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탁류』로서의 『탁류의 시간』 연구

        곽상인(Gwak Sangin)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이 글은 포스트 『탁류』로서의 『탁류의 시간』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준호의 『탁류의 시간』은 채만식의 서사를 고스란히 이어받으면서도 이를 확장하는 작품이다. 특히 패러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전과의 차이와 반복, 그리고 재탄생한 서사를 통해 확인되는 잠재성과 생성 등이 작품 곳곳에 배치가 되어 있다. 그 결과로 몇 가지 유의미한 점이 탁류의 시간에서 도출되었다. 일별하면 시공간의 확장, 역사적 사건 특히 한반도 및 주변국의 전쟁을 기반으로 한 사건의 확장, 새로운 인물의 탄생(출현), 초봉과 승재의 행동 변화, 인물의 악마성과 복수심리가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그러면서도 채만식의 『탁류』를 계승하기 위해 원전의 분위기나 대사, 인물의 형상 등등을 동궤의 선상에 놓았다는 점도 주목해야 했다. 궁극적으로 『탁류의 시간』은 채만식의 『탁류』를 꼼꼼히 읽게 하는 동력으로 작용한 작품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time of Takryu as Post Takryu. Lee Jun-ho"s time of Takryu was a work that expanded the narrative while inheriting Chae Man-sik"s narrative. In particular, there were differences and repetitions from the original that could appear in the parody. And the potential and generation of the re-enacted narrative were found throughout the work. As a result, several characteristics have been found in time of Takryu. The expansion of time and space, especially the expansion of historical events based on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ing countries., the birth of new characters and changes of Cho-bong and Seung-jae"s behavior, and the demonicity and reveng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were revealed in detail. At the same time, the atmosphere, lines, and figures of the original work were expressed in order to continue Chae Man-sik"s Takryu. Ultimately, time of Takryu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e-reading of Chae Man-sik"s Takryu.

      • KCI등재

        군중 속의 여자

        유인혁(In-hyeok Yu)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이 연구는 채만식의 『탁류』가 도시공간과 도시적 삶의 무질서를 재현한 텍스트라는 점을 논증하고자 했다. 이는 특히 초봉이 형보를 살해하기 전 도시를 배회하는 에피소드를 꼼꼼히 분석하는 과정에서 수행되었다. 이 장면에서 초봉은 정처없이 도시를 떠돌고, 이윽고 정념의 과잉상태 속에서 형보를 살해했다. 이러한 양상은 초봉을 결함이 있는 주체로, 『탁류』를 통속적인 소설로 해석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탁류』가 재현하는 무질서야말로 도시성의 진면목이며, 채만식은 이를 날카롭게 포착했음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세부 과정을 경유하였다. 첫째, 이 글은 초봉을 ‘여성 군중’의 구체적인 사례로서 분석했다. ‘여성 군중’이란 도시의 특권화된 주체로서 산책자와 대조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산책자는 대체로 남성으로 젠더화되며 군중의 수동성, 비이성적 측면은 대체로 여성 젠더와 공명한다. 초봉은 도시공간 내부를 ‘생각없이’ 이동하고, 냉철한 관찰력을 발휘하지 못하며, 현재나 미래에 대한 합리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이는 그녀를 군중의 한 사례로 환원시킨다. 그런데 채만식은 초봉이 바로 이러한 무계획성에 따라 형보를 살해하는 장면을 연출했다. 이때 초봉의 군중성은 합리적 계획으로 무장한 남성 지배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전환됐다. 이러한 점을 강조함으로써 산책자의 특권적 지위를 해체하고, 그 개념에 아로새겨져 있는 근대적 주체성에 대한 환상을 비판하고자 했다. 둘째, 이 글은 『탁류』가 초봉을 활용하여 근대적 무질서의 플롯을 연출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탁류』에서 초봉은 억압적인 타자를 극복하기 위한 합리적이거나 진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이것은 초봉을 결함의 주체로, 그리고 『탁류』를 통속적인 텍스트로 해석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초봉이 군중으로서 정처없이 움직이며 예측불허로 행동한다는 점은, 도시공간이 복잡하고 무질서하여 돌연한 마주침들의 연쇄를 만들어낸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이때 초봉은 단순히 무계획적인 인물이 아니라, 복잡한 도시공간의 ‘인식적 지도’를 작성하는 인물로 재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독법에 따르면 초봉은 무질서를 체현하는 주체로서, 근대성의 복합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표상이다. 이러한 주체는 한편으로 특권적인 주체(산책자)가 아니더라도 도시에서 능동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욱 중요하게는 이성과 질서라고 하는 근대성의 기표들을 반성하는 데 유용한 단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argue that Chae Man-sik’s Muddy Stream is a text that represents disorder of urban space and urban life. For this purpose, the scene that Cho-Bong wandering around the city before killing Hyungbo is closely analyzed. In this scene, Cho-Bong had wandered around the city, losing her ‘reason’, and soon killed Hyungbo in mindless rage. This led to the interpretation of Cho-Bong as a defective subject and Muddy Stream as a vulgar novel. However, this article tried to display that the disorder represented in Muddy Stream is the true face of urbanity, and Chae Man-sik sharply captured it. For this purpose, I passed through the following two detailed targets. First, I analyzed Cho-bong as a specific example of 'female crowd'. The term ‘female crowd’ is in contrast to the privileged urban subject, the flaneur. While flaneurs are generally gendered as male, the passive and irrational aspects of the crowd generally resonate with female gender. In Muddy Stream, Cho-Bong was unable to autonomously move, or observe the city like a flaneur. Instead, she became an anonymous monster, and becoming violent through irrational impulses. This disorder served as an ability to counter men armed with selfish rationality. By emphasizing this point, the privileged status of flaneur and the illusion of modern subjectivity had been scrutinized. Second, it was emphasized that Muddy Stream is creating a plot of modern disorder. In Muddy Stream, Cho-Bong failed to make a reasonable plan. In this reason, Cho-Bong has been interpreted as a defective subject. In addition, Muddy Stream was evaluated as a vulnar text. However, the fact that Cho-Bong moves aimlessly as a crowd and acts unpredictably is related to the complexity and disorder of urban space. In this point, Cho-Bong can be reevaluated as a person who creates a ‘recognitive map’ of complex urban spaces, not just an unreasonalbe person. According to this reading, Cho-Bong is a subject that embodies disorder and is a representation that reveals a complex aspect of modernity. She shows that she can exert active power in the city even if she is not a privileged subject, the flaneur. More importantly, she provides a useful starting point for criticizing on the signs of modernity called reason and order.

      • KCI등재

        한국 근대 농민의 문학적 재현과 수리복합체

        윤영옥(Yun Youngok) 한국언어문학회 2009 한국언어문학 Vol.69 No.-

        This research is concerned about the fact that the irrigation, the cultivation, the migration of peasants had been the social complex with mutu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quiry into that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Korean modern peasants novels were diverse and the differences of those methods implied social discoursive meaning. In modern Korean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egime,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rice had exercised a far-reaching influence on social structure, and mediated between the Korean peasants and the colonial authority with power. Japanese imperialism had need to provide the its people a consistent supply of rice and rice field for the colonial regime and the prosecuting wars. In the modern Korea under the colonial regime, ‘the irrigating-cultivatingmigrating of peasants’ had worked as social complex that interacted as a chain of social events. Japanese imperialists had progressed ‘the irrigation complex’ in a mutual cooperation of financial companies, the colonial polity, the military authorities, a police system, educational system, literary and culture, art etc. over various ranges. Korean modern novels had represented the irrigation complex in the various ways. This research looked at the facts that the representative ways of ‘irrigation complex’ had effected on its theme and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the irrigation complex, the novels that reflected’ the irrigation with cultivation and migration could represent those days’ social structure typically and totally. The novels that separated or limited the irrigation from its context could represent ‘constructively’ those days. Han Seolya’s ‘The Muddy Stream Trilogy (탁류 3부작)’ and Cho Jungrae’s 『Arirang(아리랑)』 had represented more reflectively ‘the irrigation complex’. Lee Taejun’s 『Peasants(농군)』 and Lee Kiyoung's 『A Son of the Earth (대지의 아들)』 had represented constructively. The novel that had been both reflective and constructive was Lee Kiyoung's 『Dumangang(두만강)』.

      • KCI등재
      • KCI등재

        채만식 장편소설의 신문ㆍ잡지 연재본과 단행본 비교

        최유찬(Choi, Yu-C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7 No.-

        채만식의 장편소설은 대부분 신문 ㆍ 잡지에 연재된 다음 단행본으로 발간되는 순서를 밟았다. 이러한 작품 발표 과정은 작가가 독자들의 반응을 통해 자기 소설의 장단점을 파악한 다음 퇴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유리한 여건을 제공한다. 더욱이 채만식은 자기 작품에 대한 문학계의 평가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여 논전을 펼쳤기 때문에 논점이 되는 문제에 대한 확실한 인식을 가질 수 있었고 그로 인해 단행본 출간을 위한 퇴고 작업은 매우 능률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사실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작품이 작가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탁류』와 『태평천하』다. 발표 당시 임화 등으로부터 세태소설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이 작품들을 퇴고하면서 작가는 소설의 주제를 더욱 명확히 하고 사건 전개 과정을 보다 짜임새 있게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두 작품의 신문 ㆍ 잡지 연재본과 단행본을 비교했을 때 『태평천하』의 퇴고작업이 묘사대상으로부터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지엽적인 사항들을 손보는 데 그쳤다면 『탁류』에 대한 퇴고작업은 문단을 새로 삽입하거나 삭제하고 장절의 구성을 개편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차이는 발표매체가 달라 잡지에 발표한 『태평천하』가 보다 작품의 형식을 정제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창작된 것이라면 신문에 매일매일 연재한 『탁류』는 그런 여가를 가지지 못한 채 발표된 데 원인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근원적인 이유는 『태평천하』가 풍자문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표층과 심층 사이에 큰 간격이 없는 데 비해 『탁류』는 표면과 내면의 이야기사이에 단절이 있는 사실과 연관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곧 『탁류』는 일제타도라는 주제를 알레고리적으로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섬세한 장치들을 마련하는 일이 필요했고, 그 작업을 위해 작가는 신문연재본에 대대적인 수정을 가했던 것이다. 『탁류』와 『태평천하』는 작가 스스로 자신의 후반기문학의 출발점이라고 했던 「명일」의 작품구조, 곧 플롯의 대응형태[parallelism]를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그러나 『태평천하』는 작품전체가 구절판과 같은 형태를 지니고 있어 시간성이 미약하고 공간성이 중시되는 데 반해 『탁류』는 한말의 역사를 초봉이의 인생을 통해 표현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작품 전체가 사회적 공간을 제시한 다음 그 현실이 어떻게 해서 조성되었는가를 제시하는 이 구조는 일찍이 1930년대 초 단편소설 「산동이」가 보여주었던 ‘0→’ 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먼저 현실을 나타내는 넓은 공간이 제시된 다음 그 현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화살표로 표시된 선분적인 형태의 이야기로 형상화하는 방식이다. 『탁류』에서 정주사가 등장하는 미두장의 장면이 일제에 의해 착취되는 조선민족의 현실을 나타내는 공간이라면 그 뒤에 전개되는 초봉이의 변전하는 운명은 선분적인 형태의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작가는 이 선분적인 이야기에다가 플롯의 대응형태라는 외피를 입히고 있다. 곧 하바꾼에게 멱살을 잡혀 캑캑거리는 정주사와 닮은꼴인, 장형보에게 거꾸로 들려 금방 숨이 넘어가는 송희의 모습을 뒷부분에서 형상화한 것이다. 여기에서 『탁류』는 「산동이」의 구조와 「명일」에 구현된 바 있는 플롯의 대응형태를 결합시킨 복합구조임이 드러난다. 바로 이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작가는 11장을 두 개의 장으로 나누어 장면전환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장면전환에 착목할 때 『탁류』에는 세 개의 장면전환이 있음을 알게 된다. 정주사 이야기에서 초봉이 이야기로 전환한 것이 그 첫째며, 고태수가 죽은 다음 초봉이가 군산을 떠나기로 결심하는 장면이 두 번째, 장형보와 계약을 맺음으로써 동거에 들어가는 순간 군산의 넓은 무대가 다시 등장하는 것이 세 번째의 장면전환이다. 『태평천하』가 풍자를 위해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는 수준에서 퇴고 작업이 이루어진 데 반해 『탁류』는 세 개의 장면전환을 뚜렷이 함으로써 작품에 역동적인 시공간을 만들어내고, 그 작업을 통해 일본제국주의의 타도를 형상화하는 항일문학으로서의 특성을 제고하고 있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ditions of Chae, Man-Sik’s major novel. Through the analysis we expect to discover some aspects that the writer should endeavor to represent in the novels.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editions of 〈Tae-Pyong-Chon-Ha〉. The writer only cut branches of the affair that deviate from the plot”s main stream. And he describes the characters and the events a little way off. The writer’s method for narration devotes to acquire objective attitude. On the contrary 〈Tak-Ryu〉’s revision have an serious impact on the character of the work. The writer frequently change the expression and the passage. Not so much he alter the structure of chapters. The effects of the writer’s revising works make a sharp clear out between three transitions in the whole work. The three transitions lay out four scenes of the work. The first scene represent the present state of Korean people who are subject to colonialistic Japan. Chung-Ju-Sa is the allegory of the Korean people. The second scene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 around 1900’s. The third scene express figuratively the act to overthrow the colonialist Japan. The fourth scene depict the wish for independence and future life planning of Korean people. Through this four scenes the readers catch hold of the allegory which is hidden from the sight. The meaning of the allegory is Korean people’s resistance against imperialistic Japanese.

      • SCOPUSKCI등재

        Difference between turbiditic and hemipelagic mudstones in PSG-3 well, Pohang Basin, based on sedimentary facies,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total organic carbon analysis

        조순미(Soonmi Cho),황인걸(In Gul Hwang) 대한지질학회 2024 지질학회지 Vol.60 No.3

        포항분지의 야외 노두에서 저탁류성 이암과 반원양성 이암은 풍화로 인해 구분이 어렵다. 하지만 시추된지 수 개월 이내의 신선한 코어에서는 육안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포항분지의 PSG-3공 내 저탁류성 이암과 반원양성 이암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구간(84.370-82.980 m)을 대상으로 퇴적상, 자기미세조직 및 총유기탄소 함량 분석을 통해 이들의 특성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저탁류성 이암은 암회색의 얇은 실트 층리 이암(퇴적상 1), 실트 줄무늬 이암(퇴적상 2), 파동형 실트 엽층리 이암(퇴적상 3), 괴상 이암(퇴적상 4)으로 구성된다. 괴상 이암은 암회색 괴상 이암(부퇴적상 4.1), 갈회색 괴상 이암(부퇴적상 4.2), 탄산염질 이암(부퇴적상 4.3)으로 세분된다. 저탁류성 이암(퇴적상 1-3, 부퇴적상 4.1)의 대자율이방성 분석 결과, 유체의 흐름에 평행한 조직, 사교하는 조직 및 직교하는 조직이 확인되며, 이는 세립질 입자가 퇴적면에서 미끌림 작용과 구름 작용으로 이동했음을 시사한다. 저탁류성 이암의 이방성정도(Pj)와 비늘구조 각(imbrication angle, )은 퇴적상 변화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저탁류 유속의 감소를 반영한다. 반면, 반원양성 이암은 실트와 생물기원 물질이 포함된 갈회색의 괴상 이암(부퇴적상 4.2)과 탄산염질 이암(부퇴적상 4.3)으로 구성되며, 대자율이방성 분석 결과 무작위적 배열과 흐름에 평행한 조직을 보인다. 이들은 수직적 침전에 의해서 퇴적된 것으로 보이나 일부 구간에서는 수직 침전 중에도 퇴적면에서 약한 흐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저탁류성 이암과 반원양성 이암의 총유기탄소 함량 분포 범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저탁류성 이암은 토탄파편 엽리가 발달해 있는 구간을 제외하고 상부로 갈수록 총유기탄소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반원양성 이암은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대규모 저탁류 이동 후 사면환경이 안정되어 쇄설성 퇴적물의 공급량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반원양성 이암 내 일부 실트 입도의 엽층이 협재하는 구간에서는 총유기탄소 함량이 낮다. 이는 저농도 저탁류의 유입으로 해석된다. Differentiation of turbiditic and hemipelagic mudstones is usually very difficult in outcrops in the Pohang. However,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two types of mudstones from fresh cores drilled within a few months. This study attempted to discri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turbiditic and hemipelagic mudstones through sedimentary facies,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 analysis in PSG-3 well (84.370-82.980 m interval). Turbiditic mudstones can be divided into thin-bedded silt laminated mudstone (Facies 1), silt-streaked mudstone (Facies 2), wavy silt laminated mudstone (Facies 3), and homogeneous mudstone (Facies 4). Facies 4 is further subdivided into gray homogeneous mudstone (Subfacies 4.1), brownish gray homogeneous mudstone (Subfacies 4.2), and calcareous mudstones (Subunit 4.3). In the turbiditic mudstones (Facies 1-3, and Subfacies 4.1), magnetic fabrics reveal parallel, oblique, and transverse fabrics, suggesting that the fine-grained sediments moved on the depositional surface as sliding and rolling. Additionally, the degree of anisotropy (Pj) and angle of imbrication () gradually decrease within turbiditic mudstone, suggesting a decrease in flow velocity of the turbidity current. Hemipelagic mudstones show randomly oriented fabric with a few flow aligned fabrics.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deposition under suspension fallout with some influence of weak flows on the depositional surface. The TOC contents tend to decrease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turbiditic mudstones, except for intervals with abundant lignite fragments. On the other hand, TOC contents increase in the hemipelagic mudstones, suggesting a decrease in detrital sediments supply due to stabilization of the slope after the large-scale turbiditic event. In some parts of hemipelagic mudstones, thinly interbedded silt layers show low TOC content suggesting the influx of low-density turbidity currents.

      • KCI등재

        채만식 『탁류(濁流)』의 "장소(場所)"에 관한 일 고찰

        임명진 ( Myung Jin L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9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채만식의 대표작 『濁流』(1939)에 나타난 ‘장소’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는, 그의 다른 작품에서도 그러하듯이 극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 있다. 주로 소설의 서두에서 공간적 배경을 통해 극적 요소를 강화한다. 이런극적 요소는 공간적 배경을 부각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소설 안에서 공간적 배경은 차츰 ‘장소’로 그 성격이 변화되어간다. 이 작품에서 중요한 장소는 ‘금강 하구’, ‘정주사의 집’, 그리고 ‘군산미두장’이다. ‘금강 하구’는 독자를 텍스트 소통상황으로 안내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그러면서 ‘행동적내부성behavioral insideness’이나 ‘부수적 외부성incidental outsideness’의 장소 정체성을 지닌다. ‘정주사의 집’은 그 가족 간의 진정성과 정서적 교감이 결여된 장소이다. 그래서 그곳은 ‘객관적 외부성(objective outsideness)의 정체성을 갖는다. 한편 ’군산미두장’은 당시 식민 자본의 왜곡상과 부정성을 표상하면서, ‘행동적 내부성(behavioralinsideness)’ 또는 ‘감정이입적 내부성(empathetic insideness)’의 장소 정체성을 지닌다.『濁流』의 여러 장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곳은 ‘미두장’이다. 미두장은 매우 선명한‘장소감(sense of place)’을 통해 식민지 자본주의의 부정성과 왜곡상을 부각하기 위한장소로 기능한다. 이 작품의 주요 인물(정주사·고태수·장형보·박제호)들은 모두 식민자본의 하수인이 되어 도덕·양심을 내팽개쳐 버린 사람들이다. 그들을 통해 당시 황금만능사상이라는 모순된 가치관이 이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濁流』의 장소들은 각기 독특한 장소 정체성을 갖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미두장’이란 장소는 가장 선명한 ‘장소감’을 보여준다. 이런 선명성은 일제강점기 식민자본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이 작품의 주제를 부각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places’ in Tark-ryu(A Muddy Flow- 濁流, 1939), the representative work of Chae, Man-sik. The dramatic elements are revealed strongly in Tark-ryu. In the beginning of this novel, the writer bring into relief a spacial setting. By the way the setting functions as a ‘place’, not a ‘space’. The important places of this novel are ‘the mouth of Keum-river’, ‘the Mr. Joung´s home’, and ‘the exchange market of rice ticket(Midoojang) in Kunsan’. ‘The mouth of Keum-river’ is the place of a gateway that invites the readers into the text communication condition. The place identity of it is a ‘behavioral insideness’ or ‘incidental outsideness’. ‘The Mr. Joung´s home’ is the place that a authenticity and a emotional rapport among the Joung’s family are lacked. Then the place identity of it is ‘objective outsideness’. ‘Midoojang in Kunsan’ is the place that represent the distortion of the colonial capital. And it present the place identity of ‘behavioral insideness’ or ‘empathetic insideness’ ‘Midoojang in Kunsan’ is the most important place. That place roles a functions that emphasize the injustice and distortion of the colonial capitalism in 1930’. The main characters in this novel(Mr. Joung, Ko Tae-soo, Jang Hyung-bo, and Park Jae-ho) are the perpetraters of the colonial capital. Therefore, All of them intertain a contradictory perspective To sum up, the places in Tark-ryu each has a unique place identity. In specialty, ‘Midoojang in Kunsan’, the most important place represent the vividest sense of place. This vividness strengthen the theme of this work that criticize the problem of capitalis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나쁜 피’ 혹은 매독과 광기의 서사

        서희원(Suh, Hee Won)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2 No.-

        『탁류』의 서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때 중요한 것은 일종의 상품으로 물화된 초봉의 이동과 그녀의 병든 육체를 따라 움직이는 매독의 전염이다. 매독은『탁류』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이 걸리게 되는 질병이자 그들의 육체와 정신을 훼손하는 근원이기도 하다. 매독은 ‘탁류’로 표현되는 식민사회의 혼돈된 징후성에 대한 일종의 알레고리이며, 그들의 육체와 정신, 사회적 관계를 심각하게 파괴하는 실재의 질병이다.『탁류』에서 매독을 일종의 은유로 해석하는 것은 그것이 작품에서 기능하는 서사적 의미의 절반만을 읽어내는 방식이라고 판단한다. 이 소설에서 매독은 단순한 사회적 욕망과 광기의 상태를 징후적으로 표현하는 은유가 아니라 실제 등장인물의 육체를 파괴하고 아울러 정신까지 훼손하여 주변의 인물들을 파멸시키고 살해하는 근본적인 병인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채만식은 매독에 대한 상당히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질병이 개인의 육체적 죽음과 정신적 파괴, 그리고 사회적 몰락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정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채만식의『탁류』를 전체적으로 읽을 때 중요한 것은 초봉(정주사 일가)의 서사가 식민지적 공간에 대한 정밀한 축도(縮圖)로 작용하고 있는가, 그리고 초봉의 몰락을 확장했을 때 그것이 식민지적 실재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확대와 심화를 연결하며 소설과 사회를 서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관 맺고 있는 것이 물화된 육체(돈)와 병든 육체(매독)이다. When overviewing the narrative of Tak-Ryu,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s is to grasp how Cho-bong reified as a commodity is moving and how her contaminated body is spreading syphilis to others over the course of her moving. Syphilis is the cause itself that does fatal damage to their bodies and minds, as well as a contagious disease that most characters become infected with. Futhermore, syphilis acts as an allegory for the chaotic symptoms of a colonized society as the expression Tak-Ryu indicates, beyond the fact that it is a real disease destroying the bodies, minds and social relationships of the colonized people. I think that seeing syphilis as a metaphor is not enough because such interpretation can, at most, illuminate only half of the narrative meaning which it assumes in this work. Rather, syphilis is not just a metaphor that represents the desire and madness of the society, but a real and physical condition that makes the bodies and minds of the characters break down, destroying and killing others surrounding them. The author Chae Man-sik, in reality, had a lot of knowledge about this illness and was fully aware of the complicated ramifications in which it brings about the break-down of one society as well as the madness and deaths of the infected. In short, when reading Tak-Ryu, two key questions are to be answered. One is how much the narrative of Cho-bong becomes the concise epitome of the colonized space. The other is how much the downfall of Cho-bong leads readers to gain insight into the colonial reality. In trying to answer the two questions, I finds out that it is at once the reified body (money) and infected body (syphilis) that makes it possible to weld this novel and the society narratively.

      • KCI등재

        세태의 재현 혹은 교환 구조의 안과 밖 - 채만식의 『탁류』를 중심으로

        류경동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state represented in Chae Man-shik's <Takryu>. From the analysis, this paper would like to look at changes in the order of capitalism, changes in the value system, and aspects of colonial malformed economic structures in 1930's. Based on this, this paper would like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Chae Man-sik projected in <Takryu>. In this novel, those who fail to exchange are brought down, while those who succeed in exchanging make inroads into larger markets through capital growth. ‘Chobong’ and ‘Jungjusa’, which were inexperienced in exchange, are doomed. But ‘Park Je-ho’ and ‘Chang Hyung-bo’ succeed in accumulating capital. In this novel, if ‘Park Je-ho’ represents the movement of capital flowing along the structure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ng Hyung-bo’ implies the predatory nature of capital and the deformity of the colonial financial industry. On the other hand, ‘Nam Seung-jae’ is a figure who maintains his positivity by refusing to be incorporated into the exchange structure in the novel. He represents life outside the exchange order by treating the poor through free medical care. In the novel, it reveals the limits of ethical and enlightening poetry embedded in Seung-jae's free medical treatment. Howev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alary with the sociological perception, it opens the door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 structural 이 논문의 목적은, 채만식의 『탁류』에 재현된 세태의 양상을 고찰하고, 이로부터 자본주의적 교환 질서와 가치체계의 변화, 식민지의 기형적인 경제 구조의 양상을 살피고 이들의 재현에 투사된 채만식의 의식과 태도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탁류』의 서사는, 교환에 실패한 자들의 몰락 과정과 교환에 성공한 자들의 자본증식 과정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교환에 미숙했던 초봉과 정주사가 파멸에 이르는 반면, 박제호와 장형보는 빠른 계산과 판단으로 자본 축적에 성공한다. 『탁류』에서 박제호가 생산과 유통의 구조를 따라 흐르는 자본의 운동을 표상한다면, 장형보는 자본의 약탈적 속성과 식민지 금융 산업의 기형성을 암시한다. 승재는 채만식의 소설에서 드물게 긍정성을 유지하는 인물이다. 그는 무료 진료를 통해 가난한 사람을 치료함으로써 교환질서 바깥의 삶을 표상하는 인물이다. 『탁류』는 승재의 무료 진료에 내포된 윤리적이고 계몽적인 시혜의 한계를 드러내면서도, 계봉의 사회과학적 언어와의 결합을 통해 구조적인 인식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의사이자 자연과학도인 승재와 그의 상상에는 암울한 현실 너머의 삶에 대한 작가의 안타까운 열망이 담겨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초봉의 우발적인 살인으로 『탁류』의 서사는 급격히 종결된다. 파토스 과잉의 서사적 파국은 초봉의 구출을 둘러싸고 제기될 법한 전도된 현실에 대한 의문을 봉쇄해버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탁류』는 식민지 경제 질서의 기형성과 그로부터 파생된 실업과 약탈적인 자본의 속성을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한 문학적 성과라 할 수 있다.

      • 오끼나와 해곡 주장사료 퇴적물에 대한 저서생 유공충의 군집변화와 지역해 고환경변화

        현상민,Hyun, Sang-Min 한국제4기학회 2009 제사기학회지 Vol.23 No.2

        To investigate the paleoceanographic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Okinawa Trough, Japan, a piston core (RN88-PC5) was conducted on benthic foraminiferal species composition, assemblage, sedimento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es. Trubidite sediment intercalated in studied core contains different benthic foraminiferal species, dwelling in shallow coral reef species, from normal hemipelagic sediment. These different benthic foraminiferal species and its assemblage are interpreted as reworked sediment when turbidite current occurred, synchronically. Grain size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mean grain size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rubidite and hemipelagic sediments. Geochemical analysis also showed the difference of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two sedimentary facies. Results of the foraminiferal oxygen isotope analysis showing global surface water warming records since the last 10 ka. The geochemcial analysis and previous works showed that turbidite sediment of studied core indicating sporadic occurrence of regional paleoceanographic events. Assemblage of shallow coral reef benthic foraminifera especially occurred with turbidite layer clearly support the sporadic occurrence of paleoceanographic events such as regional earthquake. 오끼나와 해곡 (Okinawa Trough)의 고해양 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동 해역에서 얻어진 주상시료(RN88-PC5)를 이용하여 저서성 유공충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그 외 퇴적학적, 지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탁류 퇴적물(turbidite sediment)을 협재한 주상시료는 같은 코아에서 나타나는 퇴적물인 반원양성 퇴적물 (hemipelagic sediment) 특성과는 다른 천해지역 산호초에 서식하는 저서성 유공충 종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이들 천해역 저서성 유공충은 저탁류 퇴적물이 퇴적될 때 동시적으로 재동, 운반되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주상시료 퇴적물에 대한 입도분석 결과는 저탁류퇴적물과 반원양성 퇴적물과의 뚜렷한 입도변화를 보일 뿐만 아니라 두 퇴적물간에는 화학적 조성차이도 잘 보이고 있다. 부유성 유공충에 대한 산소동위원소 기록은 동 연구지역 표증해양이 홀로세에 들어서서 따뜻해지는 범 지구적인 기록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학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하면 연구주상시료의 저탁류 퇴적물은 지역해의 고환경 기록인 저탁류 퇴적물의 주기적인 발생을 잠재적으로 지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안 산호초지역에 서식하는 천해성 저서 유공충군집이 저탁류 퇴적층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지역해에서 지진과 같은 고해양학적 사건이 주기적으로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