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가와 용: 원어, 번역어, 그리고 시각적 재현

        강희정 ( Kang Heejung ) 동양미술사학회 2019 동양미술사학 Vol.8 No.-

        인도의 토착신 나가는 중국에 전해지면서 용으로 번역되고, 기존의 용과 결합되면서 불교 미술에 표현이 됐다. 실제 존재하는 생명인 인도의 나가는 중국과 동북아시아에서 재현되지 않았다. 동남아에서 나가는 토착신으로서의 뱀 신앙에 더해져 다양하게 변모되었고, 힌두교 신화 속의 나가와 토착신 나가가 융합하기도 했다. 나가는 물과 관련이 깊어서 화재나 수재(水災)를 막기 위한 비보(裨補)를 목적으로 건물에 조각됐다. 중국과 동남아의 건축물에 용과 나가가 표현된 것은 같은 맥락에서, 같은 속성을 지닌 영험한 존재로 받아들여졌음을 의미한다. 동남아시아의 나가와 중국의 용은 물과 관련된 속성, 인간에게 위협적인 반신(半神)과 같은 존재, 종교와 신화의 세계에서 하급 신격(神格)으로 간주되는 공통점이 있다. Naga, the indigenous god of India, was translated into dragon(龍) as it was introduced to China. It was variously created in Buddhist art when it was combined with the dragon of Han dynasty. Indian naga as a real existence has not been made in the arts of China nor Northeast Asia. Naga images in Southeast Asia had been changed into various forms in combination with indigenous belief in snake. The naga in Hindu mythology from India and the local cobra god were integrated. Furthermore the dragon, like naga, was believed to have the power to control water, so the dragon images were carved onto a building or decorated on the bridge to prevent fire or flood. The representation of dragon and naga in the buildings of China and Southeast Asia shows us that they were regarded as mythical beings with the same attributes in the same context. Indian Naga and Chinese Dragon have a few features in common. Both of them are related to water, are a threat to human being as a semi-divine existence, and are regarded as a lower deity in the world of religion and mythology. Naga in Southeast Asia and the Chinese dragon did not merge by accident through translation.

      • KCI등재

        북위 불교미술을 통해 본 탁발선비의 문화포용력

        강희정 ( Kang Heejung ) 중앙아시아학회 2020 中央아시아硏究 Vol.25 No.2

        After the long war, the Northern Wei of the Xianbei, who dominated almost all of North China for more than 100 years, developed the policy of following Han Chinese regulations and customs. In particular, The Xiaowen emperor tried to advocate the Sinicization policy, in which the Xianbei should transform their own way of living into the Han-Chinese style, including their costume. His establishment of the Sinicization policy affected various parts of Buddhist art. The nomads from the outside of northern China could support Buddhism to practice more and to give preference to Buddhist monks. It was possible because they did not have the Confucian ideology and culture as the Han Chinese had. Rather the lack of preconceptions of Confucian culture seems t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spread of Buddhism by the Northern Wei. As the Xianbei embraced the culture of other nomads, including the Sogdian, the Tibetans, and others, they solved many problems in the empire with the power and wisdom of other tribes. Based on it, it was possible to make a solid foundation of the international culture in the Tang dynasty. The splendid and aristocratic Tang culture did not suddenly prosper in a day. The multiculturalism,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fusion and inclusion during the Northern Wei by the Xianbei, built a cornerstone for the prosperity of Tang culture.

      • KCI우수등재
      • 발상의 전환: 神人同形에서 神人異形으로 : 唐代 十一面觀音의 상징과 의미

        강희정(Kang, Heejung)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02 Visual Vol.1 No.-

        The Guan-yin with eleven heads was derived from esoteric buddhist sutras which had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during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Since Chinese people began to make the buddhist sculptures for the first time, they maintained to represent the images to be anthropomorphic. It was one of radical alterations that they created Eleven-headed Guan-yin images with multi-arms. They allowed non-human characters to Guan-yin images quite different from anthropomorphic icons traditionally approved. It seems that the people in the T'ang dynasty hoped for bodhisattvas to answer their various secular prayers. One can surmise, therefore, the more their wishes were various and earthly, the more images were made in the form of something inhuman with multi-heads and multi-arms. Even the concept and the ritual of an Eleven-headed Guan-yin had been introduced in esoteric buddhist sutras, the creators had not followed their manuals. In the comparison of those manuals with images of Eleven-headed Guan-yin, they should create the images in their own minds. It can be concluded that Eleven-headed Guan-yin images were expressed their approval for non-human manifestation in order to prove the greatness of 'the God of Mercy'.

      • KCI우수등재

        힌두-불교 시대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의 짠디와 신왕사상

        강희정(Kang, Heejung) 불교학연구회 2021 불교학연구 Vol.68 No.-

        비명을 통해 중부 자바의 짠디들은 산자야 계통의 므당 왕국과 샤일렌드라 왕실의 후원으로 건립됐음을 알게 됐다. 이들은 신상을 세워 ‘달마’를 수호하여 왕실의 권위를 확보하고자 했는데, 이는 샤일렌드라에서 도망가 캄보디아에 크메르 제국을 세운 자야바르만 2세와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서도 확인된다. 크메르 제국의 왕들은 왕이 사후에 신과 합일한다는 신왕사상에 입각하여 대대로 사원을 세우고 조각을 안치했다. 샤일렌드라의 인드라왕은 왕과 붓다와의 합일을 추구했지만 신왕사상에서 입각해 이처럼 왕과 붓다의 합일을 주장하는 것이 흔한 일은 아니었다. 영토와 왕위 계승을 둘러싼 전쟁과 전투가 잦았던 동남아에서 평화로운 불교 이념과 신앙보다는 왕의 위엄을 과시하고 복종을 강요하기에 시바나 비슈누와의 합일을 강조하는 힌두교가 유용했기 때문에 힌두교 사원 건립이 불교사원보다 활발하게 이뤄졌다. 중부 자바에서는 불교에 귀의하고, 승려들을 위해 승원과 마을을 희사하는 일이 수월했다. 날란다에 승원을 건설할 정도로 불교에 우호적이었고, 인도와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었던 중부 자바에 금강승 불교 역시 일찍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후기밀교 경전 중 하나로 여겨지는 『성대승론』은 중부 자바 불교 신앙의 일면을 보여준다. 하지만 밀교가 네팔이나 티벳처럼 체계화된 조직적인 불교 종파로서 자리 잡았는지는 아직 단언하기 어렵다. 관련 문헌 단편들과 론따르 경전을 통해 보면 일부 학승들을 중심으로 후기밀교가 받아들여졌을 가능성이 크다. 크메르처럼 중부 자바 시기 이후 인도네시아에서는 힌두교와의 결합이 더욱 가속화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역시 왕실의 강력한 후원이 힌두교로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다. The Sanjaya-based Medang Kingdom and the royal family supported the construction of the candis in Central Java. They believed that the Dharma , the essence of the royal family, dwelled in the statue of a god. Therefore they wanted to secure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by erecting a statue. This is also confirmed by Jayavarman II and his successors, who fled from Śailendra and established the Khmer Empire in Cambodia. The kings of the Khmer Empire also built temples and enshrined sculptures for generations based on the deva-raja concept that the king would unite with the god after death. King Indra of Śailendra sought the unity of the king and the Buddha, but it was not common to declare the unity between the king and the Buddha under the deva-raja concept. In Southeast Asia, where wars over territory and conflicts for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ere frequent, Hindu temples are established more actively than Buddhist temples. Hinduism was more useful to show off the dignity and power of the king to the people rather than peaceful Buddhist ideology and belief. In Central Java, it was befitting to have faith in Buddhism and offer monasteries and villages to the monks for good karma. Conjecting from the copper plate discovered from Nalanda, the kings of Śailendra were friendly to Buddhism enough to build monasteries in Nalanda. It is no wonder that Vajrayana Buddhism was introduced earlier than we thought to Central Java, which had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India. Regarded as one of the later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Sang Hyang Kamahāyānikan discove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reveals an aspect of Central Javanese Buddhist belief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whether the Esoteric Buddhism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ystematic and organized Buddhist sect as it did in Nepal or Tibet. Judging from the related texts and the scriptures written on the Lontar leaves, Vajrayana Buddhism was likely accepted mainly by some scholar monks. Like the Khmer Empire, the collusion of Hinduism and the sovereign power in Indonesia seems to have accelerated after the Central Java period. This also resulted in strong royal support being concentrated on Hinduism than Buddhism.

      • KCI등재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의 밀교적 성격 재고

        강희정 ( Kang Heejung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21 東亞 硏究 Vol.40 No.1

        보로부두르는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에 이르는 불교의 우주관을 집대성한 조형물이다. 보로부두르에 온 순례자들은 보로부두르 각 층을 오른쪽으로 돌면서 진리를 찾는 선재동자의 여행을 스스로 재현하고 체험하게 된다. 8-9세기 인도네시아의 건축 기술과 이를 뒷받침하는 수학, 공학, 건설 기술, 예술적 능력을 어떻게 집대성했는가를 잘 보여주는 보로부두르를 건설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은 짧은 기간에 습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기존에 알려진 대로 샤일렌드라 왕조의 힘만이 아니라 산자야 계통의 후원과 협력으로 건축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탑도 아니고 사원도 아닌 구조이므로 밀교의 만다라로 기획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보로부두르 어디에서도 금강승 불교의 특색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만다라라기보다 샤일렌드라와 산자야 왕조의 권위를 과시하고 부조를 통해 불교 교리를 학습시키기 위해 보로부두르를 건설한 것으로 파악된다. 보로부두르는 불교가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에서 어떻게 고도의 세계관을 형상화하는 능력을 구비하게 했으며, 권력의 지향에 따라 어떻게 짧은 시간에 융성할 수 있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구조물이다. Borobudur is an exquisite monument in Central Java, Indonesia, that visually represents the Buddhist cosmology with the compilation of the world of the kāma-dhātu, the rūpa-dhātu, and the ārūpya-dhātu. The pilgrims who come to Borobudur will go up each terrace of Borobudur to the right, searching for the truth, and experiencing the trip of Sudhana by themselves. Borobudur indicates Indonesia's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its supporting abilities such as mathematics, engineering, construction technology, and arts were assembled as one monument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Since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can construct a huge monument like Borobudur cannot be acqui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likely to say that the Śailendra dynasty should have gotten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Sanjaya dynasty. Since it is neither a stupa nor a temple, it is argued that Borobudur was designed as a mandala of Esoteric Buddhism. However, none of the elements of Vajrayana Buddhism can be identified in Borobudur. Rather than a mandala, Borobudur must have been built to show off the authority of the Śailendra and the Sanjaya dynasties and to make people learn Buddhist doctrine through its reliefs. Borobudur shows the way of how Buddhism embodies its philosophy as a monument and how it could have flour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on the back of the power of the kingdom.

      • KCI등재

        자금 세탁 방지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메커니즘 설계

        강희정 ( Heejung Kang ),김혜리 ( Hye Ri Kim ),홍승필 ( Seng-phil Ho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5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검증함으로서 데이터의 조작을 방지하고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보안성 및 확장성·투명성을 특징으로 하며 전 세계에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송금을 포함하여 물류·유통,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을 자동화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면 계약 사항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작성하고, 조건이 충족되면 즉시 시행되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 설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상화폐의 불법적 자금 악용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스마트 컨트랙트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객확인(KYC:Know Your Customer)과 자금세탁방지 과정을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해 적용해 보았으며, 자금세탁방지의 가능성을 확인 및 ASM(AML SmartContract mechanism) 설계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Blockchain is a technique that prevents data from being manipulated and guarantees the integr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by all participants in the network jointly owning and validating the data. Since the Blockchain characterized by security, scalability and transparency, it is used in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logistics, distribution, IoT and healthcare, including remittance.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mart contract that can create different forms of contracts and automate implementation based on Blockchain. Smart Contract can be used to pre-programme contracts and are implemented immediately when conditions are met. As a result, digital data can be more reliable. In this paper, we are conducting a study on the smart contract design as a way to solve such problems as illegal misuse of funds on virtual currency, which has become an issue recently. Through this process, we applied the customer identification and money laundering prevention process using smart contract, and then check the possibility of preventing money laundering and propose the ASM (AML SmartContract Mechant)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외연의 확대, 지평의 확산: 동남아 미술 연구 10년

        강희정 ( Kang Heejung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3

        이 글은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2008년 이래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까지 약 10년간 동남아시아 지역학 분야에서의 동남아 미술 연구를 검토했다. 이 연구들은 동남아의 미술을 어떻게 다뤘는지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검토했다. 이 기간에 발표된 동남아시아 미술 연구 논문은 50편이며, 베트남 미술과 인도네시아 미술에 관한 논문이 다수를 점한다. 11개국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미술에 관한 연구가 단기간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기 어려운 전문적인 분야라는 점에서 연구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나 짧은 기간에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음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도자기와 조각에 집중된 제한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이 기간의 연구는 불균형한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와 동남아 지역 연구 환경을 살펴보면 지역별,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지난 10년간 동남아 미술 관련 연구가 발전을 거듭했지만 연구 분야와 대상이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역학의 한 분야로서 동남아 미술 연구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There was few research deal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or the arts of Southeast Asia before, however many articles and books on the arts of Southeast Asia were published since 2008. There are more than 50 papers dealing Southeast Asian art during the period. It was Vietnamese ceramics and the Buddhist relics of Indonesia which paid attention among those articles. This was relevant to the launching of the Humanities Korea (HK) project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07. A study on Southeast Asian arts from each of eleven countries is difficult to achieve outstanding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quite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Since art historical approach is a professional field, the growth of research is limited. At this point we can say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are developed in an unbalanced extent in the limited area focused on ceramics and sculptures. Over the past decade, the research on Southeast Asian art has developed, but we still need more experts in specific regions and fields. For establishing the art history as a field of regional studies, it is imperative to cultivate specialists in each region for the profound and balanced understanding the value of Southeast Asian art.

      • KCI등재

        17세기 이후 불상의 복장(腹藏) 의례: 법계(法界)의 구현

        강희정 ( Kang Heeju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8 No.-

        조선 후기에 만든 불상과 불화는 뱃속에 복장을 넣음으로써 비로소 불상으로 완성된다. 복장에는 세계의 물질을 대표하는 5가지 세트를 집어넣은 후령통을 중심으로 경전과 진언, 각종 봉헌물이 포함된다. 복장을 불상 내부에 봉안하는 의식은 고도로 발달된 정통 밀교 의례를 바탕으로 한다. 후령통과 이를 감싼 황초복자, 기타 유물에는 실담 문자로 오륜종자, 진심종자를 써넣는다. 오륜종자가 대표하는 5불은 『금강정경』의 5불이며, 복장의례 역시 밀교의 전통을 따랐다. 의례를 통해 부처와 신도의 소통이 이뤄졌는데 그 매뉴얼을 밀교가 제공했다. 추상적인 현교 전통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밀교의 체계가 짧은 시간 내 많은 의식을 거행해야 했던 조선 후기에 훨씬 효율적이었을 것이다. 눈에 보이는 실담 종자, 입으로 외우는 다라니, 의식을 거행하는 제단(諸壇)은 밀교적인 요소들이다. 청정하게 베푼 복장단에서 밀교 철학에 기반한 우주를 축소하여 후령통에 구현하고 새로 만든 불상에 납입하는 의식은 물질로 만든 조각이나 불화를 성스러운 예배 대상 불타로 탄생시키는 종교적 행위이다. 세계를 대표하는 물질로 만든 후령통 구성과 이를 납입하는 행위로서의 불복장 의식은 밀교 의례지만 그 결과는 아미타불이나 석가모니불과 같은 현교의 부처님 탄생으로 귀결된다. 후령통은 삼세불과 삼신불을 초월하는 법계를 갖춘 것이며, 이를 납입하여 비로소 불상이 생명을 갖는다는 점에서 불모(佛母)의 역할을 한다. 후혈에서 나오는 오색실로 연결된 것 같은 밀교와 현교의 두 축, 즉 의례 절차는 고도로 발달한 밀교이되 그 결과는 현교의 부처님으로 생명을 갖는 것이 조선 후기 불교미술의 아이러니이다. The Buddha images and paintings, which were cre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could be completed due to the abdominal cache inside each of them. The abdominal cache is focused on a casket of bell, which symbolizes the Buddha`s throat. Five sets of various materials representing the world, which includes grain and incense, is installed inside the casket. Also people filled the empty body of the Buddha statue with many published or copied scriptures. It is highly complicated and elaborated ritual to enshrine the abdominal cache following the philosophy of Esoteric Buddhism. The five seeds in Siddham characters representing Five Buddhas and the seed of truth in Siddham were written on the other artifacts, a casket of bell, and the yellow wrapping silk in each direction it represents. The five seed characters are identical with the representative letters of Five Dhyani Buddhas in Vajrasekhara Tantra(金剛頂經), The philosophy and cosmology of the Esoteric Buddhism is ceaselessly infiltrated in the buddhist tradition during Joseon period. Additionally, they have offered the precise manual of the ritual for the buddhists to interact with Buddha. The visible seeds in Siddham script, recitation of dharani, and the altar for the ritual are the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Although completing the casket and the altar for the ritual of embedding the abdominal cache followed the manuals of Esoteric Buddhism, yet the birth of Buddha such as Amit abha, and Shakyamuni was based on the Mahayana Buddhism. In fact, the casket and the surrounding printed version of Treasure Chest Seal Dharani(寶 ?印陀羅尼) plays a role as a full body sarira(全身舍利) that was beyond the Buddhas of the three times. As the full body sarira is a concept that transcends the dharma sarira(法舍利), the abdominal cache itself embedding Treasure Chest Seal Dharani is the seed of Buddha, and it can also be the mother of the Buddha as it breathes a new life into the statue after being embedded. In brief, the casket has implemented the dharmadhatu, which transcends the Buddhas of the three times and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and it is where all the Buddhas are originated fr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