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애사 접근법에 기초한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은정,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7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perception change to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of teachers in the level of the kindergarten of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based in life history. Two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of the school dor the hearing impairment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wo teachers had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3 years.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wo hours every three meeting were required for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preferred the oral method other than those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b) the teachers' perception in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changed after experiences of newly appointed teacher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maintained the main point how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focused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infant. 이 연구는 생애학적 접근에 따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하여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로 재직 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지, 전화, 이메일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면접을 시행하였다. 또한 현직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삶과 교직생활을 토대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생애사 연구의 주된 접근 방법인 내러티브 분석 방법의 절차를 거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주된 선택은 구화법이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변화는 초임 교사 시절을 보낸 후에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인식변화는 교사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경험이 다양해지면서 청각장애유아를 교수함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은 청각장애유아의 개인적인 특성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언어교육방안 모색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1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doesn't listen auditory informa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linguistic systems processing with normal hearing students. It does not take activity at first auditory cortex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bout auditory stimul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to how processing for linguistic systems o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surve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investigat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m.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revealed activation at superior parietal lobule in left hemisphere, differ with normal hearing.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hearing impaired children received linguistic information through space-sensory. Therefore, to grow learning ability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increase experiential information using their space-sensory, like as sign language. But in Korea, special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not educational planning for sign yet. Hence we have to establish linguistic education plain to learn sing for their parents and teacher.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손으로 인해 언어자극을 받아들이는 대뇌 경로가 건청아동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결함으로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활성이 청각이 아닌 다른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 언어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받게 되면 청각적 피질이 아닌 공감각적 피질인 두정엽영역의 활성이 활발하며, 언어자극을 기억하는 대뇌 피질영역들이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기억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이 초기 언어지도를 위해 수화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특수학교에서는 수화 관련된 교육과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영유아부에서는 부모나 교사들의 전문성이 고려된 언어지도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해 다양한 언어지도방법에 숙련된 교사와 부모, 그리고 구화를 강조하지 않은 융통성있는 언어지도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부모지원

        오혜정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4 No.2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are an early diagnosis, time of hearing aid wearing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s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parents. Among them, active communicative interaction with mother, a main fosterer, play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social behavior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Nevertheless,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es on parents support which can develop communication technology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parents communicative interactions with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at home in order to develop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recognition, languag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directly related to communicative interactions with their parents. Second, early intervention of parents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is beneficial to both parents and their infants. Third, there are few efficient services which can support parents even though the need of parents support is emphasized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refor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heir parents need to be developed and parents support and education need to be done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s. 청각장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기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는 조기 진단 및 중재에 따른 청각보조도구의 착용시기와 사용기간, 그리고 부모를 비롯한 가족의 적극적인 언어적 상호작용과 참여 정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은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를 유아의 의사소통 중재자로 지원하고 참여하도록 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 연구들은 다소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청각장애 유아의 부모를 지원하여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중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아의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은 초기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안정된 애착관계 형성을 기초로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언어 및 의사소통의 기술 발달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변인이 된다. 둘째, 부모지원을 통하여 청각장애 유아의 조기중재에 부모가 참여하게 되면 청각장애 자녀에게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여러 가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청각장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기술 발달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부모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가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청각장애아의 부모들이 조기에 자녀의 언어 및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하여 가정에서 중재할 수 있도록 부모지원을 통해 가족 중심의 조기 중재 프로그램이 강조되고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 청각장애학생의 장애정체성과직업선호도의 상관성 연구

        박민지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 No.1

        Self-actualization is recognized as an individual's loyal role in order to form identity in the middle of relationship with oneself and family, society, and nation. Job can be seen to be performance of a role in society. In order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who have difficulty in light of communication, to be successfully adjusted to work life, the positive ego-identity is very important. In other words, ego-identity is a major factor of having influence upon self-actualization and job preference. Desirable work life comes to decide on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ego-identity, self-actualization and work life can be known to be formed with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deciding on a human being's life.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job preference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to offer basic data for career education. Its specific objective is as follows. First, it surveys disability identity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cond, it surveys job preference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ird, it analyzes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identity and job preference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sability identity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 parents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re normal parents or par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disability identity in case of normal parents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an disability identity in case of par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cond, the job pre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ear protector. In case of being performed cochlear implant, the job preference was the highest. The next was followed by a case of wearing hearing aid. The group that showed the lowest job preference was the one that didn't wear protector.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reference and disability identity was not related.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identity of the hearing impaired is not important factor to select the job preference.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정체성과 직업 선호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5개 청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건청 부모인 경우의 장애정체감이 청각장애 부모인 경우의 장애정체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인공와우 수술을 한 경우 직업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보청기를 착용한 경우, 그리고 가장 낮은 직업선호도를 보인 집단은 보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선호도와 장애정체성의 상관성은 없다. 즉 직업선호도와 장애정체성에 대한 단편적 분석에 있어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독특한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청각장애 학생의 정체성이 직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청각장애학생 당사자가 손상으로서의 외적조건보다 소질과 흥미로서의 내적조건이 보다 가치 있음을 알게 하여 직업은 삶을 위한 수단이 아닌 삶의 일부이자 목적이 되고 있음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방법 및 수어와 한국어에 관한 인식 탐색

        정은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2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shed light on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currently used by hearing impaired people and explore their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spoken and written language), both of which represent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are primarily used among them. To that end, the‘2020 Korean Sign Language Utilization Survey’was u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hearing impaired people’s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varied with their experience of attending the schools for the deaf. Second,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hearing impaired people used with hearing people differed from those that they actually wanted to use. Third, the group primarily using sign language showed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whereas the group primarily using other communication methods than sign language showed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underpin the present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hearing impaired people’s positive recognition of diverse languages and there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과 현황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의사소통 방법인 수어와 한국어(음성언어, 문자언어)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2020년 한국수어 활용 조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은 농학교 재학 경험에 따라 수어와 한국어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청각장애인이 청인과 대화할 때 의사소통하는 방법과 실제 원하는 의사소통 방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어를 주된 언어로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수어를, 수어가 아닌 의사소통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한국어를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언어에 관한 긍정적 인식과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청각장애 교육과정 적합성 고찰

        권순황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2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culum had about five decades since the Education Department issued the first Special Schools Currculum in 1967. The object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based on the half-century history. First, what 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Korean deaf curriculum? Second, to what extent has the curriculum been appropriate? To answer those inquiries, the author first conducted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the deaf curriculum. In addition, the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The results tell us that first, the deaf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in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Still it faces endogenous demand for the betterment of deaf students’ academic ability and exogenous demand for the reflection of the societal turbulences. Seco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is directly related to its achievement standard. The balance between content- and performance- standard is the key to raise the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문교부가 1967년 제1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을 공포한 이래 2015년의 현 개정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약 반 세기가 흘렀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청각장애 교육과정 변천 역사를 중심으로 다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변천과정별 우리나라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공포된 청각장애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럼에도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내재적으로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력신장이 요구되며, 외재적으로는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은 청각장애학생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적정선을 고려한다.

      • KCI등재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이중 양식․이중 언어 교육: EvISK 모델을 중심으로

        고은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5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독일의 EvISK 모델을 바탕으로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이중 양식-이중 언어 교육의 관점과 실행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중 양식-이중 언어 교육은 수어와 음성 언어, 두 가지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게 하는 21세기 중요한 교육적 접근 방식이다. 이는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언어적․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EvISK 모델은 단순히 특정한 교수법을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언어학적 요소, 개별 아동의 특성, 환경적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맞춤형 이중 언어 교육을 설계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진행된다. 제 II장에서는 독일어권 국가에서의 이중 언어 교육 패러다임을 살펴본다. 제 III장에서는 독일의 EvISK 모델의 특성과 구성 및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제 IV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이중 언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청각장애 학생들의 이중 언어 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bimodal-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through Germany’s EvISK model. Bimodal-bilingual education is a crucial 21st-century educational approach that enables the simultaneous acquisition of both sig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as well as their associated cultures. It plays a vital role in shaping the linguistic and cultural identitie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EvISK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not merely a specific teaching method but a conceptual framework that supports the design of personalized bilingual education, considering sociolinguistic factor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I examines the paradigm of bilingual education in German-speaking countries. Chapter III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componen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EvISK model in Germany, and Chapter IV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aningful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in Korea.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및 개발역량에 관한 연구

        김동인,정은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level curriculum and the degree of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y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75 teachers of 13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nationwid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teacher-level curriculum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ave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variable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school level, experience in guiding hearing impaired students, experience in operating curriculum, and experience in guiding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Second, the degree of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y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aver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variable groups. Finally, the necessity of distributing guide material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hearing-impaired education and include practical examples,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field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curriculum requir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student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정도와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정도를 알아보고 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13개 청각장애학교 교사 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인식 정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교직 경력, 학교급, 청각장애학생 지도 경력, 교육과정 운영 경험, 청각중복장애학생 지도 경험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정도는 보통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변인 별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청각장애 교육의 특수성이 반영되고 실제적 사례가 포함된 안내자료의 보급과 청각장애학교 학생 구성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을 위해 현장성과 실제적 맥락이 고려된 교사 연수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 선택과 효율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윤지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5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6 No.1

        In the hearing impairment education the selection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effective educatio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effectiveness in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elementary at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Two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Researcher and the two teachers met the fifty to one and half hour every three time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election of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he hearing impairment school teachers in the level of elementary was influenced by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language and educational needs; and (b) the effectiveness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nfluenced by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need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parents was main factor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the attitudes on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 also was main factor to determine the effective language teaching metho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특수교육 총 경력이 15년 이상이며 청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경력이 10년 이상인 교사 중에서 청각장애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 이상을 수료한 경우로 제한하였다. 연구 참여자 면담결과를 내러티브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교육방법의 선택배경은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와 교육적 요구에 기초하고, 수화와 구화 중에서 선택하기보다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수용하고 있었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언어교육방법의 효율성은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한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보다 청각장애학생과 부모의 요구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또한 시사하고 있다.

      •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 분석을 통한 수화언어 특성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수화언어가 갖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인 10명과 청각장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한국표준수용어휘력검사의 어휘를 수화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수용어휘력을 조사하였다. 결과자료는 독립 t 검증과 one-anova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은 청인이 55점, 청각장애학생이 75점으로 청각장애학생의 이해력이 높았다. 또한 집단간 어휘 품사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에서 어휘품사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청각장애학생이 사용하는 수화는 사물이 갖는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이 많은 도상성으로 인해 청인들도 이해하기가 쉽다. 수화의 도상성은 초기 수화언어수준에 해당되며, 수화언어가 발달함에 따라 수화언어가 갖는 의미적 규약성을 갖는 자의성 수화언어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find features for sign language(SL) hearing impaired person used. Ten hearing and 10 hearing impaired students participated and evaluated through SL vocabulary test transfer vocabulary at Korea Standard Reception Vocabulary Battery to SL moving picture. Data was deal with independent t-test and oneway-ANOVA. The results were reception vocabulary ability of normal hearing was 55 and tha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75. At parts of vocabulary(word class) was also higher hearing imparied students' scores than normal hearing scores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parts of vocabulary at each groups. We know that SL has symbols representative of objets and normal hearing could understand SL vocabulary because SL has iconicity feature. Generally there is a lot of iconicity of SL at easy word and arbitrariness of SL at difficult word as like metaphor or image w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