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인성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영향관계

        김익형,김창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3

        본 연구는 대학교육수요자의 감소와 교육시장의 개방, 대학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의 생존전략을 위한 대학 교육행정서비스 질을 어떻게 제고할 것인가를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교육행정서비스,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만족과 학교생활만족, 인성에 대한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행정서비스 대상인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북도의 4년제 대학 4개소와 전문대학 4개소 총 8개 대학의 대학생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인성의 영향력이 부분적으로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는 인성과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감 사이의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도 간에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지원 선호도가 떨어지는 지방대학, 또는 지역적, 환경적여건으로 신입생 확보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 곧 신입생 감소와 학교재정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대학의 부실화를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질 높은 교육행정서비스와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 교원양성기관의 부설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강남희,하헌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4

        본 연구는 IB 학교 교사가 실천하는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IB 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IB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특징, IB MYP Unit Plan(템플릿의 구조)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구조와 지향점을 백워드 설계와의 연계성 속에서 밝혔다. 그리고 중등교사양성기관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IB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사례를 통해 수업과 평가상의 실행 변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구성주의 관점에서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의 탐구 사이클의 공통적 지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IB MYP 수업 실행의 변화를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탐구중심 수업, 학습자 주도성의 강화, 현행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IB 평가 목표의 연결, 교육과정 혁신가의 관점에서 설계, 일반화와 전이 가능한 학습 실행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B 교육과정의 공교육 도입 사례를 통해, 향후 IB 학교 단계별 지원 강화, 이해를 통한 전이를 추구하는 IBEC 프로그램을 통한 IB 교사 교육 강화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of IB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IB education based on thi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B curriculum and the IB MYP Unit Plan (structure of the template) were analyzed, and these structures and directions were linked to the Backward Design. In add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s affiliated with KNU's Teachers College,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IB Curriculum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mon direction of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nquiry cycle of the IB Curriculum was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changes in IB MYP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class and evaluation. It emphasized inquiry-oriented classes, strengthening learner initiative, linking current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th IB evaluation goals, and designing, generalizing, and transferabl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innovators. Therefore, through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IB curriculum into public education, we have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strengthening support at each level of the IB school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IB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BEC program, which seeks transfer through understanding.

      • KCI등재

        일본의 국제바칼로레아(IB) 도입 정책과 교사 양성의 현황

        장신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일본에서는 ‘글로벌 인재 육성’이라는 목표를 내걸고 국제교육과정인 국제바칼로레아(IB)를 정부 주도하에 도입하고 있다. 특히 국가기준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일조학교(一条校)에 IB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DP의 개발, 일조학교에서의 학습지도요령과 IB의 동시 이수에 대한 조치, 국내 대학 입시에서의 IB 자격의 활용, IB 교사 확보를 위한 대책 등 IB의 도입과 확대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정책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IB 교사양성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쓰쿠바대학(筑波大学)의 사례를 분석하여 IB 교사를 어떠한 관점에서 양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IB가 교육정책의 변혁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금융 이해도와 바람직한 금융교육 방향 탐구

        오영수,도규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글로벌 경제 시대를 맞아 개인이나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 금융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 보다도 높다. 본 연구는 금융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행 경제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의 강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고등학생들의 금융에 대한 이해도와 교사들의 금융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대구지역 고등학교의 교사 학생에 대한 설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의 전반적으로 금융이해도는 미국은 물론 수도권의 학생들에 비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금융지식보다는 금융에 대한 기초지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꼽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과 교사에 대한 설문조사, 그리고 최근의 금융교육 교재 등을 참고하여, 고등학생들에 대한 바람직한 금융교육 내용으로 ‘국민경제와 금융’, ‘소비와 신용’, ‘저축과 투자’. ‘다양한 금융상품’의 네 가지 영역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It is essential to equip some amount of financial knowledge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economic agents in the era of global economy. This paper purpose to develop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in high school in Korea by evaluating the extents of students' financial understanding, and by surveying teachers' opinion on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The results of survey show that students' in Daegu area habe a lower financial quotient than that of students in Seoul area as well as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results, we suggest an economic and financial education context which could be used in the high school level stude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시대에서의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의 경제인식 능력 및 경제의식 조사 연구

        허인숙,최병모,김정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 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경제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조사가 무엇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현행 학교교육에서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에 대한 경제인식 능력과 경제의식을 파악하여 교사들의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시대에 대한 현 좌표를 살펴보고, 교사훈련기관인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의 교육과정과 교사교육 연수프로그램에 있어서의 개선점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시대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경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의 경제인식 능력 및 경제의식에 대한 조사는 네 가지 영역, 즉 '대학시절과 연수과정에서 이수한 경제관련 과목에 대한 내용',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우리 경제현안에 관련된 내용',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정보소양 능력에 관련된 내용', 그리고 '세계화시대에서의 경제소양에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졌고, 이 네 가지 영역에 대한 조사는 전국 초 · 중 · 고등학교 경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우선 직전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의 교육과정뿐 아니라 교사들에게 새로운 경제 환경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대비시키는 연수과정이 매우 불충분 한 것 같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economic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economic teachers in the present school education field, to inspect the present aspects of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to seek the suggestion of the improvements in the curriculum and training program of the institute of teacher training,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good economic education to be demanded at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of the economic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economic teachers was implemented through the four areas, that is, the content of the economic curriculum to complete in the college course and training program, the content of the outstanding questions of our economy at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the content of information literacy at the age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content of economy literacy at the age of globalization. These four areas was investigated through survey as the subjects of the economic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KCI등재

        2022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각론 문서 체제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한준,김사훈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4 중등교육연구 Vol.72 No.2

        본 연구는 2022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각론 문서 체제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중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중국어 교과와 관련된 12개 과목의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구성 요소가 교육과정 개발 취지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동일한 위계 과목 간 난이도가 유사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특정 과목의 ‘성격’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용어를 교과 역량과 같이 활용했다는 점, ‘목표’에서 취지에 부합하지 않고 학습의 도달점으로 보기 어려운 목표를 설정하였다는 점이 문제 제기되었다. 다음으로 ‘내용 체계’에서 핵심 아이디어’가 상위 조직자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교과 내 영역’에서 설정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 위계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취기준’에서 지나치게 간략하게 제시되어 위계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이 교과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문제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차후 교육과정 개정과 교육과정 문서의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examine the main components of the 2022 Revised Second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 and Goal’, ‘Content framework’,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12 courses related to German, French, Japanese, and Chinese in the 2022 revised second language curriculum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focused on whether each component reflected the purpose of curriculum development, whether it was hierarchically organized, and whether the level of difficulty was similar among subjects in the same hierarchy. As a result, firstly, in the ‘Character' section,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used terms that were not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s competencies, and in the ‘Goal' section, the objectives did not meet the purpose and were difficult to see as learning outcomes. Next, in the ‘Content framework', the ‘Big Ideas' did not play a good role as a high-level organizer, and in the ‘Areas within the Curriculum', it was difficult to see that it was set up, and the hierarchy was not clear.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too brief and did not show hierarchy, and that th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varied greatly by subj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and recommended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 KCI등재

        기초 일본어교수법 연구 : 귀납적 교수법의 효과에 대하여

        김원미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한국에서의 오래된 일본어교육사에 비해 일본어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특히 제7차 교육과정 중인 중?고등학교, 그리고 일반대학 등에서 현장 활용이 가능한 교수법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더욱이 영어권 화자가 아닌 한국어화자를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수 테크닉에 관한 연구는 그 예가 적어 교사들을 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는 교육테크닉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교육 현장에서 교 · 강사들이 갖는 고민과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는 교수테크닉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고충 해결책으로써 인지주의 교수법의 연역법과 자연주의법의 흐름을 이어받는 귀납법을 교수테크닉의 중대 관점으로 간주하고, 일본어 동사 교수시의 기준 테크닉으로 취급하여 실험하였다. 양 교수법의 차이는 언어교육테크닉 중 언어의 틀을 먼저 가르칠 것인가 아니면 예를 많이 들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그 틀을 유추해내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차이이다. 연구결과로는 귀납법이 학생들에게는 비교적 알기 쉽고 흥미로운 방법이라는 것이다. 언어교육에서 중요 관점 중 하나가 학습자의 배경인 이상, 일본어교육현장에서는 한국어화자에게 적합하며 효과적인 테크닉이 존재해야한다고 생각한다. 현재로는 설문조사의 결과로도 알 수 있듯이 학문과 현장을 이어주는 하나의 통로로써 교수테크닉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된 시점에 와 있다고 생각된다. Considering the long history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e research on Japanese educational methods is not done as active. Especially the educational method study that can be exercis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seventh revision of education curriculum and in the universities, is even more unsatisfactory. Moreover,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students who use korean, not English as their first language, is even hard to find. Because of this fact, teachers in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are finding difficulties exercising the educational technique that is right for the seventh education process. In the research, I explored the difficulties that the teachers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technique of teaching was the field of most interest. To find the resolution to this problem, I considered the deductive way of the cognitive teaching method and the inductive way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natural method of teaching to be the main point which I must focus on, and also a standard teaching method in educating verb of japanese language. The difference of these two educational methods is whether it teaches the students to learn the framework of the language first, or it induces the students to find out the framework by proving them with as many examples as possible.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that the inductive method is more easily accessible, and interesting for the student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important focus of language education is the background of the student, it is crucial that there is a effective educational technique for students of japanese language who use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As seen in the survey, to connect the teaching field and the academic research,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technique takes on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Interview

        강현석,정재임,최윤경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두 가지의 모티브로 시작되었다. 하나는 Bloom이 오래 전에 제안한 교육목표 분류학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반응에 대한 구체적 대안 찾기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최근의 일련의 개정 작업에서 발견되는 Bloom에 대한 대안의 모색이다. 교육목표분류학은 교육의 과정에서 중요한 도구로 기능을 해오고 있다. 도구는 항상 새롭게 만들어져야 한다. 학문적 논의와 현장의 실천적 노력에서 보다 정교하게 보완하고 그 대안을 모색 할 때가 되었다. 그것은 실제 수업이나 교사양성의 맥락에서 보다 구체화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작업의 일환으로 교사의 인터뷰와 몇 가지 대안을 단서로 하여 하나의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교육의 중핵으로서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의 문제는 교육목표분류학의 이론적 논의와 현장 실천의 문제가 연계되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This study starts with two kinds of motive. One is searching for practical alternatives of teachers' responses in service about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 suggested. The other is exploring alternatives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cently.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functioned as a crucial instrument on the process of education. This kind of instrument should be made as a newer one. It is time this instrument should be made as a newer one. It is time this instrument were made to be revised precisely and alternatives of that were explored through disciplinary discourse and practical efforts in service. It should be applied to be specified in the context of instruction and cultivating teachers. The study has tried to suggest possible alternatives on the basis of teachers' interview and som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clue. A matter of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 and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oretical discussion on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a practical matter in service.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임지룡,김영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론을 제시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디어교육 개념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학교 미디어 교육으로서 특히 중등 국어과의 미디어교육적 요소를 검토하게 된다. 나아가 현행 국어과에서 적용되는 미디어교육의 방법론을 개괄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게 된다. 아직까지 미디어교육이 ‘미디어를 통한 교육’ 즉 미디어를 통해 특정 교육 요소를 이해시키는데 활용하는 도구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문화기호학적 교수학습방법론이다. 일찍이 기호학은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교육적 영역에 도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레마스에 의해 시도되었던 행동자 모형과 내러티브 분석 기법을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에 도입한다. 이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은 멀티 리더러시를 가능케 하는 데, 이는 미디어 수용자 혹은 잠재적인 미디어 학습자가 특정 미디어 텍스트를 통해 문화적 차원의 의미 해석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수용자나 학습자가 처한 사회문화적 콘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성찰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research explores acceptance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extends to teach communication skills as 'new language'. Using internet is not only the technology but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generation, media education valu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like the constructivism paradigm. Media education have to be get through via the idea of literacy. For going forward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Results of this article were as follow: First, the idea of media education was reflected on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some Korean teachers group developed series of textbooks for media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cultural semiotics, multi-literacy methodology and narrative scheme methodology play an important role for secondary Korean class.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탐구

        이윤복,이지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최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증가와 이를 기반으로 한 학교 현장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관점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현황,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워드 프로세서와 Nvivo 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6가지의 주요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과 도입에 대한 공감. 둘째, 현재 학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시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가능성이 충분함. 넷째, 교육과정 디자이너로서 교사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음. 다섯째, 통합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의 적용 가능함. 여섯째, 교사 연수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실현하는 교실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