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세계사 교과서의 근대 국민국가 서술

        윤세병(Yoon Sebyong)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5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근대의 국민국가가 어떠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그 안에 어느 정도 성찰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국민국가는 역사적 형성물로서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역사적인 견지에서 ‘국민국가=위대한 근대의 성취’라는 시각에 함몰되지 않고 국민국가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과제를 통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한국에서 국민국가란 용어는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국민국가론이란 담론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국민국가란 용어를 사용하는 맥락 속에는 근대 국민국가에 대한 비판 혹은 성찰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의 2007 개정 세계사 교육과정에는 근대를 성찰할 수 있는 기제로서 국민국가론의 문제인식이 반영되었다. 한국사와 세계사 모두 민족과 근대를 중요한 가치로 설정하고 있던 상황에서 상당히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을 반영한 세계사 교과서의 경우 유럽의 국민국가 형성의 과정은 나름 맥락을 갖춰 서술하고 있음에 비해 그 한계성을 짚는 부분은 아직 미약한 수준이다. 한편 비서양 세계의 경우 국민국가 건설과정을 맥락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정되었으나 여전히 기존의 관성적 방식의 서술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1945년 이후의 현대사가 어쩌면 무성의하다 싶을 정도로 소략하게 처리됨으로써 식민지로부터 독립 이후 국민국가의 건설과정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중국의 세계사 교과서는 자본주의적 국민국가의 길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방식의 국민국가도 그려내고 있다. 사회주의의 시선으로 유럽의 자본주의 국민국가가 갖는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진영 논리 속에서 서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 내의 다양한 힘의 역동성을 찾을 수 없다. 이는 중국의 세계사 교과서가 자국사 교과서와 더불어 국가 이데올로기를 강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자국사 교과서가 1949년 이후 들어선 정부의 정당성과 위대함을 강조하는 역할을 부여받으면서 국가에 대한 성찰을 담아내는데는 뚜렷한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세계사의 프레임은 강한 진영 논리 속에 포섭되어 있다. 또한 강자 중심으로 서술함으로써 비서양 세계의 국민국가 건설은 소략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동아시아 국민국가의 형성과정 역시 잘 보이지 않는다. 세계사 교과서의 근현대사 구성과 관련하여 국민국가가 가지고 있는 성과적 측면과 더불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고찰한다는 문제인식이 담겨야 할 것이다. 현재 교과서가 그리고 있는 국민국가 서술의 궤적을 차분히 살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와 ‘대안’교과서 비교 -이슬람 세계를 중심으로

        서선화 ( Seo Sun-hwa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인문학술 Vol.4 No.-

        서구 중심적 역사서술로 인해 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 내에서 가장 왜곡된 정체성을 부여받게 된 것은 이슬람 세계이다. 본고에서는 이슬람 세계의 서술 중 기존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에 대해 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와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에서 이를 어떤 식으로 서술하고 있는지 검토해 그 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7차 세계사 교과서는 서술 분량에 있어서나 내용 서술 면에 있어서 여전히 서구중심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계사인식의 변화에 따른 세계사 서술의 변화라는 학계의 흐름을 교과서 내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대안’교과서의 경우 기존 세계사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서구중심적 태도를 지양한다는 전제 아래 서술분량이나 내용 서술 면에 있어 균형적인 시각을 유지하려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하지만 완전히 서구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7차 세계사 교과서에서 수정된 문제점이 다시 나타나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 in which ‘the Alternative’ world history textbooks called ‘Live World History’ treats and overcom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escription of the Islamic world presented in official world history textbooks. The National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s published ‘Live World History’ in order to overcome westernized historical misunderstanding. It tries to maintain a balanced view. It carefully considers the amount of description as well as the form of description to describe historical evernts. However, it does not completely shake off the westernized view that can be found in the existing world history textbook. Hence it is not an ultimate alternative but one of possible alternatives to the current description of the Islamic world. Consequetly,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ree ways in which to improve this description. First, the Islamic world needs to be presented holistically, since the holistic view integrates economy, culture, and society in terms of cross-cultural interactions across the regions. Second, the Islamic world needs to be described by those who have professional and extensive knowledge of the region and its peoples. Third, detailed explan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s guide book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Islamic world. It is essential to reformulate the narration of the Islamic worl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world history education. Efforts to provide a balanced perspective are needed to keep pace with the changing paradigm of world history. The history of the world is a result of mutual interaction and contributions from every civilization in the world. Consequently, world history textbooks should be written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diversity and correlativity.

      • KCI등재

        2009년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의 현대사 서술에 대한 관점

        최선아 한국독일사학회 2020 독일연구 Vol.- No.45

        The world of today was integrated into one living zone beyond the dimension of a mutual exchange simply among countries, thereby having become the era that any race or nation cannot survive independently. Therefore, to proceed with liv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trying to understand about diverse cultures and values, which exist in the world, are essentially demanded and were magnified as the necessary quality. Learning the world history makes us available for rightly understanding history and culture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nd for broadening the width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sense through thi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history textbook so far. But there are many cases of being limited mostly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The elements other than history textbook are having great influence upon form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example, above all, even a question about how much one country and society are giving importance and putting value in history education may be much varied every country. It is also what can be called a level of 'memory culture' in one country or society on the whole. Accordingly,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harmoniously from the position of world history with escaping from a nationalistic sight, the education of world history is needed. There will be a need to be carried out history education that understands both distinctiveness in national history and the generality in universal history. By the way, a matter is that it is not so in the reality of world-history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검정교과서인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 세계사교과 내용체제와 준거안에 의거해 단원이 구성되었다. 세계사 교과서의 과제 중 하나는 서구 중심주의를 극복해야 하는 것이고, 서양사 서술의 비중은 줄어드는 추세이다. 교육과정은 사회의 변화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고, 세계사 교육은 비중이 약화되었으나, 글로벌 시대에 세계사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세계사 교육은 단순 암기에서 벗어나 주요 개념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국가 및 지역 사이의 인적. 물적 교류가 역사상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활발해져, 지구 전체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되는 이른바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사’는대한민국의 청소년을 국가 또는 세계의 균형 잡힌 구성원으로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과목이다. 그것은 현재의 세계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동인에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 속에서 대한민국과 동아시아가 처한 현실을 냉철하게 이해하게 할뿐 아니라, 나아가 통합이 가속화되는 인류 전체의 평화공존에 필요한 가치를 깨우쳐주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세계사 교과서 중 천재교육, 금성출판사, 비상교육 3종을 비교 분석에서, 2009년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의 현대사 서술에 대한 관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독일은 양차대전을 일으킨 국가이고 냉전과 데탕트의 시기를 거쳐 통일을 이루었다.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는 한국에서 통일을 논의하는 입장에서, 독일의 역사는 중요하게 평가받는 부분이다. 따라서세계사교과서에 서술되어 있는 독일 현대사는 통일을 대비하고 통일 전후역사교육을 대비하는 한국의 교육계에 반드시 필요한 연구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세계사 교육과정에서 독일사의 효용가치를 ‘통일과 분단’ 같은 한국사와의 연계성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에 더하여 오늘날 공교육과 교과교육 등 공히 민주시민으로서의 가치인 ‘인권’, ‘평화’에 대한 감수성을 아우슈비츠나 전쟁 일반의 비극을 포함한 독일 현대사를 통해 어떻게 함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독일 역사교과서에서 한국의 분단상황을 어떻게 연구하는지에대한 비교 분석 및 공동 연구와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성경’과 ‘성서’의 표기 문제에 대한 고찰

        고유경 ( Ko Yoo Kyoung ),허은철 ( Heo Eun Cheol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4 No.-

        교과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교과서는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특히 고등학교 세계사는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학교에서 배우는 세계사이다. 만약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잘못된 어휘를 사용하여 역사를 서술한다면 학생들은 오개념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서술의 중요성은 기독교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세계사 교과서의 한 축을 담당하는 기독교에 대해 잘못된 어휘를 사용하거나 통일되지 않은 어휘를 혼용한다면 학생들은 기독교에 대하여 오해를 가질 수 있고, 편향된 시각으로 기독교를 바라볼 수 있다. 따라서 세계사 교과서에서 기독교에 대한 바른 언어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기독교의 본질과 핵심가치는 성경(Bible)이다. 하지만 현행 세계사 교과서는 ‘성경’과 ‘성서’라는 용어를 혼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그 원인은 교수요목기와 1차 교육과정의 세계사 교과서에서 두 용어를 혼용한 것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지난 70년간 세계사 교과서에 계속해서 두 용어가 혼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교육부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어휘를 일원화시키려는 목적으로 편수용어를 계속해서 수정 · 보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경’과 ‘성서’의 용어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사 교과서에서 ‘성경’과 ‘성서’라는 용어 가운데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 신어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그 용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경’과 ‘성서’라는 용어가 가진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 두 용어가 가진 언어적 의미와 역사적 유래, 그리고 뉘앙스의 차이를 각각 확인해 보았다. 또한 교과서 편수용어의 원칙에 근거하여 어떤 단어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The role of textbooks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extbooks are an important way for understanding history. Especially high school world history is the world history that many people learn last in school. If you write history in a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 using the wrong vocabulary, students will look at history with misconceptions. The importance of this narrative can be equally applied to Christianity. If you use wrong vocabulary or ununified vocabulary about Christianity, which is one of the axis of world history textbooks, students can have a misunderstanding about Christianity and look at Christianity from a biased perspective. Therefore, the use of correct language in Christian history is very important in world history textbooks. The essence and core value of Christianity is the Bible. However, current world history textbooks are confusing students by using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The reason is that the two terms have been mixed in both the curriculum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the formation stage of the contemporary education system, and the first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two terms have been mixed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 for the past 70 years.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continue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rinciples of textbook compilation terminolog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students in understanding and unifying the vocabulary.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have still been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we were concerned about the choice of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in world history textbooks. To do this, we analyze the application of modern term database.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rms ‘seong-gyeong’ and ‘seong-seo’,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nguistic meanings, historical origins, and nuances of these two terms. We also examined what words to choose based on the principles of textbook compilation terminology.

      • KCI등재

        종교개혁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의 문제: 2015 개정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권태경 기독교학문연구회 2023 신앙과 학문 Vol.28 No.1

        The study of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western medieval and modern history. However, recent world history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 not treat the Reformation as an important event i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and ‘direc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blem of world history textbooks devaluing or misrepresenting the Reformation. To this end, the content and curricular changes of the Reformation in the textbooks will be reviewed. Then, the description of the Reformation will be analyzed followed by alternative suggestions. The Reformation of the 16th century is an important historical event that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medieval and modern ages in Europe. Objective description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is needed for the Reformation, aside from the influence of Christian studies. In summary, academic advice from scholars or experts of Reformation is need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textbooks.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reformation)이 하나의 역사적 사건으로 서양 중세와 근대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역사 교과서를 보면 역사 서술의 문제점이 드러난다.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세계사 교과서를 보면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그리고 ‘교수 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서 종교개혁의 내용을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 과정에 근거하여 출판된 4종의 세계사 교과서에서도 종교개혁사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다루지 않고, 일부 언급한 몇 가지 사실마저도 제대로 설명이 되어있지 않는 서술의 문제점이 드러난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세계사 역사 교과서를 통해 나타난 종교개혁에 대한 서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 먼저 교육부 교육과정의 변천사와 세계사 과목에 종교개혁을 단원으로 구성한 내용을 살피고, 2015 개정안의 교육과정과 4종의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종교개혁사의 서술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 논란이 되는 2022개정 교육과정의 편찬 기준과 내용 체계가 수정 보완이 되어, 향후 종교개혁에 대한 역사서술이 객관적이고 편향적이 않게 서술되기를 바란다. 세계사 교과서가 어떠한 내용 체계를 구성해야 하는 것에 대한 안으로 미국 교과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세계사 교과서(제13장)를 보면, “종교개혁의 전조, 루터와 독일의 개혁, 개혁의 확산, 개혁의 영향, 가톨릭 개혁, 정치와 16세기 종교전쟁”을 내용 체계로 한다. 주목할 점은 역사적 사고를 역사 교과서에 중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종교개혁 서술 서두에 “개혁이 어디에서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지 그리고 종교개혁이 정치 사회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를 비판적 사고를 위하여 역사적인 질문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16세기 종교개혁이 오늘날 세계의 종교와 사회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제안하고 있다. 교과서에서 역사는 객관적 서술이 가장 기본적인 서술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 객관적 서술은 종교개혁과 같은 사건을 기독교 학문을 이유로 비중있게 많이 서술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서술에서 의도적인 왜곡이나 핵심적인 사건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교과서에 나열하는 것은 학생들에 혼동만을 줄뿐이다. 전문적인 종교개혁에 대한 학술적인 자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세계사에서 16세기 종교개혁은 유럽의 중세와 근대를 이해하는 터닝 포인트가 역사적인 사건이다. 종교개혁에 대한 역사이해가 없으면 중세 말과 근대초의 유럽의 역사를 설명하기 어렵다. 2022년 개정 교육 과정에서 이런 부분을 감안하여 교과서가 수정 보완되어 출판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근대 이전 중국사 서술의 특징과 문제점

        김창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현행 세계사 교과서는 중국사 서술에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으며, 본문 이외에도 사료, 설명문, 지도, 사진 등 많은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 각종 탐구단원을 배치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역사탐구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는 자료 형태의 교과서로 전환하여 본격적인 사료학습 · 자료학습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세계사 교과서는 보완하거나 개선해야할 부분이 남아 있다. 첫째, 오늘의 우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세계사 교육의 목적이듯이, 단원의 편성에 있어서 한중 · 한일 관계의 변천 및 동아문화권인 형성과 발전 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중복을 피해야 하나 중복된 부분도 있어서 수정이 요구된다. 둘째, 교과서는 중국사의 흐름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하고, 특히 편향적인 시각이 없어야 하며 비방, 왜곡 혹은 옹호하는 내용은 배제하여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한족 중심의 중국사 서술을 하고 있고, 특정 왕조나 인물에 대한 편향된 인식을 갖게 할 우려가 있는데, 북방민족에 대한 서술이 특히 그러하다. 아울러 역사적 사실이나 최근의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부분도 있으며, 모호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서술 그리고 설명이 빠진 용어도 있다. 셋째, 학습 자료의 경우로, 각 교과서 내에서 문자자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菲문자자료에 비해 낮고, 이 중에서도 사료의 비중이 낮은 편이다. 짧지만 핵심적인 내용을 담은 사료를 많이 배치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다양한 역사탐구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면 훨씬 좋은 교과서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본문의 설명을 보완할 수 없거나 중요한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한 학습 자료가 눈에 띄며, 잘못된 지도나 삽화도 있다. 기타 <과제>나 <탐구활동>에서 묻는 문제가 본문과 학습 자료만으로 해결할 수 없거나 부적절한 문제도 있으며, 적절치 못하거나 설명이 필요한 용어도 상당하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수정 · 보완하여야 할 것이고, 교사 또한 수업에 이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기한 문제점들은 역사 연구의 성과를 활용하거나 참고하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나, 그러다 보면 자연히 쪽수가 늘어날 것이고, 기준 쪽수를 준수하자니 조잡한 편집이 될 것이다. 하지만, 쪽수의 증가나 조잡한 편집을 우려하여 세계사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를 인위적으로 제한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교과서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도 학습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세계사는 여타 사회과목과 달리 지도서도 마련되지도 않은 실정에서, 다양한 세계사의 내용을 담은 튼실한 교과서를 마다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Current the World History textbooks describe of Chinese history with a lot of space and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maps, and cartoons, in addition to its main text, in order to help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They also include the inquiry units persuading students to do their own history researches. They are converted in the form of materialistic textbooks to upgrade the historical studies. Even though they contain these new characteristics, there are parts needed to be supplemented or improved. First, as the main theme of purpose for the World History is making it possible to understand what we are, we have to consider the arrangement of each chapter to maximiz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ast Asian Culture systematically and collectively.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each chapter should avoid overlapping its contents, and the overlapped parts need to be rewritten. Second, the textbook should be written to grasp the trend of the Chinese history systematically without and bias. It should eliminate the abuse, distortion and vindication of the content. Nevertheless, the current textbook describes the Chinese hist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an race and may have the biased view on the dynasty of person, specially on the Northern people. Also, there are lacks of description of the historical facts and current research outputs as well as vague description and wrong terminologies. Third, the portion of literal materials, the historical materials in particular, is much less than that of illiteral materials. It should put more historical materials containing the major themes of the history, which will definitely make a better textbook and help students to study various aspects of the history. The current textbook contains irrelevant study materials which do not supplement the main texts or treats the important facts not in such a depth, and also displays several wrong maps and cartoons. Furthermore, the inquiry units contain either irrelevant or too difficult questions for the students who would cover the main contents and study materials. Therefore, the authors should correct and supplement these problems, and teachers should reflect them in the class.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may be solved if add more of the outputs of the history researches; however, it would require more pages or crude editing to keep the standard page numbers. Nevertheless, we should not confine diverse factors consisting of the World History artificially as the textbook should provide plenty of information and materials required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addition, even though there is no guideline for the World History, we need a better textbook containing various and diverse contents of the World History.

      • KCI등재

        다문화교육 표방하는 친이슬람 세계사 개정교과서

        소윤정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2 복음과 선교 Vol.60 No.-

        The Republic of Korea actively conducts Islamic edu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as part of multicultural society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social integration. Come to think of France that has become the hotbed of terror as it failed in the education for the 2nd generation Muslim immigrants according to the ‘laicite’ principle, though it led public education on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by the resistance of the Muslim immigrants,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s pro-Islamic education, not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from the beginning. Education biased to Islamic religion that makes a pre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comes a channel of Islamizing the tomorrow of Korea. Our children are not Muslim, and Korea is not an Islamic state, the world history education conducted in the name of pursuit of multicultural society drives out Korean society to a risk faster than Europe. It induces the conversion to Muslim indirectly by educating the contents same as those in the Islamic propaganda booklet in the world history education contents and shows the reverse discriminatory aspects that educate Middle Eastern culture as the main contents, excluding similar cultural areas, including the Chinese, Vietnamese, Filipino, and Thai cultur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dimension. Islam takes up a whopping 46.1% of Korean nine Middle School History I textbooks in terms of the amount of description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Also,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 too, include parts that are inconsistent with the facts or religiously biased by beautifying them for pro-Islamic propagation. The argument of Lee Hee-soo who has urged for the revision of world history textbooks, insisting on the error and prejudice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s of 2007, and his required world history readings consequently provide biased and unilateral Islamic education for adolescents. Despite the Republic of Korea is not an Islamic state, the present world history textbooks remind us of those of an Islamic state. The actual contents of the Cheonjae Education textbook are almost filled with Islam-related contents while educating the history` of West Asia and India. The Republic of Korea, in reality, conducts world history education biased toward Islam lacking diversity and objectivity, superficially promot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consciousness. Commonly, all publishers intentionally excluded the history of Israel, located in West Asia, describing the history of West Asia and India in Unit III. They omit the contents of Israel, the birthplace of Judaism and Christianity and briefly describe the historical contents of India, the birthplace of Buddhism and Hinduism thoroughly from the Islamic point of view that “Hindu culture and Islamic culture coexist.” For the achievement of divers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repeatedly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orld history textbooks biased toward Islam must completely be disposed of, and they should be reorganized into objective world history textbooks compiled by carefully selected writers. 대한민국은 사회통합적 차원에서 다문화사회 교육의 일환으로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슬람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라히시테’ 원칙에 의해 정교분리 원칙으로 공교육을 주도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주 무슬림들의 저항으로 무슬림 이주민 2세 교육에 실패하여 테러의 온상이 된 프랑스의 경우를 생각하면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초전부터 정교분리가 아닌 친 이슬람 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셈이다. 다문화교육을 빙자한 이슬람교 종교 편향교육은 한국의 내일을 이슬람화 하는 채널이 되고 있다. 우리의 자녀들은 무슬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이슬람국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다문화사회를 지향한다는 명목으로 행해지고 있는 세계사교육은 유럽보다도 더 빠르게 한국사회를 위험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세계사 교육내용중 이슬람포교책자와 동일 내용을 교육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무슬림으로의 개종을 유도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유사문화권인 중국, 베트남, 필리핀, 태국문화를 배제하고 중동문화를 주 내용으로 교육하고 있는 역차별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은 국내 무슬림수가 전체 인구의 1%도 채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공교육 현장에서 9종 중학교 역사1 교과서의 종교부분 서술 분량에 있어 이슬람이 무려 46.1%를 차지하고 있다. 서술 내용에 있어서도 친 이슬람적 포교의 목적으로 미화하여 사실관계와 불일치하거나 종교편향적인 부분이 포함 돼 있다는 지적이다. 2007년 세계사 교과서의 오류와 편견을 주장하며 세계사 교과서 개정을 촉구하여온 이희수의 주장과 그의 세계사 필독도서들은 결과적으로 편파적이며 일방적인 이슬람교육을 청소년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이슬람국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현 세계사 교과서는 흡사 이슬람국가의 세계사 교과서를 방불케하고 있다. 천재교육의 경우에는 서아시아와 인도역사를 교육하면서 실제내용은 이슬람관련 내용이 거의 전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한민국은 표면적으로는 다문화사회의식을 고취시키면서 실제적으로는 다양성과 객관성이 결여된 이슬람편향 세계사 교육을 하고 있다. 모든 출판사가 공통적으로 III단원에서 서아시아와 인도역사를 기술하면서 의도적으로 서아시아에 위치한 이스라엘의 역사를 배제하였다. 유대교와 기독교의 발상지인 이스라엘의 내용은 누락되어 있고 불교와 힌두교의 발상지인 인도의 역사내용은 철저히 이슬람의 관점에서 “힌두 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공존하다” 라는 내용으로 간략기술하고 있다. 2022년 개정교육과정에서 거듭 강조 되고 있는 다양성과 다문화교육의 성취를 위하여서는 이슬람 편향적 세계사 교과서가 전면 폐기되어야 마땅하고 엄선된 집필진들로 구성된 객관적인 세계사 교과서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15년 교육과정에 따라 검인정된 고교 세계사 교과서들의 연구 - 서양고대 서술의 관습적인 문제점들 및 전공지식 적용상의 문제들

        손태창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4 No.-

        Th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were written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In the background, in relation to the history textbooks, cries for correct historical writing have risen up in the political and social fields, while the requirements of the time emphasize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World History that had been long discussed. The writer of this paper selected a certain particular part, namely the antiquity of the West, for this study as it is also his major. The direct objective textbooks are of 4 different kinds: Chunjae, Bisang, Keumsung and Mirae-N. This paper had two focal points according to which textbooks were considered. Firstly, it considered the conventional limits and problems of the textbooks that were exposed in relation to the field of western antiquity. Through this 3 points are proved: (1). The problem of stereotyped pattern in the description, (2). Lacking in the writing that indicates a failure to consider the level of the readers, and (3). A shortage of casuistic descriptions that are supported with 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s. The second interest of the paper was how much perfec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was realized in the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systematically and sequentially the object of study, Western Antiquity was divided into 3 specific periods: the Ancient Near East, Greece and Rome. In the Ancient Near East, the limit of th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geographical determinism for ancient Egypt, the problem of systematic analysis of military technology, and the necessity of explanation on the mechanism of Assyrian imperialism became issues. In Greece, the shortage of conceptual explanation regarding democracy, the limit of conventional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hens and Sparta, and the three main erroneous understandings on the Alexandrian era were indicated. And in Roman History the writer found 2 problematic things: a shortage of conceptual understanding regarding Roman Republicanism and a limit in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Our Korean textbooks on World History seem to have become colorful and luxurious. But they prove to still contain not a few problems in that there are the shortages of understandings on the historical facts and their conceptions. The writer would like to suggest for the purpose of the qualitative maturity of the World History textbooks that more specific professionals should be employed not only for the field of authorization but also for studying and writing these books. 2015년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교과서들이 이후 새롭게 집필되었다. 역사 부문 교과서에 관련해서 그 배경에는 당시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었던 역사교과서의 문제로 인해 올바른 역사서술을 위한 외침이 강하게 일어난 정치-사회적 문제도 있었고 장기적으로 논의된 현실적인 세계의 흐름을 반영하는 시사적인 세계사 인식을 위한 시대적 요청도 있었다고 할 것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된 교과서들 중에서 본고에서는 필자의 전공인 서양고대에 관련된 세계사 교과서들의 서술을 다루게 되었다. 이에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취급의 대상이 된 교과서는 2017년 검인정을 통해 2018년 3월에 출간된 도합 네 가지의 고교 세계사 교과서이다: 천재, 비상, 금성, 미래엔, 본고에서는 두 가지 관심사를 가지고 이 교과서의 서술에 보이는 문제들을 다루었다. 먼저 이 교과서에서 서양고대의 영역에 관련되어 보이는 관습적인 서술상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짚었다. 이로써 분석을 통해 확인되는 바가 서술의 고정적 패턴화의 문제, 독자의 입장을 배려한 눈높이를 맞추는 서술의 부족, 논리적, 역사적 맥을 고려한 인과관계적 설명의 부족 등이었다. 또 한 가지 초점을 둔 문제점의 진단은 전공지식이 교과서들에서 어느 정도의 완성도를 지니고 반영되었나 하는 점이었다. 이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서양고대를 다시 세분화해서 고대근동, 그리스, 로마 세 가지 분야에서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찾아 보았다. 이로써 고대근동에서는 이집트에 대한 단순한 지리결정론적 해석의 한계, 군사적 기술에 대한 체계적 분석의 문제 그리고 아시리아 제국주의의 메커니즘 반영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게 되었다. 그리스에서는 민주주의의 개념에 대한 설명적 제시의 부족, 아테네와 스파르타 관계사 해석의 상투적 인식의 한계, 알렉산드로스 시대를 이해하는 주요 세 가지 역사적 사실파악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로마에서는 공화정 자체의 개념적 인식의 부족과 기독교 설명의 계통적 파악의 한계 등을 찾아내었다, 시대가 흐르면서 세계사 교과서가 매우 화려해지고 다양한 설명수단을 동원하고 매우 다채로와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서양고대만 해도 필자가 보기에도 적지 않게 다양다종의 크고 작은 시정되고 보완되어야 할 역사적 사실과 그 개념에 대한 인식의 문제들이 보인다. 세계사 교과서 집필의 질적이고도 내적인 성숙을 위해 집필진과 연구진 그리고 검정하는 과정에 좀 더 많은 전문인력을 투입하도록 간절히 요청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해방 후 세계사 교과서 중국근현대사 관련 서술 변천

        손준식(孫準植)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60 No.-

        本研究旨在探討1945年以後韓國世界史教科書中關於中國近現代史的敍述是如何變遷的, 以及有何錯誤。為此將各屆教育課程的世界史教科書體制分為大單元和中、小單元後對其變化特徵進行查照, 接著以主要事件為中心對選擇的教科書敍述內容變化進行比較。 體制變化的主要特徵如下所示。首先, 東亞近代的起點到第六屆教育過程爲止曾被認定為是明清時期或清朝, 從第七屆過程以後開始以鴉片戰爭為起點。其次, 中國近現代史的敍述從西方列強的侵略與中國的改革運動的基本框架, 第六屆以後開始向強調中國本身的近代化乃至近代國家的樹立轉變。這蓋是想從旣往的西方中心主義跳出來, 是試圖獨立地敍述西方以外地區歷史的一環。此外, 幾乎所有教科書都以第一次世界大戰為現代史的起點, 並分為兩次世界大戰及戰後兩個階段進行敍述, 一般有將前者看作是‘試練’的時期, 後者是‘發展’的時期的傾向。中國方面, 前者是以帝國主義的侵略及民族統一為中心, 後者則是以新中國的成立及‘變化’的過程為中心進行記述。只是, 敍述中國近現代史的下限距離各教科書出版年度越來越遠, 對於學生們瞭解當代中國情況會造成障礙。 敍述內容中變化最大的是對太平天國和義和團的性質, 以及國共內戰和中華人民共和國的觀點與評價。太平天國的稱呼雖然在第四屆以後固定為‘運動’, 但是在第七屆以前在其性質究竟是被視為中國社會的‘試練’或‘動搖’, 還是‘改革’或‘近代化’運動的一部分上還是存在分歧的。在有關義和團的稱呼和性質方面大體上也有此種問題。即, 在初期被認定為是叛亂或暴動的太平天國及義和團, 到了後期逐漸被認為是積極參與中國近代化乃至近代國家樹立過程的一種運動。這種轉變大概是因為漸漸接受了中國大陸學界對於農民運動的高度評價。 關於中國共産黨在國共內戰中勝利原因的評價, 初期是強調共産黨的負面印象, 到第四屆以後才顯示其為通過土地改革而獲得了農民的支持。有關中華人民共和國的評價, 初期是即使對其內政外交以批判性及嘲諷性的表述卻也不得不承認‘一個中國’, 從第七屆開始客觀的說明共產黨的政績以及新中國的變化過程。中國曾經參與韓國戰爭的史實在第四屆以後並未言及, 改革開放政策則盡管已露出其副作用(例如六四天安門事件), 但仍進行積極的評價。另一方面, 對於台灣的中華民國, 雖然初期的時候在一部分教科书中有著友好的評價, 但在第五屆以後對中華人民共和國的稱呼都統一為‘中國’。這種變化或許是由於執筆當時的時代背景以及執筆者的觀點(或執筆指針)所造成的, 也應被視為是由於戰後國際秩序的變動(冷戰解體), 尤其是韓中關係的改善所反映出的現實。 본 연구는 해방 후 세계사 교과서의 중국근현대사 관련 서술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 글이다. 이를 위해 각 교육과정별세계사 교과서의 체제 변화를 대단원과 중·소단원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살펴보고, 이어서 선정한 교과서의 서술 내용 변화를 그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비교해보았다. 체제 변화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동양(동아시아) 근대(근세)의 기점을 제6차 교육과정까지는 명·청시기 또는 청조로 잡았다가 제7차 교육과정 이후 아편전쟁부터 기술하고 있다. 또 중국근대사 서술이 서양 열강(유럽)의 진출(침략)과 중국의 개혁(민족)운동이란 기본 구조에서 제6차 이후 중국 자체의 근대화 내지 근대국가 건설(수립) 운동을 강조하는 체제로 변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서양 중심주의 사관에서 벗어나 서양 이외의 지역역사를 독자적으로 서술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생각된다. 한편 현대사는 거의 모든 교과서가 제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삼고 있으며 양차대전과 전후 두 단계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는데, 전자는 ‘시련’의 시기, 후자는 ‘발전’의 시기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중국의 경우, 전자는 제국(전체)주의의 침략과 민족통일운동을 중심으로, 후자는 신중국의 성립과 ‘변화’의 과정으로 기술하고 있다. 다만 중국현대사 서술의 하한이 갈수록 교과서 출판년도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학생들이 당대 중국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서술 내용 중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은 태평천국과 의화단의 성격 및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관점과 평가 부분이다. 태평천국의 호칭은 제4차 이후 ‘운동’으로 고정되지만 제7차 이전에는 그 성격을 중국사회의 ‘시련’, ‘동요’로 볼 것인지, ‘개혁’, ‘근대화’운동의 일부로 볼 것인지 견해차가 있다. 이러한 점은 의화단에 대한 호칭과 표현에 있어서도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초기에 반란 또는 폭동으로 규정되었던 태평천국과 의화단은 후기로 가면서 점점 중국의 근대화 내지 근대국가 수립에 주체적으로 참여한 운동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마도 역사상 농민(민중)운동의 역할(의의)을 높이 평가하는 중국 대륙학계의 관점을 점진적으로 수용한 결과로 사료된다. 국공내전에서 공산당의 승리 요인에 대해 초기에는 부정적 이미지가 강조되었으나, 제4차 이후 토지개혁을 통한 농민의 지지 획득이 적시되고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해 초기에는 그 내정과 외교를 비판적·냉소적으로 묘사하면서도 ‘하나의 중국’이라는 현실을 마지못해 인정하는 식으로 서술하였으나, 제7차부터는 중국공산당의 치적과 신중국의 변화과정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은 제4차 이후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개혁·개방정책은 그 부작용(6.4천안문사건 등)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한편 대만의 중화민국에 대해서는 초기 일부 교과서에서 호의적인 평가를 하고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호칭은 제5차 이후 모두 ‘중국’으로 통일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집필 당시의 시대적 여건과 집필자의 관점(또는 집필 지침)이 작용한 것이겠지만, 전후 국제질서의 변동(냉전 해체) 특히 한·중 관계 개선에 따른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세계사』교과서 일본사 관련 서술의 현황과 전망-전근대사 서술을 중심으로-

        정순일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이 글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4종의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고, 일본 전근대사 서술에 보이는 특징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최근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집필기준을 살펴봄으로써 새롭게 간행될 교과서에서 일본사 서술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게 될 것인지, 혹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지 전망하였다. 아울러 제도적・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사안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지역 세계’ 및 ‘교류와 교역’이 중시되어, 결과적으로 일본 전근대사 서술이 연대기적으로 맥락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 단원에 일부분씩 분산되는 형태를 띠게 되었다. 내용 분석을 통해서는, 4종 교과서가 저마다 특징 있는 서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오개념과 애매모호한 설명이 적지 않게 보였다. 시대별 특성을 드러내지 못하는 제목의 설정도 문제시된다고 할 수 있다.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교과서에서는 ‘문화 수용자’로서의 일본 이미지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문화 요소가 일방향으로만 흐른다는 이해는 오히려 ‘비역사적’으로, 문화와 문물의 쌍방향적 혹은 다자적 이동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또한, 4종 교과서 모두에서 일본사가 동아시아라는 제한된 무대를 넘어 광역 세계 속에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교육학적 활용이 기대되는 부분으로 평가된다. 새롭게 발표된 ‘2015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습 부담의 경감을 위해 학습 내용을 대폭 줄이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사에 한정해서 본다면, 관련 성취기준 내지 학습요소가 감소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간행될 교과서에서도 서술 분량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행 교과서의 일본 전근대사 관련 기술이 흩어져 있었던 데 대해,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에서는 내용이 상대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배치될 것으로 보여,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일본역사의 시계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쉬워졌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한국적 현실을 감안하면, 일본 전근대사 서술이 현행 교과서 수준보다 구체화・체계화될 것이라 보기는 힘들다. 중요한 것은 한정된 ‘재료’(교과서)를 가지고 어떻게 ‘요리’(교육)를 할 것인가이다. 보다 나은 일본사 교육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사 대상 연수(재교육)의 실시가 절실히 요구된다. 그 이외의 정책적・제도적인 개선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사-학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질 좋은’ 개설서, 참고서의 활발한 집필도 병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four types of World History textbooks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comparatively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s of Japanese premodern history. Moreover, by examin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cently made public and the criteria of writing textbooks, this author studies how the descriptions of Japanese history will be changed or should be changed in newly published textbook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what needs to be supported institutionally as well as politically. The current curriculum stresses "The Regional World" and "Exchange and Trade." As a result, Japanese premodern history is not described within the context of a chronicle format, but is dispersed in different units. According to a content analysis, four different types of textbooks describe Japanese premodern history distinctly from each other. Meanwhile, there are not a few misconceptions or ambiguous explanations found. The title, which fails to capture the essence of a certain period, is also problematic. The current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highlight Japan's image as "a culture receiver." But it is rather "unhistorical" to understand that all the elements of culture move in the same direction, thus we should also take note of either two-way or multilateral movements of culture and civilization. Also, all of these four types of textbooks describe the history of Japan as having developed not within the limited stage of East Asia but in the vast world. This is evaluated as having potential for pedagogical use. The core of the 2015 Curriculum, which was newly released, is to reduce learning content quite much in order to lessen the burden of learning. But if we examine only the history of Japan, we can see that neither the criteria of achievement nor the related elements of learning are reduced. Therefore, the textbooks to be published subsequently are also expected to maintain the amount of description. In the current textbooks, descriptions of Japan's premodern history are scattered.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the textbooks will arrange the contents rather more systematically. This can be evaluated from the position of learners. It will be easier to follow the flow of Japanese history by periods.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e can hardly expect that descriptions of Japan's premodern history will become more concretized or systematized than in the current textbooks. What is important is how we should "cook" (teach) with limited "ingredients" (textbooks). To teach the history of Japan better, it is absolutely and preferentially necessary to train (retrain) teachers. Aside from that,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hould come nex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write "quality" introductions and reference books which teachers and students can both use eas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