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도원 주인의 비유와 마태의 의도

        전병희(Jeon, Byenghee) 한국신약학회 2017 신약논단 Vol.24 No.2

        이 논문은 마태복음에만 등장하는 ‘포도원 주인의 비유’(마 20:1-16)가 마태공동체의 정황과 마태의 의도를 반영한다고 간주한다. 포도원 주인의 비유는 그 문맥과 위치 때문에, 제자들의 보상 요구에 대한 예수의 또 다른 응답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자들은 그들의 변화유무에 따라 먼저 된 자도 나중 된 자도 될 수 있는 교정 가능한 인물들로 그려진다. 포도원 주인의 비유에서 먼저 온 자들은 그들 스스로를 ‘우리’로 나중 온 자들을 ‘그들’로 지칭하며 분리를 시도할 뿐만 아니라, 나중 온 자들과는 다른 대우받기를 요구한다(마 20:12). 비유 속에 묘사된 이 같은 보도들을 통해, 마태공동체안 다른 구성원들과 구별되는 대우를 요구하며 분리를 시도하는 그룹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마태가 등장시킨 포도원 주인은 한 데나리온을 지급함으로 이러한 분리를 차단한다. 모든 일꾼들에게 동일하게 지급된 한 데나리온은 마태공동체가 지향한 평등공동체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외부적으로 포도원 주인의 비유는 로마 제국에 만연된 구조적 실업의 문제를 폭로한다. 비유에 나오는 모든 일꾼들은 ‘일이 없이’(άργός) 광장에서 서 있던 자들이었다(마 20:3, 6). 구조적 실업의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대지주화에 있었고, 당시 지중해의 패권을 지닌 로마 제국은 대지주들의 토지 수탈을 묵인하였다. 비유 속 포도원 주인은 후원자체제에 익숙한 마태의 청중들에게 ‘후원자 같지 않은 후원자’로 연상될 것이다. 왜냐하면 직접 일꾼을 고용하기 위해 찾아 나서는 파격과, 계속해서 일꾼들을 고용하는 방식, 그리고 그의 눈에 보이는 모든 일꾼들을 쓰임 받게 만드는 그의 의지가, 포도원 주인의 행동과 원칙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포도원 주인의 행동과 원칙은 인간적인 인과율과 기준을 넘어서는 하늘나라의 속성을 보여준다. 이것이 마태가 하늘나라를 포도원주인에 빗대어 설명한 까닭이다. In this study I propose to read the Parable of Landowner of Vineyard (Matt 20:1-16) in the context of the Matthean community. The workers who started earlier, “we,” were trying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ey,” who came later. The former demands for a compensation greater than what the late-comers are given. The course of events accounted in this story reflects the discordance between two groups within the Matthean community. Just like the narrative setting of the parable, the first-century Mediterranean was ridden with unemployment and the landlords of large estates and farms were liable to exploit cheap labor, a social problem condoned by the Roman government. The owner of the vineyard, on the other hand, in the narrative refuses to differentiate the wages among workers and pays an equal amount, one denarius, for everyone. Matthew’s audience would have found him to be dissimilar from ordinary landlords in their neighborhoods. He would have been considered “not like a Roman patron.” The owner’s behavior reveals the nature of the Kingdom of Heaven; not only was it distinct from the contemporary social norm of the time, it was superior to the way in which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 operated in the Greco-Roman world. Thus, the parable functions as a social vision according to which the Matthean community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he outside world and became convinced of their unique identity as an egalitarian community.

      • KCI등재

        심리적 주인의식이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준구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

        조직은 구성원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기를 원하고 있다. 국내 ‘100대 기업의 인재상’을 분석한 보고서에따르면, ‘주인의식’은 44개 회사가 인재상에 포함하고 있어, 전체 5번째 순서를 기록하였다. 이처럼 조직에서구성원의 ‘주인의식’을 강조하면서 조직행동 분야에서도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적 주인의식을 높이는 요인과 심리적 주인의식의 결과를 찾고자 하는 노력에도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먼저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할 외 행동(예: 조직시민행동 등)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존재하지만, 심리적 주인의식이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어떠한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의 효과는 상황에의하여 촉진되거나 제한되기 때문에 조직 상황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러한관점의 연구를 쉽게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구성원의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고, 조직 상황적 요소로서 갈등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갈등을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차별적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국내 4개 조직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18개의 자료를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주인의식이 조직 구성원의 역할 외 행동인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발언행동간의 관계에서는 과업갈등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도움행동간의 관계에서는관계갈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과업갈등을 낮게 지각하는 집단에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증가에 따라 발언행동도 증가하였으나, 과업갈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집단에서는 심리적주인의식이 높아질 때 발언행동이 조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관계갈등의 조절효과도 확인할수 있었는데, 이는 가설과는 다른 방향으로 유의함을 보였다. 즉, 관계갈등을 낮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심리적주인의식의 증가와 관계없이 높은 수준의 도움행동을 유지하였으나, 관계갈등을 높이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심리적 주인의식이 증가할수록 도움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구성원들의주인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동시에, 상황적 요소인 갈등을 잘 관리해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organization is rapidly changing, such as globalization,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marcation of each field. Organizations therefore emphasize innovation for change and survival, and require members to quickly adapt to the environment through flexible thinking. In particular, organizations are demanding that their members have 'ownership'. According to a report analyzing the talents of the top 100 companies in Korea, 'ownership' was included in the talent list by 44 companies. The organization emphasizes the 'ownership' of the members,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organization members is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re are two main trends in psychological ownership. First, to find the antecedent factor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sychological ownership. The second research trend related to psychological ownership is related to the result or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Despite efforts to find antecedents 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there are two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extra-role behaviors(e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how psychological ownership affects voice and helping behavior. Secondly, although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re facilitated or restricted by the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research of this viewpoint even though the organizational situatio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own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First, I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voice and helping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I tri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with conflict as organizational context factor.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 surveyed the members of four domestic organizations. A total of 150 subject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inally,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18 data. The questionnaire was paired with the boss and the organization members. First, organizational members responded to psychological ownership,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oice behavior and helping behavior were measured by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s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voice behaviors and help behaviors, which are behaviors extra-role of organization member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oice behaviors, it was confirmed that task conflicts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mastership and help behavior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conflic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helping behavior.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conflicts showed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hypothes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oretic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of the psychological ownership expanded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psycholoigcal ownership on the voice behavior and the helping behavior. Second, in this study, I identified discriminatory interactions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ownership affecting voice and helping behavior. The task conflict, which has a strong process,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oice behavior. Relationship conflicts with strong emotional characteristics confirm the differential effect of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helping behavior. Based...

      • KCI등재

        退溪의 主賓觀과 民主主義

        한승일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5

        A democratic society is a collection of citizens with diverse opinions. That is why the value of democracy shines when one's opinions are not considered unfair, that is, when they are right. The two impeachment trials in the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a good example of how democracy is progressing. Democratia(δημοκρατία), the etymology of modern democracy, means that the people have sovereignty.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king is called a host of people. If the host can not the role of host, he or she is impeached. A host of people and Democratia seem to be different concepts, but they are certainly similar in their appearance. Mencius understood his host and guest as a matter of the proprieties. The aspect of host-guest is neither the host nor the guest. However, if the host fails to be the host, and when the guest tries to be the host, he or she quickly fails to be in a relationship with the host-slave, and eventually, there is a Gapjil(갑질) controversy over the issue. It is clear that in a democracy everyone is the host, so who are the guests? I would like to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rough the "Diagram of the heart-mind connecting nature and emotion" of Toegye. Toegye places the painting as the host and the king Seonjo as the guest, in the book "Diagram of the heart-mind connecting nature and emotion" that was given to King Seonjo. These problems cause that king always looks south, which faces the people, to be viewed north. Toegye means that even the king must learn from his guests’ seats. In particular, the Xingqinglun(性情論) of the "Second Diagram of the heart-mind connecting nature and emotion" is a form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and it is said that king have to learn it. This learning position, the king who understood the position of guests, looks toward the people. Learning hosts do not judge their guests in their own way. In other words, they have the perception of the true host to understand the other person as he is. These hosts’ epistemology keeps an the proprieties of a all guest listening to all sounds. 민주주의 사회는 다양한 의견을 가진 시민들의 집합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자가 지닌 의견이 부당하다고 여겨지지 않을 때, 즉 그 의견이 올바를 때 민주주의의 가치는 빛이 난다. 대한민국 헌정 역사에서 겪었던 두 차례의 탄핵 심판은 민주주의가 얼마나 제대로 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사례이다. 현대의 민주주의를 일컫는 어원인 데모크라티아는 국민에게 주권이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임금을 인주(人主)라고 부른다. 주인이 주인 노릇 못하면 탄핵을 당하고, 탄핵을 하는 주인은 국민이다. 인주와 데모크라티아는 다른 개념 같지만,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 양상이 유사하다. 맹자는 주인[主]과 손님[賓]에 대해 예(禮)의 일로 보았다. 주빈의 양상은 언제나 주인이지도 않을 뿐더러, 언제나 손님이지도 않다. 그렇다고 주인이 주인 노릇 못하고, 손님이 주인 노릇하려하면 금세 인격적 주종 관계로 틀어지고 결국엔 갑질 논란이 일어나고 만다. 주인다운 주인, 손님다운 손님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민주주의에서 모두가 주인인 것은 분명한데, 그렇다면 손님은 누구일까? 필자는 퇴계(李滉, 退溪, 1501~1570)의 「심통성정도」에 나타난 주빈관(主賓觀)을 통해 이 문제의 해결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퇴계는 선조 임금에게 올린 「심통성정도」에서 그림을 주인의 자리에, 선조 임금을 독자, 즉 손님의 자리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문제는 항상 백성을 향하는 남면(南面)의 자리에 위치하는 임금을 북향(北向)시키고 있다. 아무리 임금일지라도 손님의 자리에서 배우지 않으면 안된다는 퇴계의 뜻이 표현된다. 특히 「심통성정도-중도」의 성정론은 인간 본성의 선함을 간직한 형태로서, 아무리 임금일지라도 이것을 배우고, 확인할 것을 말하고 있다. 이같이 배우는 자리, 즉 손님의 자리를 이해한 임금은 백성들을 향해 남면한다. 배우는 주인의 특징은 손님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재단하지 않는다. 즉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참된 주인의 인식론을 지닌다. 이러한 참된 주인의 인식론은 모든 소리에 경청하는 손님의 예(禮)를 지키게 된다.

      • KCI등재

        심리적 주인의식이 정보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원섭,김판영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4

        연구의 목적은 향상적 주인의식과 방어적 주인의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심리적 주인의식이 정보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에 있다. 이에 향상적 주인의식과 방어적 주인의식이 전보공유행동에 미치는 여향을 각각 규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텔종사원 340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을 획득하였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상적 주인의식의 구성 차원인 자기효능감은 정보공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향상적 주인의식의 구성 차원인 책임감은 정보공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향상적 주인의식의 구성 차원인 소속감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향상적 주인의식의 구성 차원인 자기정체성이 정보공유행동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방어적 주인의식은 정보공유행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호텔 운영에 있어서 주인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향상적 주인의식과 방어적 주인의식의 경영전략의 도입에 기반을 조성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hotel. Psychological ownership is composed of promo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reven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So, this study examined a moderating effect of promo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preven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Conducting 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40 hotel employees in south Korea. The statistical tools used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 package of SPSS(18.0).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Second, accounta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ird, belonging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Fourth, self-identity has can’t found the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Fifth, preven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is results reveal that operators need to focus on promo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reven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as a key operational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hotel.

      • KCI등재후보

        대행선관법의 체계에 대한 고찰(1) - 주인공관법과 증명관을 중심으로

        이상호(Lee, Sang-Ho)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3 No.-

        This paper examines the well-known 'Juingong contemplation method (主人空觀法)' and 'Verification contemplation (證明觀)'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 new term, the "Daehaeng-Seon Contemplation Method (大行禪觀法)" is necessary in order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contemplation methods (觀法) such as Juingong contemplation and others. First of all, the structures of both Juingong contemplation and verification contemplation consist of three stages: the gradual process of self-reflection, full-fledged Juingong contemplation, and verification contemplation. Juingong contemplation has four elements: believing, discarding, entrusting, and observing. These prove the value of Juingong in daily life. In addition to these four elements, self-reflection and verification are also required. These six elements are subcategories of the Daehaeng-Seon contemplation method and the practice of Juingong contemplation. Verification contemplation focuses solely on verification so it has no subcategories. The aim of both Juingong contemplation and verification contemplation is the manifestation of one's own Juingong. However, Juingong contemplation emphasizes 'daily living Seon (生活禪)' more which requires 'oneness of practice and daily living (生修不二)'. 본 연구는 학계를 통해 알려져 있는 주인공관법主人空觀法과 증명관證明觀 및 그 관계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주인공관법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이 필요하므로 ‘대행선관법大行禪觀法’이라고 하는 새로운 용어 사용을 먼저 제시한다. 대행선관법은 주인공관법과 증명관 뿐만 아니라 다른 관법들도 포함하여 하나의 체계로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주인공 관법과 증명 간의 체계는 주인공관법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자기성찰의 과정과 본격적인 주인공관법 및 그 결과로 나타나는 증명의 3단계가 있다. 자기성찰과 주인공관법 및 증명 등 3단계는 서로 차제성을 가진다. 일상생활을 대상으로 주인공발현을 증명證明하고자 하는 주인공관법에는 믿음, 놓음, 맡김, 지켜보기 등의 4가지 구성요소가 있으므로, 주인공관법에 자기성찰과 증명 등의 2요소를 덧붙인다면, 자기성찰, 믿음, 놓음, 맡김, 지켜봄, 증명 등 6요소가 된다. 이 6요소는 주인공관법의 수증체계이며, 대행선관법의 하위분류가 된다. 이 중에서 믿음, 놓음, 맡김, 지켜봄 등은 동시성을 가진다. 증명관은 증명에만 집중하는 관觀으로써 증명만을 위한 특화된 수행법이 될 수 있으나, 별도의 하위 구성요소가 보이지 않으므로 단일 관 수행법의 형태를 지닌다. 주인공관법과 증명관은 서로 동시에 수행하거나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주인공관법과 증명관이 다 같이 주인공발현을 목적으로 하지만, 주인공관법은 증명관에 비하여 생수불이生修不二를 지향하는 생활선生活禪의 경향이 더욱 강하다.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상사신뢰 및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MX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일,송경수,류태모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leader trus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mediated effects of LM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leader trus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ders' trust on their trust and their supervisor's psychological ownership by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which are sub-factors of leader trust. Second,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which are sub-factors of leader trus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positive variables such as self-identity,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which are sub-varian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Third, cognitive trust, authentic leadership, and subordinate factors of psychological self-consciousness, self-identity, and sense of belonging were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Emotional trust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responsibility, belonging, and identity,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ownership. Fourth, LMX has a negatively moderated-mediation effect of self-identity,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leader trus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der trust of members is the main variable between subordinate variable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ownership. Therefore, in corporate organizations, since leaders exercise authentic leadership, it is more important for employees to build trust in their bosses, giving them stronger psychological ownership.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해 있는 기업체에 근무하는 회사원을 대상으로 진성리더십이 상사신뢰 및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진성리더십과 상사신뢰 및 심리적 주인의식 간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여 리더가 진성리더십을 발휘함으로 구성원들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구성원들의 상사에 대한 신뢰가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첫째, 진성리더십은 상사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하위변인인 자기정체성, 소속감, 책임감 등 모든 변인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신뢰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신뢰와 진성리더십과 심리적주인의식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체성, 소속감 간에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신뢰와 심리적 주인의식의 하위요인인 책임감 간에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신뢰가 진성리더십과 심리적주인의식의 하위요인인 책임감, 소속감, 정체성 간에 모두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LMX가 진성리더십과 상사신뢰의 하위요인과 심리적주인의식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체성, 소속감, 책임감 간에 모두 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 구성원의 상사신뢰는 진성리더십과 심리적주인의식의 하위변인 간에 주요한 변인임을 확증하였다. 따라서 기업조직에서는 리더가 진성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구성원들이 상사에 대한 신뢰를 고양시키는 것이 구성원들이 더 강한 심리적 주인의식을 갖게 된다.

      • KCI등재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향상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와 방어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 -

        김재윤,한태영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3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leader’s performance coaching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rough mediating effect of promo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The study also examined a moderating effect of preven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and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Conducting 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60 employees working in a various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leader’s performance coach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Second, it showed that promo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had fully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coaching and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ir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reven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motion-focuse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s. 본 연구는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개인이 대상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상태’로 정의되는 심리적 주인의식을 향상적 주인의식과 방어적 주인의식으로 구분하였으며, 그중에서 긍정적인 향상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방어적 주인의식이 향상적 주인의식의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직장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관계를 향상적 주인의식이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상적 주인의식과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서 방어적 주인의식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개인이 대상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상태’로 정의되는 심리적 주인의식을 향상적 주인의식과 방어적 주인의식으로 구분하였으며, 그중에서 긍정적인 향상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방어적 주인의식이 향상적 주인의식의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직장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상사의 성과코칭이 지식공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관계를 향상적 주인의식이 완전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상적 주인의식과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서 방어적 주인의식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하용규(Yong-Kyu Ha),강상묵(Sang-Muk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특등급 호텔기업 종사원의 심리적자본이 심리적주인의식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이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심리적자본이 심리적주인의식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이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열한 경쟁환경 하에 경쟁우위를 위해서 호텔산업의 조직관리 측면에 심리적자본의 중요성, 심리적주인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s of psychological capitals on the psychological ownershi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by employees in deluxe hotel located in Seoul.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s by employe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in hotel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sychological capitals direct impacts on psychological ownershi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And psychological ownerships influence mediating effect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o build organizational behaviors management systems on emphasizing of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apitals an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ownerships by employees on intense competing environments in hotel industry for competitive advantages.

      • KCI등재

        심리적 주인의식이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나영(Lee Na Young),송경수(Song Kyoung Soo),안종연(An Jong Yeon),김승민(Kim Seung Mi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4

        많은 기업들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기 위하여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실제로 변화에 성공하는 기업들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조직의 성공적인 변화를 위한 요인들 중 조직구성원의 변화몰입에 초점을 두고 있다. 조직구성원의 변화몰입은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에 기인한다. 심리적 주인의식이 변화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몰입이 조직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비교적 생소한 개념인 변화몰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심리적 주인의식의 함양을 통해 이러한 변화몰입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울경 지역의 일반기업 근로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실증분석에는 305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변화몰입의 하위 차원 중 규범적 변화몰입을 제외한 정서적 변화몰입과 지속적 변화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둘째, 변화몰입과 과업수행간의 관계에서는 변화몰입의 하위 차원 중 정서적 변화몰입과 지속적 변화몰입이 과업수행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구성원의 인식차원인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조직이 수행하고자 하는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변화몰입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몰입 중 정서적 변화몰입과 지속적 변화몰입이 조직 내 부여받은 과업수행의 성과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과업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넷째, 변화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변화몰입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변화몰입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과업수행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보였다. 조직구성원의 정서적 변화몰입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과업수행의 관계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개인의 인식 차원인 심리적 주인의식이 변화라는 제시된 상황에 대한 태도변수인 변화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행동변수인 과업수행과의 관계를 실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변화몰입의 일부 차원만 다룬 것에 반해, 세 가지 차원으로 요인분석하고 유의한 결과를 확인함으로서 다면적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실무적으로 성공적인 조직변화 실행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몰입이 중요하고, 조직이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몰입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에 관심을 기울여야하는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commitment to change of the factors for successful organizational change context. People develop feelings of ownership for a variety of object, material and immaterial in nature. This state is psychological ownership. Psychological ownership is a feeling of possession in the absence of an formal or legal claims of ownership. This study explored an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behavioral support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a potential mediating role commitment to change. In order to verify,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employee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region companies and 305 samples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positive impact on affective commitment to chang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o change, normative except continuance commitment to change. Second, affective commitment to chang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o change have positive impact on task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increased the commitment to change. Third, psychological ownership has positive impact on task performance. Forth, commitment to chang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ask performance. The hypothesis 4 on the mediating role of commitment to change on task performance was supported partially. Only affective commitment to change reveal a mediating effect.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mmitment to change and task performance. And commitment to change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ownership (especially feelings of ownership for the organization) and task performance.

      • KCI등재

        정의롭고 선한 포도원 주인의 비유

        김학철(Kim, Hak Chol)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4

        이 논문은 마 20:1-16의 비유를 정의와 호혜의 관점에서 조망하여, 비유 속 포도원 주인이 정의롭고 선한 행동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비유를 ‘정의롭고 선한 포도원 주인의 비유’로 명명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논증한다. 이 논문은 기존의 국내외 연구, 특별히 국내 학자들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점검한 후 이 연구가 ‘경제 정의’를 논한 연구의 맥락 속에 위치해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이전의 정의에 관심을 둔 연구들과는 달리 정밀하게 다듬은 해석 전망을 통해 본문을 해석한다. 곧 정의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와 1세기 진보된 농업 사회에서 발전한 상호 윤리 및 배분에 관계된 ‘호혜’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주인의 행동을 분석한다. 비유 속 주인의 비일상적 행동, 곧 그가 포도원 현장에 부재하지 않고 직접 일꾼을 여러 차례 고용하며, 임금 지불을 품꾼들이 알 수 있도록 역순으로 공개적으로 하며, 항의하는 일꾼의 대표자와 논쟁을 통해 자신의 뜻을 선언하는 등의 행동은 주인의 정의와 선함을 드러내는 행동이다. 마태의 예수는 이 비유를 통해 하늘나라는 비유 속 주인처럼 불의한 구조로 짜인 세계에서도 공동체의 복지와 안녕을 위해 정의를 행하고, 사람들 사이에 형성된 부정적 호혜 관계를 새롭게 전환하는 것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뜻을 땅에서도 이루는 일임을 가르친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owner in the parable (Mt 20:1-16) acts with justice and goodness toward vineyard laborers, and that it is proper to title him “the just and good vineyard owner.” After presenting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n the parable, this study introduces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on the issue of economic justice and elaborates on its interpretative concepts in the context of ancient Mediterranean society. We employ the notion of justice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nd reciprocity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in distributing wealth in the advanced agricultural society of the 1st-century Mediterranean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justice and reciprocity, the owner’s behavior is unusual in comparison with the contemporary absentee landowners: his presence with laborers, the five occasions of hiring (by the owner), the wage payment in reverse order, and the argument between the owner and the representative of the earliest laborers. The owner’s characteristic actions and words reveal his will to do just and good to his people. The Matthean Jesus teaches what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by making the owner an exemplar. His disciples must do justice in their unjust societies structured against their neighbors’ welfare and change a negative reciprocity into a positive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