 비교했다. 이때 제국일본과 식민지 조선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피식민자들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서 피식민자들이 식민정책에 연쇄(공명)되어갔던 측면을 비판하면서도,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피식민자들 사이에 생겼던 공감의 계기들을 포착해 보았다. 1937년에서 1945년에 걸쳐 대만, 조선, 만주에서는 언어와 문학에 관련된 다국적 좌담회들이 연쇄적으로 확산되어 갔다. 이 언어·문학 좌담회에 참여한 피식민자들은 식민자와 피식민자 사이의 위계적인 관계 속에서 발화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피식민지의 언어·문학 좌담회는 제국 일본의 질서를 확산시키는 공명장치가 되었다. 무엇보다 이러한 제국 일본의 공명장치가 작동할 수 있었던 데에는 표현수단, 매체, 유통 통로가 제국 일본에 의해서 일원화됨에 따라 조선과 대만의 작가들이 문단을 형성하거나 생계를 이어갈 수 없게 된 상황이 있었다. 이처럼 가난을 낳는 배제 속에서 피식민지의 작가들은 ``중앙문단`` 즉 도쿄문단으로의 진출을 욕망하고 경쟁했으며, 이러한 피식민자들의 경쟁을 통해서 제국 일본의 공명장치는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좌담회에서 식민자와 만난 각 피식민지의 지식인들은 첫째로, "질문자=식민자vs대답=피식민자"라는 좌담회의 발화구조를 역이용해, 식민주의의 권력 배치를 흔들어 놓기도 한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조선은 조선적 특수성을 대만은 대만적 특이성을, 만주는 자신들의 신생 문단이 지닌 일본문단을 초월하는 특성들을 강조한다. 둘째로, 좌담회에 참여한 대만, 조선, 만주 대표들은 각 지역의 문학이 일본어로 번역되거나 일본어로 창작될 수 없는 지대를 갖고 있음을 강조한다. 한편에서는 피식민지의 문학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도쿄 문단으로의 진출을 모색하는 흐름도 있었으나, 그러한 순간에도 번역불가능성을 내세워 일본어의 국어화에 대한 간접적인 비판을 행하거나, 일본어의 번역이나 창작이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와 폭력성에 대한 분노의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이처럼 그들은 그들도 모르는 사이에 공감의 지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로 부정적인 정서-우울, 트집, 허무-나 소극적인 태도-무기력 열정없음-은 대만과 조선의 문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감정이었다. 본 논문은 이처럼 만난 적 없는 피식민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감정과 반응과 몸짓들이 지닌 동형성을 제국 일본의 질서 하에서 피식민자들이 시도할 수 있었던 최소한의 혹은 최대치의 공감지대로서 의미화해 보려고 했다. 또한 우울, 허무, 트집, 소극성 등과 같은 수동성이고 부정적으로 보이는 감정 및 행위 속에 담겨 있는 피식민자들 사이의 보이지 않는 저항의 연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 보았다. 이를 통해서 우리가 현재 지닌 ``연대``의 상상력을 재고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대를 둘러싼 상상력의 변화를 통해서, 식민지기 피식민자들 사이에서 가능했을지도 모르는 공감과 연대의 잠재성을 모색해 보려고 했다. This paper deals with multi-racial round-table talks held by literary men from Korea, Manchuria, and Taiwan in the years (from 1937 to 1945) when Japan strengthened imperial authorities through the movement of ``Japanization``. Talking about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d and the colonizer as well as those among the colonized themselves from different countries, more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 empathy or sympathy among the colonized than on the bondage of or their adaptation with the Japanese imperial strategy. The round-table talks hel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made the participators speak in the hierarchical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nd thus played a role as a resonator for the sprea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esides, unification of the means of mass communication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s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made it hard for the colonized to form literary circles and even to make money for living. The poverty and exclusion drove them to be more competitive in entering central literary circles located in Tokyo. So, the round-table talks as a resonator were becoming more and more efficient in propagating imperialism. The round-table talks put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nto the hierarchical ones in which the colonizer asked questions and the colonized answered them in the one-way direction, that is, questioners were colonizers and the answerers were the colonized. However, the colonized intellectuals disturbed and shook the relations by taking advantage of the unidirectional and hierarchical system in a subtle way. By using the strategies, the Koreans, the Taiwanese and the Manchurians spoke about their uniqueness in their own way. Secondly, the participators in the round-table talks emphasized that their own literary expressions could not be translated or interpreted into Japanese. The untranslatability into Japanese was used as a justification for criticizing the policy of making the Japanese language into the cross-racial language, and disclosing limitations and violences in the policy. In this way, they unconsciously extended their sympathy or empathy to one another. Thirdly, we find common emotions in the literary men from the three countries as in negative feelings (depression, complaint, nihilism, etc.), and passive behaviours (lethargy, no passion etc.). The paper tries to bring into light the common ground in which the colonized who had never met one another before shared the emotions and behaviors in the militaristic and imperial period. Behind the negative and passive emotions and behaviors could be found the chains of protests. They suggest to us that we should reconsider the hidden image of the chains in a new perspective and find out solidarity and sympathy among the colonized which might be potential powers in the colonized countries.

      • KCI등재

        피식민자들의 “문화접촉”과 “발화법”에 대한 유형화: 타이완과 조선의 좌담회에 나타난 “도무지 알 수 없는 그(것)들”

        신지영 ( Ji Young Shi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60

        식민자와 피식민지 지식인들이 “여성, 농민, 노인, 원주민 등=도무지 알 수 없는 그(것)들”을 언급한 좌담회와 .간담회 기록을 대상으로 “식민지 속의 인종주의적 타자들은 스스로를 어떻게 표현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를 통해 첫째로 동원”하면서” 동원”되는” 피식민지 지식인의 복합적인 위치를 드러내고, 둘째로 이야기”될” 뿐 이야기”하는” 자로 등장하지 않는 피식민지 내부의 타자화된 “그(것)들”의 발화-표현법을 모색한다. 이때 조선과 대만의 상황을 전체적인 배경으로 언급하지만, 다양한 인종적 구성을 지닌 대만을 경유하여 조선 내부의 타자화를 되비춰 보기 위하여, 대만 원주민 엘리트들의 간담회에 초점을 맞춘다. 2장에서는 “징병제” 실시 이후 가속화된 피식민지 지식인들의 동원 상황을 “징병제” 및 “문인 동원”에 대한 대만과 조선의 좌담회를 통해서 살펴본다. 조선의 경우 『국민문학『 을 중심으로, 대만의 경우 『대만 문학『 및 『문예 대만『 을 중심으로, 징병제 및 문인동원을 테마로한 좌담회를 살펴본다. 여기에 참여한 피식민지 지식인들은, 스스로 강제동원의 대상이 “되는” 동시에, 자신들 “내부”의 농민, 원주민들을 강제동원하는 일에 협력”하는” 위치가 되어 간다. 일종의 “분열체”로서 말하는 그들은 농촌, 공장, 탄광, 원주민 거주지 등으로 파견되었고 좌담회 등을 통해 “도무지 알 수 없는 그들”과 만난 경험을 이야기한다. 이것은 피식민지 지식인들이 자신이 속해 있는 “동족”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속하고 싶지 않은 종족이자, “식민지의 인종주의적 타자들(농민, 노인, 원주민, 여성 들)”과 만난 순간이었다. 3장에서는 대만의 원주민 엘리트들이 참여했던 세 차례의 원주민 엘리트 청년 간담회를 대상으로 원주민이 “이야기되는” 위치에서 “이야기하는 위치”가 되어갈 때 발생하는 “동원하며 동원되는” 불안한 위치의 발화를 살펴본다. 이 간담회는 『이번의 친구(理蕃の友- “원주민을 이롭게 하는 친구”라는 의미)『(1932년 1월~1943년 1월 2일)라는 대만 총독부 경무국 이번과(台灣總督府警務局理蕃課) 기관지에 실린다. 이 잡지는 1930년 10월 27일부터 일어난 무사(霧社) 사건 뒤 원주민들의 삶을 깊이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도 했다. 이 세 차례의 간담회를 통해 원주민 엘리트의 발화는 날것의 원주민적 가치나 잉여들이 사라지고 “감상과 각오”의 형식으로 정형화되어 간다. 4장에서는 세 차례의 간담회 속에서 정형화된 원주민 엘리트의 발화 -- 특히 “미개한 동족 원주민들”에 대한 -- 에서 그러한 정형화에도 불구하고 삐져나오는 “이야기되는 자들”의 흔적을 살펴본다. 이러한 삐져나온 표현들은 첫째로 원주민 엘리트들의 “훌륭한” 일본인이 되기 위한 “과도한 수사” 속에서 발견된다. 둘째로 원주민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노력에 의해 원주민 동족들이 예전보다 얼마나 문명화되었는가를 자랑할 때 드러나는 원주민들의 비명들-장례문화, 총기에 대한 애착, 복장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해 일어난 사건들-로 표현된다. 셋째로 원주민들이 제국 일본의 요구를 원주민의 논리로 “변형(왜곡)”시켜 이해함으로써 제국 일본의 의도를 비껴가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징병제가 선포되자 원주민의 전통에 근거하여 경험 없는 젊은이들을 전쟁에 내보낼 수 없다며 노인들이 지원하는 경우, 원주민의 과도한 충성심이 오히려 위협적으로 느껴지는 순간들이 그것이다. 넷째로 극히 정형화된 세 번째 간담회의 발화 기록 바로 옆에는 부눈족의 갑작스런 “흉행”으로 일본인 3명이 살해되었다는 보도가 실린다. 간담회에서 침묵하는 원주민들의 존재가 “흉행”의 형태로 드러난 순간이다. 식민자들은 이들 부족을 관리하기 위해 산지에서 이주시키지만, 그들은 걸핏하면 자신의 마을로 되돌아가서 식민자들의 애를 먹인다. 요컨대 본 논문은 이야기”하는” 피식민지 지식인의 발화 속에서 삐져나온, 이야기”되는” 자들의 비언어적.비공식적.비제도적 표현을 드러냈다. 이는 피식민지 지식인이 처한 분열적인 중간자적 위치를 보여주는 동시에, 이야기”하다”와 이야기”되다” 사이를 횡단하고 갈등하는 발화법을 보여준다. 또한 그들에 의해 “도무지 알 수 없는 그(것)들” 이라고 이야기된 피식민지 내부의 인종주의적 타자들의 흔적 -- 과도한 수사, 비명, 왜곡, 흉행 -- 을 통해 “도무지 알 수 없는 자들”의 몸짓이 지닌 표현법과 저항적 동력을 드러냈다. The colonizers and the colonized intellectuals described women, farmers, old, aborigines as "inconceivable people or things" in some round-tables and conferences. By studying the written texts, we issue a question, "How did those racial or social Others in colonies express themselves?" It shows the complex situations in which the coloninized intellectuals took the lead in mobilizing resources in colonies and at the same time they themselves were mobilized. Secondly, it makes us to look into the ways of utterances and expressions of those Others who were spoken of but couldn``t speak of themselves. We refer to the whole colonial background in Korea and Taiwan, but put a more focus on the round-tables or conferences of the aborigine elites in Taiwan, which was composed of different racial groups, in order to get a clue to the way of becoming Others in Korea. In Chapter 2, we deal with the round-tables which discussed "national conscription" and "literary manpower mobilization" in Kookmin Munhak (國民文學) and Shin Sidae (新時代) of Korea, and Taiwan Wenxue(臺灣文學) and Taiwan Wenyi (臺灣文藝). The colonized intellectuals became a target to be drafted and at the same time a collaborator in conscripting farmers, laborers, aborigines and the like. They talked about the encounters with the "inconceivable people (things)" in the round-tables after they had met with farmers, miners, and aborigines. These were the very moment at which they came into contact with the racial or cultural group to which they actually belonged but they didn``t want to. In Chapter 3, we discuss the transition that the aborigine intellectuals in Taiwan had from the situation in which they were spoken of toward that in which they began to speak of themselves by looking into the conferences in the ministerial journal, “Friends" (理蕃의 友, ``friends who help the people (aborigines) (from January, 1932 to January, 1943), which intended to control aborigines`` lives after the Musha Mutiny. Simultaneously we examine their precarious utterance situation of "drafting and being drafted at the same time." The utterance type in the conferences became stereotyped only to express "impressions (feelings)" and "determinations" and discard their cultural or racial values and redundancies(traditions, ect) Chapter 4 identifies the traces of so-called inconceivables, which the aborigine intellectuals unwittingly told of despite the stereotyping of utterances, when they spoke of the "uncivilized aborigines." One of their traces was found in their excessively lengthy explanations for becoming a "good Japanese." The second kind of trace was in their grievances for their funeral culture, their right to possessions of arms, and their traditional costumes. Thirdly, their trace was revealed when they reinterpreted and modified the colonizers`` order in their own way of thinking. For example, contrary to the colonizers`` expectation, the old, not the young, volunteered to join conscript army, since they thought that the latter had no fighting experience. The written text of the final, and the most stereotyped conference appeared alongside the news story which reported that three Japanese were killed in the unexpected violence of the aborigines. The layout unintentionally implied that they, speechless in the conference, turned out to be violent suddenly and unexpectedly. This seems to be another trace of their existence. In sum, this article displays aborigines`` corporeal, non-linguistic, informal and non-systematic expressions hidden and implied in the discussions of the colonized intellectuals who spoke of those who were spoken of. It also reveals that the colonized intellectuals straddled on the threshold of conflicts between who spoke and who were spoken of, and utilized the ambivalent and conflicting utterance styles. Further, it shows the various ways of expressions and the resistance like circumlocutions, grievances, distortions and uprisings carried out by what was called inconceivable people (things), that is, racial, cultural, or social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