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적 상상력 기반 수업의 의미 탐색: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중심으로

        하정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rough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and what it means to pre-service teachers,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nature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deeply related to imagination. In this study, 4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reflective journals, interviews, and researcher's journal colle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turned out to be "Imagination and expression: focusing on my feeling," "Immediate and creative: going with the flow," and "Music: Better Together." Second, for pre-service teachers, the meaning of the class turned out to be "True me: I can make mistakes, I can't do them", "The everyday nature of music : I can do them easily and amused", and "Having an insight into music education: I can do this". The findings show th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offer opportunities to focus on the senses, express one's feelings in various images, and value it as a basic education to reflect deeply on oneself, music, and the nature of education. It also suggests that efforts are needed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imaginative education in the institutions for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 develop a teacher's imagination.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 교과 특성상 상상력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유아교사로서 필요한 능력으로 상상력을 훈련하는 기회가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예술적 상상력 기반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술적 상상력 개념을 정의하고 이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구성하여 예비유아교사 49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반성적 저널,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상상과 표현: 느낌에 집중하기’, ‘즉흥과 창작: 흐름에 따라 가보기’, ‘음악: 함께여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에게 이 수업의 의미는 ‘진실한 나: 실수해도, 못해도 괜찮아’, ‘음악의 일상성: 쉽고 즐겁게 할 수 있잖아’, ‘음악교육에 감(感)잡기: 아, 이렇게 하는 거구나’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예술적 상상력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이 감각에 집중하고 자신의 심상을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기 자신, 음악, 그리고 교육의 본질에 대해 깊이 되돌아볼 수 있는 기초교육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사의 상상력을 갖춘 유아교사를 배출하기 위해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상상력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송경애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y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and parents, and also aims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or between the teachers of each education center and parents.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surveys were conducted against 453 teachers from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and 395 parents of the capital area. First of all, the research found out that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parents had high level of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gifted and talented for education and the problems derived from its absence, and the levels of these perception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nor the teachers according to each education center and parents Secondly,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parents both agreed that it is better to commence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when it is expressed rather than the fixed period, and the teaching method should be integrated depending on the gifted and talented child’s interests and playing based. However, the degree of these perceptions differed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or the teachers of each education center versus parents. Thirdly,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parents both had a percep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at it should integrate various realms, rather than focuses on mathematics or science. The degree of these perceptions were not differed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or the teachers of each education center versus parents. Fourthly, about the consideration points o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par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It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eachers of each education center but showed discrepancy among parents. 본 연구는 유아영재교육에 대하여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와 학부모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고, 교사와 학부모 간 그리고 교육기관별 교사 및 학부모 간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453명과 학부모 395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PSS 21.0을 이용해 각 영역의 문항별 평균치에 대한 차이 검증(t-test)을 실시하였으며 차의 유의도 수준은 ⍺=.05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들은 유아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유아영재교육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인식을 하였으며, 이 같은 인식의 정도에서도 교사와 학부모, 교육기관별 교사 및 학부모 간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들은 영재교육의 시기를 정하는 것 보다는 영재성이 발현되는 때부터 실시하고, 수업방식도 영재 각자의 다양한 관심사와 놀이 중심의 통합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하였으나, 이 같은 인식의 정도에 있어서는 교사와 학부모, 교육기관별 교사 및 학부모 간에 일부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들은 유아영재교육이 다양한 영역의 통합이여야 하고 수학, 과학 영역 위주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유아영재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가 있었고, 교육기관별 교사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부모들 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문제점, 고려해야 할 사항, 교육시기 및 내용과 방식 등에 있어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바람직한 인식을 하고 있으나 아직 여러 부문에서 교사와 학부모, 교육기관별 교사, 학부모간의 인식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어 효과적인 유아영재교육을 위해서는 이를 해소할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튜브(YouTube) 이용 형태가 유아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필요성 차이 연구

        전진호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3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necessity of children's media YouTube usage and paren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media guidance plan for young children in a digital environment. This study is an analysis study using data from the 2020 Children's Media Use Survey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for the devices using YouTube, smartphones accounted for the most at 41.6%, followed by tablets, smart TVs, computers, and others. It was found that on average, children spend more than an hour on YouTube per day between 100 and 130 minutes per week. On the other hand, on the weekend, on average, people watched YouTube for more than 2 hours, between 120-130 minut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YouTube content watched during a week of infants was watched more in the daycare center in the cartoon/animation category, but the toy materials and games were watched more in the kindergarten. Meanwhi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watched for a week, nursery rhymes/music accounted for the most at 18.6%, followed by fairy tales, English education, nature education, and sociality education. Third, the reason for letting infants watch YouTube was not to be disturbed by the child (23.9%) the most, followed by stress/diversion, compensation, acquisition of new information, and the child being choked up. Fourth, education experience and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The Interne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places to get help for media use guidance (25.7%). In terms of media education, it was found that children received more media education in kindergarten than in daycare center. It was found that more education was received in the non-adoptive parental cohabitation group than in the adoptive-parent cohabiting group. And in terms of the benefits of media education, it was shown that the media education received by parents,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children in kindergarten was more beneficial than daycar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Overall, al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it as around 4.0. Media education required for young childre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elf-regulation ability at 36.4%, followed by understanding of positive/negative effects,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 and information discrimination ability. As a research suggestion, the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media overdependence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should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children's media use along with information on cognitiv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nths. In addi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ncludes the harmful effects of digital media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edia according to the stage of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kindergarten) and childcare institutions (daycare centers). 본 연구는 유아의 미디어 유튜브(YouTube) 이용현황과 보호자의 교육에 대한 경험과 필요성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영유아 미디어 지도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는 코로나-19 기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0년 어린이 미디어 이용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연구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튜브 이용 기기는 스마트폰이 41.6%로 가장 많았으며, 태블릿, 스마트 TV, 컴퓨터,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주중 유튜브 1일 사용시간은 평균적으로 주중 100-130분 사이로 1시간 이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말에는 평균적으로 120-130분 사이로 2시간 이상 주말에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일주일 동안 시청한 유튜브 콘텐츠는 만화/애니메이션에서는 어린이집에서 시청을 많이 하였으나, 장난감 소재, 게임은 유치원에서 시청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주일 동안 시청한 교육 콘텐츠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동요/음악이 18.6%로 가장 많았으며, 동화, 영어 교육, 자연 교육, 사회성 교육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에게 유튜브를 보게 하는 이유는 아이의 방해를 받지 않으려는 이유가 23.9%로 가장 많았으며, 스트레스/기분전환, 보상, 새로운 정보습득, 아이가 졸라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의 교육경험과 필요성과 미디어 이용 지도를 위해 도움을 얻는 곳은 인터넷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디어 교육 여부에서는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서 아동 미디어 교육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부모 동거집단보다 양부모 외 동거집단에서 교육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디어 교육의 유익성에서는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서 보호자, 유아 지도, 아동이 받은 미디어 교육이 더 유익하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 전체적으로 4.0 내외로서 모두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유아에게 필요한 미디어 교육은 유아의 자율적 조절 능력에서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부정 효과 이해, 정보 활용방법, 정보 분별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제언으로 영유아의 미디어의 의존에 대한 예방 가이드라인은 개월 수에 따른 영유아의 특성에 부합되는 인지 발달, 신체 발달, 정서 발달에 대한 정보와 함께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기관(유치원)과 보육기관(어린이집)에 근무할 전문가 양성과정에 디지털 미디어 유해와 어린이 발달 단계에 따른 미디어 장, 단점 내용을 수록한 교과목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유아 참여권 보장 실태

        박태순,김승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유아 참여권 보장 실태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유아 참여권 보장 실태는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연령이나 학력, 경력, 근무기관 유형, 결혼 여부, 담당 유아 연령 등에 따라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유아 참여권 보장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국공립어린이집 교사가 참여권에 관한 관심이 가장 높은 반면, 유아 참여권 보장은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참여권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괴리가 보고된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유아 참여권이 보장되려면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함양하는 교사교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본 연구는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유아 참여권 보장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참여권을 신장할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reality on participation righ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and analyzed data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participation right and the reality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during the daily work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participation right and the reality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during the daily work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according to teachers’ age, education, career, type of their institution, marital status, and age of young children in charge, in particular, they we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ir institution. However, teachers of state-owned child care centers had the highest interest in participation right, but teachers of state-owned kindergartens showed the highest guarantee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This mean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on participation righ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about participation right to increas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should be implemented immediately in order to guarante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during the daily work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Finall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making a method to increas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by investigating the reality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generally and concretely.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공동체 의식과 만족도, 문화 성향이 교사와의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정계숙,손환희,윤갑정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3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satisfac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disposition of parents on the partnership with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early childhood parents using scales for checking four factor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parents tended to perceive four factors at a higher level than normal. Second, the partnership with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ctors of sense of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and cultural disposi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ense of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and cultural disposition. Third, parents' sense of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and cultural disposition were a influencing variable to the teacher-parent cooperation.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for satisfaction about teache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diverse on-off line education and counseling in improving sense of community,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f parents reflecting their cultural disposition in order to increase parent-teacher partnerships in the COVID-19 situation. COVID-19로 가정 내에서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서 학부모의 교사와의 파트너십은 양육지원 뿐 아니라 기관의 휴원 및 교육정책, 나아가 국가의 교육정책을 이해하는 통로로 작용한다. 이러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사와의 파트너십에 미치는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공동체 의식,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문화성향의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전국에 거주하는 학부모 총 330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공동체 의식 척도,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척도, 문화 성향 척도, 부모-교사 파트너십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부모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공동체 의식,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문화 성향, 부모-교사 파트너십을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공동체 의식,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문화 성향 및 학부모-교사 파트너십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학부모의 공동체 의식과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문화 성향은 교사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영향 요인이며, 특히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중에서 교사에 대한 만족도 하위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VID-19상황에서 유아교육기관은 부모-교사 파트너십 형성을 위해 학부모의 기관에 대한 공동체 의식과 만족도를 높이고, 이들의 문화성향을 반영한 다양한 온·오프라인 교육과 상담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의 스트레스와 교사협력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김재희,명은지,김재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organizational support influenced teachers’ digital literacy through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and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online teaching in preschools during Covid-19 pandemic. Teacher’s digital literacy is an essential competence of teacher’s readiness for virtual educational paradigm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highlight how to promote teachers’ digital literacy especially focused on collaborative and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study, a sample of 222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and self-repor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on organizational support, their interpersonal stresses,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on-line teaching and their digital literacy. Data were analyzed using SEM in Mplus 8.1. Overall, higher levels of organizational supports predicted higher levels of teachers’ digital literacy through higher levels of collaboration for online teaching. Additionally, higher levels of organizational supports predicted teachers higher levels of teachers’ digital literacy through lower levels of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es and higher levels of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online teaching. Th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build successful partnership among teachers under organizational supports can be promising target in continuing educational policies to enhance teachers’ readiness in future virtual educational environment.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온라인수업을 위한 교사협력을 통해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플랫폼을 활용한 미래 교육 패러다임에서 필수적인 교사 준비도라고 알려진 디지털 리터러시를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전문성을 지원하고 교사 간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유아교육기관 내 협력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22명의 유아교사가 참여하여유아교육지원의 전문성 지원환경, 대인관계 스트레스, 온라인수업을 위한 교사협력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해 온라인 질문지로 자기평정을 하였다. 본 자료는 Mplus 8.1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높은 수준의 유아교육기관의 지원환경은 온라인수업 준비를 위한 교사협력을 높이고교사 디지털 리터러시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수준의 유아교육기관의 지원환경은 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고 온라인수업 준비를 위한 교사협력을 높여 최종적으로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플랫폼을 활용한 미래 유아교육 과정에서의 교사준비도인 디지털 리터러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 전문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고 교사 간의 유대감을 조성하며 협력적인 파트너십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더 나은 미래 교육환경을 대비하여 유아교육기관이 교사 전문성 지원을 적극적으로 하도록 돕는 지원예산 확충과 교사간 공동체 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 마련의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분석 연구: 질적 내용분석(QCA) 방법의 적용

        송윤나,박희숙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opose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 the dat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QCA)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research data. research result of administratio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that is drived 10 sub categories of 4 main categories up. main categories were found to the democratic education operating system, teacher training system, establishment of a checking agency for the Education Ministry and re-establishment of the role of school-based factors. research result of teaching and learning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that is drived 13 subcategories of 4 main categories up. main categories were found to learners as a sovereign, teachers as a voluntary creator, education courses that realize the basis of humanitarianism,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education with flexible and sec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bout the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basi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유아교육 및 교육과 관련된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연구물을 대상으로 질내용분석(QCA) 방법을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의 행정 제도적 기반사항으로는 4가지의 상위범주에 관한 10개의 하위범주로 구성하여 나타났으며, 상위범주로는 민주적인 교육운영체제 교원 양성체제 교육부 견제 기의 신설 학교 기반요소의 역할 재정립으로 도출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의 교수와 학습을위한 제도적 기반사항으로는 4가지의 상위범주에 관한 13개의 하위범주로 구성하여 나타났으며, 상위주로는 주권자로서의 학습자 유아 자발적 창출자로서의 유아교사 인본주의 토대의 교육을 실현하는 유아교육과정, 유연하며 안전한 유아교육의 물리적 환경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의 위험부담놀이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Yuen Yue,신지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risk-taking play by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is, it i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f desirable support plan for play at ris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risk-taking play. Teachers' perception of risk-taking play was higher in Chinese teachers, and 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risk-taking play was more necessary and 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an Chinese teachers. Second,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reality of risk-taking play In other word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risky play, the place and time, and the role of teache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 's permission level and limit. Third, the obstacles in performing risky play were both parents' sensitivity to the safety of their children and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by the chief engineer. However, Korean teachers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risky play, I think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risky play because of the difficulty and lack of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parents and the specific guidance method.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activate risk-taking playing.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위험부담놀이 실태와 유아교사의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인식과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216명, 중국 유아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심정도는 중국교사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한국교사는 위험부담 놀이의 필요성과 가치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위험부담 놀이의 실태는 위험부담 놀이를 하는 빈도, 이루어지는 장소와 시간, 교사의 역할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반면, 교사의 허용정도와 제한 방식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위험부담놀이 실시에 대한 장애요인은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모두 부모의 안전에 대한 민감성과 기관장의 안전사고 예방 요구가 가장 크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한국교사는 위험부담 놀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중국교사는 부모의 학습위주의 교육적 요구 및 구체적인 지도방법의 이해 부족 때문에 위험부담놀이를 실시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교육기관에서 위험부담 놀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의 변화,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적극적인 소통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에서 ‘위험’과 ‘안전’에 대한 균형감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 시장놀이를 중심으로

        변미라,조안나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ed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economic concept form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6 children (44 children for experimental group, 44 children for comparison group) in the 5-year-old young children. For this study,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centered on market play were develop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general activities were developed for the comparative group based on Nuri-curriculum. The data were collected by SPSS 23.0 program and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NCOVA) using covariance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experimental groups that experienced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centered on market play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basic economic concept(scarcity, choice, opportunity cost, consumption, goods and services, currency, occupation and work, price and exchange, market) than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which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시장놀이를 중심으로 한 통합적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만 5세 유아 96명(실험집단 44명과 비교집단 44명)을 대상으로 총 14회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에게는 시장놀이 중심의 경제교육활동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생활주제 중심 누리과정에 기반하여 일반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실험 전ㆍ후 유아의 경제기본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집단별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장놀이 중심의 경제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경제기본개념의 하위요소 7개-희소성과 선택ㆍ기회비용, 소비, 상품과 서비스, 화폐, 직업과 일, 가격과 교환, 시장-개념 획득에 있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 유아경제교육활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보육교직원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보육서비스의 질의 영향 관계에 대한 영유아권리존중의 매개효과

        이바울,이성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영유아권리존중을 매개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보육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육교직원의 코로나19 스트레스 완화 및 영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의식과 태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를 하는데 사회적 실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시흥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직원이었으며, 모두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직원의 영유아권리존중은 보육교직원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보육서비스의 질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COVID-19 stress on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via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by childcare teaching staf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childcare teaching staff towards respect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then relieve COVID-19 stress, thereby ultimately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The self-questionnaire test was performed on 143 subjects. All survey participants were childcare teaching staff working at a daycare center located at Siheung-si, Gyeonggi-do. All test papers were conducted anonymous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espect of childcare teaching staff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of the childcare teaching staff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