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교 경애법도량 자비도량참법 연구

        강향임,강대현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89 No.-

        There is a Buddhist service with a protocol for repenting crimes based on compassion in this life. It is called Jabidoryangchambeop. Namely, in the present age, the way to eliminate all karma or ignorance of all sentient beings is the mercy ritual method in this life. Therefore, this protocol for repenting crimes is an exemplary ritualist law that reflects on one’s own sins and causes correct action for all,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Jabidoryangchambeop is to help all the senteint beings to be rescued in mercy and to be defended by the Buddha- dharma. This is based on the contemplation of the dharma body of Mahayana Buddhism. All the sentient beings of six destinies have the potential to be saved from each location, and they all may become Buddhas as a dharma-body. One of the esoteric rituals based on the contemplation of the dharma body is homa [internal fire ritual]. It is the internal fire ritual that is not based on the external protocol of homa but on various ideological offerings to the main object of veneration. In this paper, we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endearing dharma [vaśī-karaṇa] of these homa can be related to the doctrinal claims of Jabidoryangchambeop. Therefore, the Buddhist service with the protocol for repenting crimes based on compassion concentrates on the penitentiary method of Buddhism that prays even for all the sentient beings in the world of other lands together through the esoteric ritual. In this way, the Jabidoryangchambeop [or Cibei daochang chanfa] can be regarded as the consummate skillful means for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re-births based on the dharma body Buddha. 현세에서 자비도량을 개설하여 자신의 죄업을 참회하고 나아가 육도를 윤회하는 일체중생을 평등한 마음으로 여기는 법회[도량]가 자비도량참법이다. 그러므로 이 참법은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일체중생을 위한 올바른 행을 일으키는 모범적인 의례이고 법칙이다. 이러한 자비도량참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육도중생을 자비심으로서 그들의 구제를 돕고 불법의 옹호를 받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는 대승불교의 불신관이 자리하고 있음으로써, 육도의 일체중생이 각각의 도상에서 구제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들 모두가 하나의 법신으로서 성불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법신관에 기인한 밀교수법의 하나가 호마법[내호마법]이라고 할 수 있다. 외형적인 호마의식에 의거하지 않고 본존을 향한 관념적인 제반의 공양이 곧 내호마법인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호마법 중 경애법이 자비도량참법의 교학적 대의와 연관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자비도량참법은 지옥이나 아수라ㆍ축생 등의 경지에 있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차원이 낮은 구원 방편의 일종인 밀교 호마법 중 경애법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경애법은 경애만다라로도 나타나 밀교의궤적 양상으로도 정의되고 있으며, 또한 『자비도량참법』의 밀교 경애법식을 통하여서는 삼선도인 천도, 수라도, 인도로부터 삼악도인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의 순서로 경애법이 시설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13세기 高麗 釋讀口訣本 『慈悲道場懺法』 卷4 殘片의 구결 소개

        남권희,남경란 국어사학회 2016 국어사연구 Vol.0 No.22

        이 글은 고려시대에 간행된 불경 『慈悲道場懺法』 가운데 경북 경주시 기림사에서 발견된 자비도량참법 권4의 단편들을 소개한 것으로 『자비도량참법』 권4의 단편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석독 구결의 문자 체계와 특징을 소개하였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간행된 『자비도량참법』의 이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다른 본들은 조선 초기에 개판(開板)한 것이 대부분이고, 고려시대에 간행되었더라도 구결이 기입되어 있지 않는 것이 많다. 그런데 이번에 소개되는 자료는 『大方廣佛華嚴經䟽 권35』와 마찬가지로 기입된 구결이 정교하고 뚜렷하여 구결 자형의 독법과 문자 체계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는 점, 기입된 구결의 특징이 고려 말의 구결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국어학적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이 자료에 사용된 석독 구결 자형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甲, 及 ’의 54가지이다. This study introduces Gugyol of Seokdokkugyol materials Volume 4 among the Buddhist scriptures in Goryeo edition 『Jabidoryangchambeop』 which housed at Girimsa Temple in Gyeongju city,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There are many different editions of 『Jabidoryangchambeop』 from Goryeo to Joseon period, but most of them published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Although they printed in Goryeo period, there are many editions not rendered into Gugyol. However, this material is the same as 『Daebang Gwangbul-Hwaeomgyeongso Volume 35』 since used Gugyol is delicate and distinct. So it could be further enhanced by reading methods of Gugyol letter type and the writing system. At the same time, used Gugyol in this book has the same features as one in the end of Goryeo period, so it could be a valuable material on Korean linguistic study. All 54 Seokdokkugyol letter types are use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甲, 及 .

      • KCI등재후보

        ‘자비도량참법’을 중심으로 본 기도의례

        황금연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6

        Among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of religion, rituals are the two wings that support religion along with the doctrine advocated by the religion. It is clear that Buddhism has a very refined ritual among many religions. Buddhists form a consensus with faith and belonging as one of the Buddhists while sharing various rituals. Among the many rituals of religion, the prayer adopted in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toward the religion of all religious people.In this paper, among many prayer rituals, the typical form of prayer rituals was examined through the ‘Jabi-Do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The key to prayer is the combination of the fundamental power of the wish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 to rescue the people with the “harmony of one’s own efforts and the power of others” and the prayer’s earnest will to overcome hardships. That is the achievement of prayer and the nature of prayer. The heart of prayer is turn to ,worship, offer a memorial service, and praise. The ‘Jabi-Doyang-Chambeop’, which is the center of this paper’s consideration, has several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First, it is organized in the order of ①Chan(praise)→②admission to penance③ →the text of penance→④Chan(praise)→⑤free from penitence→⑥Chan(praise) →⑦bring up admiration. All three of the repeated Chan(praise)and Geochan(bring up admiration)have different personalities. Second, in the Chan(praise)of the introduction, the example of Maitreya Buddha and the past Chilbul must be posted. Third, the Buddha offering rituals is generally not constant from 28 to 10, but Maitreya Buddha and Sakyamuni Buddha are named first throughout the 10 volumes. In addition, the Bodhisattva is usually honored by two to four people, but at the end, it is bound to be the Bodhisattva of Guanyin. Fourth, each volume is entitled to a total of 38 paragraphs, and this penance law ends with the content of repentance and exhortation of its virtues. Fifth, although the source of the scripture cited in the Chambeop was not clearly stated, the 10 Bodhisattva statues in Hwaeom(華嚴), from Volume 1 to Volume 10, were the object of worship, indicating that the thoughts of Hwaeomgyeong(華嚴經)and other Buddhist scriptures were incorporated throughout. Through this practice,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typical popular prayer. 종교의 구성요건 가운데 의례는 그 종교가 표방하는 교리와 함께 종교를 지탱하는 양 날개라 할 것이다. 불교는 여러 종교 가운데 매우 정련된 의례를 지닌 종교임에분명하다. 불교도들은 각종 의례를 함께하면서 불교도의 한 사람으로서 믿음과 소속감을 지니며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종교의 많은 의례 가운데 본 논문에서 채택한 기도는 모든 종교인의 종교를 향한첫걸음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기도의례 가운데 ‘자비도량참법’을 통해기도의례의 전형을 살펴보았다. 기도의 핵심은 ‘자력과 타력의 조화로’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불보살의 근본 서원력과 고난을 극복하겠다는 기도자의 간절한 의지가 합해져서 결실을 맺는 것이다. 그것이 기도의 성취이고 기도의 특성이다. 기도의 마음은 귀의하고 예배하며, 공양하고 찬탄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고찰중심인 자비도량참법은 몇 가지의 구성상의 특성을 띤다. 첫째, ①讚→②入懺→③本懺→④讚→⑤出懺→⑥讚→⑦擧讚의 순서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반복되는 세 가지의 찬과 거찬은 모두 다른 독자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둘째, 도입부의 讚에는 반드시 미륵불과 과거칠불께 예를 올린다. 셋째, 예를 올리는 부처님은 대체로 28불에서 10불에 이르기까지 일정하지 않지만, 10권 전체에 걸쳐 미륵불과 석가모니불은 먼저 칭명된다. 또 보살은 주로 두 분에서 네 분께 예를 올리지만, 마지막에는 반드시 관세음보살로 끝맺는다. 넷째, 각권에는 제목을 붙여 총38개의 단락으로 차례대로 참회하고, 마지막에 그공덕을 회향하고 부촉하는 내용으로 이 참법은 끝난다. 다섯째, 참법에 인용된 경론의 출처는 분명히 밝히지 않았으나 1권에서 10권에이르기까지 화엄10地의 보살들이 귀의예경의 대상이 된 것을 보면, 화엄경을 비롯한 諸經의 사상이 전체에 걸쳐 무르녹아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 참법을 통해대중기도의 전형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석독구결 자료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의 원문 검토와 특징적인 현토 양상 고찰

        김성주 구결학회 2016 구결연구 Vol.37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original text of Jabidoryangchambeop(after JC) housed in Kirimsa Temple and Seokdokkugyol enterd in this literature. This work is very important to interpret the Seokdokkugyol entered in this literature. We use the JC of Tripiṭaka Koreana and Taishō Tripiṭaka, SanggyojeongbonJabidoryangchambeop(after SJJC) published in King Sejo's reign of Choseon to correct the erroneous part of the original text. And also we make a reference with that of Yuan Tripiṭaka and Ming Hongmunamjang Tripiṭaka to exactly correct. Through this correcting we can find that the original text of JC housed in Kirimsa Temple is the old version of JC.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kdokkugyol enterd in JC housed in Kirimsa Temple as follows; Firstly, The writer of Seonkdokkugyol entered in JC housed in Kirimsa Temple interpreted 'geup 及' of 'kwanggeup 廣及' as a verb, ever a single 'geup 及' being different from the modern translator's view. Secondly, he interpreted 'seopsu 攝受' in (15) as a verb governing the following complement but the editors of SJJC or JC of Sinshoo Great Tripitaka interpreted it as a part of foregoing sentence. Thirdly, he interpreted 'kwonsokok 眷屬獄' as a single unit but the editors of SJJC or JC of Taishō Tripiṭaka interpreted it as a separate two unit, i.e. 'kwonsok 眷屬' and 'ok 獄'. 이 논문은 최근에 발견된 석독구결 자료인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에 기입된 석독구결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원문 대교와 원문과 석독구결의 관계에서 특별한 점을 지적한 것이다.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의 한문 원문 텍스트의 대교에는 고려 재조대장경 보유편과 신수대장경의 『자비도량참법』, 조선 세조 조에 발간된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을 이용하였으며, 신수대장경의 교정본으로 사용한 元版大藏經인 普寧藏과 明 洪武南藏인 報恩寺版을 이용하였다.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의 한문 원문 텍스트의 대교를 통하여 이 문헌이 소위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이전의 舊本 『자비도량참법』임을 알 수 있었다. 원문과의 관계에서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에 현토된 석독구결의 특징으로는 ‘廣及’의 ‘及’을 접속사로 처리하지 않고 동사로 처리하고 있으며, 더욱이 단독의 접속부사 ‘及’을 동사로 현토한 경우도 있는 점, 예문 (15)의 ‘攝受’를 후행절의 동사로 파악하고 있으나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이나 『신수대장경』의 구두는 선행절의 요소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에는 하나의 단위로 현토한 예문 (16)의 ‘眷屬獄’을 『자비도량참법』의 현대역들에서는 ‘眷屬’과 ‘獄’을 끊어 읽는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비도량참법』의 수행체계 연구

        김종근(Kim, Jong-keu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자비도량참법』의 서술구조와 수행체계를 연구하여 『자비도량참법』의 서술적 특징과 그 내용을 이루고 있는 수행법들을 도출하였다. 『자비도량참법』은 3주설의 체계 속에서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내려가면서 참회를 행하고, 또 각 주에 각각의 참회, 즉 오회수행이 행해지는 하향식, 중층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참회수행은 단순히 자신의 죄과를 드러내어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느끼는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과오를 반성하고, 불공덕을 찬탄하며, 이런 참회와 찬탄의 공덕을 모든 중생과 더불어 나누고, 발원을 통해 새로운 인생의 목표를 확립하여 새로운 인간으로 태어나는 오회의 전 과정을 통합한 수행으로 확인되었다. 또 『자비도량참법』은 특히 미륵신앙을 중심으로 한 자비관수행과, 멸업의 가피를 내려주는 불보살들인 35불, 53불 등에 대한 신앙과 이들에 대한 오체투지의 수행법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The system of Jabi-dor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is composed of 3 parts along with the three category theory (三周說) of the Lotus-sutra, which divides the practitioner into the high minded, the middle minded, and the low level. Each of the 3 parts has the system of the ritual of the Buddhist repentance, which is composed of 5 parts called the five kinds of contrition (五悔) which, in fact, mean the Buddhist repentance themselves. So when the practitioner practices Jabi-doryang-chambeop hebe comes practiced in the two kinds of repentance, namely, the rational repentance (理懺) and the repentance by means of prayer chanting or reciting the sutra (事懺) from the practice for the high minded level to the practice for the low minded level along with the system of Jabi-doryang-chambeop. The true aim of the practice for repentance is not to purify the emotions imply but to achieve a better personality by the integrated practice of the five kinds of contrition. In this point, it would be interesting to compare the conception of the repentance of Buddhism and Christianity. And we can find that the compassion ate meditation is related with the belief to Maitreya, and the practice of full bowing with five parts of the body(五體投地) is related with the belief to 35 buddhas and 53 buddha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practice system of Jabi-doryang-cbambeop.

      • KCI등재

        ≪구역인왕경≫과 ≪자비도량참법≫의 석독구결 현토 양상에 대하여

        문현수 ( Moon Hyun-soo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에서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현토 특징을 ≪유가사지론≫ 계통과 ≪화엄경≫ 계통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자토석독구결 자료인 ≪자비도량참법≫과 ≪구역인왕경≫이 어떠한 계통의 자료와 유사한 현토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정 한자를 어떤 어형으로 석독할지, 특정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어떤 구결자를 사용할지, ‘ㄱ’ 약화 현상을 표기에 반영할지, 주체높임의 기능을 하는 ‘-□-’을 사용할지와 관련하여 ≪유가사지론≫ 계통의 문헌과 ≪화엄경≫ 계통의 문헌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비도량참법≫과 ≪구역인왕경≫이 ≪화엄경≫ 계통와 ≪유가사지론≫ 계통 중 어느 쪽의 현토 특징을 따르는지 검토한 결과, ≪자비도량참법≫은 ≪유가사지론≫ 계통의 현토 특징보다 ≪화엄경≫ 계통의 현토 특징이 매우 우세한 문헌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구역인왕경≫은 ≪화엄경≫ 계통의 현토 특징을 보이는 부분도 적지 않지만 ≪유가사지론≫ 계통의 현토 특징도 ≪자비도량참법≫에 비해 우세하게 나타나는 문헌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of a style of marking forms between Yuqieshidilun and Huayanjing Seokdokkugyol has been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we analyzed a style of marking forms between Cibeidaochangchanfa and Jiuyirenwangjing Seokdokkugyol. As a result, Cibeidaochangchanfa Seokdokkugyol is very similar to Huayanjing Seokdokkugyol. On the other hand, Jiuyirenwangjing Seokdokkugyol is not only similar to Huayanjing Seokdokkugyol but also Yuqieshidilun Seokdokkugyol.

      • 대승의 참회의례에 대한 소고(小考)

        이방배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5

        The Ritual of Confession in Mahaya Buddhism, which serves as an inflection point for life, was considered mainly by Nyungne as Tibetan esoteric rituals and the Jabi-dor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Penance in Nyungne is part of a preliminary ritual in Tibetan esoteric rituals. Specific penance methods include Confessions of error(ltung bshags) and General Confession(spyi bshags), and Confessions of error(ltung bshags) ar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ree Heap Sutra(三蘊經) , such as the on of joyful acceptance for other's luck, the on of penance, and the on of retuning one's merit to others. General Confession(spyi bshags) is the penitence of all the negativities and transgressions accumulated in the past at once. In the Jabi-dor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the ritual of confession of Mahayana Buddhism consists of six phases in which (1) vow to three jewels (2) breaking suspicion, (3) confession, (4) raising Bodhicitta, (5) raising action of Bod- hicitta, and (6) retuning one's merit to others is added to five repentance(五悔), including (2). Before this ritual is performed, the twelve hetu-pratyaya should turn the ascetic's mind towards the Bodhicitta and purifying it. In order for confession to serve as a turning point in life, confession has Four Powers(四力) in content which was found that the power to escape from the existing way of life, second, the six forces that replace the existing way of life, the third, the power to protect a new way of life, and fourth, the power to rely on the right master and teaching, and outwardly, five repentance(五悔) of penitence·invi-tation·joyful acceptance for other's luck·retuning one's merit to others·vow which are the terms of the main ritual of penitence, should be established. Confession with these contents and forms has a structure that converts the attendants of the great succession from genus to sexuality, and serves as a driving force for reli- gious jubilation to move toward life for one's rebirth 삶의 변곡점 역할을 하는 대승불교의 참회의례를 티베트의 밀교의식인 늉내와『자비도량참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티베트의 밀교의식인 늉내에서는 참회는예비의례에 속한다. 구체적인 참회법으로는 뚱샥(ltung bshags)과 찌샥(spyi bshags) 이 있으며 뚱샥은 수희찬탄의 온, 참회의 온, 회향의 온 등 삼온의 순으로 행한다. 찌샥은 일체죄업을 한꺼번에 참회하는 것이다. 『자비도량참법』에서는 대승의 참회의례가 ①삼보에 귀의함, ②의심을 끊음, ③참회, ④보리심을 일으킴, ⑤원을 세움, ⑥ 회향하는 마음을 일으킴 등 오회(五悔)에 ②가 추가된 여섯 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의례를 행하기 전 십이대인연으로 수행자의 마음동기를 보리심으로 향하게하여 청정하게 해야 한다. 참회가 삶의 전환점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내용적으로는 첫째, 기존 삶의방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힘, 둘째, 기존 삶의 방식을 대치하는 여섯 가지 힘, 셋째, 새로운 삶의 방식을 지키고자 하는 힘, 넷째, 바른 선지식과 가르침에 의지하는 힘인사력(四力)을 갖추고, 외형적으로는 참회·권청·수희·회향·발원 즉, 오회(五悔)라는의례형식을 갖추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과 형식을 갖춘 참회의례는 대승의 수행자를 속(俗)에서 성(聖)으로 전환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종교적 환희심으로 일체중생을 위한 삶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의 역할을 하고 있다.

      • KCI등재

        새 자료, 고려본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 분석 및 음독 구결과의 상관성 비교 연구

        남경란(Nam, Kyeong-Nan)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okdok Gugyeol in Goryeo ChojuDaejangkyung, ‘Jabigoryangchambeop’ discovered at Kirimsa Temple in December 2015. The purpose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eokdok Gugyeol shown in this new material and Eumdok Gugyeol, which is a previous edition Goryeo period copy. The main study object, ‘Jabigoryangchambeop’ from the Kirimsa Temple remains only in chapters 17 to 20 of Volume 4 and it is the crucial information academics are studying due to the discovery of one more Seokdok Gugyeol material dated to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Although the number of Gugyeol letter types in the text is only about 50, it has been pai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academia because it uses letter types that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eokdok materials. In addition, this is very precious data in Korean history because it contains Eumdok Gugyeol data that can not be found in any other existing material. Furthermore, Seokdok Gugyeol and Eumdok Gugyeol can be analyze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potential for new discoveries. However, in ‘Jabigoryangchambeop’ from Kirimsa Temple, Gugyeol letter types have been erased or destroyed in some main parts of original copy, and it is difficult to clearly judge the original image of the Gugyeol letter types based solely on the released images. In order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presented information, the researcher used Adobe Photoshop to precisely identify missing or damaged Seokdok Gugyeol letter typ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rrelation found between Seokdok Gugyeol and Eumdok Gugyeol in the Goryeo period, via and informaton processing metho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eokdok Gugyeol of ‘Jabigoryangchambeop’ from Kirimsa and Eumdok Gugyeol of ‘Jabigoryangchambeop’ from a private collection.

      • KCI등재

        수덕사 塑造 여래좌상 腹藏 典籍類 고찰

        문상련(정각)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이 논문은 「수덕사 塑造 여래좌상 복장 유물」 중 전적과 다라니에 대한 고찰이다. 이 소조 여래좌상은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복장 전적 중에서 다수의 고려시대 간행 전적과 조선초의 다라니가 수습되었다. 필자는 수덕사 복장 수습 전적류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음 등을 언급하였다. 복장본 중 『대방광불화엄경소』(권79~81, 91~93)는 義天이 宋에서 제작 간행한 敎藏 중 일부로, 권79, 80의 경우 기존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은 유일본임을 말하였다. 그럼에도 복장본 『대방광불화엄경소』는 宋에서 유래한 목판의 인출본이 아닌 번각 인출본으로, 우리나라 판각의 『대방광불화엄경소』 敎藏本이 고려말~조선초에 존재했음을 밝혀내었다. 이외에 1240년 崔怡 跋文本 『묘법연화경』 끝에 기록된 洪武23년(1390) 墨書 跋文 중 避諱缺劃의 예와, 표지화 표현 형식의 예를 통해 이 책이 고려 印成本임을 언급했으며, 이들 경전은 1286년 成敏 誌本 『묘법연화경』과 1382년 李穡 跋文本 『묘법연화경』, 재조대장경 중 『사아함모초해』, 사경본 『자비도량참법』 등과 함께 <1390년 당시 조성된 某 불상> 복장에 납입되었을 것임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복장에서 수습된 1422년 대자암 간행본 『묘법연화경』의 경우 1489년(弘治貳年己酉) 간행된 다라니와 함께 <1390년 조성된 某 불상>의 重修 내지 蓋金時거나 <1489년 조성된 또 다른 불상>에 납입되었을 것으로, <1489년 조성된 불상>의 경우 불복장 당시 이 불상은 德山縣 북쪽 沔川(당진군 면천면)의 <某 寺刹>에 봉안되었던 것임을 말하였다. 그럼에도 여래상의 相好 내지 불상 양식을 고려할 때 「수덕사 소조 여래좌상」은 <15세기 이후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이 불상의 腹藏時 <1390년 당시 조성된 某 佛像>의 佛腹藏 내지 <1489년 조성된 또 다른 불상>의 佛腹藏이 수습되어 현재의 「수덕사 소조 여래좌상」 복장에 납입된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腹藏物) found in the seated clay Buddha(塑造坐佛) at the Sudeok Buddhist Temple(修德寺). Made in early Joseon, this seated clay Buddha contained many Buddhist sutras published during Goryeo and dharani(陀羅尼) from early Joseon. The investigator discussed the followings by looking into the Buddhist sutras and dharani found among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at the temple: Of the versions found among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Daebang gwangbul- hwaeomgyeongso(大方廣佛華嚴經疏)”(Volumes 79~81 and 91~93) was part of the Gyojang(敎藏) made and published by Yi-Tian(義天) in the Song Dynasty(宋). Volumes 79 and 80 are the only ones found in South Korea. Still, “Daebang gwangbul-hwaeomgyeongso” is a Korean block book rather than one transmitted from Song and demonstrates that the Gyojang version of Daebang gwangbul-hwaeomgyeongso engraved in Korea existed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The study also mentioned that “Lotus Sutra(妙法蓮華經)” was published during Goryeo based on the examples of Pi Hui(避諱, Naming Taboo) and the cover painting format in the postface(跋文) written in 1390 at the end of Choi-ui's(崔怡) postface version of “Lotus Sutra” in 1240. It was estimated that these scriptures were placed in “A Buddha Statute of 1390” as part of its relics and votive objects along with Sung-min's(成敏) postface version of “Lotus Sutra” published in 1286, Lee Seak’s(李穡) postface version of “Lotus Sutra” published in 1382, and “Saahammochohe(四阿含暮抄解)” of Jaejodaejanggyeong(再雕大藏經) and “Jabidor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The Daejaam(大慈庵) version of “Lotus Sutra” published in 1422 and discovered in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must have been put in “A Buddha Statute of 1390” when it was repaired or covered in gold or “Another Buddha Statute of 1489” along with the dharani published in 1489. “A Buddha Statute of 1489” was enshrined at “a Buddhist temple” in Myuncheng(沔川) north of Duksan province(德山縣) along with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Still, it was estimated that the seated clay Buddha of Sudeok Buddhist Temple was made in early Joseon(15th century).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of “A Buddha Statute of 1390” and “Another Buddha Statute of 1489” must have been recovered and put in the current seated clay Buddha of Sudeok Buddhist Temple.

      • KCI등재

        원 제국 시기 水陸齋의 고려 유입-慈悲道場懺法과 天地冥陽水陸儀文을 중심으로-

        조성금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3

        Suryukhoe (水陸齋) is a Buddhist ceremony for the purpose of consoling the wandering spirits and hungry spirits of water and land, sermons on Buddhist scriptures and incense food to save souls. The record of the origins of these rites and various rituals and procedures is called Suryukritual(水陸儀式文). Suryukhoe was first practiced by Wuzong of Liang Dynasty. The origin of Suryukhoe was the ceremony held to save the queen of Mujong who was reincarnated as a serpent due to her sins committed during her lifetime. And the picture depicting this story is called <Liang Huangbao Repentance Picture, 梁皇寶懺圖>, and the ritual book Cibeidaochang chanfa ( 慈悲道場懺法 ) containing the rituals and procedures of repentance was organized by the military commander. Suryukhoe was a Korean-centered Buddhist ceremony until the Song Dynasty. However, with the patronage of Yuan Yuan, it spread throughout China, and the collection of rituals related to Suryukhoe was also published and edited several times. Heaven, Earth, Mingyang, Water and Land Rituals ( 天地冥陽水陸儀文 ) and Dharma Realm Saint Fan Shui Lu Sheng will practice fasting rituals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 There is a 軌 . Among them, <Liang Huangbao Repentance Picture, 梁皇寶懺圖> was drawn on the first page of Heaven, Earth, Mingyang, Water and Land Rituals ( 天地冥陽水陸儀文 ) published in the Yuan Dynasty, configuration is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Liang Huangbao Repentance Picture, 梁皇寶懺圖> is the earliest extant example of two engravings engraved in the Western Xia. Yuan played a role in spreading Suryukhoe throughout China and organized ritual houses related to Suryukhoe. Here, it was seen that the engravings of West Xia flowed into the collections of ceremonies compiled in the Yuan Dynasty and were present in the collections of ceremonies related to Suryukhoe in Goryeo and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