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학의 출현과 그 의의

        김정명 대한운동학회 2012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4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was to fin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Kinesiology as an academic alternative of Physical Education with recent establishment of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METHOD] The discussion was threefolded as follows: 1)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disciplinary movem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past, 2) to review critically the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ians and professionals, and 3) to suggest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Kinesiology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physical education. [RESULT]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the United States and Korea witnessed pros and cons in the radical disciplinary movements of physical education. Especially the gap between academic community and physical education fields was an inevitable problem.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AAPERD) developed itself focusing on the practical base rather than the academic, delivering their original foci on academic disciplinary movements to American Academy of Kinesiology and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AAHPERD was composed with 5 sub-field associations of physical education and an integrative research consortium, while AAKPE(NAK) had 13 academic sub-disciplines. In contrast, KAHPERD stuck to the original focus on the academic expans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ently maintaining 15 academic sub-fields similarly to NAK. The practical demand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ould be rarely satisfied under the circumst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Kinesiology' in Korea whose academic focus is 'exercise' (or human movement) should be regarded as a practical discipline making the regulated health professionals as in Canada. [서론] 이 논의의 목적은 운동학회의 창립으로 구체화하기 시작한 학문적 대안으로서 ‘운동학’이 갖는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과거 체육의 학문화 과정상 제기되었던 문제를 짚어보고, 둘째, 체육의 학문화와 체육현장의 관계를 문제의 시각에서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운동교육의 실용학문적 대안으로서 ‘운동학’의 위상이 갖는 의의를 제시하였다. [결과] 지난 반세기 미국과 한국에서 일어난 체육의 급진적 학문화 흐름에서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같이 노출되었다. 무엇보다 학문화로 인한 현장과의 괴리가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의 극복을 위해 학문화를 주도하던 미국체육학회(AAHPERD)가 학문적 초점의 문제는 전국운동학회(NAK)로 넘기고 그 실용적 기반에 초점을 맞추어 학회를 발전시켜왔다. 그 결과 하위분과에 5개 현장협회와 하나의 리서치 컨소시엄이 형성되었고 NAK는 운동학(Kinesiology)에 초점을 맞추어 분과학문을 편성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한국체육학회는 미국의 NAK와 유사하게 학문중심의 분과학회를 구성하고 있지만, 학회와 현장과의 괴리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북미의 운동학과 같이 운동에 학문의 초점을 두고 형성된 한국에서의 운동학은 캐나다의 경우와 유사하게 건강의 한 분야를 책임지는 실용 학문적 기반이 되어 운동교육 분야 전반의 발전에 이바지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및 운동전문인 교육의 방향 탐색

        옥정석,유인화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irection of Kinesiologist professionals through reexamining of the Kinesiology concept and structure. [METHOD] document analysis was used abundant express and the articles about concepts, structure and the limitations related with sport, kinetics, exercise were collected [RESULT] First, traditionally the concept and name of P. E has been changed in accord with the social trend. The name of P.E.,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and sport had a weakness to include the whole categories of this discipline itself. Second, the name kinesiology was the alternative of the traditional P.E. and etc. The key concept and structure was suggested through reexamining kinesiology by two ways. That is, one is called academic-based reexamining, the other is professional-based reexamining. Third the direction for collegiate curriculum was suggested in four directions. [CONCLUSION] If this discipline had a concept and structures based on the kinesiology, and collegiate curriculum were provided, then the future of kinesiology in Korea will be prosperou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학이라는 개념의 변천과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등장하는 운동학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재검토 작업을 통하여 운동전문인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체육학 및 운동학의 개념과 한계, 의의 등을 다룬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문헌연구를 시도하였다. [결과] 첫째, 전통적인 체육학 개념의 변전과정을 살펴볼 때 한계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대안으로 등장하는 운동학의 재구조화를 위해 두 가지 측면 즉, 학문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와 직업전문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셋째, 운동전문인 교육을 위하여 대학이 해야 할 4가지 기능적 역할이 제안되었다. [결론] 운동학이 직업전문성을 중심으로 재구조화되고, 그에 맞는 대학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면 운동학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겠다.

      • ACE genotype과 운동능력의 상호관계와 연구동향

        정아름,강형숙,호성은,임용빈,이대택 대한운동학회 2004 대한운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4 No.-

        운동선수, 특히 엘리트 선수들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분류되고 평가되어진다. 이러한 평가는 엘리트 선수들이 어떠한 경기력을 보일 것인가에 대한 예측을 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운동선수의 평가방식으로는 생리적, 심리적, 또는 역학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는데 최근에 들어서는 분자생물학적인 평가가 추가되고 있다. 지난 수년동안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온 변인중의 하나가 바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유전자이다(Williams et al., 2000). ACE gene 의 유전적 다형성(polymorphism)은 287 염기쌍절편(base-pair fragment)이 삽입되어있는가(insertion, I 대립인자) 또는 결핍되었는가(deletion, D 대립인자)에 의해 나타내어지게 되며, 따라서 세 가지 이형 즉, I/I, I/D, D/D 형질로 표현된다(Jones et al., 2002). 혈중 ACE 수치는 D/D genotype 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나며 반대로 I/I genotype 일 때 가장 낮게 나타난다. ACE는 angiotensin II를 증가시켜 훈련을 통한 근력과 파워능력을 크게 향상 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몇몇의 연구에 의해 ACE genotype이 훈련 결과에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종목의 선수들에게서 한가지 대립인자나 한가지 genotype이 더 많이 관찰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운동종목과 경기유형에 따른 genotype 의 분포가 항상 일관성 있게 관찰되지는 않는다. 몇몇 연구에 의하면, 선수능력과 ACE 다형성과는 어떠한 연관성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 간의 차이는 유전적인 관점에서의 다양성이 후천적인 다른 변인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대적으로 그 공헌도가 적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연구에 포함된 운동선수의 집단군을 어떻게 구성하고 어느 정도의 사례수가 포함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ACE genotype과 운동선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다양한 운동 종목의 국내의 여자 엘리트 선수 11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ACE genotype에 따라 체격, 체력, 그리고 식습관 및 에너지 섭취량이 어떠한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우수여자 선수의 수적 제한성과 후천적인 영향 또는 유산소성, 혹은 무산소성의 한가지 형태의 운동 유형이 아닌 복합적 운동 유형의 운동종목의 특성상 ACE genotype에 따른 측정 변인들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민대학교 BK21 노화 연구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ACE genotype에 따른 노인들의 체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현재까지 600여명의 노인들의 ACE getotype과 체력 수준을 측정하며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위의 결과에 따라 선수의 선별적 선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data base를 준비하고 한가지 형태의 운동 유형에 따른 연구를 중점적으로 후천적, 환경적 요인을 감안한 잘 통제된 조건에서의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일본의 건강운동전문가 제도 도입과 국가지원정책의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홍용,박철호 대한운동학회 2012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4 No.3

        [INTRODUCTION] In modern life, exercise is necessary in order to restore an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eople. The demand for Exercise specialists who lead people to a safe and appropriate exercise considering the effect and the method of it have been increased. The introduction of the Exercise Professional system has been attempted continuously since the mid-1990s in Korea. However, in various circumstances it has not yet been created by law. [MAIN ISSUE] Many other countries have already adopted the system of Exercise Professional. Among them, Japan has established the law on the system of Health and Exercise Experts in the late 1980s. We should investigate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e legislation on the exercise specialist system of Japan because we also need to introduce that system in our society. In this article some issues about the situation of legislation and system operating in Japan are examined in the legal perspective. [CONCLUSION] The enactment of the legislation is necessary for domestic introduction of exercise professional syste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most appropriate as the competent authority of that system than any other state agencies, the patients including healthy people should include as care target by Exercise Professional. And in legislative activities for domestic introduction of Exercise professional system,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the adjacent vocational experts such as medical professionals etc. After the introduction of such system, stable financing plan is necessary for it. [서론] 현대생활에 있어서 운동이 국민 건강의 증진과 개선에 필요하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운동의 방법이나 효과를 감안하여 국민 개개인에게 안전하면서도 적절한 운동을 지도해 줄 전문가로서 운동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위한 입법활동이 199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아직까지 법제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론] 세계 각국은 운동전문가에 관한 제도를 이미 마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의 법제와 비슷한 일본의 경우 1980년대 후반에 건강운동전문가 제도를 입법화하였다. 운동전문가 제도의 법제화를 시도하고 있는 우리의 경우 일본의 법제화 과정과 내용을 되짚어보고 향후 국내 입법활동에 반영할 시사점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입법과 제도 운용상황에 대하여 법적인 시각에서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해 보았다. [결론] 국내 운동사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법령의 제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운동사의 관할 기관으로 보건복지부가 적합하고, 운동서비스 등의 대상으로 질환자까지 포함되어야 하며, 법제화를 위한 활동에 의사와 같은 인접 직역의 전문가와의 연계가 필요하고, 제도 도입 후에도 안정적인 재원확보 방안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이 인정되었다.

      • KCI등재

        임신성 당뇨관리와 출산 후 비만 예방을 위한 운동 요법

        배윤정(Bae, Yun-Jung),손지은(Sun, Jee-Un),이대택(Lee, Dae-Taek) 대한운동학회 2007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9 No.2

        최근 여성들은 출산연령의 증가와 사회적 활동 참여로 인한 스트레스의 증가, 운동부족으로 인한 과체중 등의 원인으로 임신성 당뇨의 발병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임신성 당뇨의 발병률이 1994년도에 조사된 발병률에 비해 2002년도에는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임신 동안에는 고인슐린혈증 상태가 나타나고 인슐린의 민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임신성 당뇨란 임신동안에 글루코스의 불내성이 시작되었거나, 이를 처음으로 신체가 인지한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출산 후에는 대부분 회복되기도 하지만, 출산 이후에도 제 2형 당뇨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임신기간 동안에 일일 20분 정도의 운동을 중정도의 강도로 주 3일씩 규칙적으로 실시한다면 체중 조절의 효과 뿐 만 아니라 혈당의 조절능력도 향상 시키게 된다. 임신 중 운동의 효과에 대해서는 단기간의 운동에 대한 효과와 장기간의 운동에 대한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있다. 임신성 당뇨환자가 운동을 실시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은 매우 많다. 특히 임신부들에게 운동은 비정상적 출혈이나 저체중아 출산과 같은 부작용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 깊게 관찰되어야 한다. 출산 후 체중관리는 임신성 당뇨가 제 2형 당뇨로 진행될 가능성과 산후 비만을 예방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임신성 당뇨에 관한 운동의 효과를 검증함에 있어서 이후의 연구에서는 운동 환경에 대한 적정 온도, 수분의 섭취, 인슐린처치와의 상호작용, 준비, 정리운동의 프로토콜 등의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Recently, widely increased rat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because of many women participated social work, increased stress level and lack of exercise, thus lated labor period. As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increases worldwide, more women are developing diabetes in their childbearing years. The incidence of GDM doubled between the 1994 and 2002. Pregnancy is characterized by a hyperinsulinemic state and a decrease in insulin sensitivity.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s defined as glucose intolerance that begins, or is first recognized, during pregnancy. Most case, gestational diabetes recovered postpartum period, but have shown future type 2 diabetes. Moderate exercise( 20minutes, 3days/week) are effective in weight control and glucose control. Acute exertion and exercise training have well-characterized effects on control of blood glucose that may all have a salutary effect on glucose intolerance of pregnancy and GDM. In patients associated with wide range of complication. For the mother, gestational diabetes increases the risk of abnormal bleeding, and poor fatal growth. Weight control during postpartum very important that prevention for postpartum obesity and future type 2 diabetes. In the future study need to exercise temperature, hydration level, exercise protocol for each pregnancy period and insulin therapy.

      • 체중유지전략으로서의 운동의 효과 및 운동지속에 도움이 되는 전략

        허시영 대한운동학회 2004 대한운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4 No.-

        비만환자가 체중감소를 목적으로 식사와 운동 양상을 변화시킬 수는 있지만 아주 소수만이 감소된 체중을 유지한다. 만약 감소한 체중을 유지할 수 없다면 치료는 일시적인 감소를 제공할 뿐이고 오히려 연이은 체중의 재중가가 체중 순환을 유발하여 신체적 및 정신적인 문제를 만들 것이다. 1992년 의도적인 체중감소와 조절에 대한 방법(methods for voluntary weight loss and control)의 제목으로 발간된 미국 국립건강연구소(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기술평가회의 보고서에서 미국인의 1/4-1/3이 과체중이며 미국 여성의 약 40%, 남성의 24%가 체중감소를 시도하고 있고 체중감소 방법은 다이어트를 비롯해 운동, 행동요법, 약물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런 방법에 의해 1년 안에 원래 체중의 평균 10% 정도의 체중 감소 효과가 있었고 이중 1년 안에 1/3-2/3에서 체중이 다시 증가되었고 5년 안에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체중 다시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이 보고서를 통하여 보듯이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재 비만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운동은 체중조절을 비롯한 건강상에서 여러 이점을 가져다주는 것은 밝혀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운동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느냐가 문제이다. 특히 체중 조절에 있어 운동은 빠른 체중감소의 효과보다는 체중감소 후에 이를 유지하는 것에 더 많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체중 감소 후에도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체중의 유지에 필수적인 것인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제까지 알려진 운동의 체중유지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고 운동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전략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개인운동사)의 역할 탐색

        정덕조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1

        [INTRODUCTION] There is the increasing needs for personal trainers, with expanding demands that extend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professional trainers generally lack adequate scientif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could result in poor decision making by these exercise special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duties performed by personal trainers,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educational and training requirements that are required to better support their actual responsibilities. [METHOD]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changing demands placed upon personal trainers and to identify opportunities for training and educational improvements. [RESULT] The study found wide variation i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held by personal trainers. This variation in job responsibilities indicated the lack of a standard definition for the duties of a personal trainer. This wide variation of duties across the profession of personal trainer impedes the attaining of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that need to be supported. The indication is that the profession of personal trainer would benefit from a systematic approach to accumulate a common body of knowledge that identifie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performed by personal trainers. Further, by identifying these responsibilities it would be possible to identify academic training that would enhance their performing of these duti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trainer’s role would serve to avoid confusion regarding job responsibilities and could elevate personal training to be a professional job. [CONCLUSION] Clarification of job responsibilities, and additional training that includes related medical education, would significantly improve job satisfaction. Personal trainers require addition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include: professional development, client counseling, management of clients, and medical training.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certification for personal trainers would be an important step towards improving the personal trainers’ economic and social role within the law. [서론] 퍼스널트레이닝에 대한 학문적 개념정리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상태에서 비과학적이고 비전문적인 퍼스널트레이닝의 양적 팽창과 지속적인 수요가 이루어졌지만, 퍼스널 트레이너(개인운동사)의 전문적인 역할과 직역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마련되지 않아 차후 운동전문가에 대한 불신이 깊어질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퍼스널 트레이너의 역할에 대한 탐색을 통해서 퍼스널 트레이너들이 갖추어야 할 것들과 준비해야 할 것들에 대한 논의를 준비하기 위한 과정으로써 퍼스널 트레이너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한 탐색을 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퍼스널 트레이너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검토와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지금까지도 퍼스널 트레이너는 직무의 범위나 직역이 확립되지 않아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체계적인 지식을 통해 더욱 과학적으로 고객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스스로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며, 학문적인 발전을 통해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퍼스널 트레이너 역할에 대한 교육이 전문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새롭게 시작되는 전문직에 대한 건전한 발전도 기대하기 힘들고 더더욱 많은 혼란과 부작용이 야기될 것이다. [결론]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직업의식이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도 필요하며, 몸을 다루는 운동전문가로서의 의학적 소양도 갖추어야 한다. 앞으로, 트레이닝에 대한 전문지식 함양, 고객상담 및 관리 능력 신장,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매너나 태도 교육을 위한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법률적,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자격제도 국가공인 취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initol 투여가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운용,배윤정,김경태,강민경,이대택 대한운동학회 2004 대한운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당대사와 콜레스테롤 대사의 조절 물질로 알려진 Pinitol이 운동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위해 시도되었다. 특히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피로회복의 관계를 규명하여 운동능력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32명으로 대학 체육과에 재학중인 남학생 24명, 체육과 진학을 목표로 준비중인 남자 재수생 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집단을 나누기 위하여 모든 피험자는 운동능력 검사를 위해 GXT가 실시되었으며, 최대산소섭취량과 신체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4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집단별 나이, 키, 몸무게, BMI, 평균혈압, 최대산소섭취량은 각각 Pinitol 집단(22.0±2.3 yrs, 176.1±4.0 cm, 71.6±9.4 kg, 23.0±2.2 kg/m2 , 92.0±7.5 mmHg, 52.4±8.6 ml/kg/min), Placebo 집단(23.8±2.5 yrs, 174.2±6.0 cm, 68.7±5.3 kg, 22.7±2.3 kg/m2, 91.3±7.6 mmHg, 52.0±4.8 ml/kg/min), Product 집단(22.5±2.1 yrs, 175.6±4.2 cm, 70.6±8.3 kg, 22.9±2.2 kg/m2, 90.5±15.0mmHg, 56.2±5.3 ml/kg/min), Control 집단(21.3±1.9 yrs, 177.0±4.7 cm, 70.5±6.2 kg, 22.5±1.6 kg/m2, 93.8±6.9 mmHg, 53.3±4.6 ml/kg/min)이었다.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피로회복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4개의 각 집단별 처치가 이루어졌다. Pinitol, Placebo 집단은 2주간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2회씩 10cc 스푼으로 처치된 약물이 투여되었다. Product 집단은 2주간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2회씩 20cc 스푼으로 처치된 약물이 투여되다. 그리고 Control 집단은 2주간 특별한 처치 없이 일상생활만을 하도록 유도되었다. 피험자의 운동능력 검사를 위해서는 윙게이트 검사와 혈액 성분 변화가 실시되었으며, 피로회복은 젖산을 통해 비교되었다. 각 집단별 측정 항목에 대한 검증을 위해 Two-way ANVOA with repeated measure이용하였으며, 통계적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체중 비례 피크파워, 총일량, 평균파워, 혈액성분 모두에 있어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피로회복과 관련된 변인 젖산, 피로지수에서도 모두 집단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initol은 직접적으로 무산소성 운동능력 향상과 피로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다른 운동 형태 즉, 유산소성 운동 형태나 약물의 복용량과 투여 기간의 조절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복합운동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설중,류부호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HbA1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us. [METHO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exercise group(n=8), and control exercise group(n=8). The exercise group performed for 60 min(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 for 30 min and resistance exercise 30 min) per day, for 3 day per, 8 weeks. HbA1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8 weeks from each groups. [RESULT] First, The weight, %fat, waist circumference, fasting blood glucose, and HbA1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Second,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H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But C-reactive protei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exercise program. Third, The physical fitness(VO2max,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CONCLUSION] Combined exercise program has beneficial effects on HbA1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서론] 본 연구는 복합운동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 16명이며, 이 중 운동군(n=8)과 대조군(n=8)으로 구분하여 신체계측, 혈압과 혈액 검사 및 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군은 8주간, 주 3회 복합운동으로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 또는 자전거 타기를 30분간 실시하였으며, 저항성 운동은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신체 주요 근육 부위별로 30분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군의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공복 혈당 및 당화혈색소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군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감소 및 지질대사(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는 개선되었지만 CRP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운동군의 VO2max, 근력, 각근력 및 근지구력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복합운동은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감소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낮추며 체력 증진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운동으로 유도된 오피오이드를 통한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의 메커니즘의 이해

        이정아,정덕조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2

        [INTRODUCTION] Prior studies have increasingly indicated that chronic diseases might be causing neuropathic pain. As man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do indicate neuropathic pai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finding a treatment for this pain. One beneficial treatment might be the exercise-induced opioid effect that could help to reduce this neuropathic pai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ossible mechanism related to reducing neuropathic pain as a result of the exercise-induced opioid release. [METHOD] This study reviews prior research on neuropathic pain and the exercise effect to explain the possible mechanism relating to an exercise-induced opioid effect that reduces neuropathic pain. [RESULT] The possible mechanisms relating to the exercise-induced opioid effect include: 1) an exercise-induced analgesic effect, and 2) exercise-induced opioid and neurotropic factors. The effect of exercise-induced opioids was proven by indications of opioid with drawal and by increasing opioid to lerance. Additionally, increasing the neurotropic factors would help increase the analgesic effect of opioids and serotonin. [CONCLUSION] The exercise-induced opioid effect would reduce neuropathic pain, indicate opioid withdrawal, increase opioid tolerance, and identify neurotropic factor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and dur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treatment mechanism, which ultimately will help to prevent and treat chronic pain. [서론] 현대 고령화 사회에서는 노인성 질환으로 야기되는 신경병증성 통증이 증가되고 있으며, 운동을 통한 이러한 만성통증을 예방과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이 신경병증성 통증을 완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첫째, 운동 시 발생하는 일시적인 무통효과와 둘째, 운동으로부터 야기되는 오피오이드와 신경영양물질의 증가로 제시하여, 통증완화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운동의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효과를 연구한 논문들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그 가능 기전을 조사하였다. [결과] 운동을 통해 야기되는 신경병증성 통증기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운동은 오피오이드의 증가를 유도하며, 진통제의 중독성처럼 운동으로 야기되는 오피오이드의 의존성 및 내성이 증가하는 기전으로 운동의 효과를 설명할 수 있겠다. 또한, 운동은 신경영양인자들의 증가를 유도하여 항유해자극 효과를 유도하고, 오피오이드와 세라토닌 대사경로를 통한 무통효과를 증가시켰다. [결론] 사실상, 운동과 신경병증성 통증과의 관련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와 예방을 위한 운동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운동강도와 지속시간에서 신경병증성 통증의 완화효과를 확인하여 만성통증의 치료와 예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