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義田’의 국내 수용과 전승 양상

        정향춘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4

        This paper studied “Eui-jeon”’s acceptance and transmission aspect in Korea from analysing “Eui-jae gi(義財記)” by Lee Gok(李穀) of late Goryeo and “Eui-jeon gi(義田記)” by Jeon Gongbo(錢公輔) of Northern Song(北宋). The first one praise Lee Kyeng-bo(李敬輔)’s Eui-jae(義財) and the second one praised Beom Jong-em(范仲淹)’s Eui-jeon(義田). Both articles support an idea named Eui-jae(Eui-jeon) which means feeding relatives and strengthening kinship affection motivated by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Therefore, it can be seen as there are acceptance or transmission between them. This paper mainly contains three aspects: the purpose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how the two works embody the theme of “Shangche(常棣)”; the establishment and transmission of “Eui-jeon” or “sharing” traditions. Firstly, as well as mentioned, both works agree in the idea that one should save his relatives in difficulty. However, the motivation for writing “Eui-jae gi” is to admit the efforts to strengthen brotherhood and to reveal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oem of “Shangche(常棣)”. While “Eui-jeon gi” is to praise Beom Jong-em(范仲淹)’s high-rightness, which has been showed by preparing “Eui-jeon” to save his relatives in difficulty, and to spread his high-rightness generation by generation. Secondly, both quoted Mencius(맹자)’s view of “Chinchin(親親)” to embody the theme of “Shangche(常棣)”, which put brotherhood first. However, “Eui-jeon gi” take it in indirectly by describing the event. While “Eui-jae gi”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the articl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motive of creation of “Shangche”. In particular, “Eui-jae gi” strengthened close-bonded brotherhood instead of friendship and analysed why “Chinchin” logic was not kept which was not dealt with in “Eui-jeon gi”. These points show that the two works have not only acceptance relationship, but also have the value of “Homun(互文)”. Thirdly, it reviewed Eui-jeon or Eui-jae’s influence on posterity in both Korea and China. In China, Eui-jeon’s influence on posterity was enormous. In Korea, although there was not prevalence as China, some records show that the actions of Eui-jeon or Eui-jae were being passed down. In particular, there were various attempts to carry out sharing actions after the acceptance of Eui-jeon. And the range of Eui-jeon also expanded to the public. These facts could be seen as the origin of “sharing”. In fact, these kind of “sharing” are still handed down in the form of “helping the needy”, “scholarship foundation”, etc. Therefore, the value of Eui-jeon or Eui-jae which is the origin of “sharing” has become more noticeable. Given the discord between siblings due to money, etc. in the modern society full of Materialism, the theme of “Shangche” and Eui-jeon, Eui-jae’s ideas are may be very thought-provoking for modern people. 본고는 義田의 한국적 수용과 전승 양상을 주로 麗末 문인 李穀의 「義財記」와 北宋 錢公輔의 「義田記」를 상대로 고찰하였다. 전자는 李敬輔의 義財를 칭송한 記文이고, 후자는 范仲淹의 義田을 찬양한 글이다. 양 記文은 仁義를 기반으로 일가친척을 먹여 살리고 친족지간의 情誼를 돈독히 하기 위한 義財(義田)를 포양했다는 공성으로 전후 수용 내지 전승관계가 드러난다. 본고는 이러한 수용관계를 仁義의 취지, 「常棣」 詩旨의 구현, ‘義田’ 내지 ‘나눔’ 전통의 수립과 전승에서 파악하였다. 仁義의 취지에서는 어려움에 처한 친족을 구제한다는 측면에서 양 작품은 맥이 통한다. 단 「義財記」의 집필 동기는 형제지간의 情誼를 돈독히 하기 위한 노력을 시인하고 그것이 「상체」시지와 관련이 밀접함을 밝히는 것이고, 「義田記」의 집필 동기는 어려운 친족을 구제하기 위해 의전을 마련한 범중엄의 高義를 칭송하고 후세에 전하고자 한데 있었다. 「상체」시지의 구현에서는, 양 작품에서 인용한 맹자의 ‘親親’언급을 통해 형제우선의 「상체」시의 내함이 반영되었다. 단 「의전기」는 사건 기술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체」 詩旨를 구현했다면, 「의재기」는 의재의 목적이 「상체」시의 창작 동기와 직접 관련됨을 드러내었다. 특히 형제와 붕우를 本末의 관계로 파악하고 ‘親親’의 이치가 지켜지지 못한 원인을 분석한 것은 「의전기」에서 직접 다루지 못한 부분을 보완한 것이 되는바, 이런 상황은 양 작품이 전후 수용관계만이 아니라 互文의 가치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義田’전승의 측면에서는, 한중 양국의 의전 내지 의재가 후세에 준 영향을 검토하였다. 중국의 경우 후세에 준 義田의 영향은 막대하였고, 한국은 중국처럼 성행은 못했어도 일부 기록을 통해 義田 내지 義財 조치가 전승되고 있었음을 보게 된다. 특히 義田이 수용된 후 그 명칭이 義田에 그치지 않고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점, 그리고 친족형식에만 그치지 않고 백성을 망라한 公의 측면에서도 ‘나눔’의 연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사실 이러한 ‘나눔’은 불우이웃돕기, 장학재단 등의 형식으로 현재 여전히 전승되고 있어 그것의 연원이 되었던 의전 내지 의재의 가치를 더욱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금전만능의 현대 사회에서 금전(遺産) 등으로 인한 형제들 사이의 불화를 감안하면 「상체」 詩旨 및 義田․義財의 사고방식이 현대인에게도 시사되는 바가 있지 않을까 한다.

      • KCI등재

        산상수훈의 ‘의’(義) 이해

        안경순(Ahn, Kyung-Sun)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2

        이 글은 마태복음의 산상수훈에 나오는 ‘의’의 윤리적 실천 측면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유학의 ‘성’과 학제간 연결을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마태복음의 산상수훈에 나오는 ‘의’(義)와 『중용』에 나오는 ‘성’(誠)의 윤리적 실천 측면을 견주어 이해해 보고, 산상수훈이 ‘의’(義)의 완성을 위한 인(仁)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산상수훈의 ‘의’는 유학의『중용』에 나오는 ‘성’과 윤리적 실천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유사한 측면이 있는 것이다. 곧 산상수훈의 ‘의’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응답과 의무로서 윤리적 실천 측면에서 ‘하나님의 의’와 연결되어 있는 개념인 것처럼 『중용』?의 ‘성’(誠)도 인간의 바른 도리로서 윤리적 실천 측면에서 천(天)이 정한 성(性)과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의’(義)와 ‘성’(誠) 안에서 인간의 의무와 하늘의 명령, 그리고 유한과 무한은 서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상수훈의 ‘의’를 유학의 ‘성’은 윤리적 실천 측면에서 조명해 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In an attempt to understand more profoundly the notion of ‘righteousness’ (義) in the Sermon on the Mount, especially in terms of ethical practice, this paper tries to connect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 of ‘Sincerity’ (誠) in the Confucian philosophy. To that end, I have studied both the notion of ‘righteousness’ (義) in the Sermon on the Mount in Matthew’s Gospel and ‘sincerity’ (誠) in the Mean (中庸), attempting to understand two notions on the aspect of ethical practice by drawing a comparison. I try to prove practice of benevolence for completion of ‘righteousness’ (義) in the Sermon on the Mount in Matthew. ‘Righteousness’ (義) in the Sermon on the Mount is structurally analogous to ‘sincerity’ (誠) in the Mean (中庸). As ‘righteousness’ (義) in the Sermon shall mean man’s response and obligation as well toward God and shall have to do with Righteousness of God, so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sincerity’ (誠) in the Mean (中庸). As a morally right tool of what is right among human beings, ‘sincerity’ (誠) in Confucian philosophy can be said to be connected to the Nature (性) determined by the Sky (天), growing into one from the aspect of ethical practice, that is because there is no way to separate man"s obligation, heaven’s order and the finite and the infinite within the teaching of ‘righteousness’ (義) and ‘sincerity’ (誠).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righteousness’ (義) in the Sermon on the Mount shall be illuminated with ‘Sincerity’ (誠) in Confucian philosophy from the aspect of ethical practice.

      • KCI등재

        義烈圖 의 판본에 대한 연구

        김석배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Euiyeoldo was published in Seonsan during the 18th century for the purpose of teaching people ‘eui[loyalty]’ and ‘yeol[fidelity]’. Pictures are arranged first and their explanations are given next in the book for the illiterate people to know the meaning of the pictures. The process of publishing Euiyeoldo and the characters of the first and second versions of Euiyeold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rst version of Euiyeoldo (13 leaves block book) with an epilogue written by Kwon Sang-ha was published by Seonsanbusa Jo Gu-sang in June, 1703. It includes what the fidelity woman Hyang-rang and an Euiu[ultraloyal cow] did. The motivation of publishing the first version of Euiyeoldo was to keep and strengthen public order of the villages by teaching people eui and yeol through the friendship of the virtuous woman Hyang-rang and Euiu. The first version of Euiyeoldo is composed of ‘Euiudo’+「Euiudoseo」+‘Yeolnyeodo’+「Yeolnyeodogi」+「Euiyeoldobal」’. The remaining 12 block books are a little different from one another. ‘Hongik University version’ is supposed to be published first among them, 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version’ is most peculiar. Second, the second version(17 leaves block book) was published in the early summer, 1745, after stories of the fidelity woman Yak-ga and Euigu[ultraloyal dog] was added to the first version of Euiyeoldo by Park Ik-ryeong. The motivation of publishing the second version was the same as the first version. Roughly speaking, the second version of Euiyeoldo is composed of ‘Yakgado’+「Euiyeoldocheomboseo」+‘Yeolnyeodo’+「Yeolnyeodogi」+「Euiyeoldobal」+‘Euiudo’+「Euiwudoseo」+‘Euigudo’+「Euigujeon」’. The remaining five block books are a little different among one another, and ‘Korea University version’ is most peculiar. Besides, there are 「Yakgajeon」 published in 1832, and Sok Euiyeoldo into which 「Euiujeon」 was written. 18세기에 경상도 善山에서는 백성들에게 ‘義’와 ‘烈’을 가르칠 목적으로 義烈圖 가 간행되었다. 글을 모르는 백성들도 알 수 있도록 그림을 앞에 싣고 그다음에 그림과 관련된 글을 수록하였다. 의열도 의 간행 경위와 판본의 성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간본 의열도 (13장 목판본)는 1703년 6월에 선산부사 趙龜祥이 열녀 香娘과 義牛의 일을 수록하고 권상하의 跋文을 받아 간행한 것이다. 초간본 의열도 의 간행 동기는 열녀 향랑과 의우를 통해 백성들에게 의와 열을 가르쳐 節義의 중함을 알지 못하는 세상을 바로잡아 향촌 사회의 질서를 유지․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초간본 의열도 는 ‘의우도’+「의우도서」+‘열녀도’+「열녀도기」+「의열도발」’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확인된 11개 판본은 약간씩 다른데, 그중에서 ‘홍익대본’이 가장 먼저 간행된 것으로 짐작되고, ‘경북대본’이 가장 특이하다. 둘째, 중간본 의열도 (17장 목판본)는 1745년 초여름에 박익령이 초간본 의열도 에 열녀 藥哥와 義狗의 일을 더해 간행하였다. 중간본 의열도 의 간행 동기는 초간본과 같다. 중간본 의열도 는 대체로 ‘약가도’+「의열도첨보서」+‘열녀도’+「열녀도기」+「의열도발」+‘의우도’+「의우도서」+‘의구도’+「의구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전하는 5개 판본은 모두 조금씩 다른 것으로, 그중에서 ‘고려대본’이 가장 특이하다. 이 외에 1832년에 「약가전」과 봉곡동의 「의우전」을 필사해 넣은 속의열도 도 있다.

      • KCI등재

        의철학 3대 논쟁점의 재구성 - 의철학 교과서를 위한 철학적 기초

        최종덕 한국의철학회 2015 의철학연구 Vol.20 No.-

        의철학의 내용은 의학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주제영역과 의철학의 기본적인 논리와 범주를 다루는 기초영역을 포함한다. 이 논문은 이 중에서 의철학 교과서의 내용 중에서 한 축인 기초영역에 대한 것이다. 의철학의 기초영역 부분은 지나온 40년 동안 부어스. 펠리그리노, 카플란, 커닝엄, 울프와 슈바르츠, 카셀과 잉겔하르트, 마컴과 킹 등 대표적인 의철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논문의 목적은 그 많은 기초영역의 연구들을 의철학 교과서에 어울리도록 재구성하는 데 있다. 필자는 기초영역을 1) 의철학의 고유성 여부 논쟁, 2) 질병 정의에 대한 논쟁, 3) 인본의학 모델의 가능성 논쟁의 이론들로 재구성했다. 첫째 이 연구는 의철학이 고유한 영역으로 가능하지를 묻는 지나온 논점들을 정리해서 다루었다. 둘째 의학적 존재론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질병에 대한 여러 가지 설명과 규정, 혹은 정의에 대한 많은 논쟁점을 다양한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전개했다. 셋째 의학적 가치론과 인식론을 포함한 논점으로서 과학주의 의학과 인본주의 의학 사이에서 그 차이와 통합가능성을 다루었다. 이 연구가 의철학의 새로운 논점을 창조적으로 제시하거나 기존의 논쟁점을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기존의 논점들을 새로운 범주로 재구성함으로써 의철학 인식체계의 지식지도를 제공하고자 기대한다.

      • KCI등재

        『능가경』의 意生身 증득의 원리와 果相에 대한 고찰

        신돈각(辛頓覺)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No.-

        의생신은 보살지 단계에서 얻게 되는 비물질로 이루어진 몸이다. 기존의 의생신에 대한 연구는 개념적 의미에 집중되어 왔고, 존재론적 양상에 대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능가경』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의생신의 증득 원리와 그 과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의생신의 증득은 삼매와 지혜라는 두 가지 요소가 작용하는 원리에 의해 증득될 수 있음이 고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삼매와 지혜를 통해 얻은 그 과상에는 3종의 의생신이 확인되었다. 첫 번째는 보살의 제3·4·5지를 거쳐 제6지에서 멸진정(滅盡定)과 명리순인(明利順忍)의 지혜로써, 자심(自心)의 경계를 깨닫고 얻게 되는 삼매락삼마발제의생신(三昧樂三摩跋提意生身), 두 번째는 보살의 제8지에서 여환삼매(如幻三昧)와 무생법인(無生法忍)의 지혜로써, 5법, 삼자성, 이무아의 경계를 깨닫고 얻게 되는 여실각지제법상의생신(如實覺知諸法相意生身), 세 번째는 종류생무작행의생신(種類生無作行意生身)이다. 그리고 보살의 의생신 증득 이유는 중생교화의 본원력의 실천을 위한 자비심의 발현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mind-made body 意生身 (Skt. manomaya-kāya) refers to the immaterial body produced in the stage of the bodhisattva. Existing research on the mind-made body has been focused on the conceptual meaning, but not on the ontological aspects. This paper examines the principles of acquiring the mind-made body and its results, as preached in the Lengjia jing. First, I found out that there are two principles operating in the acquisition of the mind-made body: the ‘samādhi wherein one observes that all phenomena lack inherent existence’ 如幻三昧 (Skt. maya-upamā-samādhi) and the wisdom of realizing that ‘all things are beyond birth and death’ 無生法忍 (Skt. anutpattika-dharma-kṣānti). Second, I discovered that the results of these samadhi and wisdom are embodied into the three kinds of mind-made bodies: the first is the body produced from the enjoyment of samādhi 三昧樂三摩跋提意生身; the second is the body produced from awakening to the real character of all dharmas 如實覺知諸法相意生身; and the third is the body produced by various types of beings together functioning without effort or obstruction 種類生無作行意生身.

      • KCI등재

        주자(朱子) 철학에서 의(義) 개념의 사회윤리학적 함의

        홍성민 ( Hong Seong Min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5 No.-

        이 논문은 朱子의 義 개념을 사회윤리학적 차원에서 재조명하였다. 일반적으로 朱子의 義 개념은 도덕심성론이나 주체의 도덕자율성과 관련하여 다루어져왔는데, 이 논문은 그러한 연구경향을 확장하여 사회윤리학적 측면에서 주자의 義 개념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선진유학에서 義 개념이 전개된 양상을 두 범주로 나누어 고찰하고 이 두 가지 義의 의미가 주자에게 어떻게 계승되고 창신되는가를 살펴보았다. 義는 사태의 합당함(宜)과 주체의 제재(制裁)라는 두 의미로 쓰였는데, 주자는 이것을 하나의 체계 안에서 융합하였다. 다음으로 주자가 사태의 합당함(宜)이라는 의미의 義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各得其所라는 유가적 이상이 주자의 사회윤리학에서 함의하는 실질적 내용을 살펴보았다. 고찰에 따르면 주자는 모두가 공평하게 각자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을 義라고 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주자철학에서 義와 利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는지를 살펴보고, 義와 利가 주자의 도덕심성론에서 길항적이고 대립적인 것인 반면, 사회윤리학에서는 결코 길항적이지도 않고 대립적이지도 않으며 오히려 상호 내포적이라는 점을 해명하였다. 각득기소의 이상은 義와 利의 상호 실현에 근거해 성취될 수 있는 것임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주자의 義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This paper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righteousness(義) in Zhu Xi's social ethics. Righteousness(義) is a concept that has very various meanings and a very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general, the concept of Righteousness has been addressed in relation to moral psychology or the moral autonomy of the subject in Neo- Confucianism. This paper, however, seeks to expand the contents of such researching tendencies and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righteousness in Zhu Xi's thought.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consider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righteousness into two categories in Pre-Qin Confucianism and how these two categories were inherited and re-created by Zhu Xi. Next, it analyzes how Zhu Xi defined the concept of Righteousness in a social ethical sense, and shed light on suum cuique of confucian version in Zhu Xi's ethics. Finally, it explai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ighteousness and Interests(利) was never antagonistic and confrontational in Zhu Xi's social ethics, and attempts to re-define a new concept of Righteousness.

      • KCI등재후보

        불교 우주론과 수증론 체계에서 본 의생신(意生身, S. manomaya-kāya)의 의미

        이수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5 불교학 리뷰 Vol.18 No.-

        ‘의생신’(意生身, S. manomaya-kāya)은 불교 수행자가 명상 수행 중에 얻은 미세한 몸을 가리킨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 개념이 불교 우주론에 있어서 중요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팔리 문헌에는 의생신이 단지 명상 수행의 영적 부산물일 뿐 아니라 삼계 내의 특수한 존재 양상을 가리킨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의생신에 대한 연구는 대개 초기의 팔리 자료에 집중되어 왔고 따라서 이 개념의 이후 전통에서의 이론적 발전 또는 수증론적 중요성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한 초기 작업으로서 『승만경』, 그리고 의생신 논의에 있어서 『승만경』에 이론적으로 바탕을 두고 있는 두 논서인 『보성론』과 『불성론』에 나타난 의생신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승 전통의 보다 광범위한 우주론적, 수증론적 체계에 있어서 이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논의하려 한다. 이를위해 먼저 초기 불교 문헌에서의 의생신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의생신 개념의 우주론적, 수증론적 의미를 앞서 언급한 세 가지 대승 문헌들 간의 이론적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고찰한다. The ‘mind-made body’ (S. manomaya-kāya, C. yisheng shen 意生身) is seen as a subtle body attained by a Buddhist adept during meditative practice. Previous research has elucidated this concept as having important doctrinal significance in the Buddhist cosmological system. The Pāli canonical evidence shows that the manomaya-kāya is not merely a spiritual byproduct of meditative training, but also a specific existential mode of being in the system of the three realms. Studies of the manomaya-kāya to date, however, have focused mostly on early Pāli materials, and thus do not encompass theoretical development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of this notion in later tradition. As a beginning step to fill this gap,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s of the manomaya-kāya represented in the Śrīmālādevī Sūtra and the two treatises of the Ratnagotravibhāga Śāstra and the Foxing lun, which are doctrinally based on the Śrīmālādevī Sūtra in their discussion of the manomaya-kāya.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manomaya-kāya in these Mahāyāna texts,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how the concept is used in the broader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 of Mahāyāna tradition. For this purpose, I first review the meanings of the manomayakāya in early Buddhist texts and then observe the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meaning of the notion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Mahāyāna texts.

      • KCI등재

        어휘 의미관계의 발현과 규범화에 대하여

        이동혁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9 No.-

        이 글은 유의관계, 반의관계, 상하의관계, 부분·전체관계가 우 리 머릿속에 생득적으로 내재된 어휘 구조가 아니라 단어의 사용 패턴 에 의해 경험적으로 구성된 것이며, 특정한 구문 환경에서 공기하는 빈도에 따라 우리 머릿속에서 저장되는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 는 것이 목적이다. 이들 관계는 계열적 어휘 의미관계의 종류로 알려 져 왔지만 사실은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로도 실현된다. 그래서 이 글 에서는 저장부의 의미관계와 운용부의 의미관계로 나누고, 유의관계 등을 저장부의 의미관계의 종류로 간주하였다. 이들 의미관계가 운용 부에서 실현될 때 특정한 구문 환경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리 고 전형적으로 어떤 의미관계에 있다고 기억하지 못한 두 단어가 특정 한 구문 환경에서 모종의 의미관계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공기 현 상으로 대표되는 단어의 사용 패턴이 저장부의 의미관계를 경험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특히 두 단어가 공기하는 특정한 구문 패턴은 두 단어 사이의 의미관계 정체를 해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같다‘와 ‘다르다‘의 관계처럼 이미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의미관계는 규범적인 의미관계이다. 그런데 이런 규범적인 의미관 계는 고정적이지 않고 유동적이다. ‘같다‘와 ‘틀리다‘처럼 둘이 특정한 구문에서 자주 공기하게 되면 규범적인 의미관계의 지위를 획득할 수 도 있다. 이에 비해 특정한 구문 환경에 나타날 수 있다고 해도 두 단 어가 공기하는 횟수가 아주 적어서 일시적이라면 두 단어 사이의 관계 는 저장부로서 우리 머릿속에 저장되기가 어렵다. 이런 관계는 화용론 적 의미관계라고 부를 수 있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의생활 관리행동과 의생활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이윤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4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teachers manage clothing life, and how much they are interested in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their demand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nd their interest in learning about clothes life. A questionnaire was delivered to 206 pre-service teachers in November 2017 for their frequency analysis,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clothes management practice, more than two third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found to manage their clothes through their own laundry, drawer management or fixing clothes, with average understanding of label marks for clothes caring or wash powders. Second, cluster analysis using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s of interest in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divided the pre-service teachers into high interest group and low interest group. The demands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were divided into five common factors such as classification and storage, disposal, purchase and usage1 (practicality), purchase and usage 2 (Economy and Etiquette), while learning demand for clothes life was broken down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management for clothes life, how to put on clothes, manufacturing function and culture. Third, the first factor, the demand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was 3.64 high with planning in the highest followed by purchase and usage 1, classification and storage, purchase and usage 2, and disposal. Fourth, as to the demand for clothing life factor, clothes life learning factor was ranked first, followed by how to put on clothing, and manufacturing function and culture. In particular, making a small piece of clothing life thing by sewing is very low, whereas making a living goods in sharing concept is fairly popular. Fifth,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emale pre-service teachers demand more clothing life management and clothing life education than male ones while males do have a lower demand for making a goods. Housing type also seems to influence laundry capacity which shows that domitory or self- staying students know more about laundry and usage of cleaning powders. The research above shows a strong demand for clothing life management or for clothing life learning, implying a critical demand for program development.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의생활 관리 실태, 의생활 관리행동의 관심도 및 요구도, 의생활 학습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2017년 11월, 예비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군집군석, 요인분석,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관리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예비교사의 2/3이상이 스스로 세탁과 옷장 정리, 옷의 수선을 통해 옷의 관리를 하고 있었고, 의류제품의 취급표시방법과 세제에 대한 인식은 보통정도였다. 둘째, 예비교사의 의생활 관리행동 관심도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관심집단’, ‘낮은 관심집단’의 2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의생활 관리행동의 요구도는 ‘정리와 보관’, ‘처분’, ‘구입과 사용 1(활용성)’, ‘구입과 사용 2(경제성과 예절}’ ‘계획’의 5개 요인으로, 의생활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행동 학습’, ‘옷차림 학습’, ‘제작기능 습득과 의생활문화 학습’의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셋째, 예비교사의 의생활 관리행동 요구도는 3.64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5개의 요인 중 ‘계획 요인’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구입과 사용 1(활용성) 요인’, ‘정리와 보관 요인’, ‘구입과 사용 2(경제성과 예절) 요인’, ‘처분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생활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 학습 요인’이 가장 높았고, ‘옷차림 학습 요인’, ‘제작기능습득과 의생활문화 학습 요인’의 순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요구도가 높았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생활 관리행동과 의생활 학습요구도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의생활 관리 행동과 의생활교육 등에 더 많은 요구도를 가졌으며, 남학생의 경우 의생활용품 만들기 활동에 대한 학습요구도가 낮았다. 주거형태별 특성에서는 의생활 관리 중 ‘옷의 세탁’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자취를 하거나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세탁여부와 각종 세제의 사용법에 대한 이해 정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예비교사는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요구도와 의생활 학습요구도가 모두 높았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의생활교육에 대한 학습요구도가 낮은 ‘제작기능습득과 의생활문화 학습 요인’분야에서는 학습시간에 제작할 수 있고, 트렌드에 맞는 제작용품을 활용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안이 필요하리라 본다.

      • KCI등재

        한국 의고시(擬古詩)의 사적(史的) 전개와 의고(擬古) 양상 연구-고려 후기~조선 전기를 중심으로-

        이훈 ( Lee¸ Hoon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본고는 「古詩十九首」와 연관된 한국 擬古詩에 대한 통시적 연구의 일환으로,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의고시의 史的 전개와 擬古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는 韓中 의고시 간의 관계망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일차적 목적을 두었다. 이에 먼저 의고시의 개념과 유형을 제시하였고, 중국의 의고시 작품 개황을 표로 정리하였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의고시의 史的 전개와 擬古 양상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려 후기에는 前代의 여러 작품에서 語句와 詩意를 차용하여 모의하는 광의적 개념으로서의 의고시 창작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權近의 「擬古和陶」 4수는 陶潛의 「飮酒」를 화운하여 모의한 것으로서 和韻과 擬古의 창작방식이 융합된 양상을 지니는데, 陶潛의 「擬古九首」를 화운한 蘇軾의 「和擬古九首」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전기에는 광의적 의고시의 창작이 지속되었으며, 중국의 의고시를 화운한 작품이 출현하기에 앞서 한국 의고시에 있어 최초의 협의적 의고시인 成俔의 「擬古十首」가 등장하였다. 성현의 작품은 陸機의 「擬古詩十二首」처럼 「고시십구수」의 체재를 유지하면서 句數를 가감하는 방식으로 모의한 것이다. 육기와 성현의 의고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작품 간의 연관성을 통해 前代의 의고시가 後代의 의고시 창작에 교과서적이고 교량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양자의 의고시가 원작의 詩型과 정형성을 변주한 양상, 원작의 語句를 대체한 양상, 원작의 詩意를 전환한 양상 등에서 개별적인 면모를 지닌다는 점도 구명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chaic poems and the aspects of archaism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as part of a diachronic research of korean archaic poems related to < Gosisipgusu(「擬古詩十二首」)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asic data to analyze the network between Korean and Chinese archaic poems.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types of those poems are organized, and then the archaic works of China are summariz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archaic poems were created mainly under the broad concept which imitates the phrases and the poetic themes of various works of previous times. In particular, Kwon Geun(權近)’s < Uigohwado(「擬古和陶」) > shows the convergence of bouts-rimes(和韻) and archaism, which can be seen as influenced by Su Shi(蘇軾)’s < Hwauigogusu(「和擬古九首」) >.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reating of broad archaic poems maintained, but the first creation with the narrow concept, Seong Hyun(成俔)’s < Uigosipsu(「擬古十首」) >, appeared in Korean archaic poetry. Like Lu Ji(陸機)’s < Uigosisipisu(「擬古詩十二首」) >, his work was imitated by maintaining the format of < Gosisipgusu(「古詩十九首」) > while adding or subtracting the number of lines. Comparing the works of Lu ji and Seong hyun, it's confirmed that the previous poems played a textbook and bridge role in the creation of future poems. Their archaic poems have their own particular aspects: Variation of the structure, replacement of the phrases, and change of the poetic themes of the original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