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hảo sát ghi chép về mối quan hệ Việt – Trung trong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大越史記全書 (VIỆT NAM) và MINH THỰC LỤC 明實錄 (TRUNG QUN

        PHAM HOANG QUAN(Phạ,mHoà,ngQuâ,n),BUI PHAN ANH THU(Bù,iPhanAnhThư,)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논총 Vol.22 No.-

        베트남과 중국의 역사서에는 동질성을 지닌 사건들에 대한 기록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의 국학을 대표하는 최초사관들에 의해 만들어진 『大越史記全書』 (대월사기전서) 중에서 중국의 『명실록』에 들어 있는 두 나라의 관계사에 대한 동질적 기록을 발췌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명실록』은 『대월사기전서』에 비해 구체적으로 쓰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의 내용과 그 텍스트의 시대적 배경에 따라 명나라와 대월 간의 외교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자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대월의 호계리가 내란(內亂) 진압을 위한 식량 지원을 해 달라는 명 조정의 요청에 완전히 순종하지 않고 서로 합의하면서 결국 4분의 1만 도와 줬다는 점에서 두 나라의 외교 관계가 평등한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로 『대월사기전서』에 들어 있는 5만의 병력과 50마리의 코끼리에 대한 요청은 『명실록』에서 찾을 수 없는 기록이고 식량 수량에 대한 기록도 큰 차이가 난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의문점이 된다. 명 조정에서 대국으로써의 체면 때문에 일부러 언급하지 않았는가, 아니면 대월의 사관이 사실보다 지나치게 부풀렸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또는 명나라의 사신들이 공무(公務)의 직책을 이용하여 개인적 욕심을 부려서 조정의 뜻에 어긋난 조치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본문에서 명나라와 대월의 중요한 역사서들의 기록들을 발췌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은 것은, 어느 측이 틀리고 옳다는 판단보다는 사료적 신뢰성을 찾아 베트남과 중국의 외교 관계 성격을 밝히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명실록』과 『대월사기전서』에 나타난 베트남과 중국의 관계사와 전쟁 역사에 대한 많은 공통적 기록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들 간의 차이에 대한 원인은 당시 사관들이 국가주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시대성 등과 같은 요소로부터 지배를 받으면서 사서를 편찬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나의 사건만으로는 명 왕조 시기의 베ㆍ중 관계의 특징을 밝히기는 쉽지 않지만, 본문에서 이러한 시도를 계속해야 동아시아문화권의 ‘문화 교류’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올바르게 할 수 있다는 제의를 하고자 한다. 우선 원천 텍스트 연구에 대해서 한 민족의 역사서인 『대월사기전서』이나 『명실록』의 편찬 과정에 두 나라의 사관들이 민족주의ㆍ국가주의ㆍ정치적 이데올로기ㆍ본국의 정치적 주장 등의 요소들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료들을 가치가 있는 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많은 자료들을 서로 비교하여, 외교적 관계사나 문화 교류의 관계사의 연구 영역을 넓힐 수 있다.

      • KCI등재

        舊活字本 『西廂記』 硏究

        이기현(Lee Ki-hyun)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6

        본고에서는 舊活字本 『西廂記』의 刊行 양상을 살핀 후, 20세기 초 출판 문회 속에서 중국 고전문학 『西廂記』의 번역과 간행이 가지고 있는 의의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舊活字本 소설은 1910년대에 활발하게 간행되었으며, 舊活字本으로 간행된 4종의 『西廂記』도 이 시기에 간행되었다. 『西廂記』는 여러 異本이 존재하는데, 舊活字本 『西廂記』 4종은 모두 김성탄이 評點에 사용한 『西廂記』 판본의 原文과 김성탄의 序文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懸吐註解)西廂記』를 제외한 3종의 『西廂記』는 한글 번역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西廂記』는 한문지식인층만 읽을 수 있었던 것에서 나아가, 舊活字本 『西廂記』는 한글을 읽을 수 있는 다수의 독자층을 겨냥하였음을 알 수 있다. 『註解西廂記』가 간행된 1906년도에는 출판업의 규모가 영세하여, 한두 書館으로는 간행비용을 부담하기 어려웠기에 7개의 서관이 참여하여 『註解西廂記』를 간행하였다. 이후 1910년대에는 발행자가 주로 거래하던 한 두 書館음 중심으로 책을 간행하였으며, 初版 간행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4판까지 간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반면 본고에서 다룬 4종의 『西廂記』 중 3종인, 『待月西廂記』, 『(鮮漢雙文)西廂記』, 『(懸吐註解)西廂記』가 普成社에서 인쇄되었다. 이를 통해 1910년대에는 출판사의 규모는 이진 시기보디 성장하였으나, 인쇄는 소수의 인쇄소에서 대부분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舊活字本 『西廂記』의 상업적 특징은 표지, 제목, 組版 구상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待月西廂記』, 『(鮮漢雙文)西廂記』는 삽화가 그려진 표지장정으로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아내었다. 반면 『(懸吐註解)西廂記』는 한문 해독 능력이 있는 지식인층으로 겨냥한 독자층의 성향에 맞추어 화려하기 보다는 단정힌 표지를 사용하였다. 제목에도 ‘註解, 鮮漢雙文, 懸吐註解’를 덧붙여 각 서적의 표기방식을 표시하거나, 『待月西廂記』와 같이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함축하는 단어를 첨가하여 제목을 붙였다. 舊活字本 『西廂記』는 ‘『西廂記』를 어떤 분위기에서 읽을 것인가’에 주목하였으며, 주로 교훈을 이끌어 내기 보다는 조용하고 한가롭고 雅趣있는 분위기 이래에서 여가를 즐기는 방향으로 읽도록 서술하였다. 구활자본 『西廂記』는 1910년대에 환발하게 간행되었지만, 1920년대 에는 간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1920년대에는 다양한 애정물들이 나오고 신연애가 등장하면서 『西廂記』의 사랑은 더 이상 주목을 받지 못하게 되며, 『西廂記』는 주제와 흥미 두 측면에서 모두 문제작이 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대중 독자들도 한문과 唱이라는 어려운 요소가 여전히 남아있는 『西廂記』를 읽기 보다는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쓰여진 애정물을 점차 선호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西廂記』가 1920년대 이후 간행되지 않은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blication patterns of Seosanggi(西廂記) of the old-printed version. It was in the 1910s when the novels of the old-printed version were published in abundance. Published in 1906, the JuhaeSeosanggi(註解西廂記) shows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situation in the early days of old-printed version novels. Although Jung Gu-seop(丁九燮) didn’t have a commercial purpose in mind when publishing the book, Oh Tae-hwan (吳台煥), an owner of a professional printing business, did take into account the commercial trends of the day before printing and publishing it. Since the size of a publishing company was usually small in those days and it was difficult for a couple of publishing companies to come up with all the publishing costs, total seven publishing companies joined forces for the book. Starting in the 1910s, professional publishers such as Park Geon-hee(朴健會), Goh Yu-sang(高裕相), and Namgung Jun(南宮濬) pursued commercial goals when publishing Seosanggi(西廂記) of the old-printed version. They made publication deals with a couple of publishing companies that were their regular clients and carried on even to the fourth edition rather than stopping at the first one. Park Geon-hee(朴健會) eliminated the play elements of Seosanggi(西廂記) and thus reinforced its nature as a reading material. The Seosanggi(西廂記) published by Coh Yu-sang(高裕相) was easy to read thanks to the space between words and boasted the most natural translation into Korean among the many translation versions those days. And there was Seosanggi(西廂記) with grammatical particles and notes added to the original Chinese version. The book targeted the readers who could read and understand Chinese and implies that there were a wide range of readers for old-printed version novels. The characteristics of Seosanggi(西廂記) of the old-printed version are also reflected in the cover, title, and length. DaewolSeosanggi(待月西廂記) and (Seonhanssangmun)Seosanggi((鮮漢雙文)西廂記) both contained illustrations on the covers and thus stirred the readers’ curiosity. They also added such words as "notes, Seonhanssangmun, and grammatical particles and notes" to the title to inform the readers of the types of transcription. And they would put in a word that could imply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book in the title to deliver the intended sentiment like DaewolSeosanggi(待月西廂記).

      • KCI등재

        화산군(花山君) "리용상(李龍祥) Ly Long Tuong"에 관한 연구(1) -"고려(高麗) 이거(移居)" 창작설(創作說) 검토(檢討)를 중심으로-

        박순교 ( Sun Ky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5

        전승에 의하면 대월 출신 李龍祥 Ly Long Tuong은 고려 고종 치세에 송나라를 거쳐 고려로 이거했다. 황해도 옹진 화산에 정착한 그는 얼마 뒤 몽골의 침입을 격퇴한 공으로 고려 조정으로부터 화산군에 책봉되었고, 화산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대월 李氏 왕조의 혈손인 그의 존재는 한국·베트남 양국 선린의 가교이자 상징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李龍祥에 대한 정사의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현존 화산 이씨 족보의 서문과 발문을 일별할 때, 고려 이래의 화산 이씨 족보마저 임진왜란 초기(1592~1593)에 산실되었다. 이후 대략 1706년을 전후한 시기로부터 1777년에 이르기까지 李枰과 아들 李憲國, 손자 李鼎新 3대에 걸쳐 화산 이씨 족보가 繼述, 복간되었음이 확인된다. 곧 李枰이 수습한 未完의 筆寫에다, 72년에 걸쳐 여러 사람의 노력, 蘊蓄이 보태어져, 大越(安南)에 출자를 둔 李龍祥의 구체적 가계가 복원되었다. 한데 1706년 李枰의 초보에서 李龍祥의 이름은 보이지 않으며, 1777년 중수보에서야 드러난다. 이 점에서 1706년~1777년 사이의 시기에, 중국과의 교류 관계 속에서 전해진 대월의 사정이 반영되어 李龍祥이 창출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용상을 시조로 한 세계표가 성립되어 있었다면, 최초의 서, 곧 李枰의 글에 세보의 눈알이라 불러야 마땅할 이용상의 사적이 없다는 것은 이상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李枰이 쓴 총 1권의 초보는 미완의 필사본 형태였고, 1777년에야 총 2권의 重修譜, 곧 임란이후 최초의 복간복이 간행되었다. 李永祚(82), 李憲묵(55), 李鼎新(52),李景行(47), 李羲之(41)등의 노력에 의하여 가계가 완성된 바, 중수보는 李枰의 초보와 연장선상에 있다. 李永祚는 座長, 李憲묵은 재정 지원, 李鼎新은 李枰의 손자로서 집안에 보관 중인 필사본 草譜 제공, 李景行은 鍼梓를 위한 재정적 조력, 李羲之는 重修譜를 직접 작성하며 産婆의 중핵 역할을 했다.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It is found the fact that 李龍祥 Ly Long Tuong had moved into Koryo``s territory from Vietnam in the reign of king, Kojong(1213~1259). And then 李龍祥 Ly Long Tuong had settled on Ongjin Whanghae, with the permission of king Kojong. After decades, he made repel of invasion of the Mongls that had attacked Koryo, 李龍祥 Ly Long Tuong was appointed as Whasankun(花山君)and become the founder Whasan Ly clan. In this reason, 花山君 李龍祥 Ly Long Tuong``s presence implies symbolic friendship, neighbourhood between Korea and Vietnam. Fomula history of affairs of 李龍祥 Ly Long Tuong can not be found by now. It is pity that the fomula historical records concerning 李龍祥 Ly Long Tuong has not been found. Glimpsing the prefaces and epilogues of existing Whasan Ly``s genealogy, It has been found the fact that Whasan Ly``s original genealogy written during Koryo dynasty had been scattered and lost throughout Imjin war(1592~1598). In ranging from approrximately 1706 to 1777, Whasan Ly``s genealogy was restored by endeavor of 李枰, his son 李憲國, and grandson 李鼎新 etc. Namely, over 72 years of peoples``s hard work, more complete Whasan Ly``s genealogy, specific household originated in 大越 (安南) had been restored, on the basis of the unfinished draft of 李枰. Accentua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timing, the period between 1706-1777, because of Several possibilities including matter of overdraft exchanges between China and Chosun(朝鮮). and suspicion pointed out absence of 李龍祥 Ly Long Tuong in the 李枰``s manuscript. However, 李枰``s hand-script was only in the form of unfinished manuscripts of the total one written, Scarcely had a total of 2 重修譜 been published the first Reissue clothing When 李龍祥 Ly Long Tuong was mentioned in 1777, 李永祚 (82), 李憲묵 (55), 李鼎新 (52), 李景行 (47), which 李羲之(41) by the efforts of such households was completed in the form of genealogy, 李永祚 are chief(座長), 李憲묵 is fund donation, 李鼎新 is 李枰``s manuscripts donation kept in the house as the grandson of 李枰, 李景行 is financial assistance for 鍼梓, 李羲之 creates a 重修譜 directly and had a core role in 産婆(action as a midwife).

      • KCI등재후보

        花山君 ‘李龍祥 Lý Long Tường’에 관한 연구 (Ⅰ) - ‘高麗 移居’ 創作說 檢討를 중심으로-

        박순교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5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It is found the fact that 李龍祥 Lý Long Tường had moved into Koryo's territory from Vietnam in the reign of king, Kojong(1213~1259). And then 李龍祥 Lý Long Tường had settled on Ongjin Whanghae, with the permission of king Kojong. After decades, he made repel of invasion of the Mongls that had attacked Koryo, 李龍祥 Lý Long Tường was appointed as Whasankun(花山君)and become the founder Whasan Ly clan. In this reason, 花山君 李龍祥 Lý Long Tường's presence implies symbolic friendship, neighbourhood between Korea and Vietnam. Fomula history of affairs of 李龍祥 Lý Long Tường can not be found by now. It is pity that the fomula historical records concerning 李龍祥 Lý Long Tường has not been found. Glimpsing the prefaces and epilogues of existing Whasan Ly's genealogy, It has been found the fact that Whasan Ly's original genealogy written during Koryo dynasty had been scattered and lost throughout Imjin war(1592~1598). In ranging from approrximately 1706 to 1777, Whasan Ly's genealogy was restored by endeavor of 李枰, his son 李憲國, and grandson 李鼎新 etc. Namely, over 72 years of peoples's hard work, more complete Whasan Ly's genealogy, specific household originated in 大越 (安南) had been restored, on the basis of the unfinished draft of 李枰. Accentua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timing, the period between 1706-1777, because of Several possibilities including matter of overdraft exchanges between China and Chosun(朝鮮). and suspicion pointed out absence of 李龍祥 Lý Long Tường in the 李枰's manuscript. However, 李枰's hand-script was only in the form of unfinished manuscripts of the total one written, Scarcely had a total of 2 重修譜 been published the first Reissue clothing When 李龍祥 Lý Long Tường was mentioned in 1777, 李永祚 (82), 李憲黙 (55), 李鼎新 (52), 李景行 (47), which 李羲之(41) by the efforts of such households was completed in the form of genealogy, 李永祚 are chief(座長), 李憲黙 is fund donation, 李鼎新 is 李枰's manuscripts donation kept in the house as the grandson of 李枰, 李景行 is financial assistance for 鋟梓, 李羲之 creates a 重修譜 directly and had a core role in 産婆(action as a midwife). 전승에 의하면 대월 출신 李龍祥 Lý Long Tường은 고려 고종 치세에 송나라를 거쳐 고려로 이거했다. 황해도 옹진 화산에 정착한 그는 얼마 뒤 몽골의 침입을 격퇴한 공으로 고려 조정으로부터 화산군에 책봉되었고, 화산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대월 李氏 왕조의 혈손인 그의 존재는 한국베트남 양국 선린의 가교이자 상징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李龍祥에 대한 정사의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현존 화산 이씨 족보의 서문과 발문을 일별할 때, 고려 이래의 화산 이씨 족보마저 임진왜란 초기(1592~1593)에 산실되었다. 이후 대략 1706년을 전후한 시기로부터 1777년에 이르기까지 李枰과 아들 李憲國, 손자 李鼎新 3대에 걸쳐 화산 이씨 족보가 繼述, 복간되었음이 확인된다. 곧 李枰이 수습한 未完의 筆寫에다, 72년에 걸쳐 여러 사람의 노력, 蘊蓄이 보태어져, 大越(安南)에 출자를 둔 李龍祥의 구체적 가계가 복원되었다. 한데 1706년 李枰의 초보에서 李龍祥의 이름은 보이지 않으며, 1777년 중수보에서야 드러난다. 이 점에서 1706년~1777년 사이의 시기에, 중국과의 교류 관계 속에서 전해진 대월의 사정이 반영되어 李龍祥이 창출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용상을 시조로 한 세계표가 성립되어 있었다면, 최초의 서, 곧 李枰의 글에 세보의 눈알이라 불러야 마땅할 이용상의 사적이 없다는 것은 이상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李枰이 쓴 총 1권의 초보는 미완의 필사본 형태였고, 1777년에야 총 2권의 重修譜, 곧 임란이후 최초의 복간복이 간행되었다. 李永祚(82), 李憲黙(55), 李鼎新(52),李景行(47), 李羲之(41)등의 노력에 의하여 가계가 완성된 바, 중수보는 李枰의 초보와 연장선상에 있다. 李永祚는 座長, 李憲黙은 재정 지원, 李鼎新은 李枰의 손자로서 집안에 보관 중인 필사본 草譜 제공, 李景行은 鋟梓를 위한 재정적 조력, 李羲之는 重修譜를 직접 작성하며 産婆의 중핵 역할을 했다.

      • KCI등재

        Vietnam(大越) 황자 ‘李龍祥 Lý Long Tường’에 관한 연구(3) - 화산 이씨의 혈맥과 동향에 대한 추적을 중심으로 -

        박순교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I analyzed in depth the genealogy of ‘Whasan Lee Clan(花山李氏)’, which had never been studied befo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act that genealogical records of the descendants of the first son and the second son were preserved and transferred separately. 2) The fact that they joined together in the sixth genealogy(1987) for the first time. 3) The fact that some people had problems in their birth year, official rank etc. Accordingly, I added specific details on the issue. The genealogy preface(1707)written by 垕(李龍祥’s 17th generation) is one year later than the first genealogy preface written by 枰 (1706), but 垕’s genealogy preface must be the oldest actual record. The Japanese scholar’s claim that Li Long Tường’s relocation story of had been created was turned out as purely illusory and misunderstood theory, based on only the first son genealogy. In the case of the first son(幹), the second son(一淸)’s descendants, the office, the birth and death ages, the graves and the cemetery have not been considered at all. I followed the movement of the second son’s family, I searched for the location of the activity area, the tombs of Bonghwa(奉花), and the cemetery position of Mt. ‘Whasan Lee Clan(花山李氏)’ in Milyang. After the genealogical records through out comparing and field trips’s conduction, I listed the distribution and the grave site of the tombs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nd so, this research paper will become a rock of future base research. 본문은, 고려 고종 무렵 大越을 떠나 고려로 移居한 李龍祥(Lý Long Tường’)의 혈맥을 추적한 논문이다. 李龍祥에 관한 연구 자체도 영성한 현실이지만, 그의 혈맥의 흐름, 생활 권역, 주요 행적과 관력 등의 검토나 비정은 전무했다. 까닭에 본문은 그간 전혀 주목되지 않은 사안을 다룬 개척 연구이다. 이는 단지 화산이씨 일가의 부침, 명멸을 다룬 것이 아니라, 한국과 베트남 간 역사적 연원의 추적이며, 양국의 유대를 심화시킬 시의성에도 부합될 유의미한 작업이다. 먼저 본문은 李龍祥 혈맥을 추적할 주요 자료인, 『화산 李氏 족보』 내용과 편찬 과정, 족보의 갈래를 심층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산이씨 족보』는, 1)1子 계열(초보~5수보), 2子 계열(垕의 별도 족보)로 각기 분리되어 보존, 전승되었고, 2) 6修譜(1987년)에 이르러 비로소 大同譜(全)의 형태로 합쳐졌으며, 3) 몇몇 인물들의 경우 생몰년, 官歷에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족보 편찬 시기에 있어서는 2자 계열, 垕(李龍祥의 17세손)가 작성한 족보서(1707년)가 1子 계열 枰이 작성한 초보서(1706년)보다 표기상으론 1년 늦지만, 실제 가장 오랜 기록이었다. 이로 본다면, 초보서(1706)~중수보(1777)의 사이에서 大越의 정보를 바탕으로 李龍祥(Lý Long Tường’) 移居 설화가 단계별로 창작되었다는 일본 학계의 주장은 전체 족보의 얼개를 조감하지 못한 채, 1子 계열의 족보에만 천착한 결과 빚어진 순전한 오류와 착간인 셈이다. 李龍祥 1子 계열, 2子 계열의 혈맥, 관력, 생몰연대, 분묘 및 묘역 역시 전혀 고찰되지 않았는데, 필자는 족보 기록의 대조와 현지답사의 반복을 거쳐 분묘의 분포 및 묘역 등을 사상 최초로 구명, 본문에 게재했다. 특히 본문은 「유사」, 「개단선영기」, 「충효당기」 등에 대한 최초의 본격 검토, 각종 지리서 등의 비교ㆍ검토를 토대로, 2자 계열의 동선을 추적, 안동부(현 봉화) 내 활동 권역과 묘역(안동파의 선영), 밀양의 화산이씨 선영(무연리, 청운, 운정에 이르는 밀양파의 선영)의 위치 역시 推察ㆍ정리하였다. 단언컨대, 이상에서 파악한 내용은 空前의 것으로, 향후 화산이씨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선조 사대부의 초상화 존숭의 종교성 고찰

        조민환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6

        This study examines why the Joseon Dynasty’s portrait of the noble families is drawn solemnly and neatly with an understated expression while staring at one place with consistent sil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is in connection with Zhū Xī’s remarks, “Put your clothes and coffins right, keep your eyes dignified, settle your mind quiet, and have a reverent attitude as if you were dealing with toward the God.” This point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solemn attitude shown in the portrait of the Noble Famil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pectful and afraid attitude, and the shape of the eyes of the tense frontal gaze.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examines in connection with the religious nature of attitude tower the God contained in the reason for refining from being alone. The noble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held a realistic portrait instead of a deity when they held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dead ancestors. This point contains the reason that the portrait used during the ritual contains the soul of a character who becomes an object of respect and admiration. In addition, the portrait used during the ritual contained the reason for responding to energy in the same way as the descendants, and the portrait was also served as a medium for witchcraft. Accordingly, portraits were not just portraits, but sacred objects at the religious level. Moreover, most of the characters in the portraits used in the memorial service are depicted in a solemn, respectful, and afraid shape with fixed eyes, and this shape contained a kind of refining from being alone. In this way, the interpretation of the reason of refining from being alone as rever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attempting to act reverently even in invisible places include religiousness in addition to ethics. Specifically, this religiosity was expressed as a solemn gesture and a respectful yet fearful gaze in the portrait of the grandfathers holding ancestral rites. The gesture and gaze expressed in this portrait were a shape that contained religious piety and beliefs beyond the ethical discipline. 본고는 조선조 사대부 초상화는 왜 ‘한결같이 고요히 한곳을 응시한 채 절제된 표정과 엄숙 단정한 공수(拱手) 자세로 그려져 있을까’하는 점을 주희(朱熹)가 「경재잠(敬齋箴)」에서 “그 의관을 바르게 하고, 그 시선을 존엄하게 하며,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혀 거처하고, 상제(上帝)를 대하는 듯 경건한 자세를 가져라[正其衣冠, 尊其瞻視. 潛心以居, 對越上帝]”고 말한 것과 연계하여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런 점을 특히 조선조 후기 사대부들의 초상화에 보이는 정제엄숙한 경외(敬畏)적 몸가짐과 긴장된 정면 응시의 눈동자 형상을 신독(愼獨) 혹은 근독(謹獨) 사유에 담긴 ‘대월상제(對越上帝)’에 담긴 종교성과 연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조 사대부들은 추원보본(追遠報本)의 제사 때 신주(神主) 대신 사실적으로 그려진 초상화를 모시고 지냈는데, 이런 점은 제사 때 사용된 초상화에는 경모(敬慕) 대상이 되는 인물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는 사유가 담겨 있다. 아울러 제사 때 사용된 초상화는 후손과 동기감응(同氣感應)식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주술적 차원의 매개체 역할도 하였다. 이에 초상화는 단순 인물화가 아닌 종교적 차원의 성물(聖物)이었다. 즉, 추원보본 하는 제사에서 사용된 초상화는 인물화 범위를 넘어서 조선(祖先)의 신령(神靈)이 강림한다는 종교 차원의 성물이었고, 이에 초상화는 종교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에 제사에 사용된 초상화의 인물들이 대부분 시선을 고정한 채 정제 엄숙한 경외(敬畏)적 형상으로 그려졌는데, 이 같은 형상에는 일종의 신독 사유가 담겨 있었다. 신독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근독을 ‘하늘을 섬기는 일[事天之事]’로 풀이하는 것과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상제가 임한 듯 경건하게 행동하라는 것을 대월상제와 연계하여 이해한 것에는 윤리성 이외에 종교성이 담겨 있다. 이런 종교성은 구체적으로 사대부들이 제사를 지내는 초상화의 정제 엄숙한 몸가짐과 경외적 시선으로 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유교를 실천적 지도 이념으로 표방했던 조선조에 이르면 효(孝) 사상을 기반으로 한 추원보본 관념이나 경모 대상이 되는 숭현(崇賢) 사상에 따라 향사(享祀)에 쓰일 초상화 수요가 많아지는 특징을 보였는데, 제사에 사용된 이 같은 초상화에는 이상 본 바와 같은 종교성도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Dai Viet su ky toan thu and Samguksagi: the Dynamics of the Canon of History Books in Vietnamese and Korean Historiography

        최귀묵 ( Kwi Muk Cho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4 No.-

        중세시기 베트남 黎朝의 역사가인 吳士連이 <大越史記全書>를 완성하고 쓴序와 表, 그리고 고려의 金富軾이 <三國史記>를 편찬하고 올린 表를 비교·분석했다. 비교 논의를 통해서 역사 서술의 의의, 역사 서술의 방법, 민족 역사서와 동아시아 한문문명권 正典역사서의 관계에 대한 두 사람의 견해에서 뚜렷한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사람은 기존의 역사서를 개작하되, 유학의 역사관에 입각하여 관점을 재정립하고 간결하고 함축적인 문장[古文]으로 기술하며, 중국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담도록 했다. 그런 노력이 결실을 맺어 <대월사기전서>와 <삼국사기>는 오늘날 자국에서 정전 역사서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두 역사서는 동아시아 한문문명권에서 문명권의 정전을 수용해서 민족의 정전으로 재창조해 내는 역동적인 시도를 보여주는 모범적인 사례라고 평가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deepen understandings on canonical history books established in medieval Vietnam and Korea. For this I have analyzed two writings written by a medieval Vietnamese historian, Ngo Si Lien, and a writing written by a medieval Korean historian, Kim Bu Sik. Ngo and Kim rewrote history books that were passed on and clearly delineated their reasons for such editing in a letter to the King. Ngo and Kim worked in similar areas in medieval Vietnam and Korea. Ngo and Kim attempted to realize the conditions of the canon shared by the whole East Asian Sino-civilization - especially the system, text, narrating method and attitude, and historic consciousness - in narrating their national history, too. In other words, they made it their goal to rewrite history books and to elevate ethnic history books to the standards of the civilization``s canon. Toan thu and Samguksagi respectively written by the two, can be evaluated as a model cases that display active effort to recreate an ethnic canon by incorporating the East Asian Sino-civilization``s canon.

      • KCI등재

        전근대 베트남人의 歷史認識

        劉仁善(Yu In-sun) 동양사학회 2001 東洋史學硏究 Vol.73 No.-

        What was the Vietnamese perception of their own history in premodern times? This study is an effort to shed some light on this question on which few studies have been done so far. The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at of Le Van Huu and Ngo Si Lien who are the two of the most well-known historians in traditional Vietnam. Le Van Huu is the compiler of the Dai Viet Su Ky in 1272 which covers the period from Trieu Da's reign in the third century B.C. to the end of the Ly dynasty(1009-1225). Ngo Si Lien compiled the Dai Viet Su Ky Toan Thu in 1479 which was th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Le Van Huu's Dai Viet Su Ky. Ngo Si Lien's book covers the period from the very beginning of Vietnamese history to the end of the Tran dynasty(1225-1400). What the two historians attract my attention is their comments on the historical persons and events which are intended to teach the lessons of the past in order to instruct the people, especially the rulers and those in the ruling class, living in the present and future. Le Van Huu and Ngo Si Lien have the different perception of history mainly because they lived in the different period of times. When Le Van Huu compiled his book, the Tran dynasty was facing the possible invasion of the Mongols. Therefore, he was more concerned with the national security than any thing else. Under these circumstances, he was interested in the persons who kept Vietnam independent from the Chinese invasion and its stance equal to China. This is why he highly praised those persons, such as Trieu Da and Dinh Bo Linh. As an Confucian scholar, he was also opposed to the influence of Buddhism on the royal courts. However, he did not mention his opposition to it directly. The reason seems to be that Buddhism was prevalent throughout the Tran dynasty. Unlike Le Van Huu, Ngo Si Lien's main concern was with the spread of the Confucian classical wisdom like "righteous duty", "humaneness", "husband wife relationship", etc. The reason is that he compiled his book under the rule of Le Thanh Tong who, more than any monarch before him,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nfucianism. Therefore, he condemned Dinh Bo Linh' s practice of polygamy, and Le Hoans making himself emperor, dethroning Dinh Bo Linhs son. He also criticised the Tran emperors' protecting Buddhism. On the other hand, he showed an interest in keeping national independence. It is because he worried the reinvasion of China in the future if the Le dynasty would get weak. To sum up, Le Van Huu is more concerned with Vietnamese equality to China than the spread of Confucianism. In contrast with Le Van Huu, Ngo Si Lien is more interested in the spread of the Confucian ideology than the Vietnamese independence from China.

      • KCI우수등재

        邊境의 불안정성과 明 洪武帝가 大越을 대하는 태도

        송미령 동양사학회 2024 東洋史學硏究 Vol.166 No.-

        This article aims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China and Dai Viet at the end of the 14th century was affected by the instability of the southwest frontier and the north frontier. Previous studies have attributed the stability of relations with Dai Viet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ongmu to the emperor's indifference to the country. They also suggest that his formulation of the principle of not going to war with his fifteen neighb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lations with the Dai Viet. However, Emperor Hongmu was not indifferent to the political upheaval in Dai Viet. He also kept a close eye on political fluctuations in Dai Viet, such as usurpations, and used them to his advantage in the Ming dynasty. In other words, it was necessary for Dai Viet to maintain relations with the Ming China for political reasons, and the Ming China capitalized on this. The Ming China's treatment of the Dai Viet, while ostensibly benevolent, was actually a military threat. In other words, the Ming China practiced a ‘Diplomacy with power’ based on military power rather than relying on authority based on culture or ritual.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ongmu, the Ming ruled the southwestern frontier region through alliances with local chiefs. However, the alliance was not solid. As a result, Emperor Hongmu was unable to go to war with a country that he had a conflict with. In addition, Emperor Hongmu believed that the Mongols would soon attack the Ming with a large army. For this reason, he could not go to war with the Dai Viet. Thus, by the end of the Hongmu Emperor's reign, the Ming borderlands were unstable, and this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g and the Dai Viet.

      • KCI등재

        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주성지 ( Joo Sung-j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3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시대 편년자료부터 개인의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검색을 통해서 중요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국측 사료(명·청실록, 중국정사 외국전)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외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의 전근대 역사자료를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고전적 중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사료 중 史部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역사정보화의 경험을 살려 베트남에서 역사자료를 어떻게 구축한다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via the network, having huge impacts on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etnam has made progress to a certain degree, being active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t is, however, difficult to do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since there is no easy access to it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and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Vietnamese history based on the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vailable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the topic by introduc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ere are variou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in South Korea from the chronological materials of Joseon including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one can fi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search effort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China`s historical materials(the annal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ooks on foreign states i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vailable in South Korea. It also introduced oversea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and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Also introduc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web site that converted classical images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Vietnam into digital ones and made them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its detailed materials. It, in particular, analyzed and catalogued the historical materials classified as Sabu(史部) provided by the 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 in the U.S.A.. Finally, it made proposals about how to establish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Vietnam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