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염병 보도 지침에 따른 에볼라 바이러스 언론보도 내용분석:국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허용강(Heo, Yong-Kang),차수연(Cha, Soo-Yeon),서필교(Seo, Phil-Kyo),김소영(Kim, So-Young),백혜진(Paek, Hye-Jin)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공중 보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건강위험 이슈에 대해 국내 주요언론들이 언론 보도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2014년에 공중 보건 영역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 ‘에볼라 바이러스’를 주제로, 보건 및 헬스 분야의 전문 학 술단체인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와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단이 협업하여 수립한 ‘감염병 보도 준칙’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을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는 바이러스의 ‘유행’과 관련된 정보가 ‘위험의 크기’ 혹은 ‘위험의 정도’ 와 관련된 기사보다 많았고,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특성’ 및 ‘감염병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감염병 커뮤니케이션 지침이 실제 뉴스에서 잘 적용 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보도 지침의 중요성과 더불어 지침을 준수하는 것의 중요성을 촉구하는데 있어 경험적 증거로 사용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Media play a crucial role in informing the public abou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its health risk. Thus, Korea Health Communication Association and press corps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orked together to establish the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guidelines, guided by and benchmarking World Health Organization(WHO)'s Outbreak Communication Guideline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xtent to which media comply to such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mainstream newspapers report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mply to the guidelines in the context of Ebola Virus. A content analysis of 213 major newspaper reports indicated that reports cover individual incidents of virus infection more than the degree and magnitude of risk of Ebola Virus. The frequency of reports covering disease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Ebola Virus was not common. Accuracy of information on the Ebola outbreak and preventive guidelines for the public has much room for improvement. This study provides a first step to document evidence on how much media comply to the outbreak communication and reporting guidelines. The results can be used to urge the media to take more responsible reporting practices in such contexts of life-threatening events.

      • KCI등재

        Health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 Past, present, and future

        김도균(Do Kyun Kim),김용찬(Yong Chan Kim),이재섭(Jae sub Lee),이지수(Ji soo Lee),백혜진(Hye Jin Paek),소지연(Ji yeon So)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4 No.-

        최근 수년간 한국은 각종 국민보건을 위협하는 질병 및 현상들을 경험하고 있으며, 국민들 또한 질병예방과 국민보건 전반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는 국민보건 향상과 질병예방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정보, 지식, 프로그램, 효과적인 시스템 등을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질적으로, 학계와 많은 단체들이 대중들의 일상생활에 맞춘 국민건강 향상에 필요한 활동들과 프로그램들을 정착 시키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 모든 사회 및 학계에서의 필요성과 노력들에 대응하여, 본 논문은 보다 나은 헬스커뮤니케이션의 미래와 이에 병행되는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중요한 사항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As South Korea has experienced several serious public health outbreaks in recent years, public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disease prevention and public health care has remarkably increased over time. Accordingly, it is demand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cquires a sufficient level of knowledge, programs, skills, and systems to effectively respond to potential and immediate health threats and promote public health. Based on these needs and tasks, scholars in academia, not-for-profit organizations, health care industries have also made significant efforts to implement health communication into everyday lives of the public by organizing various health communication events and activities. Responding to the social demands and academic interests in health communication, this article points out and discusses some important topics to further develop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hip and praxis in Sou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의철,Euichul Jung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국립암센터의 전국 규모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를 강화하는지, 그리고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실제 암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식 할수록, 또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다고 인식 할수록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높았다. 또한,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높을수록 암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강화를 이끌었다. 특히 면 대 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회적 지지 제공이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암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헬스커뮤니케이션 대상인 공중이 건강행동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이를 통해 검진 등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을 높이는 것이 건강에 대한 공중의 임파워먼트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based on a national survey data by National Cancer Institute, explores whether and how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trengthen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as well as whether and how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influences cancer communication behavior, including screening. Results indicate that if people perceive that they have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y tend to have stronger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Also, the stronger the public's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the more active their cancer communication behavior. In particular, social support through face-to-face communication can improve self-efficacy and make cancer communication more energetic. It seems vital to help the public, the target of health communication, have more confidence on health behavior and increase their intention of initiating health behavior, such as screening, as well. Moreover, this process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ublic' empowerment in terms of their health care.

      • KCI등재

        비만 책임 귀인과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 비만 상담의도와 건강행동의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김수진,유선욱,임유진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22 No.1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clared obesity a disease. However, there is a widespread perception that obesity is due to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who are lazy and not faithful to self-management rather than being recognized as a disease.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o find out how obesity stigma coping communication appears as a response to obesity attribution and obesity stigma, and how it affects obesity counseling intention and health behavior intention of obese peop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obese and non-obese people, and out of 1,100 respondents, 417 were obese and 683 were non-obe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fference between the obese and the non-obese groups were found for the cause of obesity. The social attribution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and the corporate attribution was higher in the non-obese. The obesity stigma coping communication of the obese were divided into four strategies: challenge, acceptance, transcendence, and denial, and the stigma coping communication wa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attribution of the cause of obesity in the obe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coping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intention of obese people, exercise therapy counseling intention was higher for obese people who dealt with negative stigma, and drug treatment counseling intention was lower for obese people who showed challenging coping response and higher for those who showed acceptance coping response. It was found that the more obese people cope with transcendent stigma,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sult both exercise treatment and drug treatment. In addition, the impact of obese people’s stigma coping communication on health behavioral intentions was different, and it was found that obese people who transcend and accept stigma tried to actively control weight, and negative stigma coping was related to prevention behavior intention. Acceptance strategy of stigma coping communication was found to reduce efforts to manage health.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to view obesity stigma as a social problem and to provide answers to obesity problems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and medicine. Through the stigma coping communication of obese peopl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octor-patient communication to solve obesity problems were suggested. 세계보건기구에서 비만은 질병이라고 선포한 지 20년이 지났다. 하지만 비만은 질병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게으르고 자기관리에 충실하지 못한 개인의 책임으로 인한 것이라는 인식이 만연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의 책임 귀인과 비만 낙인에 대한 반응으로서 비만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나타나며, 이것이 비만인의 비만 상담의도와 건강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5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1,100명 중 비만인이 417명, 비비만인 응답자가 683명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분석 결과, 비만 책임귀인에 대한 비만인과 비비만인 집단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회 귀인은 비만인 집단에서 더 높고 기업 귀인은 비비만인 집단에서 더 높았다. 비만 낙인에 대한 비만인의 대처 커뮤니케이션은 도전, 수용, 초월, 부정의 4가지 전략으로 구분되었고, 비만인의 비만 책임 귀인에 따라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도 다르게 나타났다. 비만인의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과 상담의도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부정적 낙인 대처를 하는 비만인의 경우, 운동치료 상담의도가 높아지고, 도전적 대처가 커질수록 약물치료 상담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용적 대처를 하는 비만인의 경우에는 약물치료 상담의도가 증가하고 초월적 낙인 대처를 하는 비만인일수록 운동치료와 약물치료, 수술치료 상담의도가 모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행동의도에 대한 비만인의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초월, 수용적 낙인 대처를 하는 비만인일수록 적극적인 체중조절을 위한 노력을 하고, 부정적 낙인 대처는 더 이상 비만해지지 않기 위한 예방 노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적 낙인 관리는 건강관리를 하고자 하는 노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만 낙인을 사회적 문제로 바라보고 커뮤니케이션학과 의학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비만 문제해결을 위한 해답을 제공하고자 한 학제간 연구라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비만인의 건강행동과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는 비만인의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약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개원의들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현석,김현주,Hyun Seok Lee,Hyun Joo Kim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medical information is diffused among doctors. The focus was given on the process of drug prescription for chronic disease, i.e. cardio-vascular disease(including hypertension, angina), hyper-lipidemia and endocrine disease (including diabetes mellitus). Based upon the review of diffusion literature in the field of medical studi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080 local clinicians of internal medicine, regardless of medical board categorization. Q1. What 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drug related factors? Q2. What are the relative imporatnce of communication channels? Q3. How do drug related factors influence the prescription of new drugs? Q4. How do communication channels influence the prescription of new drugs? Results showed that for physicians in general, drug effec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the possibility of adverse effect. Among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medical journals and textbooks, seminars held by academic organizations and general hospitals were particularly important. Reliance on internet sites is comparatively low. Communication channels were more important than drug factors for the prescription of drugs. Prescription of new drugs is determined by price and the patients' opinion rather than drug efficiency and its possible adverse effect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prescription of new drugs is mainly promoted by interpersonal channels (i.e., pharmacy salesman, seminars held by general hospitals, and meeting with other physicians). While medical experience generates positive influence, medical sites on internet, medical journals, textbooks, medical newspapers elicit negative influence. It can be argued that interpersonal channels largely convey drug mechanism whereas internet and printed media may lack specific clinical documentations or data for the new drugs of interest. 국민소득 증가와 인구 고령화에 따라 건강 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양질의 진료란 의사가 환자와 충분한 대화를 통하여 많은 정보를 얻어낸 후 최신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핵심 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다. 최신 지식을 얻 기 위한 의사들간의 커뮤니케이션, 질병 퇴치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의사와 환자가 동반자 관계를 맺도록 하는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의료 행위에 참여하는 다양한 직역(의사, 간호사, 의료 기사 , 약사 등)들간의 커뮤니케이션, 의료계와 보건 당국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 캠페인 등이 모두 의료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해당한다. 이중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의사-환 자 커뮤니케이션과는 달리 의사들이 평소 어떤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선호하고, 커뮤 니케이션 채널을 통하여 전달되는 의학 정보의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여기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약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약 확산 과정에서 약품 요인과 커뮤니케이션 채널 요인이 신약 처방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전국의 개원의 1,0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 의사들은 약품 요인을 평가할 때 일반적으로 약효의 우수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기존 약품 대체성도 함께 고려하였다. 개원의들은 학술 저널 및 전문서적과 학회 혹은 대학병원 주최 세미나, 동료 의사들을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인식하였으나 인터넷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았다. 신약 처방에 있어서 약품 요인보다 커뮤니케 이션 채널의 중요도 인식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신약을 처방할 때 대인 채널 에 속하는 제약 회사 영업사원, 대학병원 주관 세미나, 다른 의사들의 사용 경험은 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미디어 채널에 속하는 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 학술저널 및 전문서적, 의사 대상 정기간행물은 오히려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것은 대인 채널의 경우 약품의 작용기전(機轉, mechanism)에 관한 정보를 주로 다루지만 연구 자료를 중점적으로 싣는 인터넷과 인쇄매체는 신약에 대한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적 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는 약품 정보를 공급하는 주체 인 학술지, 의학 전문지, 각종 세미나와 연수 강좌를 주최하는 학회와 대학병원, 세미나를 개최 하는 또 다른 주체인 제약회사, 의사를 상대로 운영하는 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 그리고 제약 회사 영업 사원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Gender Differences in Alcohol Advertising’s Influence on Young People’s Positive Expectancies about Drinking

        Jang. Won Yong,Edward Frederick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음주 소비에 대한 주류광고의 영향이 그들의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매개되고 아울러 성별 차이에 따라 다르게 조절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주류 광고의 영향을 완화하며 종국에는 대학생들의 음주에 대한 긍적적 기대를 저하 시킨다고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러한 중재역할이 성별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단면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 대상자들이 직접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했고 아울러 구조 방정식 모형 (SEM)을 사용하여 성별간의 차이를 분석했다. 가설 검증 결과 광고에 대한 주의집중이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대학생의 경우에는 숙고가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자 대학생의 경우에는 숙고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음주 관련 중재 노력에 있어서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하나의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성별 차이에 따라서 다른 접근 방법을 적용해아 한다. This study examined gende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role in the influence of alcohol advertising on young people’s drinking. Recent studies found tha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tes the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and discourages students to adopt more positive expectancies of drinking.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mediating influence is contingent on the two gend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ith a cross-sectional survey of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The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show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between men and women. For men, deliberation predicted a decrease in positive alcohol expectancies, but delibe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attention to alcohol advertising. For women attention to advertising predicted discussion and then deliberation, but deliberation was not related to positive expectancies. This study concluded that discussion and deliberation may represent an important avenue for alcohol-related interventions in the college environment. However, those using this approach must consider the differing effects across gender.

      • KCI등재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대한 메타분석:1990-2010년 펍메드(PubMed) 논문을 중심으로

        정민수(Minsoo Jung),조성은(Seong-Eun Cho),조윤선(Yoonsun Cho)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2 No.-

        오늘날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의 폭발적인 증가와 보급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중에서 특히 흥행 영화는 전세계적으로 수억명이 관람하며 여타 매체보다 몰입도가 높다. 이 논문은 1990-2010년 펍메드(PubMed)에 등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영화 속 흡연 장면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헬스커뮤니케이션과 공중보건 측면에서의 함의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MeSH 키워드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추출한 논문 16편과 미국폐협회에서 발간한 네 편의 보고서이다. 연구진은 연구대상 문헌들을 분석 기간, 분석 단위, 평가자 간 신뢰도, 흡연 장면의 측정 방법 등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한 후에 흡 연 장면의 빈도, 흡연의 맥락, 흡연 배우의 특징, 건강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50년 이후 미국의 흥행 영화들에서 나타난 흡연 장면의 횟수는 1950년대에 시간당 10.7회였고 1980년대에는 4.9회로 감소했으나 2000년대에는 다시 10.9회로 증가했다. 2000년대 이후 영화들을 보면 총 상영 시간에서 흡연 장면이 차지하는 비율은 4%에 그쳤으나 1990년대 이후 미국의 흡연율이 하락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영화 속 흡연 장면은 줄어들지 않았다. 흡연자 로 등장한 영화 배우들은 대개 매력도가 높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인물로 묘사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간접 광고의 하나로 담배 브랜드를 노출시키는 경우도 잦았다. 그러나 흥행 영화가 갖는 엄청난 관객 도달치에도 불구하고 담배가 해롭다는 건강 메시지를 담은 영화는 전체의 3.5%-7%에 그쳤다. 이번 연구는 영화 속 흡연 장면들의 빈도와 특징들을 감안할 때 관객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이 상당히 클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흡연 장면은 청소년 등에게 학습될 가능성이 높고 관객이 흡연 배우에게 감정이입 되었을 경우에 흡연 행동에 대한 맥락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Despite exponential growth and spread of the entertainment media these days, little is known about its impact on human health. Among various media entertainment, hit films have the highest immersion level compared to the rest of the media as it is viewed by thousands or even billions of people. This research is a meta-analytic study that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n smoking scenes of the movies, especially referring to papers published at PubMed from 1990 to 2010. Areas of research cover sixteen papers that include MeSH keywords and four reports released by American Lung Association. We made systematic classification on the documents of the research areas according to analysis period, unit of analysis, inter-rater reliability, and measuring methods of smoking scenes. It then analyzed their exposure effect such as frequency of smoking scenes, context of the smoking scenes, characteristics of actors/actresses and health consequenc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umber of smoking scenes in the American hit films since 1950s turned out to be 10.7 per hour in 1950s, which was reduced to 4.9 per hour in 1980s to rise again to 10.9 per hour in 2000s. For movies released after 2000s, smoking scenes accounted for only four percent of the running time, but smoking scenes in the movies were not declined despite reduced smoking rate in the US since 1990s. In most of the cases, actors or actresses who appeared smoking in the movies were portrayed as having highly charming characters and socially desirable personalities. Moreover, there were many cases of brand appearance in which tobacco brands were exposed as part of indirect advertisement. Only 3.5 to 7 percent of the hit movies delivered the message that smoking was harmful to our health. Smoking scenes in the movies are highly likely to be imitated by adolescent, and when audience experience sincere empathy with the smoking actors or actresses, the context behind the smoking scenes is also likely to be positively reinforced.

      • KCI등재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the Context of Infant and Child Mortality: A Two-wave International Longitudinal Investigation

        Kyoungrae Oh,Induk Kim,Jee Hee Han,오경래,김인덕,한지희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5 No.-

        구조화 이론에 따르면 구조와 행위자는 상호의존 적 관계 안에 존재하며, 이 구조들은 인간의 행동을 제약하기도 하고 촉진하기도 한다. 구조화 이론을 건강 불평등 문제에 접목시 켰을 때, 우리는 커뮤니케이션 인프라가 국가적 보건 측면에서 제약적인, 그리고 촉진적인 역할을 수행 할 것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정보통신망이 유아, 아동 사망률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인구 천 명당 전화회선의 평균 숫자를 변수로 사용했다. 세계개발 지수를 이용해 202개 국가를 대상으로 종단적 회귀분석을 적용해 본 결과, 텔레커뮤니케이션 인프라와 유아, 아동 사망률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 통신망의 투자가 늘어날수록 유아 및 아동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는 평균 국민소득, 아동 예 방접종지수, 인구당 의사숫자, 1980년 유아 및 아동 사망률을 통제했을 때에도 여전히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구조와 사회적 연결망 중심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Structuration theory proposes that structures and agents exist in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and that structures both constrain and enable human action. The extrapolation of structuration theory to health inequities suggests the relevance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in their constraining and enabling roles in health contexts. In this study, we used the number of telephone mainlines per 1,000 persons to measure the influence of the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of a country on infant and child mortality over time. The nonergodic regression models with data from the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containing 202 countries confirmed the negativ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the measur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infant or child mortality ratio. These relationships are robust even after controlling for degree of GDP per capita, child immunization ratio, physician ratio and infant or child mortality in 1980 indicating initial st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call for structure-centered approaches to the study of health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Helpful and Unhelpful Messages for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Hyegyu Lee(이혜규),Hanna Joo(주한나),Hee Sun Park(박희선)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35명의 한국인 여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주변에서 그들이 들은 메시지 가운데 도움이 되었던 메시지와 도움이 되지 않았던 메시지가 무엇인 지를 조사했다. 유방암 환자들은 낙관적 관점을 제시하는 메시지를 가장 빈번히 들었으며, 가장 듣기 원하는 메시지라고 응답했다. 질병의 정도나 영향을 경감시켜 제시하는 메시지 역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가족들이 유방암의 책임을 나누어 가지거나 죄책감을 표현한다는 결과는 한국 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유방암 환자들을 위로할 수 있는 문화 특이적 메시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We examined helpful and unhelpful messages that 35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commonly received. Messages providing optimism were the most frequently received type;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ees wanted to receive more of that type. Interviewees considered minimization of disease extent or impact helpful. Another finding unique to Korean culture is that family members express their share of responsibility for, and guilt feelings about, the interviewees being afflicted with breast cancer.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increase our knowledge of culture-specific comforting messages for Korean cancer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