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에서 필연(anankē) 개념

        김영균(Kim, Young-Kyun) 韓國西洋古典學會 2011 西洋古典學硏究 Vol.45 No.-

        이 논문은 『티마이오스』편에서 제시된 필연 개념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한 글이다. 필연은 ‘방황하는 원인’과 ‘보조적 원인’으로 구분해야 한다. 방황하는 원인은 데미우르고스가 개입하기 이전의 원초적 물질 상태와 관련되는 원인이다. 반면에 이러한 원초적 물질이 수와 형태들에 의해 설득될 때, 그것은 보조적 원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방황성’의 의미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을 검토하고, 방황하는 원인은 법칙적 필연성이 아니라 법칙 밖에서 작용하는 필연성임을 밝혔다. 방황하는 원인은 우주가 탄생하기 이전의 불, 물, 공기, 흙의 성질과 상태들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셋째 종류의 것’으로 상정된 ‘수용자’(hypodochē)의 특성과 연관해서 파악해야 한다. 필자는 이에 관한 논의를 통해서 수용자는 단순한 빈 공간이 아니라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양육하는 기반이며 질료적인 어떤 것으로 볼 수 있음을 밝히고, 수용자의 이런 특성이 무질서의 원천이고 방황하는 원인임을 보여주고자 했다. 지성이 질서 있는 우주를 탄생시키기 이전에 물질들은 방황하는 원인에 의해 그 자체로 자기동일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변질하고 무질서하게 운동한다. 그리고 보조적 원인은 좋음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들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은 그 자체의 힘만으로는 아름답고 좋은 것들을 생기게 하지 못한다. 플라톤의 필연 개념에는, 방황하는 원인의 차원에서든 보조적 원인의 차원에서든, 지성에 의해 완전히 설득되지 않는 필연적 한계의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데미우르고스는 이 우주를 가능한 한 훌륭하게 만들 수 있을 뿐이다. 이를 본받아서 필연의 영향을 최소화해 필연적인 것을 좋음의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것은 인간 지성의 과제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Necessity presented in Timaeus. I think Necessity should be divided into the wandering cause and the accessory cause. The wandering cause is responsible for the state of raw material before Demiurge begins to intervene. On the other hand, the raw material, when it was persuaded by geometrical shapes and numbers, is used as the accessory cause. This paper first began by examining the existent interpretations concerning the meaning of ‘wandering’, and then tried to assert that wandering cause is not the necessity of law but a necessity that operates outside the law. Because wandering cause is related to the pre-cosmic nature and state of fire, water, air and earth, it should be understood with regard for the nature of Receptacle supposed to be the Third Kind. Through further argument, I attempted to prove that the Receptacle is not mere void space, but provides the material medium for the things being created, resulting in the disorder of the pre-cosmic materials. The pre-cosmic materials are in incessant flux and disorderly motion due to the wandering cause. Although the accessory cause can be used as things conducive to realizing the good, it can not itself bring about the good and beautiful. Plato’s concept of Necessity has an aspect of inevitable limit that is not completely persuaded by intelligence either in the level of the wandering cause or in the level of the accessory cause. For this reason Demiurge can only create the cosmos as good as possible. In emulation of Him, human intelligence takes it as its task to minimize Necessity’s influence and guide Necessity into the direction of the good.

      • KCI등재

        황동규 초기시에 나타난 방황하는 청년 표상

        유창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young man in Hwang dong-kyu's early works. Two events such as the revolution took place in 1960's. one is 4·19, the other is 5·16. After this events, South Korea will seek the freedom and economic development with Modernization Project The young generation called 4·19 generation was emerging in early 1960's. They were independent from the older generation and They are resistant to Dictatorship. Angry young man took to the streets. and were grouping. but They were not stable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Marginalized young people were wandering the streets. The image of young man wandering in the streets was projected on the literature of the 1960's. 60's women were marginalized as young men. Moreover, resiatanting or wandering in the street was limited to young men. Women were given the role that different with men. and there were no women in the word of man. There are young people who are lost i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m. They call each other into the street in oder to memories. but there is no people in the street, so young men disappoint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woman in the street also. Women are hidden. and There are women in the background or Women are represented in the auditory image. How to recognize women changes due to travel. The poet observe women in travel. They are working in the field or Foreshore. so that Women are received with vitality. and Women get the value of Other. through Other, Poet can know the limits of patriarchy. Many researchers agree that Hwang dong-kyu's poem is the result of a trip. In addition Changing the perception of women is add, we can read the in poem Postmodernism 이 글은 황동규의 초기시에 나타난 청년 표상에 관한 연구이다. 1960년대는 4·19와 5·16이라는 중대한 사건이 존재한다. 이 두 사건 이후 한국 사회는 근대화프로젝트의 진행과 더불어 자유와 경제발전을 동시에 모색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하에 60년대 초반 4·19세대로 불리던 신세대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기성세대로부터 독립적이며 독재에 저항하는 속성을 지닌다. 청년들은 거리를 메우는 것으로 그들의 집단성을 드러내기는 하였지만 실제적인 안정을 취득하지 못했다. 경제적, 정치적 질서에서 소외된 젊은이들은 좌절하여 거리를 방황한다. 이러한 청년들의 표상이 당대의 문학작품 및 기타 예술 장르에 투영된다. 그런데 근대화 프로젝트가 남성 중심적이다 보니 60년대 여성은 젊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소외되었다. 더군다나 거리에서 투쟁하거나 방황하는 청년은 남성에 국한되었다. 황동규의 초기시에서도 방황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발견해 낼 수 있다. 이들은 서로를 거리로 불러내어 과거의 추억을 되새기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현실 속에는 과거의 거리를 가득 메웠던 군중의 모습은 사라졌다. 황동규의 시에서 거리는 빈 공간으로 차가운 눈이 내거나 얼어붙은 겨울로 묘사되고 거리의 사내들은 다른 사내들을 찾아 헤매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는 기존 담론의 수용의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기성세대 담론이 청년을 공적인 영역에서 배제시켜 청년들은 우울과 방황의 이미지로 표상되는 된다. 이와 황동규의 초기시의 방황하는 젊은이의 모습은 유사하다. 한편, 여성은 거리에서 찾아볼 수 없다. 시의 배경에 삽입되어 표현되거나 청각적인 형태로만 존재한다. 일상적인 도시를 벗어나 여행지에서 시인이 발견한 남성들은 시인의 과거 슬픔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군중들이었다. 이들을 통해 구체적인 슬픔에 도달하여 그것을 극복할 수 있기에 이전 시의 감상적 슬픔에서 청년은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여행지에서 여성들과의 만남을 통해 세계관의 확대를 경험한다. 여성들은 밭이나 갯벌에서 혹은 우물가에서 일하는 여성들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타자 인식이 선행되어야만 시인은 기성세대가 지니고 있는 타자 배제의 한계점을 극복하게 된다. 황동규시가 여행을 통한 성찰의 과정이라는 것에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덧붙여 여성에 대한 인식 과정이 첨가된다면 황동규의 시를 보다 탈근대적이고 탈가부장적인 시로 읽어낼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잠재적 청년실업자’들의 방황과 계급적 실천

        정수남(Sunam Joung),김정환(Jung Hwan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3 No.-

        본 논문은 중간계급 가정에서 자란 (잠재적)청년실업자를 중심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방황의 성격과 그에 대응하기 위한 계급적 실천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최근까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청년세대의 문제를 세대론적 차원을 넘어 계급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분석해야 함을 주장했다. 둘째, 연구대상자 청년들은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후기자본주의체제에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함으로써 대학진학 이후 현재까지 소모적인 방황기간을 오랫동안 거쳐 왔고 뚜렷한 삶의 목적과 직업관을 갖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가족의 계급적 자원을 기반으로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처해오면서 생계문제를 피해갈 수 있었다. 셋째로 이러한 생애과정을 거치면서 이들은 평범하게 살아가는 삶을 삶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데, 그 이면에는 미래전망이 불투명한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한 깊은 냉소주의가 깊게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필자들은 청년세대는 자신의 계급적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불안에 대처하고 살아간다는 점에서 세대문제는 계급적 차원과의 연관 속에서 다루어져야 문제의 심연에 다가갈 수 있음을 강조했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some characters of wandering that potential youth unemployed have experienced and their class practice to cope with it. For this, first, we suggest that expanding to level of class beyond level of generation, problems of youth generation should be treated. Second, interviewee youth people didn’t cope with unstable post-capitalism appropriately and then couldn’t help undergoing the period of wandering long time after since 20’s. After all, now they have no clear objective of life and work ethic. Nevertheless they could avoid living matters by handling their anxiety and uncertainty on the base of class resource of family. Third, they try to set up goal of life as just living ordinarily. Above all, they have deeply cynicism about their own unstable lives and uncertain society without vision today. Lastly, we empathize that today problems around youth gener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relation to level of class in that they live differently for their class situation.

      • KCI등재

        『滿鮮日報』의 젠더적 특성과 의미

        김영주(Kim, Young-ju)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20

        Japan owed the power evoking the world war such as the Chinese-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to the leading position in Manchukuo. It is unusual that the ruling wanted to decorate the Manchukuo as an independent country, not as a colony or puppet state. But Manchukuo is a colony and puppet state, really. So the rights and interests of Joseon residents in Manchuria could not be assured. Women Joseon residents were treated discriminately more than men. The Manseonilbo『滿鮮日報』that was published in Manchukuo by Joseon language reflected some image of Joseon residents. But this newspaper didn’t focus it"s mind on women Joseon residents, so it didn’t have lots of articles about women Joseon residents. A few articles were interested in women. But series of notes, Women who stand at a crossroads「十字路에 彷徨하는 女人들」by name focused on women Joseon residents. It is very special case, and then important too. This research paper studied these notes and poetry about woman life. This is because these texts showed a trend and a point of view about『滿鮮日報』 Women characters of「十字路에 彷徨하는 女人들」were interested in love and a marriage only. Also they regarded their chastity very highly. This fact was forced by men of the nation. This opinion was reflected in the newspaper. Lots of women who read and heard this newspaper worried about violation the chastity. The poetry of about woman life in the newspaper showed a few types of women characters, barmaids, mothers & wives and border rangers. These cases were based on patriarchy. They worked and sacrificed her lives for their family. The poets sympathized with or respected her attitude and lives. Consequently,『滿鮮日報』played an important role of insisting on women doing, they say, right doing. Women were made to be the chaste and modest, to be sacrificed. This reason is women Joseon residents were remained not the public sphere of political activity but the private sphere associated with family and domestic life.

      • KCI등재

        曉峰의 法語에 나타난 歸鄕意識과 그 意味 試探

        차차석(Cha Cha 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본 논문은 효봉의 법어에 나타난 고향의 개념과 귀향의식을 분석한 것이다. 효봉은 법어를 통해 고향으로 돌아가자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이 경우 고향이란 단어의 개념은 깨달음의 세계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구름이나 기타 다양한 원인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깨달음으로 표현되는 고향의식은, 현실을 방황의 세계로 묘사하고 있다. 그 방황의 원인을 효봉은 끊임없는 분별심, 육도의 차별, 공을 깨닫지 못함, 혼침과 산란 등으로 설명한다.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유는 분명해 진다. 그것은 주객을 끊임없이 분별하면서 육도의 차별적인 모습을 연출하는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의 법칙을 깨우치지 못하고 혼침과 산란 속에 빠져 있는 인간들의 다양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효봉은 인간의 가능성을 믿고 있다. 즉 수행을 통해 상실된 고향을 회복할 수 있다고 하거나 깨달음을 추구하는 본능적인 각성에 의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수행을 강조한다. 이러한 효봉의 修證論은 3학의 실천과 철저한 무집착 공의 체득으로 압축된다. 효봉은 삼학의 실천을 통해 정혜겸수를 주장하지만 그것은 선정 위주의 정혜겸수이며, 이런 정신은 보조지눌의 사상적 연장선 위에 놓여 있다. 또한 상대적 차별을 초월한 무집착 공의 체득을 강조하지만 현실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 점은 定慧雙修라는 보조지눌의 수행 가풍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유마경』이나 『법화경』 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효봉의 선사상은 전반적으로 반야사상의 사상적 토대 위에서 전개된다고 볼 수 있지만, 그런 점은 고향을 인식하는 방법의 토대, 고향의 모습을 인식하는 방법 역시 마찬가지이다. 철저한 무집착 공의 바탕 위에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효봉스님이 인식하고 있는 고향의 모습은 두 가지라 분석할 수 있다. 첫째는 즉심시불의 경지이며, 둘째는 중도불성의 개현이다.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로 효봉은, 대승불교의 기본 이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자리와 이타의 완성을 위해 귀향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이것은 귀향 이후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야 하는가를 말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theme of hometown and a sense of homecoming expressed in Ven. Hyobong s Buddhist Sermon. Above all, Ven. Hyobong emphasizes returning to hometown. In his case, the concept of hometown is expressed the world of enlightenment, but he explains the reason why people cannot return to their hometown by means of diverse figures such as clouds or different origins. In Buddhism or Seon, hometown or the real world, described as the enlightenment, is expressed as the wandering world. In this vein, Ven. Hyobong finds the reason of wandering in the followings: the endless discrimination, the differentiation of six realms, unrealizing the emptiness, lethargy(styāna) and heedlessness, etc. That is, the reason why we cannot return to our native place is because of the endless discrimination on subject/object and the differentiation of six forms of existence. Then, such a situation is the very symbolic expression of the diverse sentient beings who unrealized the principle of the emptiness and who are immersed in the lethargy and heedlessness. However, Ven. Hyobong believes that man can recover his lost hometown through the thorough practice or that man can return to a real hometown through instinctive awareness to seek after the enlightenment. Therefore, so as to achieve Buddhanature, above all, he stresses the fierce practice. Hyobong s practic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condensed as the practice of ‘Three Essential Marks , the thorough non-attachment and the complete comprehension of emptiness. Likewise, Ven. Hyobong emphasizes the practice of both meditation and wisdom through the practice of ‘The Three Essential Marks , which is focused on meditation and also succeeds National Master Bojo Jinul s Seon thought. This tendency emphasizes the non-attachment and the complete comprehension on the emptiness transcending the relative discrimination but it doesn t deny the real fact. This fact is much influenced by the Vimalakirti Sutra and the Lotus Sutra, succeeding the Seon thought of Bojo Jinul s meditation and wisdom practice. It seems that Hyobong s Seon thought is generally developed on the basis of Prajuna thought, but this tendency is the same in the origin base and way of perceiving hometown because his thought is developed on the base of complete non-attachment and emptiness. In brief, Hyobong s perception of hometown is diagnosed as the two following characteristics: One is that Mind is the very Buddha and the other is the Revelation of Mid-path Buddha-nature. Hence, Hyobong stresses the following basic idea of Mahayana Buddhism concerning the reason why we should return to hometown: Benefit oneself and others, which is the very representation of how to live after homecoming.

      • KCI등재

        여행과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본 의 인물 양상

        이미림(Lee Mi rim)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The Land one of the most loved novels by Korean people. Depicting the deep resentment of Korean people, the masterpiece of Park Kyung-ri is a historical epic novel and family novel that will leave its everlasting mark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onsisting of five parts and 16 volumes, the work is characterized by others'identity and orientation toward others through the wandering and drifting of youths of a colonized country, who are others in the empire, and also by traveling, drifting, and migrating for cultural thinking and ego search. The work contains contemporary meanings that are still reinterpreted today beyond the years before Liberation. Which is its background, because it has the Korean diaspora issue and beyond-border migration motif that have recently captured limelight. This study set out to focus on Jugap, Ogada Jiro, Song Yeong- gwang, and Lee Sang-hyeon that have failed to attract attention among approximately 600 attractive and original characters in the work and investigate their traveling, wandering, and drifting, the yoke of the times at the center of discrete life, and the substance of futility and pessimism. Both Song Yeong-gwang and Lee Sang-hyeon are decadent nihilists in that they fai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ith their social classes and their fathers and build a true family and escape to decadence, corruption, traveling, and artistic acts. One might blame the youths of the colonized country for their lives involving no accomplishment in terms of nation, love, and art and wandering around, being desperate and enraged, but the author understands and accepts them from an affectionate standpoint and depicts them as attractive and beautiful beings. Ogada Jiro is the only Japanese person positively described by the author that had a negative view of Japan and Japanese people. He is a cosmopolitan armed with multicultural global citizenship and an anarchistic tendency. Loving Joseon woman and Joseon itself and criticizing his fellow Japanese men and Japan, he rejects family, residence, and settlement and orients himself toward daily life based on traveling. Involving ongoing doubt, 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as an imperial intellectual, his traveling is based on the yoke of the times. In the novel, he is depicted as an others-oriented, descent, and beautiful young man. A superhuman form of human as child and drifter, Jugap is a possessor of free spirit with cheerfulness, disinterestedness, laughter, transcendence, and naiveness. Transcending and overcoming poverty, social class, and reginal limitations, he evolves into a natural singer that can move the emotions of people and make his surroundings happy and enviable. Moving around and making adaptations as life dictates with no nation, family. and gaol, he is Ubermensch defined by Nietzsche and a being beyond the human level. Previous studies on The Land analyzed characters by dividing them into male vs. female and positive vs. negative figures, but the present study analyzed Song Yeong-gwang, Ogada Jiro and Lee Sang-hyeon and found that those characters that failed to form a family or settle down were the ones that the author oriented herself toward and understood. They are attractive and original characters that demonstrate that she was a great author. their lives are re-perceived as the aspects of the 21st century-nomads that have returned to nomadism again and contain more contemporary meanings and values than pre-modern and modern character groups that have taken root in history, motherland, or family. Represented by such images as drifters, orphans, boys, children, and rainbows, they are travelers and wanderers that fail to adapt to the contradicted colonial modern times and wander around like winds, clouds, and duckweed.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의 하나인 는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본고는 의 문학적 가치를 탈국경, 디아스포라, 외부지향성, 다문화 등의 동시대적 의미로 보면서 방황 혹은 방랑하는 남성인물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 부각되는 조선족, 고려인, 재일조선인 등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출현은 강제이산을 할 수밖에 없던 일제강점기 삶의 고달픈 여정에서 비롯된다. 나라를 잃은 우리 민족은 여행, 방랑, 이주하는 일상 속에서 가족과 집에 안주하거나 정착이 불가능했다. 방황하는 청춘의 입사와 시대적 질곡으로 인해 부유하는 시대를 상징하는 인물이 송영광, 주갑, 오가다 지로, 이상현이다. 전근대와 근대가 혼효된 이 시기에 근대교육, 승경관람, 독립운동, 강제이산, 생계이주, 근대여행 등의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조선을 떠났다. 독립운동가 아버지와 백정출신인 어머니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방랑하는 송영광은 무책임과 방탕함에도 불구하고 작가에 의해 아름답고 영성적인 청년으로 탄생된다.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를 증오했던 작가에게 오가다 지로는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일본인으로 묘사된다. 제국청년인 그는 식민지 조선여인을 사랑하는 세계주의자이자 다문화주의자이다. 동일자로서의 삶을 거부하고 사랑하는 여인 그리고 다문화가정 2세인 자신의 아들과 가정을 꾸밀 수 없는 상황 속에서 그는 여행가방을 들고 기차, 여관공간에 머무는 여행자이자 아웃사이더로 살아간다. 어린아이, 나그네로서의 초인적 인간형인 주갑은 무욕, 웃음, 순진무구한 명랑성을 지닌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이다. 그는 목적과 정처없이 주어진 대로 삶을 변형하는 소리꾼으로 주변을 행복하게 하는'위버멘슈'이자 인간을 뛰어넘는 인간 이상의 존재이다. 상현은 식민지 지식인의 전형으로 국가, 사랑, 예술, 가정 그 어느 것도 성취하지 못한 채 스스로를 자학하고 방랑하는 시대의 데카당스이다. 이들은 작품 속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지만 출생에 대한 상처, 남편과 아들의 죽음, 생계담당, 암선고, 창작에의 고통 등을 감내하면서 여성억압적 현실과 인습의 폐해, 인간불신으로 아프고 괴로웠던 작가가 추구하고자 했던 자유로운 존재이자 노마드 시대의 21세기적 인간형으로 구현되고 있다.

      • KCI등재

        『여자 없는 남자들(女のいない男たち)』론 - 소세키(漱石) 문학과의 비교적 관점에서 -

        尹惠暎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 논문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집인 『여자 없는 남자들』(2014.4 文藝春秋)에 수록되어 있는 「예스터데이」, 「셰에라자드」, 「기노」를 나쓰메 소세키의 문학과 비교・분석한 것이다. 「예스터데이」에는 『산시로』, 「셰에라자드」에는 『마음』이라는 작품이 직접 삽입되어 있다. 공통적으로 전자의 경우는 방황하는 청춘들이 등장하고, 후자는 자신의 과거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기노」에는 소세키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행운을 가져다 주는 고양이와 유혹하는 여성을 상징하는 뱀이 등장한다. 소세키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하루키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가 부각되는데, 하루키 작품에서는 인간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방황하는 청춘시절이 꼭 필요하며 현재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방편으로 과거와 상처와 고독의 인식과 수용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Yesterday, Scheherazade, Kino, which are included in Murakami Haruki’s short story The Men Without Women(Bungeishunju 2014.4.) with Natsume Souseki’s literature. Sanshiro is inserted in Yesterday and Kokoro is inserted directly in Scheherazade. In common, wandering youths appear in the former, and the ones who speak about their past appear in the latter. And in Kino, both Souseki and Haruki have cats that bring good luck and snakes that symbolize seductive women. Through comparison with Souseki works, this study highlighted the theme that Haruki wanted to convey through his works. And we can see that human beings need to be wandering youths to grow up and that acceptance and awareness of past, hurt, and solitude is very important as a way to live the present life.

      • KCI등재

        김광석의 음악세계에 새겨지는 껴안는 문화적 분위기로의 환기

        김소희(Kim, S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경계의 산책자로서 김광석은 청춘의 젊음에서 고뇌와 방황의 기억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며, 현재 살아있는 아우라로서 생동하게 한다. 김광석의 음악세계는 현대인에게 세대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공감대-청춘의 경계에서 사랑과 이별-의 기저에서 함께 산책하는 환기와 여과의 반향으로 고양하는 초점으로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김광석 노래의 중요성은 누구나 겪는 청춘의 경계에서 라푼첼의 눈뜸처럼 방황의 산책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분위기에 있다. 즉 그의 음악은 젊음이 예민한 경계에서의 산책을 관조하며, 과거의 잊혀진 기억과 꿈을 현재 새롭게 환기하고 있다. 이러할 때 의미없는 시간대의 단층들은 시간의 향기로서 감싸안는 껴안음의 세계이다. 김광석의 거리는 비정도시와 대조적으로 젊은 날의 사랑과 아픔의 공감대에서 현대인에게 우연히 김광석의 골목길에 들어서면 경쾌한 감각과 충일한 정서로서 회복하는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성을 환기하고 있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세대를 초월하여 모든 세대들이 공감하고 함께 산책할 수 있는 지속적인 관조와 환기로 껴안게 한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우리에게 공동의 운명으로, 아름다움의 구원으로, 시간의 향기로 그리고 그리움의 미학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한다. ‘Kim Gwangseok as the border stroller’ continuously stirs up the memory of anguish and wandering of the youth and vitalizes it as the ‘alive aura’ at prese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is important as it continuously stirs up and provokes in the focus of direction toward the inducement as ‘walking together’ and reverberation of filtration on the basis of general bond of sympathy-love and separation on the border of youth- beyond the generation for the people living in these times. The importance of the songs by Kim Gwangseok is the mood continuously stirring up the ‘stroll of wandering’ like enlightenment of Rapunzel on the border of youthwhich everyone experiences. In other words, his music newly stirs up the forgotten memory and dream of the past as contemplating the stroll on the sensitive border of the youth. In such mood, the strata of meaningless times is the world which embraces the ‘scent of the times’ The ‘Street of Kim Gwangseok’ stirs up the ‘Placeness of Heterotopias’ restoring pleasant senses and affluent emotions when the people inmodern times accidentally enter into the Alley of Kim Gwangseok with the sympathy on love and pains of youth which is contrary to the heartless city. At this poi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makes embrace the power of continuous contemplation and inducement which all generations can sympathize and stroll together. At this point, themusic world of KimGwangseok can be newly identified as our common fate, salvation of beauty, scent of the times and aesthetics of longing. 경계의 산책자로서 김광석은 청춘의 젊음에서 고뇌와 방황의 기억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며, 현재 살아있는 아우라로서 생동하게 한다. 김광석의 음악세계는 현대인에게 세대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공감대-청춘의 경계에서 사랑과 이별-의 기저에서 함께 산책하는 환기와 여과의 반향으로 고양하는 초점으로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김광석 노래의 중요성은 누구나 겪는 청춘의 경계에서 라푼첼의 눈뜸처럼 방황의 산책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분위기에 있다. 즉 그의 음악은 젊음이 예민한 경계에서의 산책을 관조하며, 과거의 잊혀진 기억과 꿈을 현재 새롭게 환기하고 있다. 이러할 때 의미없는 시간대의 단층들은 시간의 향기로서 감싸안는 껴안음의 세계이다. 김광석의 거리는 비정도시와 대조적으로 젊은 날의 사랑과 아픔의 공감대에서 현대인에게 우연히 김광석의 골목길에 들어서면 경쾌한 감각과 충일한 정서로서 회복하는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성을 환기하고 있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세대를 초월하여 모든 세대들이 공감하고 함께 산책할 수 있는 지속적인 관조와 환기로 껴안게 한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우리에게 공동의 운명으로, 아름다움의 구원으로, 시간의 향기로 그리고 그리움의 미학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한다. ‘Kim Gwangseok as the border stroller’ continuously stirs up the memory of anguish and wandering of the youth and vitalizes it as the ‘alive aura’ at prese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is important as it continuously stirs up and provokes in the focus of direction toward the inducement as ‘walking together’ and reverberation of filtration on the basis of general bond of sympathy-love and separation on the border of youth- beyond the generation for the people living in these times. The importance of the songs by Kim Gwangseok is the mood continuously stirring up the ‘stroll of wandering’ like enlightenment of Rapunzel on the border of youthwhich everyone experiences. In other words, his music newly stirs up the forgotten memory and dream of the past as contemplating the stroll on the sensitive border of the youth. In such mood, the strata of meaningless times is the world which embraces the ‘scent of the times’ The ‘Street of Kim Gwangseok’ stirs up the ‘Placeness of Heterotopias’ restoring pleasant senses and affluent emotions when the people inmodern times accidentally enter into the Alley of Kim Gwangseok with the sympathy on love and pains of youth which is contrary to the heartless city. At this poi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makes embrace the power of continuous contemplation and inducement which all generations can sympathize and stroll together. At this point, themusic world of KimGwangseok can be newly identified as our common fate, salvation of beauty, scent of the times and aesthetics of longing.

      • KCI등재

        리메이크 영화 『방황하는 칼날』에서 나타난 소년법 인식의 비교 고찰

        남상현 ( Nam Sang-hy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소년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소년법에 관한 담론은 함께 진행된다. 그리고 소년범죄사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논의의 차이는 소년범죄와 소년법에 대한 문제의식의 차이를 형성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차이에 입각하여 한국과 일본의 영화에서 대중이 소년법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의 차이를 가지는지 그리고 어느 부분에 더욱 주목하고자 하였는지를 비교 고찰하고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2004년 출판된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의 『방황하는 칼날(さまよう刃)』를 원작으로 살펴본 후, 리메이크된 한국(2014)과 일본(2009)의 영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일본의 영화에서는 소년법이 소년범을 처벌하지 못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피해자 가족의 박탈감과 울분에 주목하였다. 등장인물들은 소년법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이면서도 심층적인 고민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중에게 소년법에 대하여 재고찰의 기회를 주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달성하였다. 한편, 한국의 영화는 소년법의 내용은 축소되고 인물의 심리를 극대화 한다. 한국의 영화속 아버지는 소년법에 무지한 인물로 변형되며, 사랑하는 딸을 지키지 못한 울분을 표출하기 위하여 복수를 다짐하는 인물이다. 아버지를 대표하는 대중, 일반인에게서는 소년법에 대한 인식을 찾을 수 없었다. 다만, 경찰만이 소년법에 문제의식을 가질 뿐이었다. 두 영화 속 등장하는 소년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일본의 영화는 대중이 소년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전개되며 동시에 소년법에 관한 불신을 나타내는 경향이 짙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은 소년법보다는 소년범죄와 그에 따른 피해자의 감정에 주목하였다. 그럼에도 사법기관에 대한 믿음과 변화에 대한 의지가 존재한다는 모습을 보이며 향후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게 하였다. 이상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영화를 비교 분석하여 소년법의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영화와 소설이 가지는 사회성까지 고찰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As the juvenile crime occurs, the discourse on the Juvenile Law goes hand in hand. The different discourse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juvenile crime case forms the different awareness between juvenile crime and juvenile law. Based on these differences, In this paper, I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film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public perception on the juvenile law and the points which they wanted to focus more on.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juvenile crime and juvenile law in Korea and Japan. Hence, I analyzed the remake films of Korea (2014) and Japan (2009), after analyzing Higashino Keigo's novel Samayou Yaiba published in 2004. First, in the Japanese movie, it focused on the deprivation of the victim 's family and the anger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juvenile law, which fails to punish the juvenile offenders. The characters were more objective and deeply concerned about the juvenile law. Through this, the movie has achieved the role of giving the public an opportunity to think and review about the juvenile law.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 movie, it reduce the content about the juvenile law and maximiz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A father in a Korean movie is transformed into an ignorant person in the juvenile law. Furthermore, he pledges revenge because of the anger which belongs from that he was not able to protect the beloved daughter. From the father representing the public, there could not find the awareness of the juvenile law. However, only the police had a awareness of problem in the juvenile la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the juvenile law appearing in the two films, it is found that the Japanese film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ublic knows the juvenile law in detail, and at the same time, it tends to show the distrust of juvenile law. On the other hand, Korea focused on the victim 's feelings rather than juvenile laws. Nevertheless, it showed faith in the judiciary and the will to change and expected positive change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the juvenile law was grasped in depth by comparing and analyzing movies of both countries. This implies that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sociality of movies and novels.

      • KCI등재

        『방황하는 왕 이므룰 까이스』에 나타난 이므룰 까이스 성격 연구

        박재원(Park Jae-Won) 한국중동학회 2008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29 No.1

        This article aims at surveying the main features of characterization as revealed in Mu ammad Far d Ab ad d"s historical novel al-Malik al- il l Imru al-Qays(Imrul Qays, The Stray King)(1940). The novel was the first historical work of fair literary standard after his own Ibnah al-Mamluk(1926) which had a number of technical shortcomings. Imru al-Qays was a real historical poet, but appeared in the Arab"s history as contradictory in most traditions. Ab ad d described him as is shown - in a broad way - in the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However, he made use of the fiction writer"s right to imagination when he built the main characters and lesser ones. A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hero, Ab ad d depended upon two methods; direct definition and indirect presentation. Direct definition means that the narrator defines the character"s features in a straight manner. Indirect presentation contains several channels, such as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s outward appearance, presentation through his or the other characters" utterance or thought, description of spatial things, and presentation of resemblance. The analysis shows that Ab ad d principally relied upon the various indirect channels in characterization. If there are peculiarities in the characterization in al-Malik al- il l Imru al-Qays, the first one we can point out will be that the destiny appears as a decisive factor in the hero"s life, which reminds us of the ancient Greek tragedy. Abu Hadid"s destiny seems to be a synonym of "by accident", which reduces the story"s verisimilitude and the character"s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