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동남아 담론 분석

        김희숙 한국동남아학회 2019 동남아시아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 된동남아관련기사들의시기별, 지면영역별특징을빅데이터분석방법의하 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중의 인식을 유도하고 특정한 관점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언론에 의해 생산된 기사들은 그 자체로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동남아와 관련하여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주도 적인 담론을 ‘동남아 담론’으로 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관련 기 사들에 대한 어휘 빈도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약 30년간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동남아 담론에 대한 지면 영역별 기사 수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된 동남아 관련 기사 들이주로국제및경제, 문화영역에편중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통해한국의언론담론속에서동남아가중국과미국, 일본등의강 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주로 경제적 관계와 관련하여 주시되어왔음을 보여준다. 특기할 만한 현상은 정치면 기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 에서 동남아 자체의 정치가 아닌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는 점 이다. 전체시기에 걸쳐 ‘북한’은 정치면 기사 고빈도 어휘목록에서 1위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가 남북한 외교의 각축장으로서 주시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또한 언론의 동남아 공간 담론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과의 경제적관계비중이높은일부국가들에대한편중성이크다는점이다. 이러한현상 은 동남아 연구의 대상 지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온 사실과 일정 정도 차이 가있는것으로, 언론및대중담론과학술담론사이에간극이나지체는없는지 를 살펴 이와 같은 편중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동남아학계의 과제로 남았다.

      • KCI등재

        한국 동남아 국제개발협력 연구 동향 분석: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 고찰

        김소연 ( Kim So-yeun ),강하니 ( Kang Ha-nee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2

        2000년대 이후,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본격적 확대와 더불어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활동과 연구 또한 상당한 발전을 경험해 왔다.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는 단기간 내에 양적으로 성장하였으나,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시각에서 기존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 연구는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동남아시아 지역 관련 국제개발협력 연구의 시기별, 주제별 특성 등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학술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이슈를 다룬 논문 수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공적개발원조(ODA)를 넘어 개발협력, 국제개발로 연구영역이 확장되었으며, 세부 연구주제들도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동남아 지역의 현지 사례를 통해 국제개발/개발협력의 인식론적 깊이를 더하는 연구는 아직 소수에 불과하여, 그간 학술연구의 폭은 넓어졌으나 깊이는 깊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현실비판적/기초학문형 (비판적/대안적) 연구가 지닌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현재 실용적 관점 중심의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명확히 직시하고, 비판적 시각에서 주류 담론과 레짐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현지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발/발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고민과 성찰을 다룬 학제적 연구의 발전 가능성 또한 제시한다. Domestic debat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has hitherto been rather more focused on the narrow topic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therefore,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enquiries for the former’s effective implementation have dominated the field as a result. However, such lack of foundational debates on ‘development’ has rendered the field inept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development landscape since the new millennium both globally and in Southeast Asia. With this particular problematique in mind, the paper argues for the utility of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in enriching theoretical debates in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studies. In doing so, we analysed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published since 2000, of which theme concern international development with a specific geographical focus on Southeast Asia. The result shows that such publication and the thematic issues have witnessed rapid quantitative growth since 2007 - while the nature of the publications still clearly remained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for effective execution of ODA. We therefore propose the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to overcome the problematique above by emphasising more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hat challenge the hegemonic paradigm in the field.

      • KCI등재

        외연의 확대, 지평의 확산: 동남아 미술 연구 10년

        강희정 ( Kang Heejung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3

        이 글은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2008년 이래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약 10년간 동남아시아 지역학 분야에서의 동남아 미술 연구를 검토했다. 이 연구들은 동남아의 미술을 어떻게 다뤘는지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검토했다. 이 기간에 발표된 동남아시아 미술 연구 논문은 50편이며, 베트남 미술과 인도네시아 미술에 관한 논문이 다수를 점한다. 11개국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단기간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 전문적인 분야라는 점에서 연구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나 짧은 기간에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음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도자기와 조각에 집중된 제한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이 기간의 연구는 불균형한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와 동남아 지역 연구 환경을 살펴보면 지역별,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지난 10년간 동남아 미술 관련 연구가 발전을 거듭했지만 연구 분야와 대상이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역학의 한 분야로서 동남아 미술 연구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There was few research deal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or the arts of Southeast Asia before, however many articles and books on the arts of Southeast Asia were published since 2008. There are more than 50 papers dealing Southeast Asian art during the period. It was Vietnamese ceramics and the Buddhist relics of Indonesia which paid attention among those articles. This was relevant to the launching of the Humanities Korea (HK) project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07. A study on Southeast Asian arts from each of eleven countries is difficult to achieve outstanding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quite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At this point we can say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are developed in an unbalanced extent in the limited area focused on ceramics and sculptures. Over the past decade,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has developed, but we still need more experts in specific regions and fields. For establishing the art history as a field of regional studies, it is imperative to cultivate specialists in each region for the profound and balanced understanding the value of Southeast Asian art.

      • KCI등재

        동남아시아 교육과정 신설과 발전을 위한 연대 전략: 성과와 과제에 관한 경험적 분석

        전제성,여운경,이한우 한국동남아학회 2024 동남아시아연구 Vol.34 No.2

        이 논문은 지난 10년간 새로 개설된 동남아 관련 전공들의 창설 과정, 운영 방식, 성과 및 과제를 분석한다. 이런 경험적 분석을 통하여 해외지역연구 관련 전공을 새로 개설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가 소개하고 비교 분석하는 사례는 서울대 동남아시아언어문명전공, 서강대 대학원 동남아시아학협동과정, 전북대 동아시아․다문화연계전공이다. 이 세 전공은 동남아 지역연구 전문 교원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이나 분야를 연구하는 교원들의 지지와 협력을 통해 창설되었고 개방과 연대의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교육과정들은 대학에서 동남아 지역과 언어 관련 교육을 확산시켰고 동남아에 관한 이해를 갖춘 졸업생들을 상당수 배출하였다. 교육과정 심화, 안정성 확보, 전공 학생 및 교원 충원 등 여러 도전에 직면하고 있지만, 그런 과제의 해결도 지금까지 그러했듯이 협력과 연대를 통해 해결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stablishment process, operation method, performance, and tasks of newly opened Southeast Asia-related majors over the past 10 year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we hope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ose who wish to open a new major related to area studies. The cases we introduce and compare are the South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Maj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Graduate Program in Southeast Asian Studies at Sogang University, and the East Asian and Multicultural Studies Major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These three majors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were created through support and cooperation of faculty specializing in Southeast Asian area studies as well as faculty teaching on other regions or fields, and are operated in a manner of openness and solidarity. Thanks to the cooperative strategies, these courses provided education on the region and language of Southeast Asia at universities where education on Southeast Asia was scarce, and produced many graduates with an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Although they are facing many challenges such as deepening curriculum, securing stability, and recruiting major students and faculty, it is expected that such challenges can be solved through cooperation and solidarity as has been the case so far.

      • KCI등재

        한국의 동남아연구 성장과 포괄성 문제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동남아연구를 포괄적인 방법으로 검토하고 우리 학계의 당 면과제를 새로 설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발 간된 모든 학술적 성과(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및 단행본)를 아우르는 연구 총 량 추이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연구 역사, 연구 축적 경향, 연구자 규모로 나뉜다. 연구 역사는 우리의 인식보다 더 오래되었고 탈중심적이었다. 연구 축적은 점점 더 다원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전문연구자의 수도 예상보 다많았다. 이렇게새로이발견된한국의동남아연구동향은우리학계의포괄 성 증대라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양적으로 끊임없이 성장하고, 학문적으로 방대하게 펼쳐지고, 국적도 초월하는 한국의 동남아연구 추이에 비하면, 우리 동남아학계는 협소하고 정체되어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한국동남 아학회가 포괄성을 증대하려면, 분권적이고 자율적인 소규모 연구회들을 개 설하고, 동남아 출신 국내 대학원생들을 초대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의 접점으 로서 대학 거점을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발전 속의 저발전 : 싱가포르 동남아연구 발전사

        이상국 ( Sang Kook Lee ) 한국동남아학회 2010 동남아시아연구 Vol.20 No.3

        Southeast Asian studies in Singapore has had a problem with locating local scholarship from the outset. The initiation of English-track scholarship was done by British scholars while Chinese scholars in the beginning were not considered as local people but as sojourners who identified China as their fatherland. If the latter had successfully located their scholarship in the post-colonial environment of Singapore, the job of identifying local scholarship would have been much easier. Indeed, for some time in the 1960s-70s, there existed a relatively strong local scholarship that was based mainly at Nanyang University. However, they became marginalized as English became dominant not just in education but also in Singapore society. Unlike the Chinese-track scholarship, the English-track scholarship in Singapore has developed greatly over the years. The establishment of ISEAS was the crystallized form of Singapore`s endeavors to develop a Singapore brand of Southeast Asian studies to the world. Alongside ISEAS, NUS has carried on the English-track Southeast Asian studies and become a world-class university in this academic field. The formation of the Southeast Asian Programme and ARI marked a cornerstone for NUS in advancing Southeast Asian studies. However, Singaporean scholarship continues to be weak in comparison to foreign scholarship. In the absence of strong local scholarship, the typical way in which Singapore has chosen to develop Southeast Asian studies has been to establish world-class institutes and to bring in foreign talents. This strategy has perhaps paid off since it has situated Singapore as the prime place where scholars gather, information goes around and quality research outcomes are published. However, whether or not it has strengthened local scholarship remains a controversial issue. The dominant contribution of foreign scholars continues to pose the problem of whether the ownership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Singapore belongs to Singapore itself. The identification of scholarship in Singapore is an unsettled matter.

      • KCI등재

        동남아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과 커뮤니티 양상 비교:서울대학교 인도네시아, 베트남 출신 유학생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김경민,박준영 한국동남아학회 2020 동남아시아연구 Vol.30 No.3

        음식 실천은 국외 이주 커뮤니티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음식 및 커뮤니티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던 대상인 유학생, 특히 국내에서 중국 출신 다음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유학생 중에서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출신 유학생 커뮤니티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음식 실천이 유학생 커뮤니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경우에는 종교적 요인에 따라 음식 실천에 제한이 있었지만 베트남 유학생은 한국음식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은 음식 모임을 외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로 삼는 개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면, 베트남 유학생의 음식 모임은 기존에 구축된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그 의의가 소속감과 서로간의 유대 및 결속을 (재)확인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음식 실천은 각 커뮤니티의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인도네시아 유학생 커뮤니티는 재학생 위주로 운영되는 단절성을 보인 반면, 베트남 유학생 커뮤니티는 시․공간을 뛰어넘는 지속성과 확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특정 국가의 사회문화를 반영하는 음식의 실천이 이주 커뮤니티의 형성뿐만 아니라 지속 및 정착에도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이주와 음식, 동남아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그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한국과 주요 ASEAN 제국간의 무역결합도 변화추이

        김승진 ( Seung Jin Kim ),김기승 ( Gi Seung Kim ) 한국동남아학회 2011 동남아시아연구 Vol.21 No.3

        Yamazawa (1970) 교수가 개발한 무역결합도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의 주요 ASEAN제국에 대한 무역결합도, 무역보완도 및 국별편향도를 OECD 무역행렬자료을 이용하여 2003년과 2008년에 대해 계측하였다. 한국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무역결합도는 2003년의 6.99로부터 2008년에는 6.74로 하락하였는데, 이는 한국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무역보완도가 2003년의 1.05에서 2008년의 1.14로 상승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한국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국별편향도가 2003년의 6.64로부터 2008년에는 6.06으로 크게 하락한데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무역결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양국간 자본이동을 증가시키거나 무역장벽을 낮추는 등의 한국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국별편향도를 상승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여타 주요 ASEAN제국(즉, 말레이시아, 필립핀, 싱가폴 및 태국)에 대한 무역결합도와 국별편향도는 모두 동 기간 중 상승하여, 위에서 설명한 한국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무역결합도와 국별편향도와는 정 반대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 이들 여타 ASEAN제국 간에 자본이동을 증가시키거나 무역장벽을 낮춤으로써, 한국과 이들 여타 ASEAN제국 간의 국별편향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월남전과 국가주도 외자조달체계 구축 과정 : 한국(외환)은행 사이공지점과 월남특수 본국송금을 중심으로

        전경진 한국동남아학회 2022 동남아시아연구 Vol.32 No.4

        본고는 1960년대 중반 한국과 월남의 금융환경과 외국환송금 경로를 분석하여 월남에 설립된 한국외환은행 사이공지점이 월남특수로 발생한 외화조달과 외화소득의 통제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본다. 1960년대 월남전 파병에 따른 월남특수는 한국경제발전 초창기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해준 중요한 외화 조달처였다. 당시 박정희 정권은 월남파병의 반대급부로 획득한 군납사업권을 기반으로 인력송출과 국가적 차원의 대월무역을 확대하여 경제발전에 필요한 외화수입을 도모하고 이를 극대화하여 산업자본으로 운용하고자 하였다. 주월한국군과 월남진출 한국기업의 금융지원을 위해 정부는 한국외환은행 사이공지점의 전신이었던 한국은행 사이공지점을 1966년에 개설하였고, 이 국책은행 해외지점을 정부 대리인으로 삼아 주월한국군의 해외근무수당을 관리하고 대사관을 동원해 월남진출 한국기업과 파월노동자의 외화소득을 국외취업허가와 결부시켜 감독함으로써 월남에서 획득한 외화가 현지에서 누락되지 않고 본국으로 최대한 송금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