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산림습지 내 양서류 서식처 조성방안 연구

        허명진,한봉호,곽정인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0 No.6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problems with amphibian habitation by the wetland types and improve their habitation environment in urban forest wetlands, thus creating a habitat for amphibians. Study site include forest swamps in Jatjul Park as well as Yeoji neighborhood Park in Guro-gu, and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Dobong-gu. The forest swamp in Jatjul Park gets its water from Mt. Maebong and it is a former escalated farmland- turned wetland. The swamp area is 2,500㎡, a forest zone and a landscape planting site are 83.27% and 6.70% each. Target species Seoul pond frogs are inseparable from rice fields because they live in a short radius of and lay eggs in or near paddy fields, and Rana nigromaculata have similarities with Rana plancyi chosenica in choosing their habitats. There was need for paths that would lead to other paths so amphibians would spread to other parts of the forest and for measures to secure open water. Modifying a variety of routes for water, human and animals along with building a buffer to keep the core habitation zones were required. The forest swamp in Yeonji neighborhood Park used to be a water reservoir on the foot of Mt. 2 허명진․한봉호․곽정인Gunji. The swamp area is 1,980㎡, a forest zone and farmland account for 80.61% and 4.88% each. Non-point pollutants from upstream along run into the subject forest marsh, bare ground on the around swamp and steep stone embankments obstructed amphibians. Target species was Bufo gargarizans that live in forests and edges of hills and spawn in deep water. The forest swamp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gets its water from Mt. Choan and it is close to its water source that it is a mountain stream forest wetland. The basin and the swamp are 35,240㎡ and 250㎡ in size respectively. A forest zone accounts for 90.20%, high stone embankments laid in refurbishing the valley obstruct amphibians and there is water shortage in times of droughts. Target species were Rana coreana, Rana dybowskii and Hynobius leechii that live in mountain valleys, streams and wetlands and lay eggs in forest marshes and rocks in valleys. Looking into the three swamps of amphibian habitation, I came to conclusions that those wetlands were suitable for their amphibians but man-made facilities blocked their corridors leading to other corridors and even killed off target species in some parts of those swamps by destroying those parts. Amphibians live in water, on ground and underground at different stages of life. Hence, we should take this fact into consideration when planning their habitats and design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zone and use zones accordingly. Buffer zones ought to be between core habitation zones and surrounding trees. Aiming at protecting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should be in harmony with habitation zones. Use zones should be minimized in size and not in direct contact with core habitation zone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발음 분석 : 한국어 발음지도를 위한 예비연구

        허명진,강소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rror patterns of Korean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Korean residents, Korean language level, and placement and method of articulation. In this study there were 30 people involved foreign students, the Korean articulation phonological test (U-TAP)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ir pronunciation. All pronunciation of foreign students was recorded and analyzed by two language therapists.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As a result, the Korean pronunciation of foreign students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Korean residence or the level of Korean and show no different of accuracy between vowel and consonant pronunciation. In the position of consonants on the syllable, the phonemes located in the word initial-syllable initial were statistically more accurate than the phonemes located in the word middle-syllable initial. Bilabial sound in the articulation placement and nasal/liquid sound in the articulation method are pronounced more accurately than other phonemes. Therefore, vowel pronunciation should be emphasized when teaching Korean language to foreign students and consonant guide to focus on phonemes with many resonance tones and clues.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발음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에 거주한 기간이나 한국어 수준, 조음위치와 방법에 따라 한국어 발음의 정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우리말 조음음운검사(U-TAP)를 실시하였고, 외국인 유학생이 산출한 모든 발음을 녹음하여 2명의 언어재활사가 분석하였다. 한국에 거주기간이나 한국어 수준에 따른 조음정확도 결과는 이변량분산분석으로 처리하였고, 조음위치와 방법에 따른 자료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발음은 한국에 거주하는 기간이나 한국어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자모음간 발음 정확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음절상에서 어두-초성에 위치한 음소는 어중-초성에 위치한 음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확하였다. 조음 위치에서는 양순음이, 조음 방법에서는 비음과 유음이 다른 음소에 비해 정확하게 산출하였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에게 한국어 발음을 지도할 때 모음의 정확도가 강조되어야 하며, 자음을 지도할 때는 공명음과 단서가 많은 음소위주로 먼저 교육하고, 가능하다면 각 국가별 음성학적 특성을 고려한 발음교육 접근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제주 올레길 생태문화자원 경관생태학적 해석기법 연구

        허명진,한봉호,박석철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Landscape Ecology to representative resources of Jeju Olle-gil, which is a representative subject of walking tourism, to identify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a technique fo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Olle-gil resources. Jeju Olle Trail type based on the biotope type, major land use, vegetation status around Olle Trail and roads were divided into 12 types. Based on the type of ecological tourism resource classification, the Jeju Olle-gil walking tourism resource classification was divided into seven types of natural resources and seven types of humanities resources, and each resource was characterized by Geotope, Biotope, and Anthropopope, just like the landscape ecology system. Geotope resources are strong in landscape characteristics such as coast and beach, rocks, bedrocks, waterfalls, geology and Jusangjeolli Cliff, Oreum and craters, water resources, and landscape viewpoints. The Biotope resources showed stro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large tree and protected tree, Gotjawal, forest road and vegetation communities, biological habitat, vegetation landscape view point. Antropotope include Culture of Jeju Haenyeo and traditional culture, potting and lighthouses, experience facilities, temples and churches, military and beacon facilities, other historical and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landscape views. Jeju Olle Trail The representative resources for each type of Jeju Olle Trail are coastal, Oreum, Gotjawal, field and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Jeju Village and Stone wall of Jeju. In order to learn about the components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resources representing the Olle Trail's ecological culture, the landscape ecological technique was interpreted. Looking at the ec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the coast includes black basalt rocks, coastal vegetation, coastal grasslands, coastal rock vegetation, winter migratory birds and Jeju haenyeo. Oreum is a unique volcanic topography, which includes circular and oval mountain bodies, oreum vegetation, crater wetlands, the origin and legend of the name of Oreum, the legend of the name of Oreum, the culture of grazing horses, the use of military purposes, the object of folk belief, and the view from the summit. Gotjawal features rocky bumps, unique microclimate formation, Gotjawal vegetation, geographical names, the culture of charcoal being baked in the past, and bizarre shapes of trees and vines. Field walls include the structure and shape of field walls, field cultivation crops, field wall habitats, Jeju agricultural culture, and field walls. The village includes a stone wall and roof structure built from basalt, a pavilion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a yard and garden inside the house, a view of the lives of local people, and an alleyway view. These resources have slowly changed with the long lives of humans, and are now unique to Jeju Island. By providing contents specialized for each type of Olle Trail, tourists who walk on Olle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Olle Trail in depth as they learn the story of the resources, and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sustainable use and satisfaction of Jeju Olle Trail users. 본 연구는 도보관광의 대표적 대상인 제주 올레길의 유형별 대표자원을 대상으로 Landscape Ecology 이론을 적용하여 생태문화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올레길 자원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기법을 정립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분류는 올레길 주변 대표경관, 주요 토지이용, 식생현황을 중심으로 비오톱유형을 조사하여 12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제주 올레길 도보 관광자원 유형분류는 생태관광 자원분류 유형을 토대로 자연자원 7개 중분류 유형, 인문자원 7개 중분류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각 자원을 경관생태학 구성 체계와 동일하게 Geotope, Biotope, Anthropotope으로 특성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Geotope 자원은 해안 및 해변, 바위, 암반, 폭포, 지질 및 주상절리, 오름 및 분화구, 수자원, 지형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시각적 경관특성, Biotope 자원은 대경목 및 보호수, 곶자왈, 숲길 및 식생군락지, 생물서식지, 식생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생태특성, Anthropotope 자원은 해녀 및 전통문화, 포구 및 등대, 체험시설, 사찰 및 교회, 군사 및 봉수시설, 기타 역사․문화시설, 문화경관 조망점이 해당되어 지역문화 특성이 강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별 대표자원은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해안, 오름, 곶자왈, 밭과 밭담, 제주가옥과 돌담이고, 제주 올레길의 생태문화를 알아보기 위해 올레길 유형을 대표하는 자원들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기능들을 경관생태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제주 해안의 생태문화적 특성을 살펴보면 해안은 검은 현무암 암반, 해안가 식생, 해안초지, 해안암반 식생, 겨울철새, 제주해녀 등이 있다. 오름은 독특한 화산지형으로 원형과 타원형의 산체, 오름 식생, 분화구 습지, 오름 지명 유래 및 전설, 설문대할망 설화, 말 방목 문화, 군사 목적의 사용, 민간신앙의 대상, 정상에서 조망경관 등이 있다. 곶자왈은 바위 요철 지형, 독특한 미기후 형성, 곶자왈 식생, 지명 유래, 과거 숯을 구웠던 문화, 기이한 형상의 나무와 덩굴식생이 특징이다. 밭담은 밭담 구조 및 형태, 밭 재배 농작물, 밭담 서식생물, 제주 농업문화, 밭담경관 등이 있다. 마을은 현무암으로 쌓은 돌담과 지붕구조, 마을 어귀 정자목, 가옥내부 마당과 텃밭, 지역민들의 삶의 모습, 골목길 경관 등이 있다. 이런 자원들은 인간의 오랜 삶과 함께 서서히 변해왔고, 지금은 제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경관이 되었다. 자원을 통합적으로 해석하여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올레를 걷는 도보 관광객들은 자원들의 스토리를 알아가면서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고, 올레길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이용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 분석을 통한 수화언어 특성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수화언어가 갖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인 10명과 청각장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한국표준수용어휘력검사의 어휘를 수화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수용어휘력을 조사하였다. 결과자료는 독립 t 검증과 one-anova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청인과 청각장애학생의 수화어휘 이해력은 청인이 55점, 청각장애학생이 75점으로 청각장애학생의 이해력이 높았다. 또한 집단간 어휘 품사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에서 어휘품사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청각장애학생이 사용하는 수화는 사물이 갖는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이 많은 도상성으로 인해 청인들도 이해하기가 쉽다. 수화의 도상성은 초기 수화언어수준에 해당되며, 수화언어가 발달함에 따라 수화언어가 갖는 의미적 규약성을 갖는 자의성 수화언어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find features for sign language(SL) hearing impaired person used. Ten hearing and 10 hearing impaired students participated and evaluated through SL vocabulary test transfer vocabulary at Korea Standard Reception Vocabulary Battery to SL moving picture. Data was deal with independent t-test and oneway-ANOVA. The results were reception vocabulary ability of normal hearing was 55 and tha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75. At parts of vocabulary(word class) was also higher hearing imparied students' scores than normal hearing scores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parts of vocabulary at each groups. We know that SL has symbols representative of objets and normal hearing could understand SL vocabulary because SL has iconicity feature. Generally there is a lot of iconicity of SL at easy word and arbitrariness of SL at difficult word as like metaphor or image word.

      • KCI등재

        한국어의 직설 및 반어 표현에 대한 베트남 유학생의 이해력

        허명진,강소영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direct expressions and ironic expressions whose meanings depend on rhyme in understanding daily Korean expressions of Vietnamese foreign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 Vietnames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Busan area. They were between the ages of 21 and 27, foreign nationals with TOPIK level 2 or higher, and no problems with cognition and sensory organs. The test conduc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20 items consisting of simple sentences composed of general life vocabulary, which consisted of 4 simple explanations, 8 direct expressions, and 8 ironic expres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foreign students in Vietnam achieved about 85% of simple explanations. Second, comprehension of direct expressions was 74%, and ironic expressions were 21%, which was very low in comprehension of ironic expressions compared to direct expressions. In addition, among direct expressions, they showed low comprehension in expressions with ambiguous meaning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foreign students need education on ironic expressions and ambiguous vocabulary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본 연구는 베트남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일상 표현에서 직설적 표현과 반어적 표현에 대한 이해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이들은 만 21세에서 27세로, TOPIK 2급 이상인 외국인이다. 본 연구에서 검사는 일반 생활 어휘로 이루어진 간단한 문장으로 구성된 20개의 문항이며, 이것은 간단한 설명문 4개와 직설적 표현문과 반어적 표현문을 각 8개씩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베트남 외국인 유학생들은 간단한 설명문을 85% 정도 성취하였다. 둘째, 직설적 표현의 이해력은 74%, 반어적 표현은 21%로, 직설적 표현에 비해 반어적 표현에 대한 이해력이 매우 낮았다. 또한 직설적 표현 중에서는 중의적 의미가 담긴 표현에서 이해력이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 반어적인 표현과 중의적인 어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아동의 운율지각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8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한국 청각장애아동의 말소리 운율지각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한국어 운율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어의 운율지각 관련 문헌고찰을 위해 2000년에서 2018년 발간된 학술지에서 ‘억양, 운율, 초분절, 강세’ 등과 같은 검색어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의 운율구조는 단어, 강세구, 억양구로 구성되며, 운율을 구성하는 요소는 음도, 강도, 음절수, 쉼, 성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운율구조에는 각 언어단위에 따라 운율구성요소가 달라진다. 즉 문장의 음절수, 어절 수, 억양 등과 같은 언어단위와 이를 청각적으로 기억하는 작업능력은 청각장애아동의 말소리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한국 말소리 운율지각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말소리의 초분절적인 요소와 성조, 언어단위, 작업기억능력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orean rhym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speech prosody perception test tools in Korea deaf children. In order to fin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prosodic perception of Korean, it was conducted preliminary studies on the words such as ‘prosodic, intonation, rhyme, suprasegmental, and stress’ in the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As a result, the Korean prosodic structure consisted of words, accent phrases, and rhyme sentence, and elements of prosodic constituted the acoustic parameters like pitch, intensity, and suprasemental paramenters like syllable number, pause, and tone. The prosodic structure has different prosodic components for each language unit. Previous studies on the perception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focused on the utterance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lack of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rosodic. Thus, two seconds segmental elements and tones, language, units of speech, such as working memory capacity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velop Korea metrical speech perception tests for hearing-impaired children.

      •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언어교육방안 모색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1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doesn't listen auditory informa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linguistic systems processing with normal hearing students. It does not take activity at first auditory cortex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bout auditory stimul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to how processing for linguistic systems o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surve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investigat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m.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revealed activation at superior parietal lobule in left hemisphere, differ with normal hearing.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hearing impaired children received linguistic information through space-sensory. Therefore, to grow learning ability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increase experiential information using their space-sensory, like as sign language. But in Korea, special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not educational planning for sign yet. Hence we have to establish linguistic education plain to learn sing for their parents and teacher.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손으로 인해 언어자극을 받아들이는 대뇌 경로가 건청아동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결함으로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활성이 청각이 아닌 다른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 언어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받게 되면 청각적 피질이 아닌 공감각적 피질인 두정엽영역의 활성이 활발하며, 언어자극을 기억하는 대뇌 피질영역들이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기억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이 초기 언어지도를 위해 수화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특수학교에서는 수화 관련된 교육과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영유아부에서는 부모나 교사들의 전문성이 고려된 언어지도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해 다양한 언어지도방법에 숙련된 교사와 부모, 그리고 구화를 강조하지 않은 융통성있는 언어지도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교육환경이 다른 학령기 고도난청아동의 음소 난출능력과 그 음운패턴의 변화

        허명진,이상흔,정옥란 한국음성과학회 2001 음성과학 Vol.8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10 males and 1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ll were prelingually hearing impaired. 7 children were educated at deaf school and 13 children at general elementary school with private chinic. Their hearing levels were more than 95dB HL and did not appear any wave by ABR.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articulation accuracy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was 54.19% and most distinguished phonological patterns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alveolarization and stop assimilation. The accurate articulation phon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ducation system between deaf school and general school. The error articulation degrees in 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at general school seemed meaningufully smaller than those in hearing impaired children as deaf school.

      • KCI등재후보

        국내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소고: 인공와우 이식과 연계해서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7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8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grated education phenomenon of deaf studen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of teachers in the field, related to cochlear implant for hearing implant children. In 1994, inclusive education was implemented by amending the special education law. However,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entered on separation education in the beginning of 2000 and then increased inclusive education after the middle of 2000. This is related to the numbers of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in early 2000 when cochlear implants proliferate rapidly in Korea. The most of these children entered normal schools and some of them was moved to special school as they became senior students. Through this, we found the diverse problems of integrated education as like distorted understanding of cochlear implants, a lack of specialized educational approaches, and FM hearing aid. Therefore, ongoing studies on inclusive education systems, special educational assistance, and multi-dimensional support should be undertaken before implementing integrated education. 본 연구는 국내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현상을 문헌고찰과 현장교사의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고 국내 인공와우 이식과 연계해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1994년 특수교육법 개정을 통해 통합교육이 시행되었지만 청각장애학생은 2000년 초반까지 분리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2000년 중후반기를 접어들면서 청각장애학생들의 일반학교 진학률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인공와우가 국내에서 급속도로 확산되는 2000년 초기에 청각장애 영유아의 이식률이 급증하는 것과 관련있다고 판단된다. 이 시기에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받은 청각장애 영유아들이 2000년 중후반에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서 이들의 대다수는 일반학교에 진학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중 대다수는 초등 고학년이나 중학교에 접어들면서 다시 특수학교로 옮기면서 통합교육의 문제점, 부모 및 교사들의 왜곡된 인공와우 정보와 이해, 부족한 특수교육적 접근 등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시행하기 앞서 진행되어야 할 교육체계, 특수교육적 지원, 다차원적인 교육지원 등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그와 관련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