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송명섭 大邱敎育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16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을 조사하여 초등교사 양성교육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에 서 과학 관련 수업을 수강한 1, 3학년 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탐구에 관한 관점(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8가지 관점에 대한 이해 수준을 3단계(전문가적, 과도기적, 초보자적)로 구분하고 그 특징을 분석했다.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적 탐구의 8가지 관점 중 ‘탐구 방법은 의문 해결에 적합해야 한다.’는 관점에서만 전문가적 이해 수준이었다. 나머지 7가지 관점에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과도기나 초보자적 이해 수준이었다. 과학적 탐구의 대부분의 관점에서 고등학교 문과보다 이과 출신이, 남자보다 여자 예비교사의 이해 수준이 더 높았다. 그러나 몇 가지 관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과학적 탐구의 1가지 관점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이해수준이 높았다. 그런 반면 다른 2가지 관점에서는 3학년이 1학년보다 이해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대학의 과학 관련 강좌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의 개발에 효과적이 못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적 소양을 갖춘 초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의 인식론적 실천을 통한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를 중심으로 -

        이정은 ( Lee Jung Eun ),강영심 ( Kang Young Sim ),정현지 ( Jeong Hyun J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직업교육 담당교사가 주도적으로 특수학교 직업교육에 필요한 직무연수를 계획하고 개설한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로 특수교사의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도시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1명이고, 직업교육연수는 30차시로 편성하였다. 연수는 특수교사의 원예과 장애학생 직업교육지도를 위한 생활원예 직업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특수교사가 작성한 직업교육연수 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기존에 개설된 직무연수에 비해 평균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으며, 연수 이수자의 직업교육효능감이 사후에 증가하였다. 또한 교사가 연수에 대한 개인의 소감과차후 직업 수업에 대한 생각을 작성한 내용에 있어서도 연수만족도와 직업교육효능감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수요자 중심 직업교육연수가 특수교사의 연수만족도는 물론 직업교육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현장에서 실시되는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도 교사 중심의 직업교육연수 형태로 접근해야 교사의 만족도는 물론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raining on special teachers’ training satisfaction and efficiency of job education. The training was dominantly planned by a vocational education teacher and applied to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special teachers. The subjects were 11 special teachers who live in B city. And the program was for horticultur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sisted of 30 periods of vocational living-horticulture training program. The quantitative survey through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and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Also the qualitative survey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each teacher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teachers’ trai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vious normal training and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to those who completed the training was improved after attending the program. After analyzing, training satisfaction and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were positively improved. It seems that the consumer centere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special teachers’ training satisfaction and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It seems to maximize the expertise of teachers through the training tailored to the needs of teachers.

      • KCI등재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의 견해

        임경원,최상배,김연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이 연구에서는 단위학교의 통합교육 지원과 지역사회중심의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네 그룹 30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의 견해는 5개 상위범주와 14개 하위범주, 59개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상위범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원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의 확대와 다양한 방식의 참여형 활동 운영, 둘째,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사들의 역량강화와 학교 재구조화, 셋째, 학교평가지표의 활용 및 학내 구성원 역량강화 지원,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력보강 및 재구조화, 지역네트워크의 단위학교 통합교육 지원체제 구축, 다섯째,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중심의 네트워크 구축 및 통합교육 실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중심 통합교육이 효율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 활용과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교사 지원의 필요성과 교사 지원을 위해서 온ㆍ오프라인의 다양한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한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신영 ( Lee Shin-young ),강경호 ( Kang Kyung-h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교직이수 필수과목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전문성 확장을 위한 이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기초적인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 경상북도 K시, 충청북도 J군에 소재한 대학의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 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면 및 비대면 설문조사 결과와 연구참여자 11명의 포커스 그룹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예비교사의 특수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통 수준보다 높고,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사의 전문성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에서 학생보다 대학원생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포커스 그룹 면담 결과 교사의 전문성 확장을 위해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특수교육학개론의 확장, 통합교육 관련 필수 교직과목 개설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고, 예비교사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전문성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aking a course titled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changed th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pre-teacher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expertise and inclusive education. 107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e-teachers were recruited in the three municipal provinces of South Korea. They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a group of 11 attended multiple focus group interview session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 affected the higher scores of pre-teachers’ perceptions on special education expertise than average-level as well as resulted in positive perspectives o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course improved the perception of pre-teacher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especially graduates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ceptions than undergraduates. Third, the focus group interviewees expressed th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ements of curriculum, and additional required courses i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author proposed suggestions for improving pre-teachers’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expertise and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미래 성인기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 연구과제 고찰

        김영준 ( Kim Young Jun ),도명애 ( Do Myung A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이 학교를 졸업하고 실제 성인기로 진입하여 성공적인 자립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에서 중요하게 부각되어야 할 연구과제를 고찰하는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환교육과 평생교육의 두 가지 관점에서 발달장애 학생의 미래 성인기 자립생활에 초점을 두어 교육적 적용방안을 모색한 국내외 선행 연구문헌 들을 다양한 유형들(저서, 연구 보고서, 실험연구, 조사연구 등)로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이 각각 제시하는 교육적 적용방안들을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과제에 대한 분석변인으로써 반영하였으며, 각 자료들을 통해 추출된 분석변인을 귀납적 분석방식에 의해 범주화함으로써 총 8가지의 영역들(학령기 특수교육과 성인기 재활복지의 불일치, 자립기술의 지표화, 자립생활 스타일 및 성취기준 표준화, 자립기술 습득을 위한 학습 스타일 사정, 교과교육,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 IEP 및 ITP 연계교육, 그룹홈의 정착화)이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된 8가지의 영역들을 분석변인으로 하면서 일반적인 문헌고찰 방식을 사용했으며, 각 영역들마다 해당 선행 연구문헌에서 제시하는 관점을 근거 내용으로 연계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전개 방향을 보다 다양하고 발전적으로 고찰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8가지의 영역들을 연구 결과에서 고찰함에 있어 상호 통합적이고 연계적인 관점을 유지하였으며, 연구 방법의 자료 선정 및 기준과 일관적으로 전환교육과 평생교육의 관점을 동등하게 다루어 역시 고찰하였다. 또한, 고찰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발달장애학생과 성인의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실행 모델의 구축을 전망하는 연구방향과 함께, 연구 결과에서 고찰한 8가지 영역의 연구 과제들이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 분야에서 갖는 위상과 필요성의 근거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research task to be emphasiz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cusing on the school ag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o they can successfully maintain independent living once they enter into adulthood after graduation. For such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ndependent adulthood liv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from two perspectives of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collecting different types of existing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books, research reports, experimental studies and survey researches) to seek for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suggested by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used as factors of analysis on the research task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and a total of 8 domains (discordance between special education during school age and rehabilitation welfare in adulthood, indexing of independence skills, standardization of independent living style and achievement criteria, learning style for acquisition of independent skills, subject matter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education connected with IEP and ITP, and settlement of group home) were defined by categorizing the factors of analysis extracted from materials using inductive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the 8 domains were used as factors of analysis for general literature review, and more diverse and developmental discuss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each domain proposed in the corresponding literature source. In addition, a comprehensive and connective perspective was maintained while discussing the 8 domains in the study results.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were equally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material selection and criteria described in the study method. Also, while providing the directivity of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an implementation model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ulthood based on the study results, discussion and suggestion were made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8 domains presented in the study results and the grounds for their status and necessit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cused on school age.

      • KCI등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통합학급 초등교사와 특수교사의 만족도

        박미혜,안성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통합학급 초등교사 및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만족도와 두 집단 간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통합학급 초등교사, 특수교사 각각 100명씩 설문지를 통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통합학급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만족도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전체 만족도에서 평균값을 기준으로 보통수준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통합교육에 대한 영역별 만족도 연구 결과에서는 영역별 평균값을 기준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냈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만족도 연구 결과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전체 만족도에서 평균값을 기준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합교육에 대한 영역별 만족도에서는 영역별 평균값을 기준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 간의 통합교육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전체 교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영역별 통합교육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는 통합교육 운영 및 실천, 전반적인 통합교육 만족도에서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간의 학부모 만족도를 비교한 연구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통합교육에 대한 각 문항별 만족도 연구 결과에서는 모두가 보통수준 이상으로 많은 교사들이 만족하는 수준을 보였다. This study's aim was to identify how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inclusion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teac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d to know whether two groups of teachers’ satisfaction difference. and elementary inclusion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worked in Seoul. and the study’s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mainly three areas, the supports for management and practices of inclusion education, supports for student’s parents of inclusion education, supports for overall inclusion education. and 200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process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inclusion teachers showed over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urrent inclusion education in total average data. Secondly, elementary special teachers showed over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urrent inclusion education in total average data. and Thirdly, the results of whether two groups of teachers’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two groups’ total satisfa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ree areas of inclusion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the supports for management and practices of inclusion educ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upports for student’s parents of inclusion education,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supports for overall inclusion educ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each of questions’ satisfaction, two groups showed over average level dat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adding to that, for better inclusion education environment, appropriate national supports are needed and two groups of teachers need to keep growing up professional quality for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on environment and more detail studies are asked in a variety of different participants and schools re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