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교육 태도와 과학 교수효능감 연구

        백상수 ( Baek Sang-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Cochran(1990)이 고안한 통합교육태도 측정도구와 Rigg과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 효능감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범대학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2,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았다. 특히 특수교육학 수강, 장애 가족 및 친척 유무 등의 배경변인이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학교수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보았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의 철학적 측면(M=3.17)과 통합교육의 유익성(M=3.14)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평정을 하였으나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M=2.74)과 통합교육의 지원적 측면(M=2.42) 낮게 평정하였다.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168, p<.05). 특히 과학교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학교수 자기효능감은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의 전문가적 측면과도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02, p<.01)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적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교사 연수 및 양성에 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ttitudes toward inclusion an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Classroom(STATIC) by Cochran(1990)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by Riggs and Enochs(1990) were adap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alysis between STATIC and STEBI was also conducted. Overall, Only pre-service science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 rated them higher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ATIC and STEBI.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ISE-PCK)의 요소

        김용성,문동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학생에게 유의미한 통합과학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전문적 지식인 통합과학교육 교수내용지식(ISE-PCK)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고 각 요소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 ‘통합과학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통합과학교육 수업 평가에 대한 지식’의 6가지 요소로 제안하였다. ‘통합과학교육 교수 지향’은 통합과학교육을 진행하려는 동기와 연관이 있으며, ‘학생 중심 활동’, ‘구체적 조작 중심의 학습’, ‘실생활 연계 학습’, ‘인성 함양’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ISE-PCK는 통합과학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다루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예비 및 경력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전기회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임청환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9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회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제 한정적인 교과교육학 지식이 교사 경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세부 요소별로 비교하고,세부 요소간의 상관관계와,경력에 따른 상관관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는,기존의 도구를 참고하여,전기회로에 대한 내용으로 개발되었으며 8개 세부 영역 당 3문항씩 전체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초등학교 교사 131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전체적으로 보면 전기회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은, 경력이 많을수록 증가하지만,과학 교과교육학 세부 요소에 따라 경력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지식, 경력이 많아질수록 어느 정도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지식, 경력이 많아질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지식과 같이 상이한 유형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역 한정적인 교과교육학 지식과 주제 한정적인 교과교육학 지식의 특정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세부 요소들 중에는,다른 요소들과 많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요소도 있으며,그렇지 않은 요소도 있다. 이는 학교 수업 장면에 밀접한 정도와 사용되고 축적되는 빈도에 따른 차이로 생각된다. 경력에 따른 상관관계의 차이를 보면,경력이 많을수록 세부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가 좀 더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경력이 많아질수록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세부 요소들이 균등해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fic topic, electric circuit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by their term of teach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components of the PCK. The instrument to measure PCK on electric circuits was developed with a basis on those existing and was composed of 24 items, 3 items per each sub-components. The data from 13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tally conside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CK on electric circuits increased by their term of teaching but three patterns were found as discussing on sub-components; increasing pattern, decreasing pattern and the pattern in which PCK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by term of teaching.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on characteristics of domain-specific and topic-specific PCK. Second, some sub-components of PCK had correlations with other sub-components and others not.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of relation to classroom situations and of frequency of being used and accumulated. As the difference of correlations between sub-components of PCK by term of teaching, it was found that, much term of teaching, more correlations among sub-components of PCK. This may indicates that sub-components of PCK might develop equally as the term of teaching increasing.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교사용지도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과학 담당 교사의 인식 특성

        김영한,이진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교사용지도서의 총론 제시 내용, 단원 및 제재 제시 내용 및 차시 제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과학 담당 교사의 인식특성이 그들의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학교 과학과 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 등이었다. 구체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 제시 내용에 대한 과학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 주당수업시수별에서는 차이가 없지 만 특수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과학담당교사일수록 인식이 높다. 둘째, 과학과 교사용지도서의 단원 및 제재 제시 내용에 대한 과학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특수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과학담당교사일수록, 20-18시간의 수업을 하는 교사일수록 인식이 높다. 셋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제시 내용에 대한 과학 담당교사의 인식은 성별과 특수교육경력별, 근무지역별, 소지자격증별, 주당수업시수별에서 차이가 없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in the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bout teachers’ guideline of basic curriculum and aims to provide references to organize the future guideline for science teachers. It surveyed 150 science teachers worked in the schools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collected 105 questionnaires was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each sub-sector, its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OVA to check th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about the introduction of guideline for science teachers, there are lots of opinions that it helps to understand the nature, direction, aim and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Secondly, science teachers usually considered that they understood the objectives of unit and development plans in the guideline and it was helpful. In the contents suggested in units and topic, science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certification understood it more than science teachers with g neral education certification,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giving lessons for 20-18 hours was higher than others. Thirdly, many science teachers answered that the contents suggested by step in the guidebook for science teachers were helpful for lesson, while many of them thought the formative evaluation was not suitable to assess the research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 敎育大學 科學敎育의 內容構成에 관한 硏究

        金炳業,金在慶,孫錫洛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4 과학·수학교육연구 Vol.9 No.-

        <Summary> The paper attempts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science subject of teacher's college in order to train students as competent elementary science teachers. Within the current curiiculum, we gave proceeded this study. The conclusions we have come to are as follows. 1) The objective of the scieuce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 shoule have students acquire high level scientific literacy and competent teaching method through the conclusive understanding of science. 2) The competence and ability science teacher must acquire are the under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having the inquiry attitude and the method of teaching elementary science. 3)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avout the science subject in teacher's college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should be needed. ① "The natural science" subject in the liveral arts course. The contents of this subject should include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he inquiry method of science centered on the nature subject in the elementry school. At the same time the learning should be proceeded along with the way these concepts are formed by human thought. ② "The nature subject education" in the major course. This subject is divided into two sub-subjects which call for "the teaching method" and " the sutdy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nature and contents of these two sub-subjects are not prescrived clearly. This paper attempts to prescribe these nature and contents. The teaching method should be the general rules and theories concerning all the elementary science including the nature subject. The study of teaching material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f the individual elemenary science, the nature subject.

      • KCI등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 과학 교사의 자질에 관한 문헌 연구

        임청환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99 과학·수학교육연구 Vol.22 No.-

        자질있는 과학 교사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여기에 관련하여 본 연구는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데이터에 의한 문제 해결보다는 문헌 연구를 통한 접근으로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을 알아 보았다. 논의의 시작을 과학 교사의 자질이란 무엇인가로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 교사의 자질과 물리 교사의 자질을 통하여 과학 교사의 자질을 추론하였다. 둘째로 과학 교사의 자질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과학 교과 교육학 지식의 본질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 교사의 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과학 교사 교육가의 자질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결론에서는 과학 교사의 자질과 관련하여 종합 평가를 하였다. What does mean competent science teacher? About this problem. instead of analyzing empirical data, former research literatures are reviewed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It begins with a discussion about the competency of science teacher. In this part competencies of general teachers and physics teachers are reviewed to inference the science teachers competencies. next the nature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a essential factor in considered. Finally the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 educator which influences critical effect about quality of science teacher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ome syntheses are offered regarding desirable competency of science teacher.

      •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송명섭 大邱敎育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16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을 조사하여 초등교사 양성교육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에 서 과학 관련 수업을 수강한 1, 3학년 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탐구에 관한 관점(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8가지 관점에 대한 이해 수준을 3단계(전문가적, 과도기적, 초보자적)로 구분하고 그 특징을 분석했다.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적 탐구의 8가지 관점 중 ‘탐구 방법은 의문 해결에 적합해야 한다.’는 관점에서만 전문가적 이해 수준이었다. 나머지 7가지 관점에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과도기나 초보자적 이해 수준이었다. 과학적 탐구의 대부분의 관점에서 고등학교 문과보다 이과 출신이, 남자보다 여자 예비교사의 이해 수준이 더 높았다. 그러나 몇 가지 관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과학적 탐구의 1가지 관점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이해수준이 높았다. 그런 반면 다른 2가지 관점에서는 3학년이 1학년보다 이해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대학의 과학 관련 강좌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의 개발에 효과적이 못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적 소양을 갖춘 초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의 인식론적 실천을 통한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교육의 교육적 내용에 대한 분석 및 담론

        김성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교육에서 강조되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학령 전기에 가장 큰 가능성을 가진다. 인간이 발달하기 위해서 적절한 영양소가 필요하듯이, 교육내용은 인간의 발달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자극이다. 이 논문은 교육내용에 중점으로 두고 있으며,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Scientific Inquiry’ 차원에서,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내용구성은 무엇인가? 둘째, ‘Nature of Science’ 차원에서,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내용구성은 무엇인가? 셋째, ‘Disciplinary Core Ideas of Natural Science’과 관련하여, 두 교육과정은 어떤 내용을 경험하도록 하는가? 넷째, 분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은 발달지체 유아의 과학교육 활동 장려를 위해 어떤 교육적 의의를 가지는가? 연구 방법은 우리나라 과학교육 표준내용을 근거로 하여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한 후 담론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누리과정은 자연탐구-탐구하는 태도 기르기 부분의 내용에서 ‘Scientific Inquiry’의 표준내용 부분을 담고 있다고 판단된다. 2. 누리과정은 ‘Nature of Science’ 부분 중에서 두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 대부분 다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3. ‘Disciplinary Core Ideas of Natural Science’의 내용은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내용은 과학교육표준내용의 전반적인 부분을 모두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교육의 내용은 풍부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또한 그것을 전달하고, 학습하게 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통합교육이 강조되는 만큼, 모든 유아들이 같은 활동 속에서 저마다 가지는 다양한 교육목표를 달성할 “유니버설 디자인”된 교육과정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